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經諺解 卷之十六

  • 연대: 1613
  • 저자: 宣祖(朝鮮) 命撰
  • 출처: 詩經諺解(光海君本)
  • 출판: 홍문각
  • 최종수정: 2016-01-01

無然歆羨ᄒᆞ야 誕先登于岸이라 ᄒᆞ시다

그러히 歆羨티 마라 키 몬져 岸애 登ᄒᆞ라 ᄒᆞ시다

密人不恭이라 敢踞大邦ᄒᆞ야

密人이 恭티 아닌디라 敢히 大邦을 距ᄒᆞ야

侵阮徂共이어ᄂᆞᆯ 王赫斯怒ᄒᆞ샤

阮을 侵ᄒᆞ야 共애 徂ᄒᆞ거를 王이 赫히 이예 怒ᄒᆞ샤

爰整其旅ᄒᆞ샤 以按徂旅ᄒᆞ샤

이에 그 旅를 整ᄒᆞ샤 ᄡᅥ 徂ᄒᆞᄂᆞᆫ 旅를 按ᄒᆞ샤

以篤于周祜ᄒᆞ샤 以對于天下ᄒᆞ시니라

ᄡᅥ 周ㅅ 祜를 篤히 ᄒᆞ샤 ᄡᅥ 天下를 對ᄒᆞ시니라

依其在京이어시ᄂᆞᆯ 侵自阮疆ᄒᆞ야

依히 그 京에 在커시ᄂᆞᆯ 侵홈을 阮疆으로브터 ᄒᆞ야

陟我高岡ᄒᆞ니 無矢我陵이라

우리 高岡에 陟ᄒᆞ니 우리 陵에 矢ᄒᆞ리 업ᄉᆞᆫ디라

我陵我阿ㅣ며 無飮我泉이라

우리 陵이며 우리 阿ㅣ며 우리 泉에 飮ᄒᆞ리 업^ᄉᆞᆫ디라

我泉我池어ᄂᆞᆯ 度其鮮原ᄒᆞ샤

우리 泉이며 우리 池어ᄂᆞᆯ 그 鮮ᄒᆞᆫ 原을 度ᄒᆞ샤

居岐之陽ᄒᆞ야 在渭之將ᄒᆞ시니

岐의 陽애 居ᄒᆞ야 渭의 將에 在ᄒᆞ시니

萬邦之方이며 下民之王이샷다

萬邦의 方이며 下民의 王이샷다

帝謂文王ᄒᆞ샤ᄃᆡ

帝ㅣ 文王ᄭᅴ 니ᄅᆞ샤ᄃᆡ

予懷明德의 不大聲以色ᄒᆞ며

내 明德의 聲과 다믓 色을 大히 아니며

不長夏以革ᄒᆞ고 不識不知ᄒᆞ야

夏와 다믓 革을 長티 아니코 識디 아니ᄒᆞ며 知티 아니ᄒᆞ야

順帝之則이라 ᄒᆞ시다

帝의 則을 順ᄒᆞᄂᆞᆫ 줄을 懷ᄒᆞ노라 ᄒᆞ시다

帝謂文王ᄒᆞ샤ᄃᆡ

帝ㅣ 文王ᄭᅴ 니ᄅᆞ샤ᄃᆡ

詢爾仇方ᄒᆞ야 同爾兄弟ᄒᆞ야

네의 仇方을 詢ᄒᆞ야 네의 兄弟를 同ᄒᆞ야

以爾鉤援과 與爾臨衝으로 以伐崇墉이라 ᄒᆞ시다

ᄡᅥ 네의 鉤援과 다믓 네의 臨衝으로 ᄡᅥ 崇ㅅ 墉을 伐ᄒᆞ라 ᄒᆞ시다

臨衝閑閑ᄒᆞ니 崇墉言言이로다

臨衝이 閑閑ᄒᆞ니 崇ㅅ 墉이 言言ᄒᆞ도다

執訊連連ᄒᆞ며 攸馘安安이로다

訊을 執홈을 連連히 ᄒᆞ며 馘ᄒᆞᄂᆞᆫ 배 安安ᄒᆞ도다

是類是禡ᄒᆞ야 是致是附ᄒᆞ시니

이예 類^ᄒᆞ며 이예 禡ᄒᆞ야 이예 致ᄒᆞ야 이예 附ᄒᆞ시니

四方以無侮ㅣ로라

四方이 ᄡᅥ 侮홈이 업도다

臨衝茀茀ᄒᆞ니 崇墉仡仡이로다

臨衝이 茀茀ᄒᆞ니 崇ㅅ 墉이 仡仡ᄒᆞ도다

是伐是肆ᄒᆞ며 是絶是忽ᄒᆞ시니

이예 伐ᄒᆞ며 이예 肆ᄒᆞ며 이예 絶ᄒᆞ며 이예 忽ᄒᆞ시니

四方以無拂이로다

四方이 ᄡᅥ 拂홈이 업도다

皇矣 八章

經始靈臺ᄒᆞ야 經之營之ᄒᆞ시니

靈臺를 經ᄒᆞ야 始ᄒᆞ야 經ᄒᆞ며 營ᄒᆞ시니

庶民攻之라 不日成之로다

庶民이 功ᄒᆞ논디라 날이 아녀셔 成ᄒᆞ놋다

經始勿亟ᄒᆞ시나 庶民子來로다

經ᄒᆞ야 始홈을 亟디 말라 ᄒᆞ시나 庶民이 子ㅣ 來ᄐᆞᆺ ᄒᆞ놋다

王在靈囿ᄒᆞ시니 麀鹿攸伏이로다

王이 靈囿에 겨시니 麀鹿의 伏^ᄒᆞᆫ 배로다

麀鹿濯濯이러ᄂᆞᆯ 白鳥翯翯이로다

麀鹿이 濯濯ᄒᆞ거를 白鳥ㅣ 翯翯ᄒᆞ도다

王在靈沼ᄒᆞ시니 於牣於躍이로다

王이 靈沼에 겨시니 於홉다 牣ᄒᆞ야 魚ㅣ 躍ᄒᆞ놋다

虡業維樅이오 賁鼓維鏞이로소니

虡에 業ᄒᆞ며 樅ᄒᆞ고 賁鼓와 鏞이로소니

於論鼓鐘이여

於홉다 論ᄒᆞᆫ 鍾을 鼓홈이여

於樂辟廱이로다

於홉다 樂ᄒᆞ온 辟廱에셔 ᄒᆞ놋다

於論鼓鐘이여

於홉다 論ᄒᆞᆫ 鍾을 鼓홈이여

於樂辟廱이로다

於홉다 樂ᄒᆞ온 辟廱에셔 ᄒᆞ놋다

鼉鼓逢逢ᄒᆞ니 矇瞍奏公이로다

鼉鼓ㅣ 逢逢ᄒᆞ니 曚瞍ㅣ 公을 奏ᄒᆞ놋다

靈臺 四章

下武維周애 世有哲王이샷다

下武ㅅ 周에 世로 哲王이 겨샷다

三后在天이어시ᄂᆞᆯ 王配于京이샷다

三后ㅣ 天에 在커시를 王이 京에셔 配ᄒᆞ샷다

王配于京ᄒᆞ시니 世德作求ㅣ샷다

王이 京에 配ᄒᆞ시니 世德을 作ᄒᆞ야 求ᄒᆞ샷다

永言配命ᄒᆞ샤 成王之孚ㅣ샷다

기리 命에 配ᄒᆞ샤 王의 孚를 成ᄒᆞ샷다

成王之孚ᄒᆞ샤

王의 孚를 成ᄒᆞ샤

下土之式은 永言孝思ㅣ라

下土의 式ᄒᆞ욤은 孝思를 기리 ᄒᆞ시ᄂᆞᆫ디라

孝思維則이시니라

孝思ㅣ 則이 되시니라

媚玆一人이라 應侯順德ᄒᆞ니

이 一人을 媚ᄒᆞᄂᆞᆫ디라 應홈을 順德으로 ᄒᆞ니

永言孝思ᄒᆞ샤 昭哉嗣服이샷다

孝思ᄅᆞᆯ 기리 ᄒᆞ샤 昭히 服을 嗣ᄒᆞ샷다

昭玆來許ㅣ 繩其祖武ㅣ며

昭ᄒᆞᆫ디라 來許ㅣ 그 祖武를 繩ᄒᆞ면

於萬斯年애 受天之祜ㅣ리라

於홉다 萬인의 年애 天의 祜를 受ᄒᆞ리로다

受天之祜ᄒᆞ시니 四方來賀ㅣ로다

天의 祜를 受ᄒᆞ시니 四方이 來ᄒᆞ야 賀ᄒᆞ놋다

於萬斯年애 不遐有佐아

於홉다 萬인이 年애 ^ 엇디 左ᄒᆞ리 잇디 아니랴

下武 六章

文王有聲이 遹駿有聲이샷다

文王이 聲을 두샴이 키 聲을 두샷다

遹求厥寧ᄒᆞ샤 遹觀厥成ᄒᆞ시니

그 寧을 求ᄒᆞ샤 그 成을 觀ᄒᆞ시니

文王烝哉샷다

文王이 烝이샷다

文王受命ᄒᆞ샤 有此武功ᄒᆞ샷다

文王이 命을 受ᄒᆞ샤 이 武功을 두샷다

旣伐于崇ᄒᆞ시고 作邑于豊ᄒᆞ시니

이믜 崇을 伐ᄒᆞ시고 邑을 豊에 作ᄒᆞ시니

文王烝哉샷다

文王이 烝이샷다

築城伊淢ᄒᆞ시고 作豊伊匹ᄒᆞ시니

城을 築호ᄃᆡ 淢으로 ᄒᆞ시고 豊을 作호ᄃᆡ 匹케 ᄒᆞ시니

匪棘其欲이라 遹追來孝ㅣ시니

그 欲을 棘ᄒᆞ신 주리 아니라 追ᄒᆞ야 孝를 來홈이시니

王后烝哉샷다

王^后ㅣ 烝이샷다

王公伊濯은 維豊之垣이니라

王의 公이 濯홈은 豊에 垣ᄒᆞᆯᄉᆡ니라

四方攸同ᄒᆞ야 王后維翰ᄒᆞ니

四方이 同ᄒᆞ야 王后로 翰ᄒᆞ니

王后烝哉샷다

王后ㅣ 烝이샷다

豊水東注ᄒᆞ니 維禹之績이로다

豊水ㅣ 東으로 注ᄒᆞ니 禹의 績이로다

四方攸同ᄒᆞ야 皇王維辟ᄒᆞ니

四方이 同ᄒᆞ야 皇王으로 辟ᄒᆞ니

皇王烝哉샷다

皇王이 烝이샷다

鎬京辟廱애 自西自東ᄒᆞ며

鎬京ㅅ 辟廱애 西로브테며 東으로브터 ᄒᆞ며

自南自北ᄒᆞ야 無思不服ᄒᆞ니

南으로브테며 北으로브터 ᄒᆞ야 思ᄒᆞ야 服디 아니ᄒᆞ리 업스니

皇王烝哉샷다

皇王이 烝이샷다

考卜維王이 宅是鎬京이샷다

卜을 考ᄒᆞ신 王이 이 鎬京에 宅ᄒᆞ샷다

維龜正之어늘 武王成之ᄒᆞ시니

龜ㅣ 正ᄒᆞ야ᄂᆞᆯ 武王이 成ᄒᆞ시니

武王烝哉샷다

武王이 烝이샷다

豊水有芑ᄒᆞ니 武王豈不仕ㅣ시리오

豊水에도 芑 이시니 武王이 엇디 ^ 仕티 아니ᄒᆞ시리오

詒厥孫謀ᄒᆞ샤 以燕翼子ᄒᆞ시니

그 孫에 謀를 詒ᄒᆞ샤 ᄡᅥ 翼ᄒᆞᆯ 子를 燕케 ᄒᆞ시니

武王烝哉샷다

武王이 烝이샷다

文王有聲 八章

詩經諺解 卷之十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