馬經抄集諺解

  • 연대: 미상
  • 저자: 李曙
  • 출처: 馬經抄集諺解上
  • 출판: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종수정: 2016-01-01

或飮水過多ᄒᆞ야 冷氣傷胃ᄒᆞ며

혹 믈을 넘우 만히 먹거셔 ᄂᆡᆼ긔 위ᄅᆞᆯ 샹ᄒᆞ며

或羸애 弱過食宿冷ᄒᆞ며

혹 여윈ᄃᆡ 슉ᄂᆡᆼ올 너무 먹그며

或老衰애 久露風霜ᄒᆞ며

혹 늘근ᄃᆡ 오래 ᄇᆞᄅᆞᆷ 서리ᄅᆞᆯ 마ᄌᆞ며

或放牧애 苦彼隂雨ᄒᆞ며

혹 노하 먹길 제 괴로이 음우를 마ᄌᆞ며

或久臥濕場ᄒᆞ야 脾胃受濕ᄒᆞ야 隂盛陽微ᄒᆞ야

혹 오래 습^댱의 누어 비위습을 바다 음이 셩ᄒᆞ고 양이 미ᄒᆞ야

氣血不順ᄒᆞ야 腹中이 作痛ᄒᆞ니

긔와 혈이 슌티 몯ᄒᆞ야 복듕이 알ᄑᆞᄂᆞ니

此皆令獸起臥者也니라

이 다 즘ᄉᆡᆼ으로 ᄒᆡ여곰 누으락 닐락 ᄒᆞᄂᆞ니라

或炎月애 秉騎負重ᄒᆞ고

혹 더운 ᄃᆞᆯ의 ᄹᆞ며 짐을 무거이 싣고 주림을 인ᄒᆞ여

仍飢而喂熱料熱草ᄒᆞ야 熱積于內ᄒᆞ니 渴而

더온 콩과 더운 플을 먹어 열이 안ᄒᆡ 싸혀 목 ᄆᆞᆯ라

飲水過多陽氣不升ᄒᆞ고 濁隂不降ᄒᆞ야

믈을 너무 만히 먹거 양긔 오ᄅᆞ디 아니ᄒᆞ고 탁음이 ᄂᆞ니디 아니ᄒᆞ여

腹中이 作痛則亦令起臥也니라

복듕이 알ᄑᆞ면 ᄯᅩᄒᆞᆫ ᄒᆡ여곰 닐락 누으락 ᄒᆞᄂᆞ니라

夫起臥者ᄂᆞᆫ 皆生於蒭水之過也니 於飲喂之際예 不可不慎也니라

닐락 누으락홈은 다 플과 믈의 과홈애 나^ᄂᆞ니 믈과 여믈 먹일 제 가히 삼가디 아니티 아니ᄒᆞᆯ 거시니라

點痛論이라

仰頭點은 膊尖痛이오

머리ᄅᆞᆯ 울얼어 졷ᄂᆞᆫ 이ᄂᆞᆫ 박쳠이 알ᄑᆞᆷ이오

平頭點은 下攔痛이오

머리ᄅᆞᆯ 편히 ᄒᆞ여 졷ᄂᆞᆫ 이ᄂᆞᆫ 하난이 알ᄑᆞᆷ이오

偏頭點은 乘重痛이오

머리ᄅᆞᆯ 기우리며 졷ᄂᆞᆫ 이ᄂᆞᆫ 승듕이 알ᄑᆞᆷ이오

低頭點은 天臼痛이오

머리ᄅᆞᆯ ᄂᆞ초고 졷ᄂᆞᆫ 이ᄂᆞᆫ 텬구 알ᄑᆞᆷ이오

難移前腳은 搶風痛이오

앏다리ᄂᆞᆯ 옴기기 어려워 ᄒᆞᄂᆞᆫ 이ᄂᆞᆫ 창풍이 알ᄑᆞᆷ이오

蹄尖著地ᄂᆞᆫ 掌骨痛이오

굽 귿ᄒᆞᆯ ᄯᅡᄒᆡ 다히ᄂᆞᆫ 이ᄂᆞᆫ 바당ᄲᅨ 알ᄑᆞᆷ이오

驀地點腳은 攢筋痛이오

ᄯᅡᄒᆡ 놀라 다리ᄂᆞᆯ 저촉이ᄂᆞᆫ 이ᄂᆞᆫ 찬근이 알ᄑᆞᆷ이오

虛行不地ᄂᆞᆫ 漏蹄痛이오

ᄯᅡ 아닌 ᄃᆡᄂᆞᆯ 허히 ᄃᆞᆫ니ᄂᆞᆫ 이ᄂᆞᆫ 굽이 ᄉᆡ야 알ᄑᆞᆷ이오

垂蹄點ᄂᆞᆫ 蹄尖痛이오

굽을 들이오고 졷ᄂᆞᆫ 이ᄂᆞᆫ 굽 귿티 왈ᄑᆞᆷ이오

懸蹄點ᄂᆞᆫ 蹄心痛이오

굽을 들 고 졷ᄂᆞᆫ 이ᄂᆞᆫ 굽 가온ᄃᆡ 알ᄑᆞᆷ이오

直腿行은 膝上痛이오

다리ᄅᆞᆯ 곧고디 ᄃᆞᆫ니ᄂᆞᆫ 이ᄂᆞᆫ 무롭 우히 알ᄑᆞᆷ이오

曲腿行은 節上痛이오

다리ᄂᆞᆯ 고ᄑᆞ리켜고 ᄃᆞᆫ니ᄂᆞᆫ 이ᄂᆞᆫ ᄆᆞᄃᆡ 우히 알ᄑᆞᆷ이오

仰頭不動은 蹄頭痛이오

머리ᄅᆞᆯ 우럴고 움즉기디 아니ᄒᆞᄂᆞᆫ 이ᄂᆞᆫ 뎨두ᄅᆞᆯ 알ᄑᆞᆷ이오

下坡斜走ᄂᆞᆫ 胷隔痛이오

언덕 ᄂᆞ닐 제 비ᄭᅵ ᄃᆞᆫᄂᆞᆫ 이ᄂᆞᆫ 가ᄉᆞᆷ이 알ᄑᆞᆷ이오

平地竊道ᄂᆞᆫ 蹄薄痛이오

편ᄒᆞᆫ ᄯᅡ히 길ᄒᆞᆯ 도적ᄒᆞᄂᆞᆫ 이ᄂᆞᆫ 굽이 열워 알ᄑᆞᆷ이오

向裏蹉ᄂᆞᆫ 外跟痛이오

안ᄒᆞ로 향ᄒᆞ야 저ᄂᆞᆫ 이ᄂᆞᆫ 밧 뒤측이 알ᄑᆞᆷ이오

向外蹉ᄂᆞᆫ 內跟痛이오

밧ᄭᅳᆯ 향ᄒᆞ야 저ᄂᆞᆫ 이ᄂᆞᆫ 안 뒤측이 알ᄑᆞᆷ이오

點頭行은 腳上痛이오

머리를 졷고 ᄃᆞᆫ니ᄂᆞᆫ 이ᄂᆞᆫ 다리 우ᄒᆞᆯ 알ᄑᆞᆷ이오

擺頭行은 膊上痛이오

머리ᄅᆞᆯ 흔들고 ᄃᆞᆫ니ᄂᆞᆫ 이ᄂᆞᆫ 박샹이 알ᄑᆞᆷ이오

拖腳行은 鴈翅掠草痛이오

다리ᄅᆞᆯ ᄭᅳ으고 ᄃᆞᆫ기ᄂᆞᆫ 이ᄂᆞᆫ 안시과 약초이 알ᄑᆞᆷ이오

蹙腳行은 鵝鼻曲尺痛이오

다리ᄅᆞᆯ 주리켜고 ᄃᆞᆫ니ᄂᆞᆫ 이ᄂᆞᆫ 아비과 곡쳑이 알ᄑᆞᆷ이오

並腳行은 胯瓦痛이오

다리를 ᄀᆞᆯ와 ᄃᆞᆫ니ᄂᆞᆫ 이ᄂᆞᆫ 과와 알ᄑᆞᆷ이오

直腳行은 濕氣痛이오

다리를 곧고디 ᄃᆞᆫ니ᄂᆞᆫ 이ᄂᆞᆫ 습긔로 알ᄑᆞᆷ이오

蹲腰行은 鴈翅痛이오

허리ᄂᆞᆯ 주ᄭᅮ리켜고 ᄃᆞᆫ니ᄂᆞᆫ 이ᄂᆞᆫ 안시ᄂᆞᆯ 알ᄑᆞᆷ이오

吊腰行은 脊筋痛이오

허리ᄅᆞᆯ 가동고리켜고 ᄃᆞᆫ니ᄂᆞᆫ 이ᄂᆞᆫ 등 힘이 알ᄑᆞᆷ이오

收腰不起ᄂᆞᆫ 內腎痛이오

허리ᄅᆞᆯ 거두어 니디 몯ᄒᆞᄂᆞᆫ 니ᄂᆞᆫ ᄂᆡ신이 알ᄑᆞᆷ이오

難移後腳은 腎經痛이오

뒷다리ᄅᆞᆯ 옴기기 어려워 ᄒᆞᄂᆞᆫ 이ᄂᆞᆫ 신경이 알ᄑᆞᆷ이오

咬齒低頭ᄂᆞᆫ 心經痛이오

니를 ᄀᆞᆯ고 머리ᄂᆞᆯ ᄂᆞᆺ초ᄂᆞᆫ 이ᄂᆞᆫ 심경이 알ᄑᆞᆷ이오

喘息不

숨쉬기 고로디

調ᄂᆞᆫ 肺經痛이오

아니홈은 폐경이 알ᄑᆞᆷ이오

急起急臥ᄂᆞᆫ 脾經痛이오

급피 닐며 급피 눕ᄭᅵᄂᆞᆫ 비경이 알ᄑᆞᆷ이오

口吐清涎은 膽經痛이오

입으로 ᄆᆞᆯ근 춤을 게우ᄂᆞᆫ 이ᄂᆞᆫ 담경이 알ᄑᆞᆷ이오

跑胷咬臆은 膓結痛이오

가ᄉᆞᆷ을 ᄇᆞᆺ안고 가ᄉᆞᆷ을 러흐ᄂᆞᆫ 이ᄂᆞᆫ 챵ᄌᆡ ᄆᆡ쳐 알ᄑᆞᆷ이오

蹲腰踏地ᄂᆞᆫ 胞轉痛이오

허리ᄅᆞᆯ 주ᄭᅮ리켜고 ᄯᅡᄒᆞᆯ ᄇᆞᆲᄂᆞᆫ 이ᄂᆞᆫ 오좀ᄭᅢ 뒤ᄐᆞ러뎌 알ᄑᆞᆷ이오

膓鳴泄瀉ᄂᆞᆫ 冷氣痛이오

ᄇᆡ 울고 즈ᄎᆡᄂᆞᆫ 이ᄂᆞᆫ ᄂᆡᆼ긔로 알ᄑᆞᆷ이라

十六般蹄頭痛이라

열여ᄉᆞᆺ 가지 뎨두 알ᄑᆞᆷ이라

蹄胎脹痛이오

굽 속기 턍ᄒᆞ야 알ᄑᆞᆷ이오

蹄骨脹痛이오

뎨골이 턍ᄒᆞ야 알ᄑᆞᆷ이오

蹄甲薄痛이오

뎨갑이 열워 알ᄑᆞᆷ이오

蹄甲枯痛이오

뎨갑이 ᄆᆞᆯ라 알ᄑᆞᆷ이오

蹄尖腫痛이오

뎨쳠이 브어 알ᄑᆞᆷ이오

蹄掌腫痛이오

뎨쟝이 브어 알ᄑᆞᆷ이오

裏跟腫痛이오

니근이 브어 알ᄑᆞᆷ이오

外跟腫痛이오

외근이 브어 알ᄑᆞᆷ이오

乾竅漏痛이오

간교 ᄉᆡ여 알ᄑᆞᆷ이오

濕竅漏痛이오

습교 ᄉᆡ여 알ᄑᆞᆷ이오

穿心漏痛이오

쳔심이 ᄉᆡ여 알ᄑᆞᆷ이오

穿掌漏痛이오

쳔쟝이 ᄉᆡ여 알ᄑᆞᆷ이오

羅圈漏痛이오

나권이 ᄉᆡ여 알ᄑᆞᆷ이오

旋蹄瘡痛이오

굽을 둘러 창으로 알ᄑᆞᆷ이오

瘙蹄瘡痛이오

굽이 소먹거 창으로 알ᄑᆞᆷ이라

四傷이라

네 가지 샹홈이라

倒地合著搶風骨이오

ᄯᅡᄒᆡ 것ᄭᅮ러디면 창풍골이 다티고

踏空閃著膝蓋骨이오

뷘 ᄃᆡᄂᆞᆯ 드ᄃᆡ면 슬개골이 ᄀᆞᄆᆞᆺ타 다티고

蹊道蹙損烏筋骨이오

시내 길ᄒᆡ 주리켜 오근골이 샹ᄒᆞ고

絶橋渡傷合子骨이라

ᄭᅳᆫ허딘 ᄃᆞ리ᄂᆞᆯ 건러다가 합ᄌᆞ골이 샹ᄒᆞᄂᆞ니라

瘡黃兩癥不同論이라

창과 황두증이 ᄀᆞᆺ디 아니ᄒᆞᆫ 의논이라

瘡者ᄂᆞᆫ 氣衰也氣니

창은 긔운이 쇠홈이니

衰者ᄂᆞᆫ 血□而血凝經絡ᄒᆞ야

긔운이 쇠ᄒᆞᆫ 이ᄂᆞᆫ 피 젹어 피 경과 낙의 응톄ᄒᆞ야

浸于肉理ᄒᆞ야 肉腐化為膿也오

육니에 침ᄒᆞ야 육이 서거 화ᄒᆞ야 고롬이 되고

黃者ᄂᆞᆫ 氣壯也니 氣壯者ᄂᆞᆫ 血盛而血離經絡ᄒᆞ야

황은 긔운이 장홈이니 긔운이 장ᄒᆞᆫ 이ᄂᆞᆫ 피셩ᄒᆞ야 피 경낙의 ᄯᅥ나

溢於膚腠ᄒᆞ야 凝結而成淤血化為黃水也라

ᄉᆞᆯ희 넘ᄯᅧ 응결ᄒᆞ야 어혈이 되여 화ᄒᆞ여 황ᄉᆔ 되ᄂᆞᆫ 이라

瘡者ᄂᆞᆫ 硬而痛ᄒᆞᄂᆞ니 形傷氣也니

창은 굳고 알ᄑᆞᄂᆞ니 얼굴이 긔운을 샹홈이니

先治瘡而後理氣ᄒᆞ고

몬져 창을 다ᄉᆞ리고 후의 긔ᄂᆞᆯ 다ᄉᆞ리고

黃者ᄂᆞᆫ 硬而不痛ᄒᆞᄂᆞ니 氣傷形也니

황은 굳고 알ᄑᆞ디 아니ᄒᆞᄂᆞ니 긔운이 얼굴을 샹홈이니

先理氣而後治黃也라

몬져 긔ᄅᆞᆯ 다ᄉᆞ리고 후의 황을 다ᄉᆞ릴ᄯᅵ니라

縁牧養太盛臕肥肉重ᄒᆞ며

ᄯᅩ 치기ᄂᆞᆯ 넘우 셩히 홈을 인연ᄒᆞ야 ᄉᆞᆯ져 ᄉᆞᆯ히 듕ᄒᆞ며

多立少騎ᄒᆞ며

만히 셰워 두며 ᄐᆞ기ᄅᆞᆯ 젹게 ᄒᆞ며

榖料熱毒이 積于膓內ᄒᆞ며

곡식 먹근 열ᄒᆞᆫ 독이 챵ᄌᆞ 안ᄒᆡ 싸히며

敗血凝汗이

패ᄒᆞᆫ 피과 어림ᄯᆞᆷ이 ᄉᆞᆯᄒᆡ

隠注肥膚ᄒᆞ며

ᄀᆞ마니 흐ᄅᆞ며

春不徹六脈之血ᄒᆞ고

봄애 뉵ᄆᆡᆨ혈을 ᄲᅥ이디 아니ᄒᆞ고

夏不灌清涼之藥ᄒᆞ야

녀ᄅᆞᆷ의 쳥냥약을 흘리디 아니ᄒᆞ야

以致氣血로 太盛ᄒᆞ야 熱注三焦ᄒᆞ야

ᄡᅥ곰 긔와 혈로 넘우 셩홈매 닐으어 열이 삼쵸애 흘러가셔

乃令遍體로 彂生癱腫ᄒᆞᄂᆞ니

이애 온 몸으로 ᄒᆞ여곰 죵긔ᄂᆞᆯ 나게 ᄒᆞᄂᆞ니

皆由熱毒이 積于內也라

다 열ᄒᆞᆫ 독이 안ᄒᆡ 싸힘을 말ᄆᆡ암옴이니라

馬患隂腎黃이라

ᄆᆞᆯ이 음신의 황이 난 병을 환홈이니라

隂腎黃者ᄂᆞᆫ 誤飮濁水太過ᄒᆞ야

음신황은 그ᄅᆞᆺ 흐린 믈을 넘우 과히 먹어

沁臍下凝於外腎也니

ᄇᆡᆺ부록 아ᄅᆡ 슴의어 외신의 엉긔ᄂᆞ니

令獸腎囊硬腫ᄒᆞ야 如石如氷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ᆡ여곰 불이 ᄃᆞᆫᄃᆞᆫ이 브어 돌 ᄀᆞᆺ고 어ᄅᆞᆷ ᄀᆞᆺᄐᆞ며

牽行不動ᄒᆞ며 胯拽腰拖ᄒᆞᄂᆞ니

잇ᄭᅳ러도 움즉기디 아니ᄒᆞ며 다리을 ᄭᅳ으고 허리ᄅᆞᆯ ᄭᅳ으ᄂᆞ니

茴香散으로 灌之ᄒᆞ고 火針隂腧穴ᄒᆞ면 旬日애 愈니라

회향산으로 홀리고 음유혈 화침ᄒᆞ면 열흘의 됸ᄂᆞᆫ니라

雙鳬脈이 沉細ᄒᆞ며 口色이 如綿ᄒᆞ고 調理法은

쌍부ᄆᆡᆨ이 팀셰ᄒᆞ며 입 비^치 소옴 ᄀᆞᆺ고 됴니ᄒᆞᄂᆞᆫ 법은

日終於郊ᄒᆞ야 麗日曬之ᄒᆞ며 夜散於廐ᄒᆞ야 草鋪臥之ᄒᆞ고

낫ᄌᆞᆫ 드로ᄒᆡ 노하 ᄒᆡᄅᆞᆯ ᄧᅬ며 밤이어든 외향의 노하 플을 ᄭᆞᆯ고 뉘이고

禁忌ᄂᆞᆫ 戒飮空膓水오 忌拴濕地眠ᄒᆞ라

금긔홈은 공댱의 믈을 먹기기ᄂᆞᆯ 경계ᄒᆞ고 저ᄌᆞᆫ ᄯᅡᄒᆡ ᄆᆡ여 자기ᄅᆞᆯ 금긔ᄒᆞ라

茴香散은 治馬外腎이 腫硬ᄒᆞ야 如石如冰ᄒᆞ며

회향산은 ᄆᆞᆯ이 불을 브어 ᄃᆞᆫᄃᆞᆫᄒᆞ여 돌 ᄀᆞᆺ고 어ᄅᆞᆷ ᄀᆞᆺᄐᆞ며

撁拽後腳病이니라

뒷다리ᄅᆞᆯ ᄭᅳ으ᄂᆞᆫ 병을 고티ᄂᆞ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