分類杜工部詩卷之三

  • 연대: 1632
  • 저자: 柳允謙 등(초간본), 미상(중간본)
  • 출처: 重刊杜詩諺解 一
  • 출판: 以會文化社
  • 최종수정: 2015-01-01

ᄀᆞᄅᆞᄆᆞᆫ 神女舘ᄋᆞ로 ᄉᆞᄆᆞ차 흐르고 @ ᄯᅡᄒᆞᆫ 望鄕臺ᄅᆞᆯ ᄉᆞ이 ᄒᆞ얏도다

漸惜容顔老 無由弟妹來

漸漸 ᄂᆞᄎᆡ 늘거가믈 슬허ᄒᆞ노니 @ 아ᄋᆞ와 누의왜 올 젼ᄎᆡ 업도다

兵戈與人事 廻首一悲哀

兵戈와 다ᄆᆞᆺ 사ᄅᆞᄆᆡ 이레 @ 머리 도ᄅᆞ혀 ᄇᆞ라아셔 ᄒᆞᆫ 번 슬허ᄒᆞ노라

即事

天畔群山孤草亭 江中風浪雨冥冥

하ᄂᆞᆳ ᄀᆞᆺ 한 뫼해 ^ 외로온 플로 니욘 亭子ᅵ로소니 @ ᄀᆞᄅᆞᇝ 가온ᄃᆡ ᄇᆞᄅᆞᆷ 부ᄂᆞᆫ 믌겨레 비 아ᄃᆡᆨ아ᄃᆞᆨ히 오놋다

魚不可得이며 柑不可食ᄒᆞ니 其蕭索ᄋᆞᆫ 可知로다

一雙白魚不受釣 三寸黃柑猶自靑

ᄒᆞᆫ 雙ᄉ ᄒᆡᆫ 고기ᄂᆞᆫ 낙슬 므디 아니코 @ 세 寸ᄉ 누른 柑子ᄂᆞᆫ 오히려 제 프르렛도다

馬卿ᄋᆞᆫ 司馬長卿이니 甫ㅣ 自比長卿阮籍ᄒᆞ니라

多病馬卿無日起 窮途阮籍幾時醒

病 한 馬卿이 닐 나리 업스니 @ 窮ᄒᆞᆫ 길헤 阮籍ᄋᆞᆫ 어느 ᄡᅴ ᄭᆡ려뇨

此ᄂᆞᆫ 甫ㅣ 言盜賊이 未平ᄒᆞ며 干戈ㅣ 未息ᄒᆞᆯᄉᆡ 望秦州故郷而斷膓也ㅣ라

未聞細柳散金甲 腸斷秦州流濁涇

細柳營에 金甲 흐토ᄆᆞᆯ 듣디 몯ᄒᆞ리로소니 @ 秦州에 흐린 涇水 흐^르ᄂᆞᆫ ᄯᅡ해 애ᄅᆞᆯ 긋노라

此篇ᄋᆞᆫ 思長安而作이라

峽中覽物

椽吏ᄋᆞᆫ 甫ㅣ 爲華州功曹也ㅣ라

曾爲掾吏趍三輔 憶在潼關詩興多

일즉 椽吏 ᄃᆞ외야 三輔애 가 ᄃᆞᆫ뇨니 @ 潼關애 이셔 詩興이 하던 이ᄅᆞᆯ 思憶ᄒᆞ노라

三輔潼關華嶽黃河ᄂᆞᆫ 皆在長安ᄒᆞ니 甫ㅣ 思故郷ᄒᆞ야 在蜀而想望故로 見巫峽蜀江ᄒᆞ고 如見華嶽黃河也ㅣ라

巫峽忽如瞻華嶽 蜀江猶似見黃河

巫峽ᄋᆞᆯ 믄득 華嶽 보ᄂᆞᆫ ᄃᆞᆺ 녀기며 @ 蜀江ᄋᆞᆯ 오히려 黃河 보ᄂᆞᆫ ᄃᆞᆺᄒᆞ노라

移衾枕은 言在舟得病ᄒᆞ야 移衾枕於洞口之居ㅣ니라

舟中得病移衾枕 洞口經春長薜蘿

ᄇᆡᆺ 가온ᄃᆡ셔 病을 어더 니블와 벼개와ᄅᆞᆯ 옮겨 오고 @ 곬 이페셔 보ᄆᆞᆯ 디내요니 薛蘿ㅣ 기놋다

夔蜀이 雖有形勝이나 風土ㅣ 不類中原故로 甫ㅣ 望故郷而歌詠也ㅣ라

形勝有餘風土惡 幾時回首一長歌

形勢의 죠호미 하나 風土ᅵ 모디니 @ 몃 ᄢᅳᆯ 머리 도ᄅᆞ혀 ᄇᆞ라고 ᄒᆞᆫ 번 기리 놀애ᄅᆞᆯ 브르가니오

玼ᄂᆞᆫ 音泚ㅣ니 石之似玉者也ㅣ라

憶鄭南玼

伏毒寺ㅣ 在華州鄭南縣江水中ᄒᆞ니라

鄭南伏毒寺 瀟洒到江心

鄭南애 伏毒 뎌리 @ 瀟洒히 ᄀᆞᄅᆞᇝ 가온ᄃᆡ 니르렛ᄂᆞ니라

石ᄋᆞᆫ 即玼ㅣ니 在寺閣下ᄒᆞ야 閣影ㅣ 倒照而銜之니라 帶玉琴은 言泉聲이 如琴響이라

石影銜珠閣 泉聲帶玉琴

돌햇 그르메ᄂᆞᆫ 구슬로 혼 지블 머게고 @ 믌소리ᄂᆞᆫ 玉琴을 ᄯᅴ 찻ᄂᆞᆫ ᄃᆞᆺᄒᆞ니라

風杉曾曙倚 雲橋憶春臨

ᄇᆞᄅᆞᆷ 부ᄂᆞᆫ 杉木애 일즉 새배 지요니 @ 구롬 ᄭᅵᆫ 뫼해 보ᄆᆡ 臨觀호ᄆᆞᆯ 思憶ᄒᆞ노라

蒼茫ᄋᆞᆫ 本作滄浪ᄒᆞ니 言滄浪之水에 龍蛇ㅣ 深藏이라 不如鄭南江心之可到ㅣ니라

萬里蒼茫水 龍蛇只自深

萬里ᄉ 아ᄋᆞ라ᄒᆞᆫ 므레 @ 龍과 ᄇᆡ얌괘 오직 제 기피 드렛ᄂᆞ니라

懷灞上遊

東陵灞水ᄂᆞᆫ 皆在長安이라

悵望東陵道 平生灞上遊

東陵ᄉ 길흘 슬허셔 ᄇᆞ라노니 @ 平生애 灞水ᄉ 우희셔 노다라

此ᄂᆞᆫ 言昔日之事ᄒᆞ다

春濃停野騎 夜宿敞雲樓

보ᇝ비치 둗겁거든 ᄆᆡ해 가 ᄐᆞᆫ ᄆᆞᆯᄅᆞᆯ 머믈오고 @ 바ᄆᆡ 자니 구룸 ᄭᅵᆫ 樓ᅵ 훤ᄒᆞ더라

言昔日同逰者ㅣ 今誰ㅣ 復在오 我則已老ㅣ라 未能反歸也ㅣ니라

別離人誰在 經過老自休

여희요매 사ᄅᆞ미 뉘 잇ᄂᆞ니오 @ 디나가ᄆᆞᆯ 늘거 내 말와라

眼前今古意 江漢一歸舟

누ᇇ 알ᄑᆡ 보논 이제와 녜왓 ᄠᅳ드로 @ 江漢애 ᄒᆞᆫ 가ᄂᆞᆫ ᄇᆡᄅᆞᆯ 탓노라

江上

蕭蕭ᄂᆞᆫ 風聲이라

江上日多雨 蕭蕭荊楚秋

ᄀᆞᄅᆞᇝ 우희 날마다 비 하 오니 @ 蕭蕭ᄒᆞᆫ 荊楚ᄉ ᄀᆞᄋᆞᆯ히로다

高風下木葉 永夜攬貂裘

노ᄑᆞᆫ ᄇᆞᄅᆞ매 나못니피 ᄂᆞ리ᄂᆞ니 @ 긴 바ᄆᆡ 貂裘ᄅᆞᆯ 자보라

此ᄂᆞᆫ 言勲業ᄋᆞᆯ 未立而看鏡은 所以惜其老이오 行藏ᄋᆞᆯ 未定而倚樓ᄂᆞᆫ 所以致其思ㅣ라

勲業頻看鏡 行藏獨倚樓

功業으란 ᄌᆞ조 거우ᄅᆞᆯ 보노니 @ 行커나 藏커나 호매 ᄒᆞ올로 樓ᄅᆞᆯ 지혓노라

時危思報主 衰謝不能休

時節이 危難ᄒᆞᆫ 저긔 님그ᇝ 恩私ᄅᆞᆯ 갑ᄉᆞᆸ고져 ᄉᆞ랑ᄒᆞ야 @ 늘거도 能히 마디 못ᄒᆞ노라

江漢

腐儒ᄂᆞᆫ 言但守陳腐之見이오 不達時宜也ㅣ라

江漢思歸客 乾坤一腐儒

江漢애셔 가고져 ᄉᆞ랑ᄒᆞᄂᆞᆫ 나그내여 @ 하ᄂᆞᆯ ᄯᅡ ᄉᆞ이예 ᄒᆞᆫ 서근 션ᄇᆡ로라

片雲天共遠 永夜月同孤

片片인 구루미 하ᄂᆞᆯ콰 다ᄆᆞᆺ 머니 @ 긴 바ᄆᆡ ᄃᆞᆯ와 ᄒᆞᆫ가지로 외로이 이쇼라

落日心猶壯 秋風病欲蘇

디ᄂᆞᆫ ᄒᆡ예 ᄆᆞᄋᆞᄆᆞᆫ 오히려 健壯ᄒᆞ니 @ ᄀᆞᄋᆞᆳ ᄇᆞᄅᆞᆷ매 病ᄋᆞᆫ 됴ᄒᆞᆯ ᄃᆞᆺ도다

齊桓公이 伐孤竹ᄒᆞ다가 迷歸路ᄒᆞ야 放老馬而隨之ᄒᆞ니 此ᄂᆞᆫ 甫ㅣ 自比ᄒᆞ야 言雖老而猶可用이어ᄂᆞᆯ 恨朝廷之棄捐也ㅣ라

古來存老馬 不必取長途

녜로 오매 늘근 ᄆᆞᄅᆞᆯ 두ᄆᆞᆫ @ 구틔여 긴 길ᄒᆞᆯ 取호미 아니니라

垂白

馮唐宋玉ᄋᆞᆫ 甫ㅣ 自比ᄒᆞ다

垂白馮唐老 淸秋宋玉悲

션 머리 드린 馮唐이 늜고 @ ᄆᆞᆯᄀᆞᆫ ᄀᆞᄋᆞᆯᄒᆞᆯ 宋玉이 슬놋다

江喧長少睡 樓逈獨移時

ᄀᆞᄅᆞᇝ 소리 수으니 기리 조오로미 젹고 @ 樓ᅵ 아ᄋᆞ라ᄒᆞ니 ᄒᆞ올로 時ᅵ 옮ᄃᆞ록 이쇼라

多難身何補 無家病不辭

患難이 하매 내 모미 므슷 이ᄅᆞᆯ 기오리오 @ 지비 업스니 病을 마디 못ᄒᆞ리로다

中山之酒ᄅᆞᆯ 飮者ㅣ 天日乃醒ᄒᆞ고 曹子建作七哀詩ᄒᆞ니 此ᄂᆞᆫ 言但欲飮酒이오 不欲動哀思也ㅣ라

甘從千日醉 未許七哀詩

즈믄 날 醉홈 조초ᄆᆞ란 ᄃᆞᆯ히 너기고 @ 七哀詩 지오^ᄆᆞ란 許티 아니ᄒᆞ노라

秋峽

江濤萬古峽 肺氣久衰翁

ᄀᆞᄅᆞ맷 믉결 잇ᄂᆞᆫ 萬古ᄉ 峽에 @ 肺病ᄒᆞᆫ 오래 衰ᄒᆞᆫ 老翁이로다

親狎楚童ᄋᆞᆫ 所以保全其生也ㅣ라

不寐防巴虎 全生狎楚童

자디 아니ᄒᆞ야 巴山ᄉ 버믈 막ᄌᆞᄅᆞ고 @ 사라쇼ᄆᆞᆯ 保全호리라 ᄒᆞ야 楚ᄉ 아ᄒᆡᄅᆞᆯ 親狎히 ᄒᆞ노라

衣裳垂素髮 門巷落丹楓

옷 ᄀᆞ외옌 ᄒᆡᆫ 머릿터리 드리엣고 @ 門과 굴헝엔 丹楓ᄉ 니피 든놋다

此ᄂᆞᆫ 用四皓ᄋᆡ 轉漢恵事ᄒᆞ니 甫ㅣ 亦有志於輔國也ㅣ^라

常怪商山老 兼存翊贊功

샤ᇰ녜 商山ᄉ 늘그ᄂᆡ @ 님금 돕ᄂᆞᆫ 功ᄋᆞᆯ 兼ᄒᆞ야 두쇼ᄆᆞᆯ 怪異히 너기노라

獨坐二首

雙崖ᄂᆞᆫ 瞿塘兩崖也ㅣ라

竟日雨冥冥 雙崖洗更靑

나리 ᄆᆞᆺᄃᆞ록 비 아ᄃᆞᆨ아ᄃᆞᆨ 오ᄂᆞ니 @ 두 비레 시스니 가ᄉᆡ야 프르도다

水花寒落岸 山鳥暮過庭

므렛 고ᄌᆞᆫ 서늘ᄒᆞᆫ 저긔 두들게 듯고 @ 뫼햇 새ᄂᆞᆫ 나조ᄒᆡ ᄯᅳᆯ흐로 디나가놋다

煖老ᄂᆞᆫ 八十에 非人不煖이니라 燕玉ᄋᆞᆫ 燕之羙人이 如玉也ㅣ라 楚萍ᄋᆞᆫ 楚昭王이 渡江得萍實如斗ᄒᆞ니 剖可食이라

煖老須燕玉 充饑憶楚萍

늘근 몸 덥게 호ᄆᆞ란 燕ᄉ 玉 ᄀᆞᄐᆞᆫ 겨지블 求ᄒᆞ고 @ 주으륨 充實케 호ᄆᆞ란 ^ 楚ᄉ 말와ᄆᆞᆯ ᄉᆞ랑ᄒᆞ노라

胡笳在樓上 哀怨不堪聽

되ᄋᆡ 픗뎨 樓ᄉ 우희 잇ᄂᆞ니 @ 슬프며 怨望ᄃᆞ외야 드럼직디 아니ᄒᆞ도다

白狗黃牛ᄂᆞᆫ 皆峽名이라

白狗斜臨北 黃牛更在東

白狗ᅵ 비스기 北녀긔 臨ᄒᆞ얏고 @ 黃牛ᅵ ᄯᅩ 東녀긔 잇도다

峽雲常照夜 江日會兼風

峽엣 구루믄 長常 바ᄆᆡ 비최옛고 @ ᄀᆞᄅᆞ맷 ᄒᆡᄂᆞᆫ 마초아 ᄇᆞᄅᆞᆷ과 兼ᄒᆞ얏도다

貯藥ᄒᆞ야 醫治老人ᄒᆞ고 使小童ᄒᆞ야 應接賓客也ㅣ라

曬藥安垂老 應門試小童

藥ᄋᆞᆯ ᄆᆞᆯ와 늘구메 다ᄃᆞ렛ᄂᆞᆫ 모ᄆᆞᆯ 便安케 ᄒᆞ고 @ 門에셔 사ᄅᆞᆷ 對答ᄒᆞ리란 져근 아ᄒᆡᄅᆞᆯ ᄡᅥ ᄒᆞ노라

亦知行不逮 苦恨耳多聾

ᄯᅩ 내 所行이 ᄂᆞᆷ 밋디 못ᄒᆞᆯ 고ᄃᆞᆯ 아노니 @ 甚히 귀머구믈 슬허ᄒᆞ노라

覽鏡呈栢中丞

終南山ᄋᆞᆫ 在長安ᄒᆞ니라 日邊ᄋᆞᆫ 言帝都ㅣ라

渭水流關內 終南在日邊

渭水ᄂᆞᆫ 關內예셔 흐르고 @ 終南ᄋᆞᆫ ᄒᆡᆺ ᄀᆞᄋᆡ 잇ᄂᆞ니라

豺虎犬羊ᄋᆞᆫ 皆指盜賊ᄒᆞ니 思長安之亂而傷之也ㅣ라

膽銷豺虎窟 淚入犬羊天

애ᄅᆞᆯ 豺虎 잇ᄂᆞᆫ 굼긔 ᄉᆞᆯ오 @ 눈믈란 犬羊 잇ᄂᆞᆫ 하ᄂᆞᆯ해 드리 흘리노라

凢仕者ㅣ 必早起ᄒᆞᄂᆞ니 起晩則不堪從事이오 仙者ᄂᆞᆫ 身輕ᄒᆞ니 老而行遲則更覺爲非仙이니라

起晩堪從事 行遲更學仙

니로미 늣거니 이ᄅᆞᆯ 조참직ᄒᆞ리아 ^ @ 녀미 더듸니 가ᄉᆡ야 仙人이 이런가 아노라

故人ᄋᆞᆫ 指中丞이라

鏡中衰謝色 萬一故人憐

거우룻 가온ᄃᆡᆺ 늘근 顔色ᄋᆞᆯ @ 萬一에 故人이 어엿비 너기라

東屯北崦

誅求ᄂᆞᆫ 謂取歛이라 東屯이 非故郷일ᄉᆡ 異俗이라 ᄒᆞ다

盜賊浮生困 誅求異俗貧

盜賊 서리예 ᄠᅳᆫ 人生 잇브니 @ 誅求에 異俗이 가난ᄒᆞ도다

此ᄂᆞᆫ 言亂離예 閭里無人也ㅣ라

空村唯見鳥 落日未逢人

뷘 ᄆᆞᄋᆞᆯ핸 오직 새ᄅᆞᆯ 보고 @ 디ᄂᆞᆫ ᄒᆡ옌 사ᄅᆞᆷᄆᆞᆯ 맛나디 못ᄒᆞ리로다

步壑風吹面 看松露滴身

묏고래 건노니 ᄇᆞᄅᆞ미 ᄂᆞᄎᆞᆯ 불오 @ 소ᄅᆞᆯ 보니 이스리 모매 ᄠᅳᆮ듣놋다

遠山廻白首 戰地有黃塵

먼 뫼해셔 셴 머리ᄅᆞᆯ 도ᄅᆞ혀 ᄇᆞ라니 @ 사호ᄂᆞᆫ ᄯᅡ해 누른 드트리 잇도다

有歎

壯心久零落 白首寄人間

健壯ᄒᆞᆫ ᄆᆞᄋᆞ미 ᄠᅥ러디건 디 오라니 @ 셴 머리로 人間애 브텟노라

江東客ᄋᆞᆫ 甫ㅣ니 此ᄂᆞᆫ 歎未還郷也ㅣ라

天下兵常鬪 江東客未還

天下애 兵馬ᅵ 샤ᇰ녜 사호ᄂᆞ니 @ 江東앳 나그내 도라가디 몯ᄒᆞ얏노라

此ᄂᆞᆫ 甫ㅣ 皆自^況ᄒᆞ다

窮猿號雨雪 老馬望關山

窮困ᄒᆞᆫ 나비 눈 비예셔 우ᄂᆞ니 @ 늘근 ᄆᆞᄅᆞᆫ 關山ᄋᆞᆯ ᄇᆞ라ᄂᆞ다

此ᄂᆞᆫ 追念盛時也ㅣ라

武德開元際 蒼生豈重攀

武德과 開元ᄉ ᄉᆞ이ᄅᆞᆯ @ 蒼生은 어느 다시 더위 자ᄇᆞ리오

瘴癘浮三蜀 風雲暗百蠻

더운 모딘 氣運이 三蜀애 ᄠᅦᆺ고 @ 風雲이 百蠻ᄉ ᄯᅡ해 어드웻도다

卷簾唯白水 隱几亦靑山

바ᄅᆞᆯ 거두니 오직 ᄒᆡᆫ 므리오 @ 几ᄅᆞᆯ 비겨쇼니 ᄯᅩ 프른 뫼히로다

此四句ᄂᆞᆫ 言所見이 但白水靑山이오 捷猿輕鷗可悅之物은 又不^得見ᄒᆞ니 皆爲悶之意라

猿捷長難見 鷗輕故不還

나ᄇᆡ ᄲᆞᆯ로ᄆᆞᆯ 長常 보미 어렵도소니 @ ᄀᆞᆯ며긔 가ᄇᆡ야옴도 부러 도라오지 아니ᄒᆞᄂᆞ다

上句ᄂᆞᆫ 無可柰何之意라

無錢從滯客 有鏡巧催顔

도니 업슬ᄉᆡ 나그내로 머므러쇼믈 므더니 너기노니 @ 잇ᄂᆞᆫ 거우뤼 工巧히 늙ᄂᆞᆫ ᄂᆞᄎᆞᆯ 뵈아ᄂᆞ다

獨坐

悲秋回白首 倚杖背孤城

ᄀᆞᄋᆞᆯᄒᆞᆯ 슬허 셴 머리ᄅᆞᆯ 도ᄅᆞ혀 ᄇᆞ라고 @ 막대ᄅᆞᆯ 지혀 외로왼 자ᄉᆞᆯ 도라 셔쇼라

秋天이 澄淸故로 云虛ㅣ라

江斂洲渚出 天虛風物淸

ᄀᆞᄅᆞ미 가ᄃᆞ니 믌 ᄀᆞ이 나고 @ 하ᄂᆞᆯ히 뷔니 風物이 ᄆᆞᆰ^도다

服ᄋᆞᆫ 行也ㅣ라 朱紱ᄋᆞᆫ 甫ㅣ 爲尙書郞ᄒᆞ야 但受賜緋而老不見用故로 云負平生이니라

滄溟服衰謝 朱紱負平生

滄溟에 늘구메 와 ᄃᆞᆫ니노니 @ 朱紱로 平生ᄋᆞᆯ 져ᄇᆞ리과라

甫ㅣ 久客他郷故로 羨鳥之得所止也ㅣ라

仰羨黃昏鳥 投林羽翮輕

어으르메 새 @ 수플로 가매 ᄂᆞᆯ개 가ᄇᆡ야오ᄆᆞᆯ 울어러 브러 보노라

暮歸

霜黃碧梧白鶴棲 城上擊柝復烏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