家禮諺解 券一

  • 연대: 1632
  • 저자: 신식
  • 출처: 家禮諺解 券八
  • 출판: 홍문각 영인본
  • 최종수정: 2016-01-01

楊氏 復이 ᄀᆞᆯ오ᄃᆡ

高氏 禮애 祝이 ᄭᅮ러 告ᄒᆞ야 ᄀᆞᆯ오ᄃᆡ

靈侇旣駕ᄒᆞ니 往卽幽宅이라

載陳遣禮ᄒᆞ야 永訣終天이라 ᄒᆞ라

載ᄂᆞᆫ 닐온 柩ᄅᆞᆯ 轝의 올리미라

새 닛긴으로ᄡᅥ 左右애 柩ᄅᆞᆯ 轝에 ᄆᆡ고

이에 橫木으로ᄡᅥ 柩의 발 두 겨ᄐᆞᆯ 楔ᄒᆞ야 ᄒᆡ여곰

動搖^티 아니케 홀디니라

祝이 奉魂帛ᄒᆞ야

祝이 魂帛을 뫼셔

升車ᄒᆞ고 焚香ᄒᆞ라

녕車의 올리고 焚香ᄒᆞ라

각별히 箱ᄌᆞ로ᄡᅥ 신主ᄅᆞᆯ 다마 魂帛 뒤헤 두라

이에 니ᄅᆞ러 婦人이 너울 쓰고

댱의 나 階예 ᄂᆞ려 셔셔 哭ᄒᆞ고

집 딕흰 者ᄂᆞᆫ 哭ᄒᆞ고

하딕기ᄅᆞᆯ 盡哀ᄒᆞ고

再拜ᄒᆞ고 도라가되

尊長이어든 拜티 말라

發引

柩行ᄒᆞ라

柩ㅣ 行ᄒᆞ라

方相시 等이 앏ᄑᆡ 인導홈을 陳器 ᄎᆞ례 ᄀᆞ티 ^ ᄒᆞ라

主人以下男女ㅣ 哭ᄒᆞ고 步從ᄒᆞ고

主人 以下 男이며 女ㅣ 哭ᄒᆞ고 거러 조차 가고

朝祖ᄒᆞᆯ 적 ᄎᆞ례 ᄀᆞ티 ᄒᆞ라

門의 나거든 흰 댱幕으로ᄡᅥ 배 ᄀᆞ리오라

尊長이 次之ᄒᆞ고

尊長이 버거 셔고

無服之親이 又次之ᄒᆞ고

服 업ᄉᆞᆫ 권당이 ᄯᅩ 버거 셔고

賓客이 又次之ᄒᆞ라

손ᄃᆞᆯ히 ᄯᅩ 버거 셔라

다 車馬ᄅᆞᆯ ᄐᆞ라

권당이며 손이 或 몬져 墓所의 가 기ᄃᆞ로며

或 셩 밧긔 나가셔

哭ᄒᆞ며 拜ᄒᆞ야 하딕^ᄒᆞ고 도라오라

親賓이 設幄於郭外道旁ᄒᆞ야

권당이며 손이 셩 밧 길 ᄀᆞ의 幄ᄎᆞᄅᆞᆯ 設ᄒᆞ야

駐柩而奠ᄒᆞ라

柩ᄅᆞᆯ 駐ᄒᆞ고 奠ᄒᆞ라

집의 이실 적 녜 ᄀᆞ티 ᄒᆞ라

塗中예 遇哀則哭ᄒᆞ라

길희셔 슬프믈 만나거든 哭ᄒᆞ라

만일 묘쇠 멀거든

每 즘게마다 靈座ᄅᆞᆯ 柩前의 設ᄒᆞ고

朝夕의 哭奠ᄒᆞ며 밥 ᄯᅢ예 上食ᄒᆞ라

밤이어든 主人 兄弟 다 柩 겨틔 자고

親^戚이 ᄒᆞᆫ가지로 守衛ᄒᆞ라

及墓 下棺 祠后土 題木主 成墳

未至예 執事者ㅣ 先設靈幄과

몯 미처 니ᄅᆞ러셔 執事者ㅣ 몬져 靈幄과

墓道 西의 이시니 南向ᄒᆞ고

교倚며 卓ᄌᆞᄅᆞᆯ 두라

親賓次와

권당이며 손의 막次와

靈幄 앏 十數 步의 이시니

男은 東의 ᄒᆞ고 女ᄂᆞᆫ 西의 ᄒᆞ여

막次ㅣ 北으로 靈幄과 서ᄅᆞ ^ ᄃᆡ케 ᄒᆞ야 다 南向ᄒᆞ라

婦人幄ᄒᆞ라

婦人幄ᄎᆞᄅᆞᆯ 設ᄒᆞ라

靈幄 뒤 壙 西의 인ᄂᆞᆫ니라

方相이 至ᄒᆞ며

方相시 니ᄅᆞ며

戈로ᄡᅥ 壙 듕 네모흘 티라

明器等이 至ᄒᆞ며

明器들히 니ᄅᆞ며

壙東 南의 陳ᄒᆞ여 北上ᄒᆞ라

靈車ㅣ 至어든

靈車ㅣ 니ᄅᆞ커든

祝이 魂帛을 뫼셔 녕幄 座의 나아가고

신主 箱ᄌᆞᄅᆞᆯ ᄯᅩ 혼帛 뒤헤 두라

遂設奠而退ᄒᆞ라

드듸여 奠을 設ᄒᆞ고 믈러나라

酒果와 脯醢로 ᄒᆞ라

柩ㅣ 至어든

柩ㅣ 니ᄅᆞ거든

執事者ㅣ 몬져 돗글 壙 南의 펴고

柩ㅣ 니ᄅᆞ거든

시ᄅᆞᆫ 거슬 벗겨 돗 우희 노하 北首ᄒᆞ고

執事者ㅣ 銘旌을 가져 대를 업시 ᄒᆞ고

柩 우희 노흐라

主人男女ㅣ 各就位哭ᄒᆞ라

主人 男女ㅣ 각각 位예 나아가 哭ᄒᆞ라

主人과 諸丈夫ᄂᆞᆫ 壙 東의 셔셔 西向^ᄒᆞ고

主婦와 諸婦女ᄂᆞᆫ 壙 西 幄內애 셔서 東向호ᄃᆡ

다 北上ᄒᆞ야 길희 이실 적 녜 ᄀᆞ티 ᄒᆞ라

賓客이 拜辭而歸ᄒᆞ라

손ᄃᆞᆯ히 절ᄒᆞ고 하딕ᄒᆞ고 도라가라

主人이 拜ᄒᆞ여든 손이 答拜ᄒᆞ라

乃窆ᄒᆞ라

이에 무ᄃᆞ라

몬져 단댱남글ᄡᅥ 灰隔 우희 ᄀᆞᄅᆞ 노코

이에 바 네 올을 ᄡᅥ 관 믿 골회예 ᄭᅦ여 ᄆᆡ디 아니코

ᄂᆞ리와 단댱나모 우희 니ᄅᆞ거든

바란 ᄲᅢ여 업시 ᄒᆞ고

각벼리 ᄀᆞᄂᆞᆫ 뵈어나 ᄉᆡᆼ깁이어^나 뎌펴셔 관 미ᄐᆞᆯ 에워 ᄂᆞ리오고

다시 ᄲᅢ여내디 말고

다만 그 나ᄆᆞᆫ 거ᄉᆞᆯ 버혀 ᄇᆞ리라

만일 관애 골희 업거든

곳 바ᄅᆞᆯ ᄡᅥ 관 미ᄐᆞᆯ 에워 두 머리ᄅᆞᆯ 노하 ᄂᆞ리와

단댱 우희 니ᄅᆞ거든

바ᄅᆞᆯ ᄲᅢ고 뵈 ᄡᅳ기를 前 ᄀᆞ티 ᄒᆞ라

대강 관 ᄂᆞ리올 제 ᄀᆞ장 모로미 詳審ᄒᆞ야 힘을 ᄡᅥ ᄒᆞᆯ디라

그르 기우리텨 ᄂᆞ려뎌 動搖홈을 잇게 호미 可티 아니ᄒᆞ니

主人 兄弟 맛당히 울옴을 그치고 親히 臨ᄒᆞ여 보라

이믜 ᄂᆞ리거든 다시 柩衣며 銘旌을 整ᄒᆞ야 ᄒᆡ여곰 平正케 ᄒᆞ라

主人이 贈ᄒᆞ라

主人이 贈ᄒᆞ라

玄이 여ᄉᆞㅣ오 纁이 □히니('□'는 '나'로 추정)

各 長이 丈 八 尺이라

主人이 받ᄌᆞ□ 관 ᄀᆞ이 노코 再拜ᄒᆞ고('ᄀᆞ이'는 '가ᄋᆡ'일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됨)

니마흘 □고('□'는 '졸'?)

位예 인ᄂᆞᆫ 者ㅣ 다 哭ᄒᆞ□ 盡哀ᄒᆞ라('□'는 '고'로 추정됨)

지비 가난ᄒᆞ야 或 能 □ 이 數ᄅᆞᆯ ᄀᆞ초디 몯ᄒᆞ거든

玄纁 各 ᄒᆞᆫ나식 호미 可ᄒᆞ니라

그 나ᄆᆞᆫ 金玉이며 寶玩의 거ᄉᆞ랑 다시 □□ 굳이 녀허 ᄡᅥ

亡者의 累ㅣ 되게 말라

加灰隔內外蓋ᄒᆞ라

灰隔의 內개와 外 盖ᄅᆞᆯ 加ᄒᆞ라

몬져 灰隔의 크며 젹으믈 자혀 薄板 ᄒᆞᆫ ᄧᅡ글 ᄆᆡᆼ글^오ᄃᆡ

ᄀᆞ오로 네 녁 벽의 니ᄅᆞ러 ᄒᆡ여곰 脗合게 ᄒᆞ엿다가

이애 니ᄅᆞ러 관 우희 노코

시 油灰로ᄡᅥ 틈을 몌온 후에

두로두로 쟉쟉 瀝靑을 그 우희 노겨 브어 ᄒᆡ여곰

수이 엉긔게 ᄒᆞ면 곧 널의 ᄉᆞᄆᆞᆺ디 아닌ᄂᆞ니

대강 ᄇᆞᆯ셔 두ᄐᆡ 세 치맛감ᄒᆞ거든

이에 外盖ᄅᆞᆯ 加ᄒᆞ라

實以灰ᄒᆞ라

灰로ᄡᅥ 實ᄒᆞ라

三物 섯거 고론 거시 아래 잇고

숟ᄀᆞᆯ리 우희 잇게 호ᄃᆡ

각각 미티며 밋 네 ᄀᆞ의 투틔예셔 倍케 ᄒᆞ고

술로ᄡᅥ ᄲᅳ려 ᄇᆞᆯ와 實케 ᄒᆞ라

柩中이 震동ᄒᆞᆯ가 저흔 故로

敢히 다 ᄋᆞ디 몯ᄒᆞ고

다만 만히 ᄡᅥ셔 ᄡᅥ곰

그 實홈을 기ᄃᆞᆯ^올 거시라

乃實土而漸築之ᄒᆞ라

이에 ᄒᆞᆰ으로 實ᄒᆞ고 졈졈 다ᄋᆞ라

ᄒᆞᆰ ᄂᆞ리오ᄆᆞᆯ ᄆᆡ양 ᄒᆞᆫ 자맛감 곳 손을 가ᄇᆡ아이 놀려 다아 ᄒᆡ여곰

柩中을 震動케 말라

祠后土於墓左ᄒᆞ라

后土ᄅᆞᆯ 墓 左의셔 졔ᄒᆞ라

前의 녜 ᄀᆞᆮ고 祝版이 前과 ᄀᆞᄐᆞ되

다만 닐오ᄃᆡ

今爲某官封尸ᄒᆞ야

窆玆幽宅이라 ᄒᆞ고

神其後ᄂᆞᆫ ᄀᆞᄐᆞ니라

劉氏 璋이 ᄀᆞᆯ오ᄃᆡ

父母의 形體 여긔 이쇼믈 爲ᄒᆞᆫ 연故로

그 神녕을 禮ᄒᆞ여 ᄡᅥ곰 편安케 호미니라

藏明器等ᄒᆞ라

明器 等을 藏ᄒᆞ라

實土호ᄆᆞᆯ 半만 호매 미처

이에 明器며 下帳이며 苞ㅣ며 筲ㅣ며 嬴을 便房의 藏ᄒᆞ고

널로ᄡᅥ 그 門을 마그라

下誌石ᄒᆞ라

誌石을 ᄂᆞ리오라

분墓ㅣ 平地예 잇거든

壙內예 南녁 가ᄌᆞ기 몬져 벽 ᄒᆞᆫ ᄀᆞᆯᄑᆞᆯ ᄭᆞᆯ고

지石을 그 우희 노코 ᄯᅩ 벽으로ᄡᅥ 四^면의 두르고

그 우희 더프라

만일 분墓ㅣ 묏 녀ᄑᆡ 노ᄑᆞᆫ ᄃᆡ 잇거든

壙 南 두어 자 ᄉᆞ이예 ᄯᅡ흘 파 기픠 너덧 자만 ᄒᆞ고

이 法대로 무ᄃᆞ라

復實以土而堅築之ᄒᆞ라

다시 ᄒᆞᆰ으로ᄡᅥ 實ᄒᆞ고 굳게 다ᄋᆞ라

ᄒᆞᆰ ᄂᆞ리오믈 ᄯᅩ 자 남즉으로ᄡᅥ 규식ᄒᆞ고

다만 모로미 달고ᄅᆞᆯ 춍춍 늘려 굳게 다ᄋᆞ라

題主ᄒᆞ라

신主 쓰라

執事者ㅣ 卓子ᄅᆞᆯ 靈座 東南의 設ᄒᆞ야

西向ᄒᆞ야 벼뢰며 붇이며 먹을 노코 卓ᄌᆞᄅᆞᆯ 對^ᄒᆞ야

셰슈 소래며 슈巾 노호ᄆᆞᆯ 前 ᄀᆞ티 ᄒᆞ라

主人이 그 앏ᄑᆡ 셔셔 北向ᄒᆞ얏거든

祝이 손 싯고 신主ᄅᆞᆯ 내여

卓ᄌᆞ 우희 뉘여 노코

글 잘 쓰ᄂᆞ니로 ᄒᆡ여 손 싯고 西向ᄒᆞ야 셔셔

몬져 陷中을 쓰되

父ㅣ어든 ᄀᆞᆯ오ᄃᆡ

故某官 某公諱 某字 某第幾 神主ㅣ라 ᄒᆞ고

粉面의 ᄀᆞᆯ오ᄃᆡ

考某官封尸府君 神主ㅣ라 ᄒᆞ고

그 아래 左녁 ᄀᆞᄋᆡ ᄀᆞᆯ오ᄃᆡ

孝子 某ᄂᆞᆫ 奉祀ㅣ라 ᄒᆞ며

母ㅣ어든 ᄀᆞᆯ오ᄃᆡ

故某封 某氏諱 某字 某第幾 神主ㅣ라 ᄒᆞ고

粉面의 ᄀᆞᆯ오ᄃᆡ

妣某^封 某氏 神主ㅣ라 ᄒᆞ고

겨ᄐᆡ 쓰기도 ᄯᅩ ᄀᆞᆮ게 ᄒᆞ라

벼ᄉᆞᆯ이며 封호미 업거든

生時예 일ᄏᆞᆺ던 바로ᄡᅥ 일홈ᄒᆞ라

쓰기 다 ᄒᆞ여든 祝이 뫼셔 靈座의 노코

魂帛으란 箱中의 간슈ᄒᆞ야 ᄡᅥ 그 뒤헤 노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