家禮諺解 券一
香 픠오고 술 븟고 츅版 자바
主人 右ᄋᆡ 나셔 ᄭᅮ러 닐그라
日子ᄂᆞᆫ 前과 ᄀᆞᆮ고 다만 닐오ᄃᆡ
孤子 某ᄂᆞᆫ 敢昭告于 考某官封諡府君 形歸窀穸이오 神返室堂이라
神主ㅣ 旣成ᄒᆞ니
伏惟 尊靈은 舍舊從新ᄒᆞ야 是憑是依라 ᄒᆞ고 ᄆᆞᆺ고 품고 니러나
位^에 도라오나든
主人이 再拜ᄒᆞ고 哭호ᄆᆞᆯ 盡哀ᄒᆞ고 그치라
母喪이어든 哀子ㅣ라 稱ᄒᆞᆯ디니
後도 이 ᄀᆞᆮ고
므릇 封諡 잇거든 다 일ᄏᆞ롤디니
後도 다 이 ᄀᆞᄐᆞ니라
무ᄌᆞ오ᄃᆡ
夫ㅣ 이쇼매 妻의 神主ᄅᆞᆯ 맛당히 어ᄂᆡ
사ᄅᆞᆷ미 奉祀ㅣ라 쓸리 잇고
朱子ㅣ ᄀᆞᆯᄋᆞ샤ᄃᆡ
겨틔 註ᄅᆞᆯ 尊ᄒᆞᆫ 바의 베플디라
以下 則 반ᄃᆞ시 ᄡᅳ디 아닐 거시니라
高氏 ᄀᆞᆯ오ᄃᆡ
木主의 制도ᄅᆞᆯ 보니
겨ᄐᆡ 主祀ᄒᆞᄂᆞᆫ의 일홈을 쓰게 ᄒᆞ니
宗子의 法을 可히 廢티 몯ᄒᆞᆯ 주ᄅᆞᆯ 알리로^다
宗子ㅣ 집을 니어 祭ᄅᆞᆯ 主ᄒᆞ니
君의 道ㅣ 인ᄂᆞᆫ디라
諸子ㅣ 시러곰 抗녜티 몯ᄒᆞᄂᆞᆫ 故로
禮애 支子ㅣ 祭티 몯ᄒᆞ고 祭호매
반ᄃᆞ시 宗子의게 告ᄒᆞ며
宗子ㅣ 士ㅣ 되고 庶子ㅣ 大夫ㅣ 된 則
上牲으로ᄡᅥ 宗子의 집의 가 祭호ᄃᆡ
그 祝詞ᄅᆞᆯ ᄀᆞᆯ오ᄃᆡ
孝子 某ㅣ 爲介子某ᄒᆞ야
薦其常事ㅣ라 ᄒᆞ고
만일 宗子ㅣ 他國에 살면
庶子ㅣ 가廟ㅣ 업ᄉᆞ니
곳 분墓ᄅᆞᆯ ᄇᆞ라
壇을 ᄆᆡᆼ그라 ᄡᅥ 祭호ᄃᆡ
그 祝詞ᄅᆞᆯ ᄀᆞᆯ오ᄃᆡ
孝子 某ㅣ 使介^子 某로 執其常事ㅣ라 ᄒᆞ고
만일 宗子ㅣ 주근 則 일홈을 稱ᄒᆞ고
孝ㅣ라 稱티 아니ᄒᆞ니
盖 古人의 宗을 重히 너기미 이러ᄐᆞᆺ ᄒᆞ더니
宗子法이 믈허디모로브터 사ᄅᆞᆷ이 브터온 바ᄅᆞᆯ 아디 몯ᄒᆞ야 ᄡᅥ곰
四方의 流轉ᄒᆞ야 므듸므듸 親이 굿디 아녀셔
서ᄅᆞ 아디 몯ᄒᆞᆯ 者ㅣ 이쇼매 니르니
이 엇디 사ᄅᆞᆷ을 祖샹을 尊ᄒᆞ며
겨레ᄅᆞᆯ 거두믈 ᄀᆞ가ᄅᆞ치ᄂᆞᆫ 道ㅣ리오
祝이 奉神主ᄒᆞ여 升車ᄒᆞ라
祝이 神主ᄅᆞᆯ 뫼셔 녕車의 올리라
魂帛 箱ᄌᆞㅣ 그 뒤헤 잇게 ᄒᆞ라
執事者ㅣ 徹靈座ᄒᆞ고 遂行ᄒᆞ라
執事者ㅣ 靈座ᄅᆞᆯ 설고 드듸여 行ᄒᆞ라
主人 以下ㅣ 哭ᄒᆞ고 조차 가ᄆᆞᆯ 올 적 녜 ᄀᆞᆮ게 ᄒᆞ라
墓門에 나셔 尊長은 車馬ᄅᆞᆯ ᄐᆞ고
墓소 百 步맛감 ᄠᅥ나셔
卑幼도 ᄯᅩᄒᆞᆫ 車馬ᄅᆞᆯ ᄐᆞ라
다만 子弟 ᄒᆞᆫ나흘 留ᄒᆞ야 實土ᄒᆞ기ᄅᆞᆯ 보와 ᄒᆞ야ᄡᅥ
成墳호매 니ᄅᆞ게 ᄒᆞ라
墳高ㅣ 四尺이오
무덤 ^ 노ᄑᆡ 넉 자히오
立小石碑於其前호ᄃᆡ
쟈근 石碑ᄅᆞᆯ 그 앏ᄑᆡ 셰오ᄃᆡ
亦高ㅣ 四尺이오
ᄯᅩ 노픠 넉 자히오
趺高ㅣ 尺許ᄒᆞ라
ᄃᆡ석 노픠 ᄒᆞᆫ 자맛감 ᄒᆞ라
司馬溫公이 ᄀᆞᆯ오ᄃᆡ
令式을 按호니
墳이며 碑며 石獸의 크며 효그며 하며 져그미 비록 각각 品數ㅣ 이시나
그러나 葬ᄒᆞ요믄 맛당히 無窮ᄒᆞᆫ 規ᄅᆞᆯ ᄒᆞᆯ 거시니
後世예 이 톄옛 거슬 보면
엇디 其 中에 金玉을 만히 藏티 아년ᄂᆞᆫ 주ᄅᆞᆯ 알리오
이 다 亡者의게 無益ᄒᆞ고
도로혀 害 이실 거신 故로
令式에 ᄯᅩ 貴ᄒᆞ니ᄂᆞᆫ 賤ᄒᆞ니과 ᄀᆞᆮ게 ᄒᆞ여도
賤ᄒᆞ니ᄂᆞᆫ 貴ᄒᆞ니과 ᄀᆞᆮ티 몯ᄒᆞ게 ᄒᆞᆫ 文ᄌᆡ 이시니('ᄌᆡ'는 '자'로 볼 수 있을 것 같음)
그런 則 ᄡᅳ디 아녀야 나ᄋᆞᆷ만 ᄀᆞᆮ디 몯ᄒᆞ니라
이제 按호니
孔子ㅣ 防墓의 封ᄒᆞ시ᄆᆞᆯ
그 노픠 넉 자ᄒᆞᆯ ᄒᆞ신 故로
取ᄒᆞ야 ᄡᅥ 法을 삼고
司馬公의 마ᄅᆞᆯ ᄡᅥ
각別이 쟈근 碑ᄅᆞᆯ 셰게 ᄒᆞ니라
다만 돌ᄒᆞᆯ 모로미 너븨 ᄒᆞᆫ 자 以上을 ᄒᆞ고
그 두틔 三分之二에 잇게 ᄒᆞ고
圭首ᄒᆞ고 그 面의 刻ᄒᆞᄆᆞᆯ 誌셕 두에 ᄀᆞᆮ티 ᄒᆞ고
이에 잠ᄭᅡᆫ 그 世系와 일홈과 字와 行實을 지어
그 左ㅅ 녁킈 刻ᄒᆞ야 도라
後와 右ㅅ 녁ᄒᆡ 미처 周편케 ᄒᆞ라
婦人이어든 夫의 葬호ᄆᆞᆯ 기둘워 이에 셰오ᄃᆡ
面이 夫ㅣ 亡ᄒᆞᆫ 誌셕 두에 刻^홈 ᄀᆞ티 ᄒᆞ라
司馬溫公이 ᄀᆞᆯ오ᄃᆡ
古人이 큰 공勳과 德이 이시면
鍾이며 鼎애 勒銘ᄒᆞ야
宗廟애 藏ᄒᆞ고
그 영葬애 곳 豊碑ᄅᆞᆯ 두어 ᄡᅥ
棺을 ᄂᆞ리오더니
秦漢으로ᄡᅥ 오므로
비로소 文士ᄅᆞᆯ 命ᄒᆞ야
功과 德을 기려 돌ᄒᆡ 사기ᄆᆞᆯ ᄯᅩᄒᆞᆫ 碑라 니ᄅᆞ고
ᄂᆞ려 南朝애 미처ᄂᆞᆫ 다시 銘과 誌ᄅᆞᆯ 두어 墓 中애 무드니
그 사ᄅᆞᆷ으로 ᄒᆡ여곰 果연 大賢인댄
곳 名聞이 ᄇᆞᆯ가 顯달ᄒᆞ야
모다 稱頌ᄒᆞᄂᆞᆫ 배라
終古토록 흘러 뎐播ᄒᆞ야
可^히 掩蔽티 몯ᄒᆞ리니
엇디 碑와 誌ᄅᆞᆯ 기드려
비로소 사ᄅᆞᆷ의 아로미 되리오
만일 그 어디디 몯ᄒᆞ면
비록 공巧ᄒᆞᆫ 말과 고ᄋᆞᆫ 글로ᄡᅥ
구ᄐᆡ여 采飾을 더어 功이 呂望과 ᄀᆞᆺ고
德이 仲尼ᄭᅴ 比ᄒᆞ야도 ᄒᆞᆫ갓 譏笑ᄅᆞᆯ 取ᄒᆞ리니
그 뉘 즐겨 미ᄃᆞ리오
碑ᄂᆞᆫ 오히려 墓道애 셰오니
사ᄅᆞᆷ이 시러곰 보려니와
誌ᄂᆞᆫ 이에 壙中애 ᄀᆞᆷ초니
즈스로 여러 내디 아니면 보디 몯ᄒᆞᄂᆞᆫ디라
隋 文帝의 아ᄃᆞᆯ 秦王俊이 죽거ᄅᆞᆯ
마ᄋᆞᆯ 僚속이 碑 셰오믈 請ᄒᆞᆫ대 帝 ᄀᆞᆯᄋᆞ샤ᄃᆡ
일홈을 求코쟈 ᄒᆞ면 ᄒᆞᆫ 卷史긔 글이 足^ᄒᆞ니
엇디 ᄡᅥ 碑ᄅᆞᆯ ᄒᆞ리오
ᄒᆞᆫ갓 사ᄅᆞᆷ을 위ᄒᆞ야 鎭石을 삼으리라 ᄒᆞ니
이 實ᄒᆞᆫ 마리라
이제 임의 能히 免티 못ᄒᆞᆯ딘댄
그 誌文을 依거ᄒᆞ야
다만 可히 鄕里와 世家와 官簿와 始와 終을 直히 펼 ᄯᆞᄅᆞᆷ이라
季札의 분墓 알ᄑᆡ 石이 이시니
世쇽이 稱호ᄃᆡ
孔子의 篆ᄒᆞ신 배라 ᄒᆞ니
嗚呼ㅣ라
有吳延陵季子之墓ㅣ라 ᄒᆞ시니
엇디 多言호매 이신 然後에야
사ᄅᆞᆷ이 그 어딜믈 알리오
이제 다만 姓名을 분墓 알ᄑᆡ 사기면
사ᄅᆞᆷ이 즈스로 알리라
反哭
主人以下ㅣ 奉靈車ᄒᆞ야
主人 以下ㅣ 靈車ᄅᆞᆯ 뫼셔
在塗徐行ᄒᆞ야 哭ᄒᆞ라
길ᄒᆡ 이셔 날회여 行ᄒᆞ야 哭ᄒᆞ라
그 도라오매 疑심ᄐᆞᆺ 호믄
어버이 뎨 겨신가 爲호미라
슯프미 니ᄅᆞ거든 哭ᄒᆞ라
至家ᄒᆞ야 哭ᄒᆞ라
지븨 니ᄅᆞ러 哭ᄒᆞ라
門을 ᄇᆞ라며 즉졔 哭ᄒᆞ라
祝이 奉神主ᄒᆞ야 入 置于靈座ᄒᆞ라
祝이 神主ᄅᆞᆯ 뫼셔 드러와 靈座의 노ᄒᆞ라
執事者ㅣ 몬져 靈座ᄅᆞᆯ 녯 고ᄃᆡ 設ᄒᆞ얏거ᄃᆞᆫ
祝이 神主ᄅᆞᆯ 뫼셔 드러와
位예 나아가 櫝을 닫고
魂帛 箱ᄌᆞ 아오로 내여 신主 뒤헤 노흐라
主人以下ㅣ 哭于廳事ᄒᆞ라
主人 以下ㅣ 廳事의셔 哭ᄒᆞ라
主人 以下ㅣ 門의 미처 哭ᄒᆞ고 드러와
西階로브터 올라
廳事의셔 哭ᄒᆞ고
婦人은 몬져 드러와 堂의셔 哭ᄒᆞ라
朱子ㅣ ᄀᆞᆯᄋᆞ샤ᄃᆡ
反哭ᄒᆞ야 堂의 오ᄅᆞ믄
그 作ᄒᆞ시던 바애 反호미오
主婦ㅣ 室애 入^호믄 그 養ᄒᆞ시던 바애 反호미라 ᄒᆞ니
모로미 이 意思ᄅᆞᆯ 알디라
곳 닐온 바 그 位ᄅᆞᆯ 踐ᄒᆞ야
그 禮ᄅᆞᆯ 行ᄒᆞᄂᆞᆫ 等事ᄅᆞᆯ 行호믈 自安ᄒᆞᆯ이니
뵈야호로 志ᄅᆞᆯ 繼ᄒᆞ며 事ᄅᆞᆯ 述ᄒᆞᄂᆞᆫ 일을 보리니라
楊氏 復이 ᄀᆞᆯ오ᄃᆡ
先生의 말ᄉᆞᆷ을 按혼ᄃᆡ
盖 닐온 古者애 가 廟애 反哭ᄒᆞ니
그 作ᄒᆞ시던 바애 反홈이니
닐온 親이 禮ᄅᆞᆯ 行ᄒᆞ시던 바 고ᄃᆞᆯ 닐오미오
그 養ᄒᆞ시던 바애 反홈은 親이 饋食ᄒᆞ시던 바 고ᄃᆞᆯ 닐오미니
다 가 廟애 反哭호믈 指향ᄒᆞ야 닐오미라
先生 家禮^예ᄂᆞᆫ 廳事애 反哭ᄒᆞ고
婦人은 몬져 드러 堂의셔 哭ᄒᆞ라 ᄒᆞ여시니
ᄯᅩ 古로 더브러 다ᄅᆞᆫ 者ᄂᆞᆫ 後世애 廟制立디 아녓고
祠堂이 조ᄇᆞ니 닐온 바 廳事ᄂᆞᆫ 이에 祭祀ᄒᆞᄂᆞᆫ ᄯᅡ히오
主婦ㅣ 饋食호믈 ᄯᅩᄒᆞᆫ 이 堂애 이실 ᄉᆡ니라
遂詣靈座前ᄒᆞ야 哭ᄒᆞ라
드듸여 靈座 前의 가 哭ᄒᆞ라
盡哀ᄒᆞ고 그치라
有弔者 어든 拜之如初ᄒᆞ라
吊ᄒᆞᆯ 者ㅣ 잇^거든
拜홈을 처엄 ᄀᆞ티 ᄒᆞ라
닐온 賓客의 親密ᄒᆞᆫ 者ㅣ 이믜 도라갓다가
反哭을 기들워 다시 吊홈이라
檀弓의 ᄀᆞᆯ오ᄃᆡ
反哭의 吊호ᄆᆞᆫ 哀홈이 至극ᄒᆞᆫ디라
도라오매 업서시니 일헌ᄂᆞᆫ디라
이에 甚ᄒᆞ니라
期九月之喪者ᄂᆞᆫ 飮酒食肉ᄒᆞ고
期년과 九 月읫 喪은 술을 머그며 고기ᄅᆞᆯ 먹고
不與宴樂ᄒᆞ며
宴樂의란 참與티 말며
小功以下와 大功異居者ᄂᆞᆫ 可以歸니라
小功 以下와 大功이 닷 사ᄂᆞ니ᄂᆞᆫ 가히 ᄡᅥ 도라 갈디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