馬經抄集諺解

  • 연대: 미상
  • 저자: 李曙
  • 출처: 馬經抄集諺解上
  • 출판: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종수정: 2016-01-01

두 눈시울이 뒤어뎌 브으며

閃骨이 生如粟米ᄒᆞ야 日漸長大ᄒᆞ야

반득반득ᄒᆞᆫ ᄲᅨ 나 조ᄡᆞᆯ ᄀᆞᆺᄐᆡ여 날로 졈졈 ᄌᆞ라 커

恰似魚鱗ᄒᆞ야 頻頻涙下ᄒᆞᄂᆞ니 將獸縛立ᄒᆞ고

맛치 고기 비ᄂᆞᆯ ᄀᆞᆺᄐᆡ여 ᄌᆞ로 눈믈^을 디ᄂᆞ니 ᄆᆞᆯ을 가져다가 ᄆᆡ야 셰고

細察眼內閃骨ᄒᆞ야

ᄌᆞ셔이 눈 안ᄒᆡ 셤골을 ᄉᆞᆯ펴

先用缐針으로 度膜皮間貫之ᄒᆞ고

몬져 실 ᄭᅦᆫ 바ᄅᆞᆯ로ᄡᅥ 막피 ᄉᆞ이ᄅᆞᆯ 혜아려 ᄭᅦ고셔

以利針으로 割去病骨호되 不損血輪이 為妙ᄒᆞ다

드ᄂᆞᆫ 침으로ᄡᅥ 병골을 베혀 ᄇᆞᆯ이되 혈뉸을 샹케 아님이 묘ᄒᆞ다

脈色은 中部洪數ᄒᆞ며 唇舌이 鮮紅ᄒᆞ고

ᄆᆡᆨ과 비ᄎᆞᆫ 듕부홍삭ᄒᆞ며 입시울과 입이 션홍ᄒᆞ고

徹眼脈血ᄒᆞ며 割骨眼穴ᄒᆞ며 青箱子散으로 灌之ᄒᆞ고

안ᄆᆡᆨ혈을 텰ᄒᆞ며 골안혈을 버히며 쳥샹ᄌᆞ산으로 흘리고

調理ᄂᆞᆫ 喂養凈室ᄒᆞ고

됴니ᄒᆞ기ᄂᆞᆫ 조ᄒᆞᆫ 집의 머기고

每朝에 以青布를 浸溫水ᄒᆞ야 於兩眼角內를 洗之ᄒᆞ라

아ᄎᆞᆷ마다 쳥포로ᄡᅥ ᄃᆞᄉᆞᆫ 믈의 담가 두 눈 구석 안ᄒᆞᆯ 시ᄉᆞᆯ 거시니라

酷熱의 不可野放ᄒᆞ고 一切生料를 忌之ᄒᆞ라

모딘 더위예 드르ᄒᆡ 노티 말고 일졀히 ᄉᆡᆼ뇨를 금긔ᄒᆞ라

青箱子散은 治馬肝經風熱로

쳥샹ᄌᆞ산은 ᄆᆞᆯ이 간경의 풍열로 눈에 치나

骨眼眼腫涙下ᄒᆞᄂᆞ니라

눈이 브어 눈믈ᄅᆞᆯ 디ᄂᆞᆫ ᄃᆡᄅᆞᆯ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蜜二兩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그라 ᄆᆡ 복 두 냥을 ᄭᅮᆯ 두 냥과

豬膽汁 半盞과 米泔水의 同調灌之ᄒᆞ라

도ᄐᆡ ᄡᅳᆯ게 반 잔과 ᄯᅳ믈의 ᄒᆞᆫᄃᆡ 프러 흘리라

馬患內障眼이라

內障者ᄂᆞᆫ 毒氣衝肝也니

ᄂᆡ쟝은 독ᄒᆞᆫ 긔운이 간의 츙홈미니

皆因暑月草飽乘騎ᄒᆞ야 奔走太急ᄒᆞ야

다 셔월의 ᄇᆡ 브른 제 타셔 ᄃᆞᆯ리기ᄂᆞᆯ 넘우 급피 홈을 인연ᄒᆞ야

熱毒이 衝肝也라

열ᄒᆞᆫ 독이 간의 츙홈이라

令馬로 眼生黃暈掩閉瞳人ᄒᆞ야

ᄆᆞᆯ로 ᄒᆞ여곰 눈의 누론 에운 거시 나셔 동인을 ᄀᆞ리와

撁行亂走ᄒᆞ야 撞壁衝墻ᄒᆞᄂᆞ니

잇ᄭᆞᆯ면 어즈러이 ᄃᆞᆯ아 ᄇᆞᆯᄅᆞᆷ벽의도 닷티며 담의도 딜리ᄂᆞ니

此ᄂᆞᆫ 內障之癥也니 瀉肝散으로 灌之ᄒᆞ라

이ᄂᆞᆫ ᄂᆡ쟝증이니 샤간산으로 흘리라

師皇이 曰其癥이 有二ᄒᆞ니

ᄉᆞ황이 ᄀᆞᆯ오ᄃᆡ 그 증이 둘히 이시니

一曰烏風內障이오 一曰黃風內障이니

ᄒᆞᆫ나ᄒᆞᆫ ᄀᆞᆯ^온 오풍 ᄂᆡ쟝이오 ᄒᆞᆫ나ᄒᆞᆫ ᄀᆞᆯ온 황풍 ᄂᆡ쟝이니

烏風은 起自肝經ᄒᆞ야 瞳人이 掩閉眼珠緑色者ᄂᆞᆫ 不治오

오풍은 간경브터 닐어나 동인이 ᄀᆞ리오며 눈망올 프ᄅᆞᆫ 빗ᄎᆞᆫ 몯 고티고

黃風은 黃暈이 侵睛ᄒᆞᄂᆞ니

황풍은 누론 에움이 눈망올의 침노ᄒᆞᄂᆞ니

割去眼腫閃骨ᄒᆞ며 眼脈血을 徹之ᄒᆞ라

눈 가온ᄃᆡ 셤골을 베혀 ᄇᆞᆯ이며 안ᄆᆡᆨ혈을 텰ᄒᆞ라

脈色은 肝脈이 洪弦ᄒᆞ며 舌唇이 赤紫ᄒᆞ고

ᄆᆡᆨ과 빗ᄎᆞᆫ 간ᄆᆡᆨ이 홍현ᄒᆞ며 혀과 입시울이 븕고

調理ᄂᆞᆫ 喂養凈䖏호되

됴니ᄒᆞ기ᄂᆞᆫ 조ᄒᆞᆫ 고ᄃᆡ셔 먹기되

草飽애 休令騎走ᄒᆞ며

ᄇᆡ 블^러실 제 타 ᄃᆞᆯ리디 말며

清朝애 用井花水ᄒᆞ야 頂上의 澆之ᄒᆞ고 生料를 少令喂之ᄒᆞ라

ᄆᆞᆯ근 아ᄎᆞᆷ의 졍화슈로ᄡᅥ 뎡박이 우ᄒᆡ 흘리고 ᄉᆡᆼ뇨를 젹게 먹기라

瀉肝散은 治馬內障眼黃暈이 侵睛이니라

샤간산은 ᄆᆞᆯ의 ᄂᆡ쟝눈이 황운이 눈ᄌᆞ의 침노ᄒ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一兩半을 水一升애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ᄒᆞᆫ 냥 반식을 믈 ᄒᆞᆫ 되에 프러

調灌草飽ᄒᆞ고 次日에 又灌之ᄒᆞ라

플 머겨 ᄇᆡ 브로거ᄃᆞᆫ 흘리고 잇ᄐᆞᆫ날의 ᄯᅩ 흘리라

馬患肝經風熱이라

肝風者ᄂᆞᆫ 肝熱生風也니

간풍은 간열이 ᄇᆞᄅᆞᆷ을 냄이니

皆因喂養太盛ᄒᆞ야

다치기ᄂᆞᆯ 넘우 셩히 홈을 인연ᄒᆞ야

外感內傷ᄒᆞ며

밧ᄭᅳ로도 들며 안흐로도 샹ᄒᆞ며

暑月의 負重ᄒᆞ며 乘騎疾走ᄒᆞ야 熱積於內也라

더위예 짐을 므거이 시르며 타 ᄲᆞᆯ리 ᄃᆞᆯ려 열이 안ᄒᆡ 싸힘이라

令馬로 眼胞이 翻腫ᄒᆞ며 皆肉淤紅ᄒᆞ며

ᄆᆞᆯ로 ᄒᆡ여곰 눈시울이 브어 뒤여디며

睛生翳障ᄒᆞ며

눈초리 고기예 블근 거시 얼의며 눈망울의 예쟝이 나며

眵盛難睜ᄒᆞᄂᆞ니

눈곱이 셩ᄒᆞ야 눈을 ᄠᅳ기 어려워 ᄒᆞᄂᆞ니

此ᄂᆞᆫ 肝熱生風之癥也니 防風散灌之ᄒᆞ라

이ᄂᆞᆫ 간열이 ᄇᆞᄅᆞᆷ을 낸 증이니 방풍산으로 흘리라

徹太陽穴ᄒᆞ며 割骨眼穴烙ᄒᆞ며 睛腧穴ᄒᆞ고

태양혈을 텰ᄒᆞ며 골안혈을 할ᄒᆞ며 졍유혈을 낙ᄒᆞ고

脈色은 肝脈이 弦數ᄒᆞ며 唇舌이 鮮紅ᄒᆞ고

ᄆᆡᆨ과 빋ᄎᆞᆫ 간ᄆᆡᆨ이 현삭ᄒᆞ며 입시울과 혜 조히 벌거ᄒᆞ고

調理ᄂᆞᆫ 喂養凈室每朝애

됴니ᄒᆞ기ᄂᆞᆫ 조ᄒᆞᆫ 집의 먹이며

以青布로 搵溫水ᄒᆞ야 於口內에 洗之ᄒᆞ고

아ᄎᆞᆷ마다 쳥포로ᄡᅥ ᄃᆞᄉᆞᆫ 믈의 쥐믈러 입 안ᄒᆞᆯ 싣고

勿令冒風ᄒᆞ며 生料를 忌之ᄒᆞ라

ᄒᆞ여곰 ᄇᆞᄅᆞᆷ을 ᄡᅩ이디 말며 ᄉᆡᆼ뇨ᄅᆞᆯ 금긔ᄒᆞ라

防風散은 治馬肝經風熱이라

방풍산은 ᄆᆞᆯ의 간경의 풍열을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蜜二兩과 雞子清二箇과 米泔水一椀으로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두 냥을 ᄭᅮᆯ 두 냥과 ᄃᆞᆯ긔 알 흰ᄌᆞ의 둘과 ᄯᅳ믈 ᄒᆞᆫ 사발로

同調草後의 灌之ᄒᆞ라

ᄒᆞᆫᄃᆡ ᄩᅡ셔 플 먹근 후의 흘리라

馬患肝熱傳眼이라

肝熱者ᄂᆞᆫ 肝經에 積熱也오

간열은 간경애 열이 싸힘이오

傳眼者ᄂᆞᆫ 外傳於目也니

눈의 뎐홈은 받ᄭᅳ로 눈의 옴김이니

皆因喂養太過ᄒᆞ며 奔走를 過度ᄒᆞ야

다치기ᄂᆞᆯ 넘우 넘게 ᄒᆞ며 ᄃᆞᆯ리기ᄂᆞᆯ 과도히 홈을 인ᄒᆞ야

熱毒이 入肝外傳於目也라

열ᄒᆞᆫ 독이 간의 들어 밧ᄭᅳ로 눈의 옴김이라

令馬로 睛生白膜ᄒᆞ며

ᄆᆞᆯ로 ᄒᆡ여곰 눈의 흰 ᄀᆞ믈이 나며

眵盛難睜ᄒᆞ며 牽行不動ᄒᆞ며

눈곱이 셩ᄒᆞ야 ᄠᅳ디 몯ᄒᆞ며 잇ᄭᅳ러도 움즉이디 아니ᄒᆞ며

耳搭頭低ᄒᆞ며

귀ᄅᆞᆯ 탑ᄒᆞ고 머리ᄅᆞᆯ ᄂᆞᆺ초며

逢物不見ᄒᆞ야 東西亂撞ᄒᆞᄂᆞ니

믈을 만나도 보디 못ᄒᆞ야 동셔로 어즈러이 다티ᄂᆞ니

此ᄂᆞᆫ肝熱眼昏之癥也니 石決明散으로 灌之ᄒᆞ라

이ᄂᆞᆫ 간열로 눈이 어두은 증이니 셕결명산으로 흘리라

脈色은 中部이 弦ᄒᆞ며 臥蠶色이 紫徹ᄒᆞ고 太陽穴ᄒᆞ고

ᄆᆡᆨ과 비ᄎᆞᆫ 듕뷔 현ᄒᆞ며 와잠이 비치 븕고 태양혈을 텰ᄒᆞ고

調理ᄂᆞᆫ喂拴凈室호ᄃᆡ

됴니ᄒᆞ기ᄂᆞᆫ 조ᄒᆞᆫ 집의 ᄆᆡ아 먹기되

春冬애ᄂᆞᆫ 菉豆ᄂᆞᆯ 喂之ᄒᆞ고 夏秋애ᄂᆞᆫ 水浸青草ᄒᆞ야 喂之ᄒᆞ라

봄과 겨을애ᄂᆞᆫ 녹두ᄂᆞᆯ 먹기고 녀ᄅᆞᆷ과 ᄀᆞ을ᄒᆞᆫ 프른 플을 믈의 ᄃᆞᆷ가 먹기라

勿令冒風ᄒᆞ고 生料停止ᄒᆞ라

ᄒᆞ여곰 ᄇᆞᄅᆞᆷ을 ᄡᅩ이디 말고 ᄉᆡᆼ뇨를 귿치라

石決明散은 治馬肝經積熱ᄒᆞ야

셕결명산은 ᄆᆞᆯ이 간경의 열이 싸혀

白翳遮睛이라

흰 ᄀᆞ플이 눈의 ᄀᆞ리온 ᄃᆡᄂᆞᆯ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蜜二兩과 雞子清二箇과 米泔水一升으로 同調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두 냥을 ᄭᅮᆯ 두 냥과 ᄃᆞᆯᄀᆡ 알 흰ᄌᆞ의 두 낫과 ᄯᅳ믈 ᄒᆞᆫ 되로 ᄒᆞᆫᄃᆡ ᄀᆡ아

草飽後灌之ᄒᆞ라

플 ᄇᆡ블리 먹근 후의 흘리라

馬患翻胃吐草이라

翻胃者ᄂᆞᆫ 返胃也니 料草之吐出也라

번위ᄂᆞᆫ 비위ᄅᆞᆯ 반호미니 뇨초ᄅᆞᆯ 게옴이니라

皆因外感風寒ᄒᆞ여 內傷隂冷ᄒᆞ야

다 밧ᄭᅳ로 풍한샤 을 감ᄒᆞ며 안흐로 음ᄂᆡᆼ의 샹홈을 인ᄒᆞ야

脾胃受邪ᄒᆞ脾冷而土

비와 위 샤를 바다 비 ᄂᆡᆼ홈애 퇴쇠ᄒᆞ고

襄胃寒而火弱不能轉化

위 한홈애 홰 약ᄒᆞ여 능히 뎐화티 못ᄒᆞ야

致使料草下咽而胃不容納故로 令吐出也라

뇨초로 ᄒᆡ여곰 인후의 ᄂᆞ리매 위 용납디 못ᄒᆞᄂᆞᆫ 고로 ᄒᆞ여곰 토ᄒᆞᄂᆞ니라

令馬로 精神倦怠ᄒᆞ며 耳搭頭低ᄒᆞ며

ᄆᆞᆯ로 ᄒᆞ여곰 졍신이 게어르며 귀ᄅᆞᆯ 덥디고 머리ᄅᆞᆯ ᄂᆞ초며

鼻浮面腫ᄒᆞ며 膁吊毛焦ᄒᆞᄂᆞ니

코히 븟ᄭᅩ ᄂᆞ치 브으며 녑구리ᄂᆞᆯ 거두혀고 터럭이 ᄇᆞᄉᆞᄉᆞᄒᆞᄂᆞ니

此謂寒極之癥也니 益智散으로 灌之ᄒᆞ라

이ᄂᆞᆫ 한이 극ᄒᆞᆫ 증이니 익디산으로 흘리라

凡馬吐草애 脈色平和ᄒᆞ고

므릇 ᄆᆞᆯ이 초ᄅᆞᆯ 토홈애 ᄆᆡᆨ과 ᄉᆡᆨ이 평화ᄒᆞ고

松骨未腫者ᄂᆞᆫ 勿令熱劑灌之ᄒᆞ라

숑골이 붓디 아닌 이ᄂᆞᆫ 열ᄒᆞᆫ 약으로 ᄒᆞ여금 흘리디 말라

師皇이 曰凡馬翻胃애 腮骨腫者ᄂᆞᆫ難治오

ᄉᆞ황이 ᄀᆞᆯ오ᄃᆡ 믈읫 ᄆᆞᆯ이 번위홈애 ᄲᅡᆷᄲᅧ 브은 이ᄂᆞᆫ 고티기 어렵고

羸瘦吐沫者ᄂᆞᆫ 亦難治也라

여위고 춤 흘리ᄂᆞᆫ 쟈ᄂᆞᆫ ᄯᅩᄒᆞᆫ 고티기 어려오니라

脈色은 舌唇赤紫ᄒᆞ고 鳬脈沉遅ᄒᆞᄂᆞ니라

ᄆᆡᆨ과 빗ᄎᆞᆫ 혀과 입시울이 블그며 ᄇᆞᆰ고 부ᄆᆡᆨ이 팀ᄒᆞ며 디ᄒᆞᄂᆞ니라

火針脾腧穴ᄒᆞ고

비유혈을 화침ᄒᆞ고

調理ᄂᆞᆫ 每朝애 麩料熟料各八合熟米湯을 一日一次飮之ᄒᆞ고

됴니ᄂᆞᆫ 아ᄎᆞᆷ마다 밀기울과 니근 콩 각 팔 홉과 슉미탕을 ᄒᆞᄅᆞ ᄒᆞᆫ 번을 머기고

廐宜溫煖ᄒᆞ고 寒夜毯屜를 背上撘之ᄒᆞ고

외향을 ᄃᆞᄉᆞ히 덥게 ᄒᆞ고 ᄎᆞᆫ 밤의 엇치ᄅᆞᆯ 등 우희 ᄆᆡ고

忌一切冷水冷物ᄒᆞ라

일졀이 ᄂᆡᆼ슈과 ᄂᆡᆼ믈을 금긔ᄒᆞ라

益智散은 治馬翻胃吐草이라

익디산은 ᄆᆞᆯ이 위번ᄒᆞ여 초ᄅᆞᆯ 토ᄒᆞ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兩半을 棗五枚薑五片苦酒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냥 반을 대쵸 다ᄉᆞᆺ 낫과 ᄉᆡᆼ강 다ᄉᆞᆺ 조각과

一升애 同煎三沸ᄒᆞ야 溫灌之ᄒᆞ라

ᄡᅳᆫ 술 ᄒᆞᆫ 되예 ᄒᆞᆫᄃᆡ 세 소솜을 달혀 ᄃᆞᄉᆞ게 흘리라

馬患冷痛이라

冷痛은 冷痛隂氣太盛也니

ᄂᆡᆼ통은 음긔 너^모 셩홈이니

皆因空膓애 飮水太過ᄒᆞ야 傷之於脾ᄒᆞ야

다 공댱애 믈 머기기ᄂᆞᆯ 너모 넘게 홈을 인ᄒᆞ야

脾傳於胃ᄒᆞ야

비샹ᄒᆞ야 비위에 뎐ᄒᆞ야

胃火微弱不能傳送ᄒᆞ야 積於膓內ᄒᆞ야

위홰 미약ᄒᆞ야 능히 뎐송티 못ᄒᆞ야 댱 ᄂᆡ예 싸혀

氣不升降ᄒᆞ야 腹中作痛也이라

긔운이 오ᄅᆞᄂᆞ리디 못ᄒᆞ여 ᄇᆡ속을 알홈이라

令獸로 渾身發顫ᄒᆞ며 覷腹回頭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ᆡ여곰 온 몸을 ᄯᅥᆯ며 머리ᄂᆞᆯ 도라 ᄇᆡᄅᆞᆯ 보며

連連臥地ᄒᆞ며 鼻咋喘粗ᄒᆞᄂᆞ니

년년ᄒᆞ야 ᄯᅡᄒᆡ 누으며 코소ᄅᆡ ᄒᆞ며 숨결이 굵ᄂᆞ니라

此謂冷傷之癥也니 橘皮散治之ᄒᆞ라

이ᄂᆞᆫ ᄂᆡᆼ의 샹ᄒᆞᆫ 증이니 귤피산으로 곳티라

冷痛者ᄂᆞᆫ 其痛有五ᄒᆞ니

ᄂᆡᆼ으로 알ᄂᆞᆫ 쟈ᄂᆞᆫ 그 알홈이 다ᄉᆞᆺ 가지 이시니

直尾行ᄒᆞ면 大膓痛ᄒᆞ고 捲尾行ᄒᆞ면

ᄭᅩ리ᄅᆞᆯ 곳게 ᄒᆞ고 ᄒᆡᆼᄒᆞ면 대댱을 알코 ᄭᅩ리ᄅᆞᆯ 사리고

小膓痛ᄒᆞ고 蹲腰踏地ᄒᆞ면

ᄒᆡᆼᄒᆞ면 쇼댱을 알코 허리ᄅᆞᆯ 죽그리혀고 ᄯᅡᄒᆞᆯ ᄇᆞᆯ오면

胞經痛ᄒᆞ고 膓鳴瀉ᄒᆞ면 冷氣痛ᄒᆞ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