馬經抄集諺解

  • 연대: 미상
  • 저자: 李曙
  • 출처: 馬經抄集諺解上
  • 출판: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종수정: 2016-01-01

포경을 알코 ᄇᆡ 울고 ᄯᅩᆼ을 즈츼면 ᄂᆡᆼ긔로 알코

急起急臥ᄒᆞ면 脾經痛이니라

급피 닐고 급피 누으면 비경을 알홈이라 ᄆᆡᆨ과

脈色은 左脈中沉而濇ᄒᆞ고 臥蠺唇舌如綿ᄒᆞᄂᆞ니라

ᄉᆡᆨ은 좌ᄆᆡᆨ이 듕팀ᄒᆞ여 ᄉᆡᆨᄒᆞ고 와ᄌᆞᆷ과 입시울히 소옴 ᄀᆞᆺᄂᆞ니라

針四蹄頭血三江大脈血ᄒᆞ고

ᄉᆞ뎨두혈과 삼강대ᄆᆡᆨ혈을 침 주고

寒夜에 休拴冷䖏冷水忌之ᄒᆞ라

ᄎᆞᆫ 밤의 ᄎᆞᆫ 고대 ᄆᆡ디 말고 ᄎᆞᆫ 믈을 금긔ᄒᆞ라

橘皮散은 治馬傷水膓痛起臥病이니라

귤피산은 ᄆᆞᆯ이 믈로 샹ᄒᆞ여 챵ᄌᆞᄅᆞᆯ 알하 눕니ᄂᆞᆫ 병을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蔥三枝과 飛塩三銭과

우ᄅᆞᆯ ᄀᆞᆯᄋ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애 두 냥을 파 세 가지과

苦酒一升에 同煎

ᄀᆞᄂᆞᆫ 소곰 서 돈과 됴ᄒᆞᆫ 술 ᄒᆞᆫ 되예 ᄒᆞᆫ가지로

三五沸ᄒᆞ야 溫灌之ᄒᆞ라

세 다ᄉᆞᆺ 소솜을 달혀 ᄃᆞᄉᆞ히 ᄒᆞ야 흘리라

大膓痛이어든 去白芷加蒼術木通ᄒᆞ고

대댱을 알커든 ᄇᆡᆨ지를 업시 ᄒᆞ고 창튤과 목통을 더ᄋᆞ고

小膓痛이어든 加吳茱萸蒼術ᄒᆞ고

쇼댱을 알커든 오슈유와 창튤을 더ᄋᆞ고

胞經痛이어든 去茴香加木通枳殻茵

포경을 알커든 회향을 업시 ᄒᆞ고 목통과 기각과 인딘과

陳滑石ᄒᆞ고

활셕을 더ᄋᆞ고

冷氣痛이어든 加皂角艾葉ᄒᆞ고

ᄂᆡᆼ긔로 알커든 조각과 애엽을 더ᄋᆞ고

脾經痛이어든 減茴香加白術甘草ᄒᆞ라

비경을 알커든 회향을 덜고 ᄇᆡᆨ튤과 감초ᄅᆞᆯ 더ᄋᆞ라

馬患脾氣痛이라

脾氣痛者ᄂᆞᆫ 胃氣痛也니

비긔통은 위긔로 알홈이니

皆因羸瘦애 外感內傷ᄒᆞ며

다 여외매 밧ᄭᅳ로 감ᄒᆞ여 안히 샹ᄒᆞ며 들으ᄒᆡ 노하

野放淋雨ᄒᆞ며 夜露風霜ᄒᆞ여

댱마비 마치며 밤의 ᄇᆞᄅᆞᆷ과 서리ᄂᆞᆯ 맛치며

空腸애 飮水太過ᄒᆞ야

공댱애 믈 머기기ᄅᆞᆯ 너모 넘^게 홈을 인ᄒᆞ야

傷於脾經ᄒᆞ야 胃火微弱ᄒᆞ야 氣不升降而痛也라

비경이 샹ᄒᆞ야 위홰 미약ᄒᆞ야 긔운이 오ᄅᆞᄂᆞ리디 못ᄒᆞ야 알홈이라

令獸로 褰唇似笑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입슈울을 겨두혀 운ᄂᆞᆫ ᄃᆞᆺᄒᆞ며

泄瀉膓鳴ᄒᆞ며 擺頭打尾ᄒᆞ며 臥地舒腰ᄒᆞᄂᆞ니

즈츼고 ᄇᆡ 울며 머리ᄅᆞᆯ ᄯᅥᆯ고 초리ᄅᆞᆯ 티며 ᄯᅡᄒᆡ 누어 허리ᄅᆞᆯ 펴ᄂᆞ니

此謂脾胃冷傷之癥也니 健脾散으로 灌之ᄒᆞ고 火針脾腧穴ᄒᆞ라

이ᄂᆞᆫ 비위 ᄂᆡᆼ샹ᄒᆞᆫ 증이니 건비산을 흘리고 비유혈을 화침ᄒᆞ라

脈色은 雙鳬遲細ᄒᆞ고 口色如綿ᄒᆞᄂᆞ니

ᄆᆡᆨ과 빗ᄎᆞᆫ ᄡᅡᆼ부 디ᄒᆞ며 ᄀᆞᄂᆞᆯ고 입 빗치 소옴 ᄀᆞᆺᄐᆞ니라

調理ᄂᆞᆫ 不住牽行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머무로디 말고 잇ᄭᅳ러 ᄃᆞᆫ니며

背上애 毯屜撘之ᄒᆞ고 寒夜의 休拴冷䖏當日冷水避之ᄒᆞ라

등 우ᄒᆡ 엇치ᄅᆞᆯ ᄆᆡ고 ᄎᆞᆫ 밤의 ᄂᆡᆼᄒᆞᆫ 고대 ᄆᆡ디 말며 그 날 ᄂᆡᆼ슈ᄅᆞᆯ 피ᄒᆞ라

健脾散은 治馬脾氣痛이라

건비산은 ᄆᆞᆯ의 비긔통을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薑三片

우ᄅᆞᆯ 말ᄒᆞ야 ᄆᆡ 복 두 냥을 ᄉᆡᆼ강 세 편과

塩一捻酒一升애 煎三沸ᄒᆞ야 揚去

소곰 ᄒᆞᆫ 쟈봄과 술 ᄒᆞᆫ 되애 세 소솜 달혀

火氣ᄒᆞ고 帶熱灌之ᄒᆞ라

화긔ᄅᆞᆯ 부처내고 열을 ᄃᆡᄒᆞ여 흘리라

馬患胃冷吐涎이라

胃冷者ᄂᆞᆫ 皆因久渴失飲冷水過多ᄒᆞ며

비위 ᄂᆡᆼ홈은 다 오^래 목 ᄆᆞᄅᆞᆯ 제 믈을 그릇 먹겨 ᄂᆡᆼ슈를 너모 하게 ᄒᆞ며

或放於霖雨中或栓於霜露下ᄒᆞ야

혹 님우 ᄭᅡ온ᄃᆡ 노ᄒᆞ며 혹 상노 아래 ᄆᆡ믈 인ᄒᆞ여

冷氣侵入肌肉ᄒᆞ여 傳入脾經ᄒᆞ여 脾胃合冷이니

ᄂᆡᆼᄒᆞᆫ 긔운이 ᄉᆞᆯ해 침노ᄒᆞ여 비경의 뎐ᄒᆞ여 드러 비과 위예 ᄂᆡᆼ이 합홈이니

令獸로 渾身彂顫ᄒᆞ며 口吐清涎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온 몸을 ᄠᅥᆯ며 입으로 ᄆᆞᆯ근 춤을 비왓ᄐᆞ며

鼻寒耳이 冷膁吊毛焦ᄒᆞᄂᆞ니

코와 귀과 ᄎᆞ며 녑구리 거두혀고 터럭이 ᄇᆞ스ᄉᆞᄒᆞᄂᆞ니

此謂脾胃冷傷之癥也니 健脾散灌之ᄒᆞ라

이 닐온 비위ᄂᆡᆼ으로 샹ᄒᆞᆫ 증이니 건비산으로 흘리라

凡馬心經애 伏熱ᄒᆞ야 舌上生瘡ᄒᆞ야

믈읫 ᄆᆞᆯ이 심경이 열이 복ᄒᆞ야

口內垂涎者이

혀 우희 창이 나 입 안희 춤을 흘리ᄂᆞᆫ 쟈이

輿此癥으로 相似ᄒᆞ니 辨而治之ᄒᆞ라

이 증으로 더브러 서르 ᄀᆞᆺᄐᆞ니 ᄀᆞᆯᄒᆡ여 다ᄉᆞ리라

火針脾腧穴ᄒᆞ고 脈色은 雙鳬沉細ᄒᆞ고 口色이 青黃ᄒᆞ고

비유혈을 화침ᄒᆞ고 ᄆᆡᆨ과 빗ᄎᆞᆫ ᄡᅡᆼ부 팀ᄒᆞ고 ᄀᆞᄂᆞᆯ며 입 빗치 프르며 누로고

調理ᄂᆞᆫ 喂養煖廐ᄒᆞ며 增加料草ᄒᆞ며 夜加毯

됴니ᄒᆞ기ᄂᆞᆫ ᄃᆞᄉᆞᆫ 오향의 머기며 뇨와 초ᄅᆞᆯ 더으며

於背上ᄒᆞ며 飲水를 莫令足ᄒᆞ며

밤의 엇치ᄅᆞᆯ 등 우ᄒᆡ ᄆᆡ며 믈을 머기기ᄅᆞᆯ ᄒᆞ여곰 죡히 말며

當日애 冷水忌之ᄒᆞ라

당일애 ᄎᆞᆫ 믈을 금^긔ᄒᆞ라

健脾散은 治馬脾胃傷寒ᄒᆞ야 口吐粘涎ᄒᆞᄂᆞ니라

건비산은 ᄆᆞᆯ이 비와 위 한긔로 샹ᄒᆞ야 건춤 흘림을 곳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生薑一片苦酒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두 냥을 ᄉᆡᆼ강 ᄒᆞᆫ 조각과 됴ᄒᆞᆫ 술 ᄒᆞᆫ 되예

一升애 同煎三沸ᄒᆞ야 溫灌之ᄒᆞ라

ᄒᆞᆫᄃᆡ 세 소ᄉᆞᆷ을 달혀 ᄃᆞᄉᆞ게 흘리라

馬患宿水停臍라

停留宿水者ᄂᆞᆫ

무근 믈이 뎡뉴홈은

皆因勞傷瘦馬와 力敗羸駒이 空腸의 誤飲濁水過多ᄒᆞ야

다 잇ᄲᅵ 샹ᄒᆞ여 여윈 ᄆᆞᆯ과 힘이 패ᄒᆞᆫ ᄆᆡ아지 그릇 흐린 믈을 너무 머그믈 인ᄒᆞ야

失於牽行ᄒᆞ야 停住於膓ᄒᆞ야 不能運化ᄒᆞ야

잇ᄭᅳ러 녜믈 일허 챵ᄌᆞ애 머므러 능히 운화티 못ᄒᆞ야

積於臍下ᄒᆞ야 結而相凝也라

ᄇᆡᆺ복 아래 싸혀 ᄆᆡ티여 서ᄅᆞ 엉긔여시미라

令獸로 毛焦體瘦ᄒᆞ며 頭低耳撘ᄒᆞ여 行立無神ᄒᆞᄂᆞ니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터럭기 ᄇᆞᄉᆞᄉᆞᄒᆞ^고 몸이 여위며 머리ᄅᆞᆯ ᄂᆞᄌᆞ기 ᄒᆞ고 귀ᄅᆞᆯ 덥치며 녜며 셔심애 졍신이 엄ᄂᆞ니

此謂宿水停臍之癥也니 健脾散治之ᄒᆞ고

이ᄂᆞᆫ 닐온 슉슈이 졔예 뎡뉴ᄒᆞᆫ 증이니 건비산으로 다ᄉᆞ리고

針雲門穴ᄒᆞ라

운문혈을 침 주라

脈色은 雙鳬遲瀒ᄒᆞ며 口色이 青黃ᄒᆞ고

ᄆᆡᆨ과 빗ᄎᆞᆫ 쌍부이 디ᄒᆞ고 ᄉᆡᆨᄒᆞ며 입 빗치 프르며 누로고

調理ᄂᆞᆫ 喂養煖廄ᄒᆞ며 增加料草ᄒᆞ며

됴리ᄒᆞ기ᄂᆞᆫ ᄃᆞᄉᆞᄒᆞᆫ 외향의 머^기며 뇨와 초를 더ᄒᆞ며

一日一次를 熟米湯飲之ᄒᆞ며 寒夜의 不可

ᄒᆞᄅᆞ ᄒᆞᆫ 번을 슉미탕을 머기며 ᄎᆞᆫ 밤의 밧ᄭᅴ ᄆᆡ디 말며

外拴飲水애 莫令足ᄒᆞ며 空腸애 忌冷水ᄒᆞ라

믈 머김애 ᄒᆞ여곰 죡히 말며 공댱애 ᄎᆞᆫ 믈을 금긔ᄒᆞ라

健脾散은 治馬脾土虗弱ᄒᆞ야 停留宿水니라

건비산은 ᄆᆞᆯ이 비퇴 허ᄒᆞ고 약ᄒᆞ야 슉슈 뎡뉴홈을 곳티ᄂᆞ니라

方見上ᄒᆞ다

방문은 우희 낫타낫ᄂᆞ니라

馬患胃寒不食草라

胃寒者ᄂᆞᆫ 脾胃寒也니

위한홈은 비위 한홈이니

皆因久渴失飲ᄒᆞ며 空腸애 飲水過多ᄒᆞ야

다 오래 목 ᄆᆞᄅᆞ매 믈을 그릇 머기며

隂氣積於臓內ᄒᆞ며

공댱애 믈 머기기ᄅᆞᆯ 넘게 홈을 인ᄒᆞ야

寒濕이 流入脾經ᄒᆞ야 脾胃合冷ᄒᆞ야

음긔 오장 안ᄒᆡ 싸히며 한습이 비경의 드러

土衰火弱ᄒᆞ야

비와 위 ᄂᆡᆼ을 합ᄒᆞ야 퇴쇠ᄒᆞ며 홰 약ᄒᆞ여

不能運化ᄒᆞ야 致成其患也라

능히 운화티 못ᄒᆞ야 그 병을 일오미라

令獸로 毛焦草細ᄒᆞ며 膁吊頭低鼻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터럭이 ᄇᆞᄉᆞᄉᆞᄒᆞ고 플을 젹게 머그며

寒耳冷ᄒᆞ며 口內垂涎ᄒᆞᄂᆞ니

녑구리 거두혀고 머리ᄅᆞᆯ ᄂᆞ초며 코와 귀 ᄎᆞ며 입 안희 춤을 흘리ᄂᆞ니

此謂脾胃冷傷之癥也니 桂心散灌之ᄒᆞ고

이 닐온 비위 ᄂᆡᆼ으로 샹ᄒᆞᆫ 증이니 계심산으로 흘리고

針玉堂血ᄒᆞ고

옥당혈을 침 주^고

脈色은 臥蠺이 白色이오 闗脈이 微遲니라

ᄆᆡᆨ과 ᄉᆡᆨ은 와ᄌᆞᆷ이 흰 빗치오 관ᄆᆡᆨ이 미ᄒᆞ며 디ᄒᆞ니라

調理ᄂᆞᆫ 喂拴煖䖏ᄒᆞ며 增加料草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ᄃᆞᄉᆞᆫ 고대 ᄆᆡ아 머기며

熟米湯과 溫水를 飲之ᄒᆞ고

뇨와 초을 더ᄒᆞ며 슉미탕과 더온 믈을 머기고

寒夜의 休拴冷䖏ᄒᆞ라

치운 밤의 ᄎᆞᆫ ᄃᆡ ᄆᆡ디 말라

桂心散은 治馬脾胃寒니라

계심산은 ᄆᆞᆯ이 비위 한ᄒᆞᆫ ᄃᆡ 곳티ᄂᆞᆫ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塩半兩青蔥三根酒一升애 同煎灌之ᄒᆞ라

우ᄅᆞᆯ ᄀᆞᆯ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두 냥을 소곰 반 냥과 프른 파 세 밋과 술 ᄒᆞᆫ 되애 ᄒᆞᆫᄃᆡ 달혀 흘리라

麝香散은 治馬傷水方이라

샤향산은 ᄆᆞᆯ 믈의 샹ᄒᆞᆫ ᄃᆡ 고티ᄂᆞᆫ 방문이라

右細末ᄒᆞ야 每用一字호되 以竹管으로

우ᄅᆞᆯ ᄀᆞᄂᆞᆯ게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양 일 자ᄅᆞᆯ ᄡᅳ되

吹入鼻中ᄒᆞ야 滴出清水ᄒᆞ면 立效ᄒᆞᄂᆞ니라

대통으로ᄡᅥ 코 가온대 부러 녀허 ᄆᆞᆯ근 믈을 흘려 내면 즉제 둇ᄂᆞ니라

馬患傷水起臥이라

起臥者ᄂᆞᆫ 腹中을 痛也라

눕니ᄂᆞᆫ 쟈ᄂᆞᆫ ᄇᆡ속을 알홈이라

皆因久渴失飲ᄒᆞ며 誤飲

다 오래 목 ᄆᆞᄅᆞᆫᄃᆡ 믈을 그릇 머기며

冷水太過ᄒᆞ야

그릇 ᄂᆡᆼ슈를 넘게 머김을 인ᄒᆞ야

停注於膓ᄒᆞ야 陽氣不升ᄒᆞ며

챵ᄌᆞ애 뎡주ᄒᆞ여 양긔 오ᄅᆞ디

隂氣不降ᄒᆞ야

못ᄒᆞ며 음긔 ᄂᆞ리디 못ᄒᆞ야

冷熱이 相撃ᄒᆞ야 致成其痛也라

ᄂᆡᆼ과 열이 서ᄅᆞ 대이저 그 알홈을 일옴이라

令獸로 跑蹄打尾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굽을 허위며 초리ᄂᆞᆯ 티며

覷腹囬頭ᄒᆞ며 蹲腰

머리ᄅᆞᆯ 도라 ᄇᆡᄅᆞᆯ 보며 허리ᄅᆞᆯ 줏ᄭᅳ리혀 ᄯᅡ해 누으며

臥地ᄒᆞ며 腸鳴如雷ᄒᆞᄂᆞ니

챵ᄌᆡ 울기ᄅᆞᆯ 우레 ᄀᆞᆺᄂᆞ니

此謂冷痛之癥也니 溫脾散治之ᄒᆞ고

이 닐온 ᄂᆡᆼ으로 알ᄂᆞᆫ 증이니 온비산으로 다ᄉᆞ리고

針蹄頭血ᄒᆞ고

뎨두혈을 침 주고

脈色은 左脈이 中沉

ᄆᆡᆨ과 ᄉᆡᆨ은 좟 녁 ᄆᆡᆨ이 듕팀ᄒᆞ고

上下濇ᄒᆞ며 舌色이 青而唇色이 黃ᄒᆞ고

샹 하ᄂᆞᆫ ᄉᆡᆨᄒᆞ며 혜 빗치 프르며 입시울 빗치 누르고

調理ᄂᆞᆫ 不住牽行ᄒᆞ며 竹掃箒로 於腹下刮之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머무로디 말고 잇ᄭᅳ러 녜며

勿令飲水ᄒᆞ며

대뷔로 ᄇᆡ 아래ᄂᆞᆯ 글그며 ᄒᆞ여곰 믈 머기디 말며

次日애 徐徐飲之ᄒᆞ라

이ᄐᆞᆫ날의 날회야 머기라

溫脾散은 治馬傷水腹痛起臥이라

온비산은 ᄆᆞᆯ이 믈로 샹ᄒᆞ야 ᄇᆡ 알하 눕니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青蔥三枝苦酒一升애

우를 ᄀᆞᆯᄅᆞ ᄆᆡᆼ그라 ᄆᆡ 복 두 냥을 프른 파 세 가지와 쓴 술 ᄒᆞᆫ 되애

同煎三ᄒᆞ야 沸帶熱灌之ᄒᆞ라

ᄒᆞᆫᄃᆡ 세 소ᄉᆞᆷ을 달혀 열을 ᄃᆡᄒᆞ여 흘리라

馬經諺解上 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