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각경언해 상2-1권

  • 한문제목: 圓覺經諺解
  • 연대: 1465
  • 출판: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영인본

本月이 實로 二輪 업스니 ^ 곧 이 二 그 體 업숨 ᄀᆞᆮᄒᆞ니라

故로 經에 說ᄒᆞ샤ᄃᆡ 種種이 生於覺心이라 ᄒᆞ시니 不是心이 生種種이라

그럴ᄉᆡ 經에 니ᄅᆞ샤ᄃᆡ 種種이 覺心에 나다 ᄒᆞ시니 이 ᄆᆞᅀᆞ미 種種ᄋᆞᆯ 내욘 디 아니라

然諸經論애 俱說호ᄃᆡ 萬法이 一心이라 ᄒᆞ며 三界ㅣ 唯識이라 ᄒᆞ야

그러나 諸經論애 다 닐오ᄃᆡ 萬法이 一心이라 ᄒᆞ며 三界 오직 識이라 ᄒᆞ야

宗途ㅣ 有異ᄒᆞ야 學者ㅣ 罕知ᄒᆞᄂᆞ니라

宗途ㅣ 달오미 이셔 學者ㅣ 알 리 드므ᄂᆞ니라

宗途者 宗旨途轍也

宗ᄋᆞᆫ ᄠᅳ디오 途ᄂᆞᆫ 길히니

就佛則 權實有異 就人則 情尙有異

부텻긔 나ᅀᅡ가면 權과 實왜 달옴 겨시고 사ᄅᆞᄆᆡ게 나ᅀᅡ가면 ᄠᅳ데 崇尙호미 달옴 잇ᄂᆞ니라

今約五敎ᄒᆞ야 略彰其別ᄒᆞ노니

이제 五敎ᄅᆞᆯ 자바 畧히 그 달오ᄆᆞᆯ 나토노니

一은 愚法聲聞敎ㅣ니 假說一心ᄒᆞ샤 謂實有外境이라 ᄒᆞ샤

ᄒᆞ나ᄒᆞᆫ 法에 어린 聲聞敎ㅣ니 一心을 비러 니ᄅᆞ샤 實로 밧 境이 잇ᄂᆞ니라 니ᄅᆞ샤

但由心造業之所感이랏 故ㅣ라

오직 ᄆᆞᅀᆞᄆᆞᆯ 브터 業을 지ᅀᅩᆫ 感이라 ᄒᆞᆫ샨 젼ᄎᆡ라

愚法者 不了法空也

法에 어료ᄆᆞᆫ 法空ᄋᆞᆯ 아디 몯호미니

卽是法執假說者 謂不了唯識 計有外境

곧 이 法執이라 비러 니ᄅᆞ샤ᄆᆞᆫ 닐오ᄃᆡ 오직 識^인ᄃᆞᆯ 아디 몯ᄒᆞ야 밧 境이 잇ᄂᆞ니라 혜여

但云由心造別業故 感得自身

오직 닐오ᄃᆡ ᄆᆞᅀᆞᄆᆞᆯ 브터 各別ᄒᆞᆫ 業을 지ᅀᅳᆯᄉᆡ 제 모ᄆᆞᆯ 感ᄒᆞ야 得고

由心造共業故 感外山河器界

ᄆᆞᅀᆞᄆᆞᆯ 브터 모ᄃᆞᆫ 業을 지ᅀᅳᆯᄉᆡ 밧 山何器界ᄅᆞᆯ 感ᄒᆞ야

一切善惡悉 由心成故 云假說

一切 善과 惡괘 다 ᄆᆞᅀᆞᄆᆞᆯ 브터 이니라 ᄒᆞᆯᄉᆡ 닐오ᄃᆡ 비러 닐오미라

二ᄂᆞᆫ 大乘權敎ㅣ니 明異熟과 賴邪와 ᄒᆞ샤 名爲一心이니

둘흔 大乘權敎ㅣ니 異熟과 賴邪와ᄅᆞᆯ ᄇᆞᆯ기샤 일후미 一心이니

(䟽)異熟賴耶者 第八識也 此是諸識本故

異熟賴耶ᄂᆞᆫ 第八 識이니 이 여러 識의 根源인 젼ᄎᆡ라

異熟 是善惡業果 從無始來至於等覺 因位最寬故 取之也

異熟ᄋᆞᆫ 이 善惡 業果ㅣ니 無始 브터 와 等覺애 니르니 因位 ᄆᆞᆺ 어윌ᄉᆡ 取ᄒᆞ니라

遮無境故ㅣ라

境 업수믈 마ᄀᆞ신 젼ᄎᆡ라

(䟽)遮無境者 正出彼一心義也

境 업수믈 마고ᄆᆞᆫ 正히 뎌 一心ㅅ 義ᄅᆞᆯ 내니

謂若一分是境 一分是心 卽不成一 今以境唯心變

닐오ᄃᆡ ᄒᆞ다가 一分은 이 境이오 一分은 이 心이면 곧 一이 ᄃᆞ외디 몯ᄒᆞ려^니와 이제 境이 오직 ᄆᆞᅀᆞᄆᆡ 變호미라

亦但是心故 唯一也

ᄯᅩ 오직 이 ᄆᆞᅀᆞ밀ᄉᆡ 오직 一이라

三은 大乘實敎ㅣ니 說如來藏ᄒᆞ샤 以爲一心이니 理無二故ㅣ라

세흔 大乘實敎ㅣ 니 如來藏ᄋᆞᆯ 니ᄅᆞ샤 一心이라 ᄒᆞ샤미니 理 둘 업슨 젼ᄎᆡ라

(䟽)理無故者 謂如來藏擧體 隨緣成辦諸事

理 둘 업수믄 닐오ᄃᆡ 如來藏이 온 體ㅣ 緣을 조차 한 이ᄅᆞᆯ 일우ᄃᆡ

而其自性本不生滅 是故一心二門皆無障礙

그 自性은 本來 生滅 아니니 그럴ᄉᆡ 一心二門이 다 ᄀᆞ룜 업스니라

四ᄂᆞᆫ 一乘頓敎ㅣ니 泯絶染淨ᄒᆞ샤 但是一心이니 破諸數故ㅣ라

네흔 一乘 頓敎ㅣ 니 染淨을 업게 그치샤 오직 이 一心이니 한 數를 허논 젼ᄎᆡ라

五ᄂᆞᆫ 一乘圓敎ㅣ니 總該萬有ᄒᆞ샤 卽是一心이니 理事本末이 無別異故ㅣ라

다ᄉᆞᄉᆞᆫ 一乘 圓敎ㅣ 니 萬有ᄅᆞᆯ 다 ᄢᅳ리샤 곧 이 一心이니 理와 事와 本과 末왜 달옴 업슨 젼ᄎᆡ라

此上五敎ㅣ 後後ㅣ 轉深ᄒᆞ니 後必收前이오 前不攝後ᄒᆞ니라

이 웃 五敎ㅣ 後後ㅣ 더욱 기프니 後ㅣ 반ᄃᆞ기 前을 잡고 前이 後를 잡디 몯ᄒᆞ니라

然皆說一心ᄒᆞ샤ᄃᆡ

그러나 다 一心을 니ᄅᆞ샤ᄃᆡ

有斯異者ᄂᆞᆫ 蓋以經隨機說ᄒᆞ시고 論逐經通ᄒᆞ고 人隨論執ᄒᆞ야

이 달오미 이^쇼ᄆᆞᆫ 經은 機를 조차 니ᄅᆞ시고 論ᄋᆞᆫ 經을 조차 通ᄒᆞ고 사ᄅᆞᄆᆞᆫ 論을 조차 자바

致令末代로 固守淺權ᄒᆞᆯᄉᆡ

末代로 녇가온 權을 구디 잡게 ᄒᆞᆯᄉᆡ

今에 本末을 會通ᄒᆞ야 令五門이 皆顯ᄒᆞ며

이제 本과 末와ᄅᆞᆯ 뫼화 通ᄒᆞ야 다ᄉᆞᆺ 門이 다 낟게 ᄒᆞ며

詮旨ㅣ 相對ᄒᆞ야 復爲三門ᄒᆞ노니

詮과 旨왜 서르 對ᄒᆞ야 ᄯᅩ 세 門을 ᄆᆡᇰᄀᆞ노니

初ᄂᆞᆫ 約所詮이니 逆次ᄒᆞ고 順法ᄒᆞ야

처ᅀᅥ믄 所詮을 자보미니 次第ᄅᆞᆯ 거스리고 法을 順ᄒᆞ야

逆次者 逆前五門次第也

次第 거스료ᄆᆞᆫ 알ᄑᆡᆺ 다ᄉᆞᆺ 門 次第ᄅᆞᆯ 거스릴시오

順法者 順諸衆生迷眞起妄從本起末心數次第也

법을 順호ᄆᆞᆫ 한 衆生ᄋᆡ 眞을 몰라 妄을 니르와다 本ᄋᆞᆯ 조차 末ᄋᆞᆯ 니르왇ᄂᆞᆫ 心數ㅅ 次第ᄅᆞᆯ 順ᄒᆞᆯ시라

從四至一히 展轉起末ᄒᆞ니

네흘 브터 ᄒᆞ나해 니르리 올ᄆᆞ며 올마 末ᄋᆞᆯ 니르와ᄃᆞ니

從四至一者 緣第五是本末融通故 且說前四也

네흘 조차 ᄒᆞ나해 니르로ᄆᆞᆫ 다ᄉᆞᆺ 재ᄂᆞᆫ 이 本과 末와ᄅᆞᆯ 노겨 通ᄒᆞᆯᄉᆡ 아직 앏 네흘 니ᄅᆞ니라

謂本唯非染非淨ᄒᆞᆫ 一法界心이 由不覺之ᄒᆞ야 名如來藏이오

닐오ᄃᆡ 本來 오직 染 아니며 淨 아닌 ᄒᆞᆫ 法^界心이 [頓敎ㅣ라] 아디 몯호ᄆᆞᆯ 브터 일후미 如來藏이오

與生滅合ᄒᆞ야 成阿梨邪識ᄒᆞ고

生滅와 어우러 何黎邪識이 ᄃᆞ외오 [實敎ㅣ라]

復由執此ᄒᆞ야 爲我法故로 轉起餘七ᄒᆞ야 成八種識ᄒᆞ고

ᄯᅩ 이ᄅᆞᆯ 자보ᄆᆞᆯ 브터 我法을 사ᄆᆞᆯᄉᆡ 나ᄆᆞᆫ 닐구블 옮겨 니르와다 여듧 가짓 識이 ᄃᆞ외오

各由識體ᄒᆞ야 起能見分ᄒᆞ니 由能見故로 似外境이 現ᄒᆞ니

各各 識體를 브터 能ᄒᆞᆫ 見分을 니르와ᄃᆞ니 能ᄒᆞᆫ 見을 브틀ᄉᆡ 밧 境이 現홈 ᄀᆞᆮᄒᆞ니 [權敎ㅣ라]

執取此境ᄒᆞ야 爲定實故로 造種種別業共業ᄒᆞ니

이 境을 자바 가져 一定ᄒᆞᆫ 實을 사ᄆᆞᆯᄉᆡ 種種앳 別業과 共業을 지ᅀᅳ니

故로 內感自身ᄒᆞ고 外感器界一切諸法ᄒᆞ니라

그럴ᄉᆡ 안ᄒᆞ로 제 모ᄆᆞᆯ 感ᄒᆞ고 밧그로 器界ㅅ 一切 諸法을 感ᄒᆞ니라 [聲聞敎ㅣ라]

二ᄂᆞᆫ 約能詮이니 順文ᄒᆞ고 逆法ᄒᆞ야

둘흔 能詮을 자보미니 文을 順ᄒᆞ고 法을 거스려

順文者 法是能詮敎 如前所列從末至本

文을 順호ᄆᆞᆫ 文은 이 能詮敎ㅣ니 알ᄑᆡᆺ 버룜ᄀᆞ티 末ᄋᆞᆯ 브터 本애 ^ 니르로미오

逆法者 法是衆生心法 相生次第從本起末

法을 거스료ᄆᆞᆫ 法은 이 衆生ᄋᆡ 心法이니 서르 나논 次第本ᄋᆞᆯ 브터 末ᄋᆞᆯ 니르와도미라

從一至四히 展轉窮本이니

ᄒᆞ나ᄒᆞᆯ 브터 네헤 니르리 올ᄆᆞ며 올마 本애 다ᄋᆞ니

謂佛이 對下劣根性의 未能頓達萬法所起根本者ᄒᆞ샤

닐오ᄃᆡ 부톄 ᄂᆞᆺ가온 사오나온 根性의 萬法의 니러난 根本ᄋᆞᆯ 能히 다 아디 몯ᄒᆞ릴 對ᄒᆞ샤

且言從業所感ᄒᆞ시니 此則初聲聞敎ㅣ오

ᄯᅩ 業의 感호ᄆᆞᆯ 브트니라 니ᄅᆞ시니 이ᄂᆞᆫ 첫 聲聞敎ㅣ오

次爲機稍勝者ᄒᆞ샤 說能所感이 一切唯識이라 ᄒᆞ샤

버거 機ㅣ 져기 勝ᄒᆞ닐 爲ᄒᆞ샤 能과 所왓 感호미 一切 오직 識이라 니ᄅᆞ샤

展轉乃至唯一眞心이라 ᄒᆞ시니 名頓敎等이니

올ᄆᆞ며 올마 오직 ᄒᆞᆫ 眞心이라 ᄒᆞ샤매 니르르시니 일후미 頓敎 等이니

皆由根有勝劣故로 令說有淺深ᄒᆞ니

다 根이 勝홈과 사오나옴 이슈믈 브트실ᄉᆡ 말ᄉᆞ미 녇가옴과 기품괘 겨시게 ᄒᆞ니

若執前前ᄒᆞ면 卽迷後後ᄒᆞ리니

ᄒᆞ다가 前前을 자ᄇᆞ면 곧 後後를 迷ᄒᆞ리니

始終을 通會ᄒᆞ야ᅀᅡ 方盡其源이니라

始와 終과ᄅᆞᆯ 通히 모도아ᅀᅡ 비르서 그 根^原을 다ᄋᆞ리라

三은 能詮所詮逆順本末이 皆無障礙ᄒᆞ니 由稱法性히 直譚이오

세흔 能詮所詮과 거슬며 順홈과 本末이 다 ᄀᆞ룜 업스니 法性에 맛게 바ᄅᆞ 니ᄅᆞ샤미오

不逐機宜ᄒᆞ샤 異說故로 卽圓敎也ㅣ라

機宜를 조ᄎᆞ샤 달이 닐옴 아니ᄒᆞ실ᄉᆡ 곧 圓敎ㅣ라

唯心之義ㅣ 經論所宗이니 迷之則觸向애 面牆이오

오직 ᄆᆞᅀᆞ미라 혼 ᄠᅳ디 經論애 宗ᄒᆞ논 고디니 迷ᄒᆞ면 向ᄒᆞᆫ ᄃᆡ 다ᄃᆞ라 ᄃᆞᄆᆞᆯ 向호미오

如人面牆立 卽於百萬種差別物色 都無所見

사ᄅᆞ미 ᄂᆞᄎᆞᆯ 담 向ᄒᆞ야 셔면 곧 百萬 가짓 差別物色을 다 보디 몯홈 ᄀᆞᆮᄒᆞ니라

解之則萬法이 臨鏡이리니

알면 萬法이 거우루 보미리니

況此標爲義本을 如何不盡源流ㅣ리오

ᄒᆞᄆᆞᆯ며 이ᅌᅦ 標ᄒᆞ샤 義ㅅ 根本 ᄉᆞᄆᆞ샤ᄆᆞᆯ 엇뎨 根源과 그틀 다ᄋᆞ디 아니ᄒᆞ리오

達者ᄂᆞᆫ 審之ᄒᆞ야 勿嫌具列이니라

알리ᄂᆞᆫ 仔細히 ᄒᆞ야 ᄀᆞ초 버류믈 疑心 마롤디니라

此下ᄂᆞᆫ 第二明幻盡覺滿ᄒᆞ샤 以釋前疑니

이 아랜 둘찻 幻이 다ᄋᆞ면 覺이 가ᄃᆞᆨ호ᄆᆞᆯ ᄇᆞᆯ기샤 알ᄑᆡᆺ 疑心을 사기샤미니

然이나 上애 說幻從覺生은 染緣起也ㅣ오

그러나 우희 幻이 覺ᄋᆞᆯ 브터 나ᄆᆞᆯ 니ᄅᆞ샤ᄆᆞᆫ 染緣의 니루미오

此애 明幻盡覺滿은 淨緣起也ㅣ라

이ᅌᅦ 幻이 다ᄋᆞ면 覺이 ᄀᆞᄃᆞᆨ호ᄆᆞᆯ ᄇᆞᆯ기샤ᄆᆞᆫ 淨緣^의 니루미라

故로 論애 云호ᄃᆡ 有四種法薰習義故로

그럴ᄉᆡ 論애 닐오ᄃᆡ 네 가짓 法이 熏習ᄒᆞ논 ᄠᅳ디 이실ᄉᆡ

染法淨法이 起不斷絶이라 ᄒᆞ니

染法과 淨法괘 니루미 긋디 아닌ᄂᆞ니라 ᄒᆞ니

四法者 論具云 一者 淨法名爲眞如

네 法은 論애 ᄀᆞ초 닐오ᄃᆡ ᄒᆞ나ᄒᆞᆫ 淨法이니 일후미 眞如ㅣ오

二者 一切染因名爲無明

둘흔 一體ㅅ 染因이니 일후미 無明이오

三者 妄心名業識

세흔 妄心이니 일후미 業識이오

四者 妄境界 所謂六塵

네흔 妄境界니 닐온 六廛이라

染法者ᄂᆞᆫ 以依眞如法故로 有於無明ᄒᆞ고

染法은 眞染法을 브틀ᄉᆡ 無明이 잇고

無明이 熏習眞如故로 則有妄心ᄒᆞ고

無明이 眞如를 熏習ᄒᆞᆯᄉᆡ 妄心이 잇고

妄心이 熏習無明ᄒᆞ야 不了眞如法故로

妄心이 無明을 熏習ᄒᆞ야 眞如法을 아디 몯ᄒᆞᆯᄉᆡ

不覺念起ᄒᆞ야 現妄境界ᄒᆞ고

不覺ㅅ 念이 니러 妄境界ᄅᆞᆯ 나토고

妄境界ㅣ 染法緣故로

忘境界ㅣ 染法의 緣일ᄉᆡ

卽熏習妄心ᄒᆞ야 令其念著ᄒᆞ야 造種種業ᄒᆞ야

곧 妄心을 熏習ᄒᆞ야 그 念ᄒᆞ며 着ᄒᆞ야 種種 業을 지ᅀᅥ

受於一切身心等苦ᄒᆞᄂᆞ니

一切ㅅ 身^과 心과 等엣 苦ᄅᆞᆯ 受케 ᄒᆞᄂᆞ니

故로 勝鬘애 云ᄒᆞ샤ᄃᆡ 不染而染이라 ᄒᆞ시며

그럴ᄉᆡ 勝鬘애 니ᄅᆞ샤ᄃᆡ 染티 아니 호ᄃᆡ 染타 ᄒᆞ시며

法身不增不減經에 云ᄒᆞ샤ᄃᆡ 法身이 流轉五道ᄒᆞᆯ시 名曰衆生이라 ᄒᆞ시며

法身不增不感經에 니ᄅᆞ샤ᄃᆡ 法身이 五道애 흘러 그울 시 일후믈 닐오ᄃᆡ 衆生이라 ᄒᆞ시며

華嚴에 云ᄒᆞ샤ᄃᆡ 心如工畵師等이라

華嚴에 니ᄅᆞ샤ᄃᆡ ᄆᆞᅀᆞ미 工巧ᄒᆞᆫ 畵師 ᄀᆞᆮ다 ᄒᆞ샴 ᄃᆞᆯ히라

淨緣起者ᄂᆞᆫ 論애 云호ᄃᆡ

淨緣 니로ᄆᆞᆫ 論애 닐오ᄃᆡ

以有眞如法故로 熏習無明ᄒᆞ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