여씨향약언해
믈읫 져믄 사ᄅᆞᆷ을 가 볼 저기어든 몬져 사ᄅᆞᆷ 보내여 알외욜디니
主人具衣冠以俟[於等] 客入門下馬則趨出[爲也] 迎揖升堂[□尼]
쥬ᅀᅵᆫ이 관ᄃᆡᄒᆞ고 기들우거든 손이 와 문^의 드러 ᄆᆞᆯ 브리거든 ᄃᆞᆮ주우려 나가 마자 읍ᄒᆞ고 다ᇰ우ᄒᆡ 오ᄅᆞᆯ디니
來報禮則再拜謝[爲古]
답례ᄒᆞ라 온 저기어든 두 번 절ᄒᆞ야 샤례ᄒᆞ고
절호ᄃᆡ 손이 말라 ᄒᆞ거든 말 거시니라
○답례란 마ᄅᆞᆫ 져믄 사ᄅᆞᆷ이 가 뵈야든 얼운 사ᄅᆞᆷ이 와 답례ᄒᆞ닷 마리라
退則就階上馬[爲羅]
믈러가거든 계졀의 나ᅀᅡ가 ᄆᆞᆯ ᄐᆞ이라
손이 거러 왯거든 대문 밧ᄀᆡ 가 마자 드러오고 보낼 제도 ᄯᅩ 그 ᄀᆞ티 호ᄃᆡ
두ᅀᅥ 거름만 조차 가다가 손이 읍ᄒᆞ거든 가디 마로ᄃᆡ 그 가 ᄆᆞᆯ ᄇᆞ라 멀어ᅀᅡ 드러갈 거시라
曰凡遇尊長於道[爲也] 皆徒行則趨進揖[乎代]
믈읫 존ᄒᆞᆫ 사ᄅᆞᆷ과 댜ᇰ샤ᇰᄋᆡᆺ 사ᄅᆞᆷ을 길헤 만니러 다 거러가거든 ᄃᆞᆮ주우려 나ᅀᅡ가 읍호ᄃᆡ
尊長與之言則對[爲古] 不則立於道側以俟[爲也] 尊長已過[於沙] 乃揖而行[爲羅]
존댜ᇰ이 말ᄉᆞᆷᄒᆞ^거든 ᄃᆡ답ᄒᆞ고 말 아니ᄒᆞ거든 길 ᄀᆞᅀᆡ 셔셔 기들워 존댜ᇰ이 디나가거ᅀᅡ 읍ᄒᆞ고 가라
或皆乘馬[於等] 於尊者則回避之[爲古] 於長者則立馬道側揖之[爲古] 俟過[爲也沙]乃揖而行[爲羅]
혹 다 ᄆᆞᆯ 탯거든 존ᄒᆞᆫ 사ᄅᆞᆷ이어든 피ᄒᆞ고 댜ᇰ샤ᇰᄋᆡᆺ 사ᄅᆞᆷ이어든 길ᄀᆞᅀᆡ ᄆᆞᄅᆞᆯ 셰오 읍ᄒᆞ야 기들워 디나가거ᅀᅡ 읍ᄒᆞ고 가라
若己徒行而尊長乘馬則回避之[爲古]
만이레 내 거러가고 존댜ᇰ이 ᄆᆞᆯ 탯거든 피ᄒᆞ고
믈읫 거러가다가 아ᄂᆞᆫ 사ᄅᆞᆷ이 ᄆᆞᆯ 타 가거든 피ᄒᆞᆯ 거시니라
若己乘馬而尊長徒行[於等] 望見則下馬前揖[乎代]
만이레 내 ᄆᆞᆯ ᄐᆞ고 존댜ᇰᄋᆡᆺ 사ᄅᆞᆷ이 거러가거든 ᄇᆞ라보거든 ᄆᆞᆯ 브려 나ᅀᅡ가 읍호ᄃᆡ
已避亦然[爲也] 過旣遠[於沙] 乃上馬[爲彌]
비록 존댜ᇰ이 피ᄒᆞ야두 ᄯᅩ 그^리ᄒᆞ야 디나가미 멀어ᅀᅡ ᄆᆞᆯ ᄐᆞ며
若尊長금令上馬則固辭[爲羅]
만이레 존댜ᇰ이 ᄆᆞᆯ ᄐᆞ라 ᄒᆞ시거든 ᄀᆞ자ᇰ ᄉᆞ야ᇰᄒᆞ라
過敵者皆乘馬則分道相揖而過[乎代]
나와 ᄀᆞᄐᆞᆫ 사ᄅᆞᆷ이 다 ᄆᆞᆯ 탯거든 길ᄒᆞᆯ 분ᄒᆞ야 서ᄅᆞ 읍ᄒᆞ고 디나가ᄃᆡ
彼徒行而不及避則揖之[爲古] 過則上馬[爲羅]
뎨 거러가다가 몯 미처 피ᄒᆞ야든 ᄆᆞᆯ 브려 읍ᄒᆞ고 디나니거든 ᄆᆞᆯ ᄐᆞ라
遇少者以下皆乘馬[於等] 彼不及避則揖之而過[爲古] 彼徒行不及避則下馬揖之[爲羅]
져믄 사ᄅᆞᆷ이 다 ᄆᆞᆯ ᄐᆞ니ᄅᆞᆯ 만나 뎨 몯 미처 피ᄒᆞ야든 읍ᄒᆞ고 디나가고 뎨 거러가다가 몯 미처 피ᄒᆞ야든 ᄆᆞᆯ 브려 읍ᄒᆞ라
ᄀᆞ자ᇰ 져믄 사ᄅᆞᆷ이어든 긋드리 ᄆᆞᆯ 브리디 아니ᄒᆞ야두 므던ᄒᆞ니라
三曰請召迎送[伊] 凡四條[伊尼]
셋재 ᄀᆞ론 손을 쳐ᇰᄒᆞ며 ^ 마ᄌᆞ며 보내요미 믈읫 네 됴건이니
曰凡請尊長飲食[厓] 親往投書[乎里尼]
닐온 믈읫 존댜ᇰᄋᆡᆺ 사ᄅᆞᆷ을 쳐ᇰᄒᆞ야 음식호매 친히 가 단ᄌᆞ드리라
잠ᄭᅡᆫ ᄒᆞᄂᆞᆫ 이바디어든 단ᄌᆞ 아니ᄒᆞ야두 ᄒᆞ리라
다ᄅᆞᆫ 사ᄅᆞᆷ 위ᄒᆞ야 쳐ᇰᄒᆞᆯ 저기어든 존댜ᇰᄋᆡᆺ 사ᄅᆞᆷ을 겸ᄒᆞ야 쳐ᇰᄒᆞ디 말라
旣來赴[於等] 明日親往謝之[爲羅]
가 이바디예 참예ᄒᆞ야든 이튿날 친히 가 샤례ᄒᆞ라
召敵者以書[爲古] 明日交使相謝[爲彌]
나와 ᄀᆞᄐᆞᆫ 사ᄅᆞᆷ으란 편지ᄒᆞ야 쳐ᇰᄒᆞ고 이튼날 서ᄅᆞ 사ᄅᆞᆷ브려 샤례ᄒᆞ며
召少者[乎代] 用客目[伊尼] 明日客親往謝[爲羅]
져믄 사ᄅᆞᆷ으란 쳐ᇰ호ᄃᆡ 회문으로 홀디니 이튼나ᄅᆡ 손이 친히 가 샤례ᄒᆞ라
曰凡聚會[厓] 皆鄉人 則坐以齒[爲古]
믈읫 몯ᄀᆞ지호매 다 도ᇰ햐ᇰ 사ᄅᆞᆷ이어^든 나 ᄎᆞ례로 안ᄭᅩ
잡류엣 사ᄅᆞᆷ이어든 나호로 안ᄯᅵ 말라
若有親 則別序[爲古]
만이레 아ᅀᆞᆷ이 왯거든 각별이 ᄎᆞ셔ᄒᆞ야 안치고
若有他客 有爵者 則坐以爵[爲古]
만이레 다ᄅᆞᆫ 손이 벼슬ᄒᆞᆫ 사ᄅᆞᆷ이 왯거든 벼슬로 안치고
비록 벼슬이 이셔두 서ᄅᆞ ᄀᆞᆮᄐᆞᆫ 사ᄅᆞᆷ이어든 나호로 안치라
若有異爵者[於等] 雖鄕人亦不以齒[爲羅]
만이레 벼슬 노ᄑᆞᆫ 사ᄅᆞᆷ이 왯거든 비록 도ᇰ햐ᇰ 사ᄅᆞᆷ이라두 벼슬로 안치라
若特請召[於乃] 或迎勞出餞[於等] 皆以專召者[奴] 爲上客[爲古]
만이레 특별이 쳐ᇰᄒᆞ야 이바디ᄒᆞ거나 혹 마지어나 위뢰어나 젼소ᇰ이어든 다 위ᄒᆞ야 쳐ᇰᄒᆞᆫ 사ᄅᆞᆷ으로 위두손을 삼고
如婚禮 則婣家[奴] 爲上客[乎代] 皆不以齒爵[奴] 爲序[爲羅]
사돈잔ᄎᆡ어든 사돈짓 사ᄅᆞᆷ으^로 위두손을 사모ᄃᆡ 다 나콰 벼슬로 안치디 말라
曰凡燕集初坐[厓] 別設卓子於兩楹間[爲古] 置大杯於其上[乎里尼]
믈읫 이바디예 모다 처ᅀᅥᆷ 안조매 각별이 탁ᄌᆞᄅᆞᆯ 두 기도ᇰ ᄉᆞ이예 ᄇᆡ셜ᄒᆞ고 큰 잔을 그 우ᄒᆡ 노하 둘디니
主人[隱] 降度[爲也] 立於卓東[乎代] 西向[爲古] 上客[隱] 亦降度[爲也] 立於卓西[乎代] 東向[爲羅]
쥬ᅀᅵᆫ은 돗ᄀᆡ ᄂᆞ려 탁ᄌᆞ 도ᇰ녁의 셔ᄃᆡ 션녁을 햐ᇰᄒᆞ고 손은 ᄯᅩ 돗ᄀᆡ ᄂᆞ려 탁ᄌᆞ 션녁의 셔ᄃᆡ 도ᇰ녁을 햐ᇰᄒᆞ라
主人取杯親洗[巨等] 以器[奴] 上客辭[爲羅]
쥬ᅀᅵᆫ이 잔을 아ᅀᅡ 친히 싯거든 위두손이 ᄉᆞ야ᇰᄒᆞ라
主人置杯卓子上[爲古] 親執酒斟之[爲古] 以器[奴] 授執事者[爲古]
쥬ᅀᅵᆫ이 잔을 탁ᄌᆞ 우ᄒᆡ 노코 친히 수울 자바 븟고 그르ᄉᆞ란 집ᄉᆞᄒᆞᄂᆞᆫ 사ᄅᆞᆷ을 맛디고
遂執杯[爲也] 以獻上客[爲也等] 上客受之[爲也] 復置卓子上[於等]
ᄯᅩ ^ 그 잔을 자바 위두손ᄭᅴ 받ᄌᆞ와ᄃᆞᆫ 위두손이 바다 도로 탁ᄌᆞ 우희 노하ᄃᆞᆫ
主人西向再拜[爲也等] 上客東向再拜[爲古]
쥬ᅀᅵᆫ이 션녁 햐ᇰᄒᆞ야 두 번 절ᄒᆞ야든 위두손이 도ᇰ녁 햐ᇰᄒᆞ야 두 번 절ᄒᆞ고
믈읫 두 번 절ᄒᆞ라 ᄒᆞᆫᄃᆡ 시쇽을 조차 ᄒᆞᆫ 번 ᄒᆞ며 혹 읍ᄒᆞ야두 므던ᄒᆞ니라
與[爲也] 取酒東向[爲也] 跪祭
니러 그 수울 아ᅀᅡ 도ᇰ녁 햐ᇰᄒᆞ야 ᄭᅮ러 졔ᄒᆞ고
졔ᄒᆞ단 마ᄅᆞᆫ 죠고매 더닷 마리라
遂飮[爲古] 以杯授贊者[爲古]
ᄯᅩ 마시고 잔으란 찬쟈ᄅᆞᆯ 맛디고
찬쟤란 마ᄅᆞᆫ 진지ᄒᆞᄂᆞᆫ 사ᄅᆞᆷ이라
遂拜[於等] 主人答拜[乎乙知尼]
ᄯᅩ 절ᄒᆞ야든 쥬ᅀᅵᆫ이 답례ᄒᆞ야 절홀디니
만이레 져믄 사ᄅᆞᆷ이 손이 ᄃᆞ외야 수울 다 먹고 절ᄒᆞ거든 쥬ᅀᅵᆫ이 ᄭᅮ러 바ᄃᆞ라
上客[伊] 酢主人[乎代] 如前儀[爲彌] 主人乃獻衆賓[乎代] 如前儀[尼]
위두ᄒᆞ얏ᄂᆞᆫ 손이 쥬^ᅀᅵᆫ을 답례호ᄃᆡ 우ᄒᆡ ᄒᆞ던 례도 ᄀᆞᆮ티 ᄒᆞ며 쥬ᅀᅵᆫ이 모ᄃᆞᆫ 손을 이바도ᄃᆡ 우ᄒᆡ ᄒᆞ던 례도 ᄀᆞᆮ티 홀디니
唯獻酒[厓] 不拜[尼羅]
오직 수울 받ᄌᆞ올 제ᄂᆞᆫ 절ᄒᆞ디 말 거시라
만이레 모ᄃᆞᆫ 손 듀ᇰ에 나하고 벼슬 노ᄑᆞᆫ 사ᄅᆞᆷ이 잇거든 특별이 받ᄌᆞ오ᄆᆞᆯ 위두손ᄭᅴ 받ᄌᆞᆸᄃᆞ시 호ᄃᆡ 그 손은 답례 아니ᄒᆞᆯ 거시라
若婚會[厓] 姻家爲上客則雖少[那] 亦答其拜[爲羅]
만이레 사돈잔ᄎᆡ예 사돈짓 사ᄅᆞᆷ이 위두손이 ᄃᆞ외얫거든 비록 져머도 그 저ᄅᆞᆯ ᄃᆡ답ᄒᆞ라
曰凡有遠出遠歸者 則迎送之[乎代]
믈읫 머리 나가며 머리셔 도라올 사ᄅᆞᆷ이 잇거든 젼소ᇰᄒᆞ며 마지호ᄃᆡ
少者幼者[隱] 不過五三里[爲古] 敵者[隱] 不過三里[爲也]
져믄 사ᄅᆞᆷ은 오리예셔 너무 말^오 나와 ᄀᆞᆮᄐᆞᆫ 사ᄅᆞᆷ은 삼리예셔 너무 마라
各期會於一處[爲也] 拜揖如禮[爲古] 有飲食 則就飲食[爲羅]
각각 ᄒᆞᆫ ᄯᅡᄒᆡ 모다 절ᄒᆞ며 읍호ᄆᆞᆯ 례로 ᄒᆞ고 음식 잇거든 모다 머그라
少者以下[隱] 俟其旣歸[爲也] 又至其家[□□] 省之[爲羅]
져믄 사ᄅᆞᆷ으로 아래ᄂᆞᆫ 그 집의 도라가ᄆᆞᆯ 기들워 ᄯᅩ 그 집의 가 보라
四曰慶弔贈遺[伊] 凡四條[伊尼]
○넫재 ᄀᆞ론 겨ᇰ하ᄒᆞ며 됴문ᄒᆞ며 서ᄅᆞ 주미 믈읫 네 됴건이니
曰凡同約[伊] 有吉事 則慶之[爲古]
닐온 ᄒᆞᆫ 긔약ᄋᆡᆺ 사ᄅᆞᆷ이 깃븐 이리 잇거든 가 겨ᇰ하ᄒᆞ고
ᄌᆞ식이 갇 스며 아ᄃᆞᆯ 나ᄒᆞ며 거쳔ᄒᆞ야 ᄡᅳ이며 급뎨ᄒᆞ며 ᄉᆡᇰ원 진ᄉᆞᄒᆞ며 혼인호매 다 하례ᄒᆞ라
有兇事 則吊之[乎代]
휴ᇰᄒᆞᆫ 이리 잇거든 됴문호ᄃᆡ
휴ᇰᄒᆞᆫ 이ᄅᆞᆫ 모ᇰ사ᇰ이며 므레 ᄠᅥ가며 블브티미라
每家[厓] 只家長一人[伊] 與同約者[奴] 俱往[乎乙知尼]
ᄆᆡ ᄒᆞᆫ 집의셔 가댜ᇰ ᄒᆞᆫ나히 ᄒᆞᆫ 긔약ᄋᆡᆺ 사ᄅᆞᆷ으로 다 가볼디니
其書問[乙] 亦如之[爲羅]
편지ᄒᆞ야 무ᄅᆞᆯ 저긔도 ᄯᅩ 그 ᄀᆞᆮ티 ᄒᆞ라
若家長有故[於那] 或與所慶弔者[奴] 不相接 則其次者[伊] 當之[爲羅]
만이레 그 가댜ᇰ이 연괴 잇거나 혹 겨ᇰ하ᄒᆞ며 됴문ᄒᆞᆯ 사ᄅᆞᆷ으로 나콰 벼슬이 서ᄅᆞ ᄀᆞᆮ디 아니ᄒᆞ거든 그 버근 사ᄅᆞᆷ이 가 ᄒᆞ라
曰凡慶禮[乙] 如常儀[乎代] 有贈物[伊尼]
믈읫 겨ᇰ하ᄒᆞᄂᆞᆫ 례ᄅᆞᆯ 샤ᇰ녯 례도 ᄀᆞᆮ티 호ᄃᆡ 아못 거시나 줄디니
주ᄂᆞᆫ 거ᄉᆞᆫ 비단이어나 수울 바비어나 과실이어나 ᄒᆞ라
ᄡᆞᆯ와 뵈라두 므던ᄒᆞ니라
或其家[伊] 力有不足 則同約[伊] 爲之借助器用[爲彌] 及爲營干[爲羅]
혹 그 집이 힘이 브죡ᄒᆞ거든 ᄒᆞᆫ 긔약읫 사ᄅᆞᆷ이 긔믈을 빌이며 그 이ᄅᆞᆯ ᄀᆞ^ᅀᆞᆷ아라 힘ᄡᅥᄒᆞ라
曰凡弔禮[厓] 聞其初喪[爲古] 聞喪同 未易服 則率同約者[爲也] 深衣往哭弔之[爲古]
믈읫 됴문ᄒᆞᄂᆞᆫ 례예 ᄂᆞᄆᆡ 모ᇰ사ᇰ듣고 그 사ᄅᆞᆷ이 모ᇰ사ᇰ옷 몯 미처 니벳거든 ᄒᆞᆫ 긔약ᄋᆡᆺ 사ᄅᆞᆷ을 거느려 딕려ᇰ이어나 털리ᇰ이어나 닙고 가 우러 됴문ᄒᆞ고
믈읫 존ᄒᆞᆫ 사ᄅᆞᆷ을 됴문ᄒᆞᆯ 저긔 위두ᄒᆞᆫ 사ᄅᆞᆷ은 나ᅀᅡ가 말ᄉᆞᆷᄒᆞ거든 모다 절ᄒᆞ라
ᄀᆞᆮᄐᆞᆫ 사ᄅᆞᆷ이어든 절ᄒᆞ디 마로ᄃᆡ 쥬ᅀᅵᆫ봇 절ᄒᆞ거든 답례ᄒᆞ고 져믄 사ᄅᆞᆷ이어든 더위자ᄇᆞ라
산 사ᄅᆞᆷ을 아디 몯ᄒᆞ거든 됴문티 말며 주근 사ᄅᆞᆷ을 아디 몯ᄒᆞ거든 우디 말라
且助其凡百經營之事[爲彌] 主人成服 則相率素幞頭素襴衫素帶[爲古]
ᄯᅩ 믈읫 온 ᄇᆡᆨ 가지 이르살ᄆᆞᆯ 이ᄅᆞᆯ 도ᄋᆞ며 쥬ᅀᅵᆫ이 모ᇰ사ᇰ옷 니버든 서ᄅᆞ 거느려 ᄒᆡᆫ 복도와 ᄒᆡᆫ 옷 니브며 ᄒᆡᆫ ^ ᄯᅴ ᄯᅴ고
시쇽을 조차 옥ᄉᆡᆨ 털리ᇰ과 각ᄯᅴᄅᆞᆯ ᄒᆞ라
벼슬 업거든 거믄 셰툐ᄅᆞᆯ ᄯᅴᆯ 거시라
具酒果食物往奠之[爲羅]
수울와 과실와 식믈 ᄀᆞ초와 가티 뎐ᄒᆞ라
주근 사ᄅᆞᆷ이 내 우희 사ᄅᆞᆷ이어든 절ᄒᆞ고 잔 브ᅀᆞ라
내 아래 사ᄅᆞᆷ이어든 잔만 븟고 절ᄒᆞ디 말라
쥬ᅀᅵᆫ이 오ᄉᆞᆯ 고텨 닙디 아니ᄒᆞ얫거든 ᄯᅩ 오ᄉᆞᆯ 고텨 닙디 말며 쥬ᅀᅵᆫ이 우디 아니ᄒᆞ거든 ᄯᅩ 우디 말라
져ᇰ봇 듀ᇰᄒᆞ거든 비록 쥬ᅀᅵᆫ이ᅀᅡ 오ᄉᆞᆯ 고텨 닙디 아니ᄒᆞ며 우디 아니ᄒᆞ야두 ᄯᅩ 오ᄉᆞᆯ 고텨 닙고 울라
及葬[於等] 又相率致赗[爲古] 俟發引 則素服而送之[爲羅]
여ᇰ자ᇰᄒᆞᆯ 저기어든 ᄯᅩ 서ᄅᆞ 거느려 부조ᄒᆞ고 발인ᄒᆞᆯ 저기어든 ᄒᆡᆫ 옷 닙고 가보내라
혹 수울와 밥과 가지고 그 역ᄉᆞᄒᆞᄂᆞᆫ 사ᄅᆞᆷ을 이바ᄃᆞ며 ᄯᅩ 그 이ᄅᆞᆯ ᄀᆞᅀᆞᆷ아라 홀디니라
卒哭及小祥及大祥[爲也] 皆常服弔之[爲羅]
졸곡과 쇼샤ᇰ과 대샤ᇰᄋᆡ 미처ᄂᆞᆫ 다 ^ 샤ᇰ녜 옷 닙고 가 됴문ᄒᆞ라
曰凡喪家[隱] 不可具酒食衣服[爲也] 以待弔客[伊彌] 弔客[斗] 亦不可受[伊羅]
믈읫 모ᇰ사ᇰ 니븐 집은 수울 밥과 옷 ᄀᆞ외 ᄀᆞ초와 됴문ᄒᆞ라 온 손을 ᄃᆡ졉디 몯ᄒᆞᆯ 거시며 됴문ᄒᆞ라 온 손두 ᄯᅩ 받디 몯ᄒᆞᆯ 거시니라
曰凡聞而知之□[爲古] 或遠不能往則□使致□[乎代] 就外次[爲也] 衣弔服[爲古] 再拜哭而送之[爲羅]
믈읫 아ᄂᆞᆫ 사ᄅᆞᆷ의 모ᇰ사ᇰ 듣고 혹 머러 잘 가디 몯ᄒᆞ거든 사ᄅᆞᆷ 브려 티뎐호ᄃᆡ 밧긔 나 됴문ᄒᆞᆯ 옷 닙고 두 번 절ᄒᆞ고 우러 보내라
오직 지극ᄒᆞᆫ 아ᅀᆞᆷ이어나 ᄀᆞ자ᇰ 사괴ᄂᆞᆫ 버디어나 ᄒᆞ거든 그리ᄒᆞᆯ 거시니라
過期年則不哭[乎代] 情重則哭其墓[爲羅]
ᄒᆞᆫ ᄒᆡ 넘거든 우디 마로ᄃᆡ 져ᇰ이 듀ᇰᄒᆞ거든 그 무덤에 가 울라
右禮俗相交之事[乙] 直月[伊] 主之[爲也] 有期日 則爲之期日[爲古] 當糾集者[於等] 督其違慢[爲也]
이러ᄐᆞ시 례도ᄒᆞ야 ^ 푸ᇰ쇽으로 서ᄅᆞ 사괴ᄂᆞᆫ 이ᄅᆞᆯ 딕월이 ᄀᆞᅀᆞᆷ아라 긔약ᄒᆞᆯ 나리 잇거든 나ᄅᆞᆯ 긔약ᄒᆞ고 모토 올 이리 잇거든 그어 그르츠며 완만ᄒᆞ니ᄅᆞᆯ 뵈아
凡不如約者[乙] 以告于約正而詰之[爲古] 且書于籍[爲羅]
믈읫 긔약 ᄀᆞ티 아니ᄒᆞᆫ 사ᄅᆞᆷ을 약져ᇰ의손ᄃᆡ 고ᄒᆞ야 힐문ᄒᆞ고 허믈 스ᄂᆞᆫ ᄎᆡᆨᄋᆡ 스라
患難相恤
ᄂᆞᆫ 어려운 이레 서ᄅᆞ 구휼호미라
患難之事七[伊尼]
어려운 이리 닐곱 가지니
一曰水火[伊五]
ᄒᆞᆫ나ᄒᆞᆫ 므레 ᄠᅥ가며 블 븓티미오
小則遣人救之 甚則親往 多率人救 且吊之
져근 이리어든 사ᄅᆞᆷ 보내야 구완ᄒᆞ고 큰 이리어든 친히 사ᄅᆞᆷ 만히 ᄃᆞ리고 가 구완ᄒᆞ고 됴문ᄒᆞ라
二曰盜賊[伊五]
두을재 닐온 도ᄌᆞᆨ 마ᄌᆞᆷ이오
近者同力追捕 有力者爲告之官司
갓가온 ᄃᆡ 잇ᄂᆞᆫ 사ᄅᆞᆷ은 그 도ᄌᆞᆨ을 도ᇰ력ᄒᆞ야 잡고 셔력 잇ᄂᆞᆫ 사ᄅᆞᆷ은 그위예 가 ^ 고ᄒᆞ야 자보ᄃᆡ
其家貧 則爲之助出募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