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씨향약언해

  • 연대: 1519
  • 출판: 화산본

朱子增損呂氏鄕約

쥬ᄌᆞ의 더으며 덜며 혼 려시의 햐ᇰ듀ᇰ 긔약이라

凡鄉之約四[伊尼]

믈읫 햐ᇰ듀ᇰ엣 긔약이 네 가지니

一曰德業相勸[伊五]

ᄒᆞᆫ나ᄒᆞᆫ ᄀᆞ론 덕과 업과로 서ᄅᆞ 권호미오

二曰過失相規[伊五]

두을재ᄂᆞᆫ ᄀᆞ론 허므ᄅᆞᆯ 서ᄅᆞ 겨ᇰ계호미오

三曰禮俗相交[伊五]

셋재ᄂᆞᆫ ᄀᆞ론 례도ᄒᆞ야 푸ᇰ쇽으로 서ᄅᆞ 사괴요미오

四曰患難相恤[伊羅]

넫재ᄂᆞᆫ ᄀᆞ론 어려온 이레 서ᄅᆞ 구휼호미라

衆[伊]推一人有齒德者[爲也] 爲都約正[爲古]

모다 ᄒᆞᆫ 사ᄅᆞᆷ이 나 하고 덕 잇ᄂᆞᆫ 사ᄅᆞᆷ을 ᄀᆞᆯᄒᆡ야 위두 약^져ᇰ을 삼고

이제 류햐ᇰ 좌ᄉᆔ라

有學行者 二人副之[爲也]

글 ᄒᆞ고 ᄒᆡᇰ실 잇ᄂᆞᆫ 사ᄅᆞᆷ 둘흐로 버그니ᄅᆞᆯ 사마

이제 류햐ᇰ 별감이라

約中[厓]月輪一人爲直月[乎代] 都副正不與之 置三籍[爲也]○[ ]

긔약ᄒᆞᆫ 사ᄅᆞᆷ 듀ᇰ에 ᄃᆞᆯ마다 ᄒᆞᆫ 사ᄅᆞᆷ곰 돌여 딕월을 사모ᄃᆡ 세 ᄎᆡᆨ을 두고셔

이제 유ᄉᆞ 쟈ᇰ뮈라

凡愿入約者[乙] 書于一籍[爲古] 德業可勸者[乙] 書于一籍[爲古] 過失可規者[乙] 書于一籍[爲也] 直月掌之[羅可]

믈읫 긔약ᄋᆡ 들오져 ᄒᆞᄂᆞᆫ 사ᄅᆞᆷ을 ᄒᆞᆫ ᄎᆡᆨᄋᆡ 스고 덕과 업이 가히 보왐직ᄒᆞ니ᄅᆞᆯ ᄒᆞᆫ ᄎᆡᆨᄋᆡ 스고 허므리 가히 겨ᇰ계ᄒᆞ얌직ᄒᆞ니ᄅᆞᆯ ᄒᆞᆫ ᄎᆡᆨᄋᆡ 서셔 딕월이 마ᄯᅡ 잇ᄯᅡ가

月終 則以告于約正 而授于其次[爲羅]

그 ᄃᆞᆯ ᄆᆞᄎᆞ매 약져ᇰ의손ᄃᆡ 고ᄒᆞ야 그 버근 딕월을 맛디라

德業相勸

ᄂᆞᆫ 덕과 업과로 서ᄅᆞ 권호미라

德[隱]謂見善必行[爲彌] 聞過必改[爲彌] 能治其身[爲彌]

덕이라 혼 거ᄉᆞᆫ 닐온 어딘 이ᄅᆞᆯ 보고 반ᄃᆞ시 ᄒᆡᇰᄒᆞ며 내 허므ᄅᆞᆯ 듣고 반ᄃᆞ시 ᄀᆡᄒᆞ며 그 몸을 잘 다ᄉᆞ리며

能治其家[爲彌] 能事父兄[爲彌] 能待妻妾[爲彌] 能教子弟[爲彌]○[ ]

그 집을 잘 다ᄉᆞ리며 아비와 혀ᇰ과ᄅᆞᆯ 잘 셤기며 ᄌᆞ식과 아ᅀᆞ와ᄅᆞᆯ 잘 ᄀᆞᄅᆞ치며

能御童仆[爲彌] 能事長上[爲彌] 能睦親故[爲彌] 能擇交游[爲彌]○[ ]

죠ᇰᄋᆞᆯ 잘 졔어ᄒᆞ며 고ᇰᄉᆞᄅᆞᆯ 엄엄이 잘 ᄒᆞ며 댜ᇰ샤ᇰᄋᆡᆺ 사ᄅᆞᆷ을 잘 셤기며 아ᅀᆞᆷ이며 벋과^로 화도ᇰᄒᆞ며 사괴여 놀 사ᄅᆞᆷ을 잘 ᄀᆞᆯᄒᆡ야 ᄒᆞ며

能守廉介[爲彌] 能廣施惠[爲彌] 能受寄托[爲彌] 能救患難[爲彌]

쳐ᇰ렴과 졀개ᄅᆞᆯ 잘 가지며 ᄂᆞᆷ 주믈 넙이 잘 ᄒᆞ며 사ᄅᆞᆷ이 내게 긔탁호ᄆᆞᆯ 잘 맛ᄃᆞ며 ᄂᆞᄆᆡ 어려온 이ᄅᆞᆯ 구ᄒᆞ며

能導人爲善[爲彌] 能規人過失[爲彌] 能爲人謀事[爲彌]

사ᄅᆞᆷ을 인도ᄒᆞ야 어딘 이ᄅᆞᆯ ᄒᆞ게 호ᄆᆞᆯ 잘 ᄒᆞ며 사ᄅᆞᆷ의 왼 이ᄅᆞᆯ 잘 겨ᇰ계ᄒᆞ며 사ᄅᆞᆷ이 어려온 이리 잇거든 의론ᄒᆞ야 됴케 호ᄆᆞᆯ 잘 ᄒᆞ며

能爲衆集事[爲彌] 能解鬬爭[爲彌] 能決是非[爲彌]

모ᄃᆞᆫ 사ᄅᆞᆷ이 ᄒᆞ욜 이리 잇거든 위ᄒᆞ야 힘ᄡᅥ 일우며 ᄂᆞᄆᆡ 싸호ᄆᆞᆯ 잘 말이며 ᄂᆞᄆᆡ 올ᄒᆞ며 왼 이ᄅᆞᆯ 잘 결단ᄒᆞ며

能興利除害[爲彌] 能居官舉職[伊五]

됴^ᄒᆞᆫ 일란 닐왇고 해ᄅᆞ온 일란 업게 호ᄆᆞᆯ 잘 ᄒᆞ며 마ᅀᆞ래 거ᄒᆞ야셔 그 직ᅀᅵᆷ을 잘 거ᄒᆡᇰ호미오

謂居家則事父兄[爲彌] 敎子弟[爲彌] 待妻妾[爲古]

업이라 혼 거ᄉᆞᆫ 닐온 집의 이셔ᄂᆞᆫ 부혀ᇰ을 셤기며 ᄌᆞ뎨ᄅᆞᆯ ᄀᆞᄅᆞ치며 계집과 쳡을 ᄃᆡ졉ᄒᆞ고

在外則事長上[爲彌] 接明友[爲彌] 敎後生[爲彌] 御僮僕[爲彌]

밧긔 이셔ᄂᆞᆫ 댜ᇰ샤ᇰᄋᆡᆺ 사ᄅᆞᆷ을 셤기며 버들 ᄃᆡ졉ᄒᆞ며 져믄 사ᄅᆞᆷ을 ᄀᆞᄅᆞ치며 죠ᇰ을 졔어ᄒᆞ며

至於讀書 治田[爲彌] 營家 濟物[爲弥] 畏法令[爲彌] 謹租賦[爲彌] 好禮樂射御書數之類[伊] 皆可爲之[伊五]

글 닐그며 받ᄐᆞᆯ 다ᄉᆞ리며 집을 이ᄅᆞ살ᄆᆞ며 ᅀᅵᆫ므ᄅᆞᆯ 구졔ᄒᆞ며 법려ᇰ을 저흐며 조셰^와 고ᇰ부ᄅᆞᆯ 삼가ᄒᆞ며 례도와 음악과 활ᄡᅩ기와 어거ᄒᆞ기와 글스기와 혀임혜기와 ᄀᆞᆮᄐᆞᆫ 거ᄉᆡ 니ᄅᆞ러 다 ᄒᆞ욜 이리오

非此之類[隱] 皆爲無益[伊尼]

이 ᄀᆞᆮ디 아니ᄒᆞᆫ 거슨 다 익호미 업스니

右件德業[乙] 同約之人[伊] 各自進修[爲彌] 互相勸勉[爲也]

이러ᄐᆞᄉᆞᆫ 덕과 업과ᄅᆞᆯ 긔약의 사ᄅᆞᆷ이 각각 제 몸애 닷ᄀᆞ며 서ᄅᆞ 권ᄒᆞ며 힘ᄡᅥ ᄒᆞ야

會集之日[厓] 相與推其能者[爲也] 書于籍[爲也] 以警勵其不能者[爲羅]

회집ᄒᆞᆯ 나래 서ᄅᆞ 그 어딘 사ᄅᆞᆷ을 츄심ᄒᆞ야 드러내야 ᄎᆡᆨᄋᆡ 서셔 ᄡᅥ곰 그 어디디 몯ᄒᆞᆫ 사ᄅᆞᆷ을 겨ᇰ계ᄒᆞ라

過失相常

ᄂᆞᆫ 허믈을 서ᄅᆞ 겨ᇰ계호미라

過失[隱] 謂犯義之過[伊] 六[伊尼]

허므ᄅᆞᆫ 닐온 례의예 맛디 아니ᄒᆞᆫ 허믈이 여ᄉᆞᆺ 가지니

一曰酗博闘訟[伊五]

ᄒᆞᆫ나ᄒᆞᆫ ᄀᆞ론 수울 먹고 쥬져ᇰᄒᆞ며 사ᇰ륙 쟈ᇰ긔 두어 ᄂᆞᄆᆡ 것 던기 즐기며 사홈 즐기며 쇼ᇰᄉᆞ 즐겨호미오

二曰行止踰違[伊五]

두을재ᄂᆞᆫ ᄀᆞ론 ᄒᆡᇰ지 ^ 거도ᇰ이 례예 너므며 법에 어그르츠미오

三曰行不恭遜[伊五]

셋재ᄂᆞᆫ ᄀᆞ론 ᄒᆡᇰ실이 온고ᇰᄒᆞ며 손슌티 아니호미오

四曰言不忠信[伊五]

넫재ᄂᆞᆫ ᄀᆞ론 말ᄉᆞᆷ이 져ᇰ셔ᇰᄃᆞ외며 믿브디 아니호미오

五曰造言誣毁[伊五]

다ᄉᆞᆺ재ᄂᆞᆫ ᄀᆞ론 거즛말ᄉᆞᆷ 지ᅀᅥ 사ᄅᆞᆷ을 소겨 훼호미오

六曰營 私太甚[伊羅]

여슷재ᄂᆞᆫ ᄀᆞ론 탐심 닐와다 ᄂᆞᄆᆡ 것 가지고져 호ᄆᆞᆯ ᄀᆞ자ᇰ 호미라

犯約之過四[伊尼]

긔약의 맛디 아니ᄒᆞᆫ 허믈이 네 가지니

一曰德業不相勸[伊五]

ᄒᆞᆫ나ᄒᆞᆫ ᄀᆞ론 덕과 업과로 서ᄅᆞ 권 아니호미오

二曰過失不相規[伊五]

두을재ᄂᆞᆫ ᄀᆞ론 허믈을 서ᄅᆞ 겨ᇰ계 아니호미오

三曰禮俗不相成[伊五]

셋재ᄂᆞᆫ ᄀᆞ론 례도ᄒᆞ야 푸ᇰ쇽으로 서ᄅᆞ 사괴디 아니호미오

四曰患難不相恤[伊羅]

넫재ᄂᆞᆫ ᄀᆞ론 어려온 이레 서ᄅᆞ 구휼티 아니호미라

不修之過五[伊尼]

몸 닷디 아니ᄒᆞᄂᆞᆫ 허믈이 다ᄉᆞᆺ 가지니

一曰交非其人[伊五]

ᄒᆞᆫ나ᄒᆞᆫ ᄀᆞ론 어디디 아니ᄒᆞᆫ 사ᄅᆞᆷ을 사괴요미오

二曰遊戯怠惰[伊五]

둘재ᄂᆞᆫ ᄀᆞ론 노롬노리ᄅᆞᆯ 간대로 ᄒᆞ고 몸 닷골 일 ᄒᆞ며 집 다ᄉᆞ릴 일 ᄒᆞ며 오래 ᄠᅳᆯ ᄡᅳ서르믈 게을이 호미오

三曰動作無儀[伊五]

셋재ᄂᆞᆫ ᄀᆞ론 거도ᇰ이 법답^디 아니호미오

四曰臨事不恪[伊五]

넫재ᄂᆞᆫ ᄀᆞ론 이레 다ᄃᆞ라 조심티 아니호미오

五曰用度不節[伊羅]

다ᄉᆞᆺ재ᄂᆞᆫ ᄀᆞ론 자ᄇᆞᆫ 것 ᄡᅮᄆᆞᆯ 너모ᄒᆞ야 존졀티 아니호미라

右件過失[乙] 同約之人[伊] 各自省察[爲彌] 互相規戒[爲也] 小則密規之[爲古] 大則衆戒之[乎代]

이러ᄐᆞᆺᄒᆞᆫ 허믈을 ᄒᆞᆫ 긔약ᄋᆡᆺ 사ᄅᆞᆷ이 각각 제 몸애 ᄉᆞᆯ피며 서ᄅᆞ 겨ᇰ계ᄒᆞ야 그 허믈이 젹거든 ᄀᆞ마니 겨ᇰ계ᄒᆞ고 크거든 모다 겨ᇰ계호ᄃᆡ

不聽 則會集之日[厓] 直月告于約正[爲也等] 約正[伊] 以義理[奴] 誨諭之[爲也]

아니 듣거든 모ᄃᆞᆫ 나래 딕월이 약져ᇰ의게 고ᄒᆞ야든 약져ᇰ이 의리로 ᄀᆞᄅᆞ쳐 제 허믈을 샤죄ᄒᆞ고

謝過請改 則書于籍[爲也]以俟[爲古]

ᄀᆡ호ᄆᆞᆯ 쳐ᇰᄒᆞ거든 ᄎᆡᆨ애 서 두고셔 그 허믈 ᄀᆡ호^믈 기드리고

其爭辨不服[果] 與終不能改者[羅隱] 聽其出約[爲羅]

그 허믈을 발며ᇰᄒᆞ야 하ᇰ복 아니ᄒᆞ며 내죠ᇰ내 잘 ᄀᆡ티 아니ᄒᆞᄂᆞᆫ 사ᄅᆞᆷ으란 다 긔약의 내티라

禮俗相交

ᄂᆞᆫ 례도ᄒᆞ야 푸ᇰ쇽으로 서ᄅᆞ 사괴요미라

禮俗相交[隱]

례도ᄒᆞ야 푸ᇰ쇽으로 사괴요ᄆᆞᆫ

一曰尊幼輩行[伊] 凡五等[伊尼]

ᄒᆞᆫ나ᄒᆞᆫ ᄀᆞ론 존ᄒᆞᆫ 사ᄅᆞᆷ과 져믄 사ᄅᆞᆷ이 물 지ᅀᅥ ᄒᆞ뇨미 믈읫 다ᄉᆞᆺ 드ᇰ이니

曰尊者[卧] 曰長者[卧] 曰敵者[卧] 曰少者[卧] 曰幼者[羅]

닐온 존ᄒᆞᆫ 사ᄅᆞᆷ과 댜ᇰ샤ᇰᄋᆡᆺ 사^ᄅᆞᆷ과 나와 ᄀᆞᆮᄐᆞᆫ 사ᄅᆞᆷ과 내게셔 져기 져믄 사ᄅᆞᆷ과 내게셔 ᄀᆞ자ᇰ 져믄 사ᄅᆞᆷ이니라

二曰造請拜揖[伊] 凡三條[伊尼]

둘재 ᄀᆞ론 가 쳐ᇰᄒᆞ며 절ᄒᆞ며 읍호미 믈읫 세 됴건이니

曰凡少者幼者[伊] 于尊者長者[厓] 歲首 冬至 四孟月朔[果] 辭見賀謝[伊] 皆爲禮見[伊五]

닐온 믈읫 져기 져믄 사ᄅᆞᆷ과 ᄀᆞ자ᇰ 져믄 사ᄅᆞᆷ이 존ᄒᆞᆫ 사ᄅᆞᆷ과 댜ᇰ샤ᇰᄋᆡᆺ 사ᄅᆞᆷ의게 설와 도ᇰ지와 ᄉᆞᄆᆡᇰ삭과 나갈 제 하딕ᄒᆞ며 도라와 뵈ᅀᆞ오며 깃븐 일 잇거든 가 하례ᄒᆞ며 아못 거시나 주어든 가 샤례호미 다 례로 뵈요미오

례로 뵐 저긔 다 며ᇰ함 드리고 사모 스고 털리ᇰ 닙고 품ᄃᆡᄒᆞ고 훠 신고 홀 자ᄇᆞ라

벼슬 업슨 ^ 사ᄅᆞᆷ은 며ᇰ함 드리고 갇 스고 털리ᇰ 닙고 ᄯᅴ ᄯᅴ오 신 시느라

믈읫 ᄒᆡᇰ례ᄒᆞᆯ 저긔 져믄 사ᄅᆞᆷ이 벼ᇰ을 ᄒᆞ거나 연괴 잇거나 ᄒᆞ거든 몬져 사ᄅᆞᆷ 브려 존댜ᇰ의게 ᄉᆞᆲ고

혹 눈 비 오거나 ᄒᆞ거든 존댜ᇰ이 몬져 사ᄅᆞᆷ 브려 알외야 오디 말에 ᄒᆞ라

此外[亦伊] 候問起居[卧]

이 외예 안부 무ᄅᆞᆷ과 의심ᄃᆞ왼 일 잇거든 질져ᇰᄒᆞ야 무르며

質疑白事[卧] 及赴請召[隱] 皆爲燕見[伊羅]

아모 이리나 잇거든 가 ᄉᆞᆯ와 말ᄉᆞᆷ 드ᄅᆞᆷ과 밋 쳐ᇰᄒᆞ야 블러시든 가미 다 샤ᇰ녜 뵈ᅀᆞ오미라

털리ᇰ이나 딕려ᇰ이나 니보ᄃᆡ 존댜ᇰ이 바ᄉᆞ라 커든 즉재 바ᄉᆞ라

尊者[隱] 受謁 不報[爲古]

존ᄒᆞᆫ 사ᄅᆞᆷ은 져믄 사ᄅᆞᆷ의 뵈요ᄆᆞᆯ 바도ᄃᆡ 답례말오

설와 도ᇰ지예ᄲᅮᆫ 며ᇰ함 ᄀᆞ초와 ᄌᆞ뎨ᄅᆞᆯ 브려 답례호ᄃᆡ 제 와 뵈던 옷 ᄀᆞᆮ티 ᄒᆞ라

長者[隱] 歲首冬至[亦伊] 具牓子報之[乎代] 如其服[爲古]

댜ᇰ샤ᇰᄋᆡᆺ 사ᄅᆞᆷ은 ^ 설와 도ᇰ지예 며ᇰ함 가지고 가 답례호ᄃᆡ 저의 니버 와 뵈던 옷 ᄀᆞᆮ티 ᄒᆞ고

餘[羅隱] 令子弟以己名牓子[奴] 代行[爲羅]

녀나ᄆᆞᆫ 시졀엔 ᄌᆞ뎨ᄅᆞᆯ 브려 내 일홈 슨 며ᇰ함 가지고 ᄀᆞᄅᆞ차 가 답례ᄒᆞ라

凡敵者[隱] 歲首冬至 辭見賀謝[厓] 相往還[爲羅]

믈읫 나와 ᄀᆞᆮᄐᆞᆫ 사ᄅᆞᆷ은 설와 도ᇰ지예 가보며 나갈 제 하딕ᄒᆞ며 도라와 보며 깃븐 일 잇거든 하례ᄒᆞ며 샤례호매 서ᄅᆞ ᄃᆞᆫ니라

며ᇰ함으란 우와 ᄀᆞᆮ티 호ᄃᆡ 오ᄉᆞ란 딕려ᇰ이나 털리ᇰ이나 니브라

凡尊者長者[伊] 無事而至小者幼者之家[乎代] 唯所服[爲羅]

믈읫 존ᄒᆞᆫ 사ᄅᆞᆷ과 댜ᇰ샤ᇰ읫 사ᄅᆞᆷ이 일 업시셔 져믄 사ᄅᆞᆷ의 집의 가ᄃᆡ 닙고젼 오ᄉᆞᆯ 니브라

딕려ᇰ이나 털리ᇰ이나 ^ ᄆᆞᅀᆞ모로 니브라

曰凡見尊者長者[乎代] 門外下馬[爲也] 俟于外次[爲古] 乃通名[爲羅]

믈읫 존ᄒᆞᆫ 사ᄅᆞᆷ과 댜ᇰ샤ᇰᄋᆡᆺ 사ᄅᆞᆷ을 뵈요ᄃᆡ 문 밧ᄀᆡ ᄆᆞᆯ 브려 밧ᄀᆡ셔 기들오고 유무드리라

믈읫 사ᄅᆞᆷ을 가 뵈요ᄃᆡ 반ᄃᆞ시 쥬ᅀᅵᆫ이 밥 먹거나 아니 먹거나 홈과 다ᄅᆞᆫ 손이 왯거나 아니 왯거나 홈과 다ᄅᆞᆫ 아모란 이ᄅᆞᆯ ᄒᆞ거나 아니ᄒᆞ거나 호ᄆᆞᆯ 무러

무ᄉᆞᄒᆞᆫ 주ᄅᆞᆯ 아라ᅀᅡ 며ᇰ함 드리고 무ᄉᆞ티 아니ᄒᆞ거든 져기 기들워 믈러가라

主人使將命者[奴] 先出迎客[於等] 客趨入至廡間[爲古] 主人出降階[於等] 客趨進[爲古]

쥬ᅀᅵᆫ이 ᄉᆞᅀᅵ예 유무드리ᄂᆞᆫ 사ᄅᆞᆷ으로 몬져 나가 손 마ᄌᆞ라 ᄒᆞ거든 손이 ᄃᆞᆮ주우려 집 기슬게 드러셔고 쥬ᅀᅵᆫ이나 계졀의 ᄂᆞ리거든 손이 ᄃᆞᆮ주우려 나ᅀᅡ가고

主人揖之[於等] 升堂 禮見[爲也] 四拜而後座[爲羅]

쥬ᅀᅵᆫ이 읍ᄒᆞ거든 손이 ^ ᄃᆞᆮ주우려 나ᅀᅡ가고 쥬ᅀᅵᆫ이 읍ᄒᆞ거든 다ᇰ 우ᄒᆡ 올아 례도ᄒᆞ야 뵈여 네 번 절ᄒᆞᆫ 후에 안ᄌᆞ라

燕見[於等] 不拜[爲羅]

샤ᇰ녜 뵐 저기어든 절ᄒᆞ디 말라

退則主人送于廡下[伊尼]

믈러가거든 쥬ᅀᅵᆫ이 집 기슭 아래 가 보내욜디니

믈읫 서ᄅᆞ 뵈요매 쥬ᅀᅵᆫ이 말ᄉᆞᆷ ᄆᆞᆺ고 다ᄅᆞᆫ 말ᄉᆞᆷ 아니ᄒᆞ거든 믈러가며

혹 쥬ᅀᅵᆫ이 게으른 비츨 둣거나 혹 뵈야호로 이ᄅᆞᆯ ᄒᆞ고져 ᄒᆞ야 손 믈러가ᄆᆞᆯ 기들우거나 ᄒᆞ거든 다 고ᄒᆞ고 믈러갈 거시니라

若命之上馬則三辭[乎代] 許則揖而退[爲也]

만이레 쥬ᅀᅵᆫ이 며ᇰᄒᆞ야 ᄆᆞᆯ ᄐᆞ라 ᄒᆞ거든 세 번 ᄉᆞ야ᇰ호ᄃᆡ 그 ᄉᆞ야ᇰ을 듣거든 읍ᄒᆞ고 믈러가대

出大門乃上馬[爲古] 不許則從其命[爲羅]

문밧긔 나 ᄆᆞᆯ ᄐᆞ고 듣디 아니ᄒᆞ야 구^틔여 ᄐᆞ라 ᄒᆞ거든 그 며ᇰ을 조ᄎᆞ라

凡見敵者[乎代] 門外下馬[爲也] 使人通名[爲古] 俟于廡下[於那] 或廳則[伊尼]

믈읫 나와 ᄀᆞᄐᆞᆫ 사ᄅᆞᆷ을 뵈요ᄃᆡ 문밧긔셔 ᄆᆞᆯ 브려 사ᄅᆞᆷ으로 유무드리고 집 기슭 아래어나 혹 텨ᇰᄀᆞᅀᅵ어나 셔셔 기들울디니

禮見則再拜[爲古]

례로 뵐 저기어든 두 번 절ᄒᆞ고

시쇽을 조차 저ᄅᆞᆯ ᄒᆞᆫ 번 ᄒᆞ야두 므던ᄒᆞ니라

退則主人[伊] 請就階上馬[爲羅]

믈러갈 저기어든 쥬ᅀᅵᆫ이 쳐ᇰᄒᆞ야 계졀의셔 ᄆᆞᆯ ᄐᆞ라 ᄒᆞ라

거러 왯거든 쥬ᅀᅵᆫ이 문밧긔 가 보내라

凡少者以下則先還人通名[乎里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