捷解新語 第一

  • 연대: 1676
  • 저자: 康遇聖
  • 출처: 捷解新語
  • 출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최종수정: 2015-01-01

내 이제 釜山浦의 ᄉᆞᆯ와 注進ᄒᆞ고

ᄂᆡ일 아ᄎᆞᆷ은 東萊 올라가 送使의 樣子ᄅᆞᆯ ᄉᆞᆲ고 올 거시니

죵용히 쉬ᄋᆞᆸ소

ᄂᆡ일 나죄란 入舘ᄒᆞ여 ^ 보ᄋᆞᆸ새이다

그리 ᄒᆞᄋᆞᆸ소

슈고ᄒᆞᄋᆞᆸ시ᄂᆡ

앗가 ᄉᆞᆲ던 ᄠᅥ딘 ᄇᆡᄅᆞᆯ 御念入ᄒᆞ셔 肝煎ᄒᆞᄋᆞᆸ소

ᄯᅩ 아니 니ᄅᆞ셔도 얼현이 아니ᄒᆞ오리

東萊로셔 앗가 도라왓ᄉᆞᆸᄂᆡ

東萊겨셔도 어제ᄂᆞᆫ 일긔 사오나온ᄃᆡ

언머 슈고로이 건너시도다 념녀ᄒᆞ시고 問安ᄒᆞᄋᆞᆸ시데

ᄯᅩ 軍官도 보내시더니 왓ᄉᆞᆸ던가

앗가 만낫ᄉᆞᆸᄂᆡ

먼 ᄃᆡ 극진이 軍官을 보내여 무르시니

감격ᄒᆞ여 ᄒᆞᄋᆞᆸᄂᆡ

이제 正官 보오라 가오니

다시 보ᄋᆞᆸ새

正官ᄭᅴ 나도 사ᄅᆞᆷ을 보내올 거시니

자ᄂᆡ도 小通事ᄅᆞᆯ 몬져 보내여 보고 가ᄋᆞᆸ소

앗가 사ᄅᆞᆷ을 보내오니 브르더라 ᄒᆞᄋᆞᆸᄂᆡ

그러커ᄃᆞᆫ ^ 몬져 가ᄋᆞᆸ소

나도 미처 그리 가오리

자ᄂᆡ 보시ᄃᆞ시 방섀 파락ᄒᆞ야 누추ᄒᆞ니

一夜ᄅᆞᆯ 계유 堪忍ᄒᆞ엿ᄉᆞ오니

큰 대 열과 고ᇰ셕 五六枚만 몬져 드려주ᄋᆞᆸ소

글란 이제 東萊 ᄉᆞᆯ와 보내야 ^ 드릴 양으로 ᄒᆞ오려니와

ᄌᆞ셰히 뎌거 두ᄋᆞᆸ소

뎡ᄒᆞ여 주ᄂᆞᆫ 거ᄉᆞᆯ ᄉᆞᆯ온 거시 아니라

別로 ᄉᆞᆯ와 주실가 ᄒᆞ여 ᄉᆞᆯ왓ᄉᆞᆸᄂᆡ

그러ᄒᆞ면 ᄉᆞᄉᆞ로이 어들 일은 아니오니

내 친히 東萊 가 극진이 ᄉᆞᆯ오려니와

자ᄂᆡ도 單字ᄅᆞᆯ 써 보내ᄋᆞᆸ소

글란 그리 ᄒᆞ오리

茶禮ᄂᆞᆫ 어ᄂᆡ ᄞᅴ ᄒᆞ올고

수이 ᄒᆞᆯ 양으로 ᄒᆞᄋᆞᆸ소

東萊가 요ᄉᆞ이 편티 아냐 ᄒᆞ시더니

잠ᄭᅡᆫ ᄒᆞ려 겨시니

二三 日 內예 ᄒᆞᆯ 양으로 ᄒᆞ오리

茶禮ᄂᆞᆫ 明日 ᄒᆞ오니

미리 ᄎᆞᆯ혀 겨시다가 나실 양으로 ᄒᆞ쇼셔

아ᄋᆞᆸ게 그리 ᄒᆞ오리

다만 正官이 본ᄃᆡ 벼ᇰ 든 사ᄅᆞᆷ이ᄋᆞᆸ더니

엇디 ᄒᆞᆫ디 오며셔브터 ᄯᅩ 벼ᇰ 드러

머글 ᄭᅥᆺ도 잘 못 먹고 누엇ᄉᆞ오니

나디 몯ᄒᆞᆯ가 녀기오니

우리ᄲᅮᆫ 나올쇠

그러면 엇디 브ᄃᆡ ᄂᆡ일 ᄒᆞ실 양으로 니르ᄋᆞᆸ시던고

正官의 氣相도 아디 몯ᄒᆞ고

送使의 연고 업ᄉᆞᆫ 양으로 ᄉᆞᆯ와 ᄂᆡ일로 뎡ᄒᆞᆫᄃᆡ

이제야셔 正官의 벼ᇰ이라 니ᄅᆞ시니

正官이 나디 아니면

우리의 그르믄 발며ᇰ 못ᄒᆞᆯ 거시니

비록 正官이 벼ᇰ 드르실띠라도

茶禮ᄂᆞᆫ 卒度之間이오니

나셔 과연 견듸디 못ᄒᆞ거든

몬져 니르실디라도

내 迷惑을 프르시과댜

니르시ᄂᆞᆫ 배 그러ᄒᆞᄋᆞᆸ거니와

正官 昨晩브터 벼ᇰ 드럿ᄉᆞ오니

자ᄂᆡ게 다시 ᄉᆞᆯ올 ᄉᆞ이도 업ᄉᆞ매

그러ᄂᆞᆫ ᄒᆞ거니와 이 양벼ᇰ은 아니오

正官 氣色이 ^ 견ᄃᆡ염즉 ᄒᆞ면 나고져 녀기오되

東萊 드르셔도 양벼ᇰ이라ᄂᆞᆫ 녀기디 아니ᄒᆞ실 거시니

자ᄂᆡ 그르다ᄂᆞᆫ 아니ᄒᆞ실 ᄃᆞᆺ ᄒᆞ오리

이ᄂᆞᆫ 내 ᄉᆞᄉᆞ로 ᄉᆞᆲᄂᆞᆫ 말이어니와

자ᄂᆡ네도 혜아려 보시소

客人이 와야 亭主ㅣ 보디 아니ᄒᆞᄋᆞᆸᄂᆞᆫ가

그러커니와 게셔 힘ᄡᅥ

이런 道理ᄅᆞᆯ 東萊ᄭᅴ 엿ᄌᆞ와

ᄂᆡ일 브ᄃᆡ ᄒᆞᆯ 양으로 ᄒᆞᄋᆞᆸ소

힘ᄡᅥ ᄉᆞᆯ와보오려니와

東萊 釜山浦 오셔도 ^ 거르기 섭섭이 녀기실 거시니

아므리커나 밤의도 養性ᄒᆞ여 나실 양으로 ᄒᆞ여 보ᄋᆞᆸ소

그리 ᄒᆞ오리

案內

ᄂᆞᆫ 簪通之意

御字

與尊字同

念比

極盡之意

氣遣

憂慮之意

無調法

서어탄 말이라

無斗方

의지 업단 말이라

日吉利

日氣之謂也

多分

거의란 말이라

遠見

候望軍之稱

油斷

던득단 말이라

卒度

暫刺也

迷惑

悶望也

亭主

主人也

養性

調理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