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訓諺解

  • 연대: 1658
  • 저자: 崔世珍
  • 출처: 女訓諺解 下
  • 출판: 고려대학교
  • 최종수정: 2016-01-01

女訓諺解 下

孝舅姑第五

舅姑ᄅᆞᆯ 孝道ᄒᆞᄂᆞᆫ 第五ㅣ라

爲人子爲人女애 當行孝道ㅣ라

사ᄅᆞᆷ의 子ㅣ 되며 사ᄅᆞᆷ의 女ㅣ 되오매 맛당히 孝道ᄅᆞᆯ 行ᄒᆞᆯ디라

女子ㅣ 未嫁앤 孝父母ᄒᆞ고 既嫁앤 致孝於舅姑ㅣ니

女子ㅣ 혼嫁티 몯ᄒᆞ야션 父母ᄭᅴ 효도ᄒᆞ고 이믜 혼嫁ᄒᆞ야션 舅姑ᄭᅴ 효도ᄒᆞᆯ디니

舅姑者ᄂᆞᆫ 親同於父母ᄒᆞ시고 尊擬於天地ᄒᆞ시니

舅姑ᄂᆞᆫ 親호미 父母과 ᄒᆞᆫ가지시고 尊호미 天地과 ᄀᆞᄐᆞ시니

鷄初鳴에 咸盥漱ᄒᆞ며 整梳粧ᄒᆞ며 佩其服用ᄒᆞ고

ᄃᆞᆯ기 처음으로 울으매 다 셰슈ᄒᆞ고 양진믈ᄒᆞ며 머리 빗고 단장ᄒᆞ기ᄅᆞᆯ 整졔히 ᄒᆞ며

以適舅姑之所ᄒᆞ야 下氣怡色ᄒᆞ야

가져셔 ᄡᅳᆯ 거슬 ᄎᆞ고 ᄡᅥ 舅姑 겨신 ᄃᆡ 가 긔운을 ᄂᆞᄌᆞ기 ᄒᆞ며

而問衣之燠寒ᄒᆞ며

ᄂᆞᆮ비ᄎᆞᆯ 편안히 ᄒᆞ여 옷의 더오며 치오믈 묻ᄌᆞ오며

舅姑l 年老ᄒᆞ샤 癢疴疾痛ㅣ어시든 則敬

舅姑ㅣ 나히 늘그샤 ᄀᆞᆯ야온 병 ᄒᆞ시거나 병 드러 알ᄒᆞ시거든 곧 공경ᄒᆞ야

抑掻之ᄒᆞ며 坐則敬侍立之ᄒᆞ고 行則敬扶持之ᄒᆞ며

디프며 글그며 안자 겨시거든 공경ᄒᆞ여 뫼셔 셧고 ᄃᆞᆫ니시거든 공경ᄒᆞ야 븓들며

冠帶垢어든 和灰請漱ᄒᆞ고 衣裳垢어든

冠帶 ᄠᆡ 지거든 ᄌᆡᄅᆞᆯ 무텨 시서징이다 請ᄒᆞ고 衣裳이 ᄠᆡ 지^거든

和灰請澣ᄒᆞ며

ᄌᆡᄅᆞᆯ 무텨 셰답ᄒᆞ야징이다 請ᄒᆞ며

舅姑之命을 母敢有怠ᄒᆞ야

舅姑의 니ᄅᆞ신 이ᄅᆞᆯ 감히 게으르믈 두디 말아

大小之事ᄅᆞᆯ 必稟舅姑ㅣ니라

크나 쟈그나 ᄒᆞᆫ 일을 반ᄃᆞ시 舅姑ᄭᅴ ᄎᆔ稟홀디니라

婦無私貨ᄒᆞ며 亦無私蓄ᄒᆞ며

며ᄂᆞ리 ᄉᆞᄉᆞ로온 ᄌᆡ홰 업ᄉᆞ며 ᄯᅩ ᄉᆞᄉᆞ로이 뎌튝ᄒᆞᆫ 거시 업ᄉᆞ며

不敢私借ᄒᆞ며 財不敢私與ᄒᆞ고

그르ᄉᆞᆯ 감히 ᄉᆞᄉᆞ로이 빌리디 말며 ᄌᆡ믈을 감히 ᄉᆞᄉᆞ로이 주디 말고

敬甘㫖之奉ᄒᆞ며 謹服用之事ᄒᆞ야

ᄃᆞᆯ며 만난 것 ᄒᆞ야 받ᄌᆞ올 일을 공경ᄒᆞ며 가져셔 ᄡᅳ실 일을 삼가ᄒᆞ야

舅姑所愛ᄅᆞᆯ 婦亦愛之ᄒᆞ며

舅姑의 ᄉᆞ랑ᄒᆞ시ᄂᆞᆫ 바ᄅᆞᆯ 婦ㅣ ᄯᅩ ᄉᆞ랑ᄒᆞ며

舅姑所敬을

舅姑의 공경ᄒᆞ시ᄂᆞᆫ 바^ᄅᆞᆯ

婦亦敬之ᄒᆞ야 樂其舅姑之心ᄒᆞ며

婦ㅣ ᄯᅩ 공경ᄒᆞ여 舅姑의 ᄆᆞᄋᆞᆷ을 즐겁게 ᄒᆞ며

順其舅姑之志ᄒᆞ고 有所行애 不敢專有所命애 不敢緩이니

舅姑의 ᄠᅳ들 順히 ᄒᆞ고 行ᄒᆞᆯ 배 잇거든 감히 ᄆᆞᄋᆞᆷ으로 말며 命ᄒᆞ신 배 잇거든 감히 디완히 말디니

昔애 太姒ᅵ 德勤애

녜 太姒[太姒ᄂᆞᆫ 周 文王妃라] 德을 브즈러니 ᄒᆞ시매

周基益隆ᄒᆞ고 長孫ㅣ 盡孝애

周ㅅ나라 基업이 더옥 늉셩ᄒᆞ고 長孫[長孫은 唐太宗后ㅣ라]이 효도ᄅᆞᆯ 극진히 ᄒᆞ시매

唐祚以固ᄒᆞ니 婦人ㅣ 克孝ᄒᆞ면 家道ㅣ 殷富ᄒᆞ며

唐나라 복이 ᄡᅥ 구드니 婦人ㅣ 능히 효도ᄒᆞ면 가도ㅣ 셩ᄒᆞ야 가으멸며

和氣一鐘ᄒᆞ야 舉家貞ᄒᆞ고

和ᄒᆞᆫ 긔운이 ᄒᆞᆫᄃᆡ 모다 오온 지비 貞^ᄒᆞ고

吉ᄒᆞ야 動乎天地ᄒᆞ며 通乎神明ᄒᆞ고

吉ᄒᆞ야 天地ᄅᆞᆯ 감동ᄒᆞ며 神明을 통케 ᄒᆞ고

使不能盡其孝ᄒᆞ면 則不得舅姑之愛敬이온 而況可以事君子乎아

ᄒᆞ여곰 능히 그 孝ᄅᆞᆯ 극진히 몯ᄒᆞ면 곧 舅姑ᄭᅴ ᄉᆞ랑ᄒᆞ며 공경ᄒᆞ욤도 엇디 몯ᄒᆞᆯ 거시온 ᄒᆞᄆᆞᆯ며 가히 ᄡᅥ 君子ᄅᆞᆯ 셤기랴

然ㅣ나 處常은 易也ㅣ오 處變은 難也ㅣ니

그러나 常도ᄂᆞᆫ 쳐티ᄒᆞ기 쉽고 變의 이ᄅᆞᆫ 쳐티ᄒᆞ기 어려오니

如舅姑ㅣ 有大事ㅣ어든 居喪以禮ᄒᆞ며 或夫從征役未還ᄒᆞ며

만일 舅姑ㅣ 큰 일이 잇거든 거상ᄒᆞ기ᄅᆞᆯ 禮로ᄡᅥ ᄒᆞ며 혹 夫ㅣ 征役에 조차 가 도라오디 몯ᄒᆞ며

或夫遠行而難至어든 爲婦者ㅣ

혹 夫ㅣ 멀리 가셔 오기 어렵거든 婦ㅣ 도연ᄂᆞᆫ 者ㅣ 맛당^히

當竭力養其舅姑ᄒᆞ고 而舅姑逝世어든 則

힘을 갈진히 ᄒᆞ여 그 舅姑ᄅᆞᆯ 치고 舅姑ㅣ 업ᄉᆞ시거든 곧 힘을 ᄡᅥ 무들디니

致力葬之니 如此則婦道ㅣ 盡矣라

이 ᄀᆞ티 ᄒᆞ면 婦의 ᄒᆞᆯ 도리ᄅᆞᆯ 다 ᄒᆞᆫ디라

孝感當時ᄒᆞ고 名垂萬古ᄒᆞ리니 又豈不爲賢婦歟리오

孝ㅣ 當時ᄅᆞᆯ 감격ᄒᆞ게 ᄒᆞ고 일호미 萬古애 드리오리니 ᄯᅩ 엇디 어딘 婦ㅣ 되디 아니ᄒᆞ리오

敬夫第六

지아비ᄅᆞᆯ 공敬ᄒᆞᄂᆞᆫ 第六이라

夫乃乾道ㅣ오 婦乃坤道ㅣ니

夫ᄂᆞᆫ 乾의 道ㅣ오 婦ᄂᆞᆫ 坤의 道ㅣ니 乾은 하ᄂᆞᆯ히오 坤은 ᄯᅡ히라

乾者ᄂᆞᆫ 天也ㅣ오 坤者ᄂᆞᆫ 地也ㅣ라

하ᄂᆞᆯ은 우희 이셔 놉고 ᄯᅡᄒᆞᆫ 아래 이셔 ᄂᆞᄌᆞ니

地在下而卑ᄒᆞ니 以地承天이 凜凜然敬之如天也ㅣ라

ᄯᅡᄒᆞ로ᄡᅥ 하ᄂᆞᆯᄒᆞᆯ 承ᄒᆞ미 싁싁이 공경ᄒᆞ기ᄅᆞᆯ 하ᄂᆞᆯ ᄀᆞ티 호미라

婦以敬事其夫ᄒᆞ며 夫以和處其婦ᄒᆞ야

지어미 공경ᄒᆞᄆᆞ로 ᄡᅥ 그 지아비ᄅᆞᆯ 셤기며 지아비 和동ᄒᆞ므로ᄡᅥ 그 지어미ᄅᆞᆯ ᄃᆡ졉ᄒᆞ야

夫婦ㅣ 胥和敬ᄒᆞ면 而協氣生焉ᄒᆞ야

夫婦ㅣ 서ᄅᆞ 和동ᄒᆞ며 공敬ᄒᆞ면 화協ᄒᆞᆫ 氣운이 나셔

上可以奉祭祀ᄒᆞ야 而致孝於舅姑ᄒᆞ고

우흐론 가히 ᄡᅥ 祭祀ᄅᆞᆯ 奉ᄒᆞ여 효도ᄅᆞᆯ 舅姑ᄭᅴ 닐외고

下可以繼子孫ᄒᆞ야 而資賢於後代ᄒᆞ리니

아래론 가히 ᄡᅥ 子孫을 니음ᄃᆞ라 어디로믈 후셰에 資뢰ᄒᆞ게 ᄒᆞ리니

是故로 孟光ㅣ 舉案齊眉ᄂᆞᆫ

이런고로 孟光[孟光은 梁鴻의 妻ㅣ라] 이 반상 들기ᄅᆞᆯ 눈섭의 ᄀᆞ^ᄌᆞ기 ᄒᆞ기ᄂᆞᆫ

知敬夫之飮食ㅣ오

지아븨 음식을 공敬ᄒᆞ기ᄅᆞᆯ 알ᄋᆞ미오

杞姜ㅣ 授衣禦寒ᄂᆞᆫ 知敬夫之衣具ㅣ오

杞姜이 오ᄉᆞᆯ 주어 치위ᄅᆞᆯ 막ᄌᆞᄅᆞ게 호ᄆᆞᆫ 지아븨 니블 거ᄉᆞᆯ 공敬ᄒᆞᆯ 줄을 알ᄋᆞ미오

堯女ㅣ 配大舜에 不以舜賤而不敬ᄒᆞ며

堯의 ᄯᆞ님이 大舜ᄭᅴ 配필이 되여셔 舜이 미쳔ᄒᆞ시다코 공敬티 아니ᄒᆞ디 아니ᄒᆞ며

桓女ㅣ 配鮑宣에 不以宣貧而不畏ᄒᆞ니라

桓의 ᄯᆞ리 鮑宣의 ᄇᆡ필이 되여셔 宣의 가난ᄒᆞ므로 ᄡᅥ 두려 아니ᄒᆞ디 아니ᄒᆞ니라

事有巨細애 不稟於夫어든 不敢行ᄒᆞ고 財有多寡애

일이 크며 쟈그미 이시매 夫의 ᄎᆔ품 아니ᄒᆞ야셔ᄂᆞᆫ 감히 行티 아니ᄒᆞ며 財믈이 하며 쟈그미

無夫之命ㅣ어든 不敢用ᄒᆞ며

이시매 夫의 命이 업거든 감히 ᄡᅳ디 말며

出入에 不敢自專ᄒᆞ며 用度ᄅᆞᆯ 不敢自費ᄒᆞ고

내며 드리기ᄅᆞᆯ 감히 스스로 쳔ᄌᆞᄒᆞ여 말며 ᄡᅳᆯ 거슬 敢히 스스로 허費ᄒᆞ디 말고

如夫ㅣ 有過ㅣ어든 微言婉諫ᄒᆞ며

만일 지아비 허므리 잇거든 微히 말ᄉᆞᆷ을 ᄒᆞ여 婉슌히 諫ᄒᆞ며

如夫ㅣ 有疾ㅣ어든 嘗藥跪進이니

만일 지아비 병이 잇거든 藥을 맏보와 ᄭᅮ러 드릴디니

茍或反目ᄒᆞ야 牝鷄晨鳴ᄒᆞ면 則乾綱ㅣ 不振矣리라

진실로 혹 눈을 흘긔여 암ᄐᆞᆰ이 새배 우ᄃᆞ시 ᄒᆞ면 하ᄂᆞᆯ 綱이 振긔티 몯ᄒᆞ리라

爲女者ㅣ 可不端莊誠一ᄒᆞ야 以事其君子者乎아

겨집이 되연ᄂᆞᆫ 者ㅣ 가히 端졍ᄒᆞ고 싁싁ᄒᆞ고 진실ᄒᆞ고 ᄒᆞᆫᄀᆞᆯᄀᆞ티 ᄒᆞ여 ᄡᅥ 그 君子ᄅᆞᆯ 셤^기디 아니ᄒᆞ랴

若婦人ㅣ 不蒙女師之敎ᄒᆞ면

만일 婦人이 女師의 ᄀᆞᄅᆞ치믈 닙디 아니ᄒᆞ면

雖云敬夫ㅣ나 或面敬耳라

비록 닐오ᄃᆡ 지아비ᄅᆞᆯ 공敬ᄒᆞᆫ다 ᄒᆞ여도 ᄂᆞᄎᆞ로 공敬ᄒᆞ미라

則不能敬之以道也ㅣ니 敬之以道ᄒᆞ며 順之以德ᄒᆞ야

곧 능히 道로ᄡᅥ 공敬ᄒᆞ요미 아니니 공경ᄒᆞ믈 道로ᄡᅥ ᄒᆞ며 順ᄒᆞ믈 德으로ᄡᅥ ᄒᆞ야

非禮之言을 不敢言ᄒᆞ며 非禮之事ᄅᆞᆯ 不敢行ᄒᆞ야 進退有常ᄒᆞ며

禮 아닌 말ᄉᆞᆷ을 감히 니ᄅᆞ디 아니ᄒᆞ며 禮 아닌 일을 감히 行티 아니ᄒᆞ여 나으며 므르기ᄅᆞᆯ 常되 이시며

動靜有儀ᄒᆞ야 不敢頃刻忘其敬也ㅣ니라

動ᄒᆞ며 靜ᄒᆞ매 거동 잇게ᄒᆞ야 져근덧 ᄉᆞ이도 그 공敬ᄒᆞ기ᄅᆞᆯ 닏디 마롤디니라

愛妾第七

妾을 ᄉᆞ랑ᄒᆞᄂᆞᆫ 第七이라

夫妾者ᄂᆞᆫ 接也ㅣ니

그 妾이라 호믄 接ᄒᆞ다 호미니 君子^를

接見君子者也ㅣ라

接見호미라[君子ᄂᆞᆫ 지아비ᄅᆞᆯ 닐온 말이라]

既接見乎君子ᄒᆞ니 爲妻者ㅣ 不可不愛也ㅣ니라

임읫 君子ᄭᅴ 接見ᄒᆞ니 妻ㅣ 되연ᄂᆞᆫ 者ㅣ 可히 ᄉᆞ랑티 아니티 몯ᄒᆞᆯ디니라

雖曰奔則爲妾ㅣ나

비록 닐온 奔ᄒᆞ면[奔은 납ᄎᆡ 아니코 제 가단 마리라] 妾이라 ᄒᆞ나

豈可以尊卑之分而忽之耶아

엇디 可히 노프며 ᄂᆞᄌᆞᆫ 分으로ᄡᅥ 경忽히 녀길 것가

且臣妾ㅣ 難養ㅣ니 近之不遜ㅣ오 遠之則怨ᄒᆞᄂᆞ니

ᄯᅩ 신하과 妾이 치기 어려오니 갓가이 ᄒᆞ면 공遜티 아니ᄒᆞ고 멀리 ᄒᆞ면 怨망ᄒᆞᄂᆞ니

將何道以處之乎ㅣ오

쟝ᄎᆞᆺ 므슴 道로ᄡᅥ 쳐티ᄒᆞ리오

蓋莫柔於人心ㅣ나 難以勢逼ㅣ오

사ᄅᆞᆷ의 ᄆᆞ음만 부드러오니 업ᄉᆞ나 勢ㅣ로ᄡᅥ 핍박기 어렵고

莫強於人心ㅣ나 可以德感ㅣ니

사ᄅᆞᆷ의 ᄆᆞᄋᆞᆷ만 強ᄒᆞ니 업ᄉᆞ나 可히 德으로 ᄡᅥ 感화케 ᄒᆞᆯ디니

惟莊以蒞之ᄒᆞ며 慈以畜之可也ㅣ니라

오직 싁싁호므로ᄡᅥ 다ᄉᆞ리며 에엿비 녀기모로ᄡᅥ 치미 可ᄒᆞ니라

然ㅣ나 天地之間애 妻之於妾에 生嫉妬之心ᄒᆞ며 蔵毒害之意者ㅣ 多矣니

그러나 天地 ᄉᆞ이예 妻ㅣ 妾을 嫉妬ᄒᆞᆯ ᄆᆞᄋᆞᆷ을 내며 毒害ᄒᆞᆯ ᄠᅳᄃᆞᆯ ᄀᆞᆷ초아 두리 만ᄒᆞ니

皆由不體夫主之情故也ㅣ라

다 夫主[夫主ᄂᆞᆫ 지아비란 마리라]의 ᄠᅳᄃᆞᆯ 밧디 아니믈 말믜아믄이라

夫之於妾에 或因妻久無子而蚤求ᄒᆞ며

夫ㅣ 妾에 或 妻ㅣ 오래 ᄌᆞ시기 업스믈 因ᄒᆞ야 일즈시 求ᄒᆞ며

或因奉承乏人而他卜ㅣ어든

或 奉承ᄒᆞᆯ 사ᄅᆞᆷ이 업ᄉᆞᄆᆞᆯ 因ᄒᆞ야 다ᄅᆞᆫ^ᄃᆡ 卜ᄒᆞ거ᄃᆞᆫ

妻不揣己ᄒᆞ며

妻ㅣ 제 이ᄅᆞᆯ 혜아리디 아니 ᄒᆞ며

罔知子所以著代ᄒᆞᄂᆞ니

ᄌᆞ시기 ᄡᅥ 代ᄅᆞᆯ 닛ᄂᆞᆫ 밴 주ᄅᆞᆯ 아디 몯ᄒᆞᄂᆞ니

己既無出ㅣ어든 勸夫納妾ᄒᆞ야 生子而奉宗祀ㅣ 可也ㅣ니

내게 임읫 난 거시 업거ᄃᆞᆫ 夫ᄅᆞᆯ 勸ᄒᆞ야 妾을 드려 ᄌᆞ시글 나하 宗祀ᄅᆞᆯ[宗祀ᄂᆞᆫ 조샹 졔ᄉᆞ란 마리라] 바다 ᄒᆞ게 호미 可ᄒᆞ니

己無子而又妬妾ㅣ 豈貞婦事夫之道乎ㅣ리오

내 ᄌᆞ시기 업고 ᄯᅩ 妾을 새오면 엇디 貞婦의[貞婦ᄂᆞᆫ 어딘 안해란 마리라] 夫 셤기ᄂᆞᆫ 道ㅣ리오

貞婦ㅣ 於妾에 當知彼雖有子ㅣ나 而誥封我身ㅣ니

貞婦ㅣ 妾의게 맏당히 뎨 비록 ᄌᆞ시기 이시나 내 몸을 誥封[아ᄃᆞ리 셔면 나ᄅᆞᆯ 誥ᄒᆞ여 태후ᄅᆞᆯ 封ᄒᆞ단 마리라]ᄒᆞᄂᆞᆫ 주ᄅᆞᆯ 알디니

何妬之有리오

므슴 새오미 이시리오

所以夫愛其妾ㅣ어든 妻亦愛之니 愛妾者ᄂᆞᆫ 順夫之心也ㅣ라

ᄡᅥ 夫ㅣ 그 妾을 ᄉᆞ랑ᄒᆞ거ᄃᆞᆫ 안해 ᄯᅩ ᄉᆞ랑ᄒᆞᆯ 배니 妾을 ᄉᆞ랑호믄 夫의 ᄆᆞᄋᆞᆷ을 順호미니라

推衣讓食에 友愛之心ㅣ 自如ㅣ오

오ᄉᆞᆯ 밀텨 주며 바블 ᄉᆞ양ᄒᆞ야 주매 友愛ᄒᆞᄂᆞᆫ ᄆᆞᄋᆞᆷ이 ᄒᆞᆫ가지오

隱惡揚善에 仁厚之意自若ㅣ니

사오나온 일란 ᄀᆞᆷ초고 어딘 일란 베ᄑᆞ매 仁厚ᄒᆞᆫ ᄆᆞᄋᆞᆷ이 ᄒᆞᆫ가질 디니

愛妾如此ㅣ면 而妾이 寧有不知所愛者哉리오

妾을 ᄉᆞ랑ᄒᆞ기 이러ᄐᆞᆮ ᄒᆞ면 妾이 엇디 ᄉᆞ랑ᄒᆞᄂᆞᆫ 바ᄅᆞᆯ 아디 몯호미 이시리오

必也躬勤致敬ᄒᆞ야 以事主母ᄒᆞ며 謙卑自牧ᄒᆞ야

반ᄃᆞ시 몸소 브즈런ᄒᆞ야 공경을 닐외야 ᄡᅥ 主母ᄅᆞᆯ 셤기며 謙卑로써 스스^로 牧ᄒᆞ야

以侍左右ㅣ니

ᄡᅥ 左右에 뫼올디니

夫敬其婦ᄒᆞ고 婦愛其妾ᄒᆞ야 充和氣於一門ㅣ면

夫ㅣ 그 안해ᄅᆞᆯ 공경ᄒᆞ고 안해 그 妾을 ᄉᆞ랑ᄒᆞ야 和ᄒᆞᆫ 긔운을 ᄒᆞᆫ 집의 ᄀᆞᄃᆞᆨ게 ᄒᆞ면

豈不爲禎祥者乎ㅣ리오

엇디 禎祥ㅣ 되디 아니 ᄒᆞ리오

茍妻雖愛妾ㅣ나 外示恩養ㅣ오

진실로 안해 비록 妾을 ᄉᆞ랑ᄒᆞ나 밧겨ᄐᆞ로ᄂᆞᆫ 恩養을 뵈고

內藏嫉心ᄒᆞ야 所與衣服飮食ㅣ 不過假意而已면

안흐론 믜여ᄒᆞᄂᆞᆫ ᄆᆞᄋᆞᆷ을 ᄀᆞᆷ초아 두어 주ᄂᆞᆫ 밧 衣服과 飮食이 ᄠᅳᄃᆞᆯ 비러 호매

欲爲賢妻ᅟᅵᆫᄃᆞᆯ 得乎아

넙디 아닐 ᄯᆞᄅᆞᆷ이면 어딘 안해 되고져 ᄒᆞᆫ ᄃᆞᆯ 어ᄃᆞ랴

妾敬其妻ㅣ나 茍無實意ᄒᆞ야 外雖順承ㅣ나

妾이 그 안해ᄅᆞᆯ 공경ᄒᆞ나 진실로 實ᄒᆞᆫ ᄠᅳ디 업서 밧겨ᄐᆞ로 비^록 順承ᄒᆞᄂᆞᆫ 톄로 ᄒᆞ나

內懷怨恨ㅣ면 欲爲良妾ᅟᅵᆫᄃᆞᆯ 得乎아

안흐로 원망ᄒᆞ며 恨호믈 품어시면 어딘 妾이 되고져 ᄒᆞᆫ ᄃᆞᆯ 어ᄃᆞ랴

爲主父母者ㅣ 誠能善噵其婦ㅣ면

읏듬 父母ㅣ 되연ᄂᆞᆫ 사ᄅᆞᆷ이 진실로 能히 잘 그 婦ᄅᆞᆯ 인도ᄒᆞ면

則夫主之心ㅣ 安而家道ㅣ 齊矣리라

夫主의 ᄆᆞᄋᆞᆷ이 편안ᄒᆞ야 家道ㅣ ᄀᆞᄌᆞᆨᄒᆞ리라

慈幼第八

져므니ᄅᆞᆯ ᄉᆞ랑ᄒᆞᄂᆞᆫ 第八이라

慈者ᄂᆞᆫ 上之所以撫下也ㅣ니

ᄉᆞ랑ᄒᆞ다 호믄 욷 사ᄅᆞᆷ이 ᄡᅥ 아래 사ᄅᆞᆷ을 에엿비 녀기단 마리니

上若不慈ㅣ면 則群下ㅣ 無所仰焉ᄒᆞ야

웃 사ᄅᆞᆷ이 만일 ᄉᆞ랑티 아니면 모ᄃᆞᆫ 아래 사ᄅᆞᆷ이 울얼 배 업서

如喬木ㅣ 踈而鳥不附ᄒᆞ며

노픈 남기 섯긔매 새 븟ᄃᆞᆺ디 아니며

淵水ㅣ 涸而魚難藏ㅣ니

못므리 여외매 고기 ᄀᆞᆷ초이기 어려옴 ᄀᆞᄐᆞ니

如此而責之以孝ㅣ 不亦難哉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