家禮諺解 券五

  • 연대: 1632
  • 저자: 신식
  • 출처: 家禮諺解 券五
  • 출판: 홍문각 영인본
  • 최종수정: 2016-01-01

다만 方正ᄒᆞ믈 取ᄒᆞ라

오직 웃 옷스랑 것구로디 말라

乃遷襲奠ᄒᆞ라

이에 襲奠을 옮기라

執事者ㅣ 옴겨 靈座 西南의 두고

새 奠믈 設호믈 기드려

설라 後에 믈읫 奠이 다 이 ᄀᆞᄐᆞ니라

遂小斂ᄒᆞ라

드듸여 小斂ᄒᆞ라

侍者ㅣ 손 싯고 尸신을 들어든 男女ㅣ ᄒᆞᆫ가지로 븓드러 도와

小斂牀 우희 옴기고 몬져 벼개ᄅᆞᆯ 앗고 깁 가힌 옷ᄉᆞᆯ 펴셔 ᄡᅥ 그 머리예 볘오고 인ᄒᆞ야

두 귿ᄐᆞᆯ ᄆᆞ라 ᄡᅥ 두 엇게 뷘 ᄃᆡᄅᆞᆯ 보텸ᄒᆞ고

ᄯᅩ 옷ᄉᆞᆯ ᄆᆞ라 두 다리예 ᄞᅧ셔 반ᄃᆞᆨᄒᆞᄆᆞᆯ 取ᄒᆞ라

그린 後에 나ᄆᆞᆫ 오ᄉᆞ로ᄡᅥ 尸신을 더퍼 외오 녀ᄆᆡ고

골홈 말며 겹니블로ᄡᅥ ᄡᆞ되 絞로ᄡᅥ ᄆᆡ디 말고 그 ᄂᆞᄎᆞ란 덥디 말라

盖 孝子ㅣ 오히려 그 다시 살가 기ᄃᆞ로며

時시로 그 ᄂᆞᄎᆞᆯ 보고쟈 ᄒᆞᆫ 연故ㅣ라

斂ᄒᆞ믈 ᄆᆞᆺ고 각별이 니블로ᄡᅥ 더ᄑᆞ라

主人主婦ㅣ 憑尸哭擗ᄒᆞ라

主人 主婦ㅣ 尸신을 憑ᄒᆞ야 哭ᄒᆞ고 擗ᄒᆞ라

主人ᄂᆞᆫ 西向ᄒᆞ야 尸신ᄅᆞᆯ 憑ᄒᆞ야 哭ᄒᆞ고

가ᄉᆞᆷ 두ᄃᆞ리며 主婦ᄂᆞᆫ 東向ᄒᆞ야 ᄯᅩ ᄀᆞ티 ᄒᆞ라

믈읫 子ㅣ 父母의게ᄂᆞᆫ 憑ᄒᆞ고

父母ㅣ 子의게와 夫ㅣ 妻의게ᄂᆞᆫ 븟잡고

며ᄂᆞ리 싀부모의게ᄂᆞᆫ 받들고

싀부뫼 며ᄂᆞ리게ᄂᆞᆫ 어ᄅᆞᄆᆞᆫ치고

형弟의게ᄂᆞᆫ 븟자블디니

믈읫 憑尸ᄒᆞ기ᄅᆞᆯ 父母ㅣ 몬져 ᄒᆞ고

妻子ㅣ 後에 ᄒᆞ라

袒括髮免髽于別室ᄒᆞ라

袒ᄒᆞ며 括^髮ᄒᆞ며 免ᄒᆞ며 髽호믈 다ᄅᆞᆫ 방의 가 ᄒᆞ라

男子ㅣ 斬衰ᄒᆞ리ᄂᆞᆫ 袒ᄒᆞ고 括髮ᄒᆞ고

齊衰 以下로 同五世祖者의 니ᄅᆞ히 다 다ᄅᆞᆫ 방의 가 袒ᄒᆞ며 免ᄒᆞ고

婦人ᄂᆞᆫ 다ᄅᆞᆫ 방의 가 髽ᄒᆞ라

司馬溫公이 ᄀᆞᆯ오ᄃᆡ

古禮애 袒ᄒᆞᄂᆞᆫ 者ㅣ 다 응당히 ᄉᆞᆯ나게 袒ᄒᆞ고

免ᄒᆞᄂᆞᆫ 者ㅣ 다 응당히 머리터러기 나게 ᄒᆞ더니

이제ᄂᆞᆫ 袒ᄒᆞᄂᆞᆫ 者ㅣ 다ᄆᆞᆫ 웃 오ᄉᆞᆯ 袒ᄒᆞ고

免ᄒᆞᄂᆞᆫ 者ᄂᆞᆫ 오직 主人이 冠티 아니ᄒᆞ고

齊衰 以下ᄂᆞᆫ 帽ᄌᆞ를 업^시 ᄒᆞ고

두건을 쓰고 免포를 그 우희 加호미 ᄯᅩᄒᆞᆫ 可ᄒᆞ니라

婦人이 髽호매도 맛당히 冠梳ᄅᆞᆯ 업시 ᄒᆞᆯ디니라

楊氏 復이 ᄀᆞᆯ오ᄃᆡ

小斂애 變服ᄒᆞᆯ 제

斬衰者는 袒ᄒᆞ며 括髮ᄒᆞ거ᄂᆞᆯ

이제 사ᄅᆞᆷ이 袒ᄒᆞ며 括髮ᄒᆞᄂᆞᆫ ᄒᆞᆫ 節목 업스믄 엇디오

世俗이 襲으로ᄡᅥ 小斂을 삼으믈 인緣ᄒᆞᆫ 故로

이 變服ᄒᆞᄂᆞᆫ ᄒᆞᆫ 節목을 일헌ᄂᆞ니라

禮애 이쇼ᄃᆡ 聞喪ᄒᆞ고 奔喪ᄒᆞᆯ 제

門의 드러 柩 前의 나아가 再拜ᄒᆞ고 哭ᄒᆞ야 盡哀ᄒᆞ고

이에 東方의 나아가 冠과 밋 웃 오^슬 벗고 머리 플고 발 버스믈 초喪 적 녜ᄀᆞ티 ᄒᆞ고

殯소의 나아가 東面ᄒᆞ야 안자 哭ᄒᆞ야 盡哀ᄒᆞ고

ᄯᅩ 이에 東方의 나아가 袒ᄒᆞ며 括髮ᄒᆞ고 ᄯᅩ 哭ᄒᆞ야 盡哀호믈 小斂 적 녜ᄀᆞ티 ᄒᆞ고

이튼날 후의 날마다 朝夕 哭애 오히려 袒ᄒᆞ고 括髮ᄒᆞ얏다가

집의 닐은 四日 만의야 이에 成服ᄒᆞ니

奔喪은 禮의 變이로ᄃᆡ

오히려 그 ᄎᆞ序를 삼가거든

ᄒᆞ믈며 禮의 常애 處ᄒᆞ야 可히 小斂ᄒᆞᆫ ᄆᆞᄃᆡᄅᆞᆯ 업시 ᄒᆞ며

ᄯᅩ 袒ᄒᆞ며 括髮호믈 업시 ᄒᆞ랴

이 곳 孝子 禮를 아ᄂᆞᆫ 者의 맛당^히 삼가 可히 忽티 못ᄒᆞᆯ 배니라

還 遷尸牀于堂中ᄒᆞ라

도로 尸牀을 堂中에 옴기라

執事者ㅣ 襲ᄒᆞ엿던 牀을 설고 尸신을 그 고대 옴기라

哭ᄒᆞᄂᆞᆫ 者ㅣ 位예 도라가 尊長은 안ᄭᅩ 卑幼ᄂᆞᆫ 셔 시라

乃奠ᄒᆞ라

이에 奠ᄒᆞ라

祝이 執事者ᄅᆞᆯ 거ᄂᆞᆯ여 손 싯고

饌믈을 들어 阼階로브터 올라

靈座 前의 니르러 祝ᄋᆡ 焚香ᄒᆞ고

盞 시서 술 브어 奠ᄒᆞ야든

卑幼者ㅣ ^ 다 再拜ᄒᆞ라

侍者ㅣ 巾 더프라

主人以下ㅣ 哭盡哀ᄒᆞ라

主人 以下ㅣ 哭호ᄆᆞᆯ 盡哀ᄒᆞ라

乃代哭不絶聲ᄒᆞ라

이에 서ᄅᆞ ᄀᆞ라 우러 소ᄅᆡᄅᆞᆯ 그치디 말라

大斂

厥明에

그 이ᄐᆞᆫ날

小斂ᄒᆞᆫ 이ᄐᆞᆫ날이니 죽건디 사ᄒᆞᆯ재라

司馬溫公이 ᄀᆞᆯ오ᄃᆡ

禮예 ᄀᆞᆯ오ᄃᆡ

사ᄒᆞᆯ만의 斂호ᄆᆞᆫ 그 다□ 살가 기ᄃᆞ로미니

사ᄒᆞᆯ애 사디 아니면 ᄯᅩᄒᆞᆫ 사디 몯ᄒᆞᆯ 거^시라

故로 사ᄒᆞᆯ로ᄡᅥ 禮ᄅᆞᆯ ᄒᆞ연ᄂᆞ니라

이제 가난ᄒᆞᆫ 者ㅣ 喪具ᄅᆞᆯ 或 쟝만 몯ᄒᆞ거나

或 棺을 漆ᄒᆞ야셔 ᄆᆞᄅᆞ디 몯ᄒᆞ거나 ᄒᆞ면

비록 三日이 디나도 ᄯᅩᄒᆞᆫ 해로오미 업ᄉᆞ니라

世俗이 陰陽 拘忌로ᄡᅥ 날 ᄀᆞᆯᄒᆡ여 斂ᄒᆞ야

盛ᄒᆞᆫ 더위 즈음애 ᄎᆔ汁 나며 고져리 흐ᄅᆞ리 이시매

니르니 엇디 悖려티 아니ᄒᆞ리오

執事者ㅣ 陳大斂衣衾ᄒᆞ라

執事者ㅣ 大斂ᄒᆞᆯ 옷시며 니블을 陳ᄒᆞ라

卓子로ᄡᅥ 堂 東壁 아래 陳ᄒᆞ라

옷시 뎡ᄒᆞᆫ 數ㅣ 업ᄉᆞ니 니블란 소옴 인ᄂᆞ니ᄅᆞᆯ ᄡᅳ라

高氏 ᄀᆞᆯ오ᄃᆡ

大斂의 絞ᄂᆞᆫ 고ᄃᆞᆫ 者ㅣ 서히니

盖 ᄒᆞᆫ 幅 뵈를 取ᄒᆞ야 ᄧᅴ여 세 片을 ᄆᆡᆼ근 거시라

ᄀᆞ른 者ㅣ 다ᄉᆞ시니 盖 뵈 두 幅을 取ᄒᆞ야 ᄠᅥ여 여슷 片을 ᄆᆡᆼ그라 다스슬 ᄡᅳ라

大斂의 오시 만흐모로 ᄡᅦ라

그런 故로 每 幅을 세희 ᄠᆞ려 ᄡᅥ셔 ᄡᅥ곰 堅호미 ᄑᆡᆼᄑᆡᆼᄒᆞ게 호미라

니블이 믈읫 둘히니 ᄒᆞᆫ나흔 덥고 ᄒᆞᆫ나흔 ᄭᆞᆯ디니라

楊氏 復이 ᄀᆞᆯ오ᄃᆡ

儀禮士喪애 大斂오시 三十稱이오

紟은 혠 ᄃᆡ 잇디 아니ᄒᆞ니

반ᄃᆞ시 다 ᄡᅳ디 아닐 거시라 ᄒᆞᆫ 註애 닐오ᄃᆡ

紟은 홋니블이라

小斂 옷 數^는 天子로브터 達ᄒᆞ고 大斂은 곳 다ᄅᆞ니라

大斂 布絞는 고든 者ㅣ 세히오

ᄀᆞᄅᆞᆫ 者ㅣ 다ᄉᆞ시라

設奠具ᄒᆞ라

奠ᄒᆞᆯ 긔具ᄅᆞᆯ 設ᄒᆞ라

小斂적 녜ᄀᆞ티 ᄒᆞ라

擧棺ᄒᆞ야 入 置于堂中少호ᄃᆡ 西ᄒᆞ라

棺을 들어 堂中의 드려 노호ᄃᆡ 져기 西 녁ᄏᆡ ᄒᆞ라

執事者ㅣ 몬져 靈座와 밋 小斂奠을 ᄒᆞᆫ ᄀᆞᄋᆡ 옴겨든

役者ㅣ 棺을 들어ᄡᅥ 드려가 牀西에 노코

두 登으로ᄡᅥ 괴오라

만일 ᄂᆞᄌᆞ니며 져므니어ᄃᆞᆫ

다ᄅᆞᆫ 방의 가 ᄒᆞ라

役者ㅣ 나니거든

侍者ㅣ 몬져 니블을 棺 가온대 노코

그 기ᄉᆞᆰ글 네 밧긔 드리워 두라

司馬溫公이 ᄀᆞᆯ오ᄃᆡ

周사ᄅᆞᆷ이 西階 우희 殯ᄒᆞ더니

이제ᄂᆞᆫ 堂室制되 다ᄅᆞ고

或 좁고 쟈근 故로

다ᄆᆞᆫ 堂中에 져기 西 녁ᄏᆡ ᄒᆞᆯ ᄯᆞᄅᆞ미라

이제 世俗이 뎌ᄅᆡ다가 殯소ᄒᆞ리 만하 사ᄅᆞᆷ이 디ᄏᆡ여 보리 업고

往往 애ᄒᆡᄃᆞᆯ이 利티 아니타 호므로ᄡᅥ 數十年 넘도록 葬티 아니ᄒᆞ야

或 盜賊의 헤틴 배 되고

或 즁의 내여ᄇᆞ린 배 되니

不孝ᄒᆞᆫ 罪 뉘 이에셔 크리오

乃大斂ᄒᆞ라

이에 大斂ᄒᆞ라

侍者ㅣ 子孫 婦女로 더브러 다 손 싯고 머리ᄅᆞᆯ ᄀᆞ리오며 ᄆᆡᆺ기 ᄆᆡ고

ᄒᆞᆫ가지로 尸신을 들어 棺中에 녀코

살아실 제 ᄠᅥ러딘 바 니며 머리ᄏᆞ락이며 밋 버혓던 바 손돕 발돕을 棺 모ᄒᆡ 몌오고

ᄯᅩ 그 뷘 ᄃᆡᄅᆞᆯ 혜아려 오ᄉᆞᆯ ᄆᆞ라 몌워

힘ᄡᅥ ᄒᆡ여곰 充實케 ᄒᆞ야 搖動티 몯게 ᄒᆞ고

삼가 金玉이며 보ᄇᆡ옛 거스로ᄡᅥ 棺中에 두어

盜賊의 ᄆᆞᄋᆞᆷ을 내 혀게 말라

니블을 거두워 몬져 발을 덥고 버거 머리 덥고 버거 左ᄅᆞᆯ 덥고 버거 右ᄅᆞᆯ 더퍼

棺中으로 ᄒᆡ여곰 平히 ᄀᆞᄃᆞᆨ게 ᄒᆞ라

主人 主^婦ㅣ 憑ᄒᆞ야 哭호믈 盡哀ᄒᆞ고

婦人이 믈너나 댱 안희 들거든

이에 匠인을 블러 텬盖ᄅᆞᆯ 덥고 못 박고 牀을 서럿고 관을 구衣로ᄡᅥ 더ᄑᆞ라

祝이 銘旌을 가져다가 柩의 東 녁ᄏᆡ 틀 바가 셰오고

다시 靈座ᄅᆞᆯ 녯 고대 設ᄒᆞ고

婦人 둘흘 留ᄒᆞ야 디ᄏᆡ오라

司馬溫公이 ᄀᆞᆯ오ᄃᆡ

믈읫 尸신을 動ᄒᆞ며 棺을 들 제 哭擗ᄒᆞ기ᄅᆞᆯ 수업시 ᄒᆞᆯ디나

그러나 殯ᄒᆞ며 斂ᄒᆞᆯ 즈음애 ᄯᅩᄒᆞᆫ 맛당히 우ᄅᆞᆷ을 그치고

臨ᄒᆞ야 보아 힘ᄡᅥ ᄒᆡ야곰 편安ᄒᆞ고 굳게 홀디니

可히 다만 울만ᄒᆞ디 말디니라

按호니 녜ᄂᆞᆫ 大斂ᄒᆞ고 셩^殯ᄒᆞ니 임의 大斂ᄒᆞ면 벽으로 ᄊᆞ고 ᄇᆞᄅᆞ더니

이제ᄂᆞᆫ 或 棺漆ᄒᆞ야 ᄆᆞᄅᆞ디 아녓거나

ᄯᅩ 南方의 ᄒᆞᆰ기 가야미 만ᄒᆞ니

可히 ᄒᆞᆰ ᄇᆞᆯ라 殯소 몯ᄒᆞᆯ 거신 故로

그 便호믈 좃노라

設靈牀於柩東ᄒᆞ라

靈牀을 柩 東 녁ᄏᆡ 設ᄒᆞ라

牀이며 帳이며 薦席이며 屛풍이며 벼개며 옷시며 니블 류ᄅᆞᆯ 다 사라신 적ᄀᆞ티ᄒᆞ라

乃設奠ᄒᆞ라

이에 奠을 設ᄒᆞ라

小斂 적 녜ᄀᆞ티 ᄒᆞ라

主人以下ㅣ 各歸喪次ᄒᆞ라

主人 以下ㅣ 각각 喪次애 도라가라

中門 밧긔 朴陋ᄒᆞᆫ 방을 ᄀᆞᆯᄒᆡ여 丈夫의 喪次ᄅᆞᆯ ᄆᆞᆫᄃᆞᆯ고

斬衰ᄒᆞ리ᄂᆞᆫ 거적의 자고 ᄒᆞᆰ 덩이 볘고 슈姪이며 요帶ᄅᆞᆯ 벋디 말고

사ᄅᆞᆷ과 더브러 안ᄯᅵ 말며

時시로 母의게 뵈올 적 아니어든

中門에 밋디 말라

齊衰ᄒᆞ리ᄂᆞᆫ 돗긔 자고 大功 以下 다리셔 사ᄂᆞ니ᄂᆞᆫ 임의 殯소ᄒᆞ야든

도라가 밧긔 이셔 자며 석 ᄃᆞᆯ 만의야 寢실의 도로 들라

婦人ᄂᆞᆫ 中門 안ᄒᆡ 別室에 上次ᄅᆞᆯ ᄒᆞ거나

或 殯소 겻ᄐᆡ 이쇼ᄃᆡ 즘댱^이며 니블 褥ᄒᆡ 華麗ᄒᆞᆫ 거ᄉᆞᆯ 업시 ᄒᆞ고

시러곰 男子의 喪次애 믄득 니ᄅᆞ디 말라

止代哭者ᄒᆞ라

서ᄅᆞ ᄀᆞ라 우ᄂᆞᆫ 者ᄅᆞᆯ 그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