眞理便讀三字經

  • 연대: 1895
  • 저자: 미상
  • 출처: 眞理便讀三字經
  • 출판: 고려대학교 신암문고
  • 최종수정: 2016-01-01

眞理便讀三字經

一. 獨一上帝

大(큰 대)造(지을 조)主(님금 쥬)ᄂᆞᆫ 卽(곳 즉)上(웃 샹)帝(님금 뎨)시니

帝(님금 뎨)是(이 시)誰(누구 슈)오 聽(드ᄅᆞᆯ 텽)仔(ᄌᆞ셰 ᄌᆞ)細(ᄌᆞ셰 셰)ᄒᆞ라

天(하ᄂᆞᆯ 텬)與(더블 여)地(ᄯᅡ 디)와 人(사ᄅᆞᆷ 인)與(더블 여)物(만물 물)을

皆(다 ᄀᆡ)上(웃 샹)帝(님금 뎨)ㅣ 親(친ᄒᆞᆯ 친)造(지을 조)出(날 츌)이시니라

論(의론 론)上(웃 샹)帝(님금 뎨)컨대 本(밋 본)無(업ᄉᆞᆯ 무)形(형용 형)이시며

止(긋칠 지)獨(홀 독)一(ᄒᆞᆫ 일)이시니 是(이 시)眞(ᄎᆞᆷ 신)神(신령 신)이시니라

全(온젼 젼)知(알 지)能(능ᄒᆞᆯ 능)이시며 全(온젼 젼)聖(거륵 셩)義(을 의)시며

全(온젼 젼)仁(어질 인)善(착ᄒᆞᆯ 션)이시며 無(업ᄉᆞᆯ 무)變(변ᄒᆞᆯ 변)易(밧골 역)이시며

無(업ᄉᆞᆯ 무)始(비로솔 시) 終(ᄆᆞᆺᄎᆞᆷ 종)이시니 大(큰 대)本(밋 본) 源(근원 원)이시니라

爲(ᄒᆞ 위)天(하ᄂᆞᆯ 텬)地(ᄯᅡ 디)와 萬(일만 만)物(만물 물)先(몬져 션)에

居(살 거)天(하ᄂᆞᆯ 텬)堂(집 당)ᄒᆞ샤 顯(나타날 현)榮(영화 영)愛(ᄉᆞ랑 ᄋᆡ)ᄒᆞ시니

然(그럴 연)其(그 기)體(몸 톄)ᄂᆞᆫ 無(업ᄉᆞᆯ 무)不(아닐 불)在(잇ᄉᆞᆯ ᄌᆡ)ᄒᆞ시니

有(잇ᄉᆞᆯ 유)萬(일만 만)物(만물 물)이 由(말ᄋᆡ암 유)上(웃 샹)帝(님금 뎨)라

此(이 ᄎᆞ)眞(ᄎᆞᆷ 진)道(길 도)니 當(맛당 당)知(알 지)悉(다 실) 이어다

대개 크게 조셩ᄒᆞ신 쥬ᄂᆞᆫ 곳 하ᄂᆞ님이시니

하ᄂᆞ님은 누구신지 ᄌᆞ셰이 드ᄅᆞ라

하ᄂᆞᆯ과 ᄯᅡ와 사ᄅᆞᆷ과 다못 만물을

다 하나님ᄭᅴ셔 친히 지어내심이니라

하ᄂᆞ님을 의론ᄒᆞ건대

본ᄃᆡ 형용이 업ᄉᆞ시고

홀노 ᄒᆞ나ᄲᅮᆫ이시니 ᄎᆞᆷ 신령이시니라

온젼이 알으시고 능ᄒᆞ시며

온젼이 거륵ᄒᆞ시고 올흐시며

온젼이 어지시고 착ᄒᆞ시며

변ᄒᆞᆷ과 밧고임이 업ᄉᆞ시며

처음과 나죵이 업ᄉᆞ시니 큰 근본의 근원이시니라

하ᄂᆞᆯ과 ᄯᅡ와 만물 되기 젼에 텬당에 계시샤

영광과 ᄉᆞ랑ᄒᆞ심을 나타내시니

그러ᄒᆞ나 그 톄ᄂᆞᆫ 계시지 아닌 곳이 업ᄉᆞ시니

만물이 하ᄂᆞ님을 말ᄆᆡ암아 잇ᄉᆞᆷ이라

이ᄂᆞᆫ ᄎᆞᆷ 도ㅣ니 맛당이 알지어다

二. 封神之谬

廟(ᄉᆞ당 묘)中(가온ᄃᆡ 즁)佛(부쳐 불)과 菩(보살 보)薩(보살 살薩)們(무리 문) 과

同(ᄒᆞᆫ가지 동)玉(구슬 옥)皇(님금 황)과 千(일쳔 쳔) 萬(일만 만) 神(귀신 신)을

人(사ᄅᆞᆷ 인)心(ᄆᆞᄋᆞᆷ 심)想(ᄉᆡᆼ각 샹)ᄒᆞ야 人(사ᄅᆞᆷ 인)手(손 슈)出(날 츌)ᄒᆞ니

非(아닐 비)主(님금 쥬)宰(ᄌᆡ샹 ᄌᆡ)오 惟(오직 유) 土(흙 토)木(나무 목)이라

彼(뎌 피)偶(ᄶᅡᆨ 우)像(형샹 샹) 盡(다ᄒᆞᆯ 진)虛(뷜 허)空(뷜 공)이니

敬(공경 경)拜(졀 ᄇᆡ)之(갈 지)라도 毫(털ᄭᅳᆺ 호) 無(업ᄉᆞᆯ 무) 用(쓸 용)이오

釋(노흘 셕)迦(즁 가)佛(부쳐 불)은 是(이 시)凡(므ᄅᆞᆺ 범)夫(지아비 부)라

其(그 기)本(밋 본)國(나라 국)은 卽(곳 즉)天(하ᄂᆞᆯ 텬)竺(나라 츅)이오

諸(모들 져)菩(보살 보)薩(보살 살)은 佛(부쳐 불)徒(무리 도)弟(아오 뎨)라

稱(닐ᄏᆞᄅᆞᆯ 칭)爲(ᄒᆞ 위) 神(신령 신)이 大(큰 대) 悖(어긜 패) 理(리치 리)로다

張(베플 쟝) 玉(구슬 옥)帝(님금 뎨)ᄂᆞᆫ 後(뒤 후)漢(한슈 한) 人(사ᄅᆞᆷ 인)이라

徽(아ᄅᆞᆷ다올 휘) 宗(마루 죵) 時(ᄯᅢ 시)에 封(봉ᄒᆞᆯ 봉)爲(ᄒᆞ 위)神(신령 신)이오

聞(드ᄅᆞᆯ 문)太(클 태)師(스승 ᄉᆞ)로 爲(ᄒᆞ 위)雷(우뢰 뢰)祖(할아비 조)ᄒᆞ고

東(동녁 동)嶽(뫼 악)帝(님금 뎨)ᄂᆞᆫ 黃(누르 황)飛(ᄂᆞᆯ 비)虎(호랑이 호)오

趙(나라 죠)玄(감을 현)壇(졔터 단)은 生(날 ᄉᆡᆼ)紂(일홈 쥬)時(ᄯᅢ 시)ᄒᆞ고

劉(셩 류)長(긴 쟝)生(날 ᄉᆡᆼ)으로 爲(ᄒᆞ 위)祖(할아비 조)師(스승 ᄉᆞ)ᄒᆞ니

此(이 ᄎᆞ)一(ᄒᆞᆫ 일)類(ᄀᆞᆺᄒᆞᆯ 류)ᄂᆞᆫ 生(날 ᄉᆡᆼ)是(이 시)人(사ᄅᆞᆷ 인)이오

到(니ᄅᆞᆯ 도)死(죽을 ᄉᆞ) 後(뒤 후)에 只(다만 지)是(이 시)魂(령혼 혼)이어ᄂᆞᆯ

人(사ᄅᆞᆷ 인)封(봉ᄒᆞᆯ 봉)神(신령 신)ᄒᆞ니 風(바람 풍)俗(풍쇽 쇽)敗(패ᄒᆞᆯ 패)라

最(ᄀᆞ장 최)虛(뷜 허)空(뷜 공)이오 最(ᄀᆞ장 최)邪(간샤 샤)壞(문허질 괴)니

向(향ᄒᆞᆯ 향)彼(뎌 피)等(무리 등)ᄒᆞ야 徒(ᄒᆞᆫ갓 도)然(그럴 연)求(구ᄒᆞᆯ 구)라도

업ᄉᆞᆯ 무(無) 권셰 권(權) 능ᄒᆞᆯ 능(能)과 해ᄒᆞᆯ 해(害) 더블 여(與)구완 구(救)니라

人(사ᄅᆞᆷ 인)該(맛당 ᄒᆡ)敬(공경 경)은 乃(이에 내)上(웃 샹)帝(님금 뎨)시니

無(업ᄉᆞᆯ 무)有(잇ᄉᆞᆯ 유)二(두 이)한 是(이 시)眞(ᄎᆞᆷ 진)理(리치 리)니라

看(볼 간)此(이 ᄎᆞ)章(글월 쟝)ᄒᆞ야 當(맛당 당)去(ᄇᆞ릴 거)假(거ᄌᆞᆺ 가)ᄒᆞ고

敬(공경 경)上(웃 샹)帝(님금 뎨)ᄒᆞ면福(복 복)無(업ᄉᆞᆯ 무)涯(가 애)니라

묘 가온ᄃᆡ 부쳐와 보살들과

옥황과 쳔만 가지 귀신을

사ᄅᆞᆷ의 ᄆᆞᄋᆞᆷ으로 ᄉᆡᆼ각ᄒᆞ야 사ᄅᆞᆷ의 손으로 ᄆᆞᆫᄃᆞ러 내니

쥬ᄌᆡᄂᆞᆫ 아니오 오직 흙과 나무라 뎌 허수아비ᄂᆞᆫ 다 헛거시니

공경ᄒᆞ야 졀ᄒᆞᆯ지라도 조곰도 쓸ᄃᆡ업고

셕가불은 범샹ᄒᆞᆫ 사ᄅᆞᆷ이라

그 본국은 곳 텬츅이오

모든 보살은 부쳐의 뎨ᄌᆞ라

신이라 닐ᄏᆞᄅᆞᆷ이 크게 리치에 어그러지도다

쟝옥뎨ᄂᆞᆫ 후한 사ᄅᆞᆷ이라

휘종 ᄯᅢ에 봉ᄒᆞ야 신이라 ᄒᆞ고

문태ᄉᆞ로 뢰조라 ᄒᆞ고

동악뎨ᄂᆞᆫ 황비호오

죠현단은 쥬 ᄯᅢ에 나고

류쟝ᄉᆡᆼ으로 조ᄉᆞ라 ᄒᆞ니

이런 류ᄂᆞᆫ 살아 사ᄅᆞᆷ이오

죽온 후에 다만 령혼ᄲᅮᆫ이어ᄂᆞᆯ

사ᄅᆞᆷ이 ^ 봉ᄒᆞ야 신이라 ᄒᆞ니 풍쇽이 패ᄒᆞᆷ이라

ᄀᆞ장 헛되고 ᄀᆞ장 간샤ᄒᆞ니

뎌희ᄅᆞᆯ 향ᄒᆞ야 ᄒᆞᆫ갓 구ᄒᆞᆯ지라도

권셰와 능ᄒᆞᆷ과 해롭게 ᄒᆞᆷ과 구원ᄒᆞᆷ이 업ᄂᆞ니라

사ᄅᆞᆷ의 맛당이 공경ᄒᆞᆯ 거ᄉᆞᆫ 이에 하ᄂᆞ님이시니

둘히 업ᄉᆞ신 ᄎᆞᆷ 리치니라

이 글을 보아 맛당이 거ᄌᆞᆺ 거ᄉᆞᆯ ᄇᆞ리고

하ᄂᆞ님을 공경ᄒᆞ면 복이 한량업ᄉᆞᆯ 거시니라

三. 萬有眞原

造(지을 조)萬(일만 만)物(만물 물) 帝(님금 뎨)創(비로솔 창)首(머리 슈)에

乃(이에 내)從(좃칠 죵)無(업ᄉᆞᆯ 무)ᄒᆞ야 而(말이 이)造(지을 조)有(잇ᄉᆞᆯ 유)ᄒᆞ시니

淸(ᄆᆞᆰ을 쳥)氣(긔운 긔)天(하ᄂᆞᆯ 텬)이오 濁(흐릴 탁)氣(긔운 긔)地(ᄯᅡ 디)니

未(아닐 미)造(지을 조)時(ᄯᅢ 시)에 無(업ᄉᆞᆯ 무)二(두 이)氣(긔운 긔)라

此(이 ᄎᆞ)二(두 이)氣(긔운 긔) 與(더블 여)五(다ᄉᆞᆺ 오)行(ᄃᆞᆫ닐 ᄒᆡᆼ)이

非(아닐 비)自(스ᄉᆞ리 ᄌᆞ)有(잇ᄉᆞᆯ 유)오 帝(님금 뎨)造(지을 조)成(일울 셩)이시니

無(업ᄉᆞᆯ 무)造(지을 조)有(잇ᄉᆞᆯ 유) 實(실샹 실)神(신령 신)妙(묘ᄒᆞᆯ 묘)로다

除(덜 져)上(웃 샹)帝(님금 뎨)면 無(업ᄉᆞᆯ 무)능ᄒᆞᆯ 능能)造(지을 조)니라

造(지을 조)天(하ᄂᆞᆯ 텬)地(ᄯᅡ 디)와 萬(일만 만)物(만물 물)全(온전 젼)ᄒᆞ샤ᄃᆡ

大(큰 대)功(공 공)成(일울 셩)이 只(다만 지)六(여ᄉᆞᆺ 륙)天(하ᄂᆞᆯ 텬)이시니라

第(ᄎᆞ례 뎨)七(닐곱 칠)天(하ᄂᆞᆯ 텬)얘ᄂᆞᆫ 做(지을 주)何(엇지 하)事(일 ᄉᆞ)오

爲(ᄒᆞ 위)安(편안 안)息(쉴 식)ᄒᆞ야 傳(젼ᄒᆞᆯ 젼)於(늘 어)世(인간 셰)ᄒᆞ시니

安(편안 안)息(쉴 식)日(날 일)은 人(사ᄅᆞᆷ 인)該(맛당 ᄒᆡ)守(직흴 슈)니

乃(이에 내)敎(ᄀᆞᄅᆞ칠 교)規(법 규)라 垂(드리올 슈)永(길 영)久(오랠 구)니라

敬(공경 경)天(하ᄂᆞᆯ 텬)地(ᄯᅡ 디)ᄂᆞᆫ 非(아닐 비)所(바 소)宜(맛당 의)오

敬(공경 경)上(웃 샹)帝(님금 뎨)ᄂᆞᆫ 乃(이에 내)合(합ᄒᆞᆯ 합)理(리치 리)라

天(하ᄂᆞᆯ 텬)覆(덥흘 부)我(나 아)ᄒᆞ고 地(ᄯᅡ 디)載(실을 ᄌᆡ)我(나 아)ᄒᆞ니

爲(ᄒᆞ 위)我(나 아) 用(쓸 용)이라 祭(졔ᄉᆞ 졔)不(아닐 불)可(올흘 가)로다

譬(비ᄒᆞᆯ 비)天(하ᄂᆞᆯ 텬)地(ᄯᅡ 디)컨대 像(형샹 샹)房(구들 방)屋(집 옥)이오

譬(비ᄒᆞᆯ 비)上(웃 샹)帝(님금 뎨)컨 像(형샹 샹)父(아비 부)母(어미 무)ᄒᆞ니

拜(졀 ᄇᆡ)房(구들 방)屋(집 옥)은 禮(례돈 례)不(아닐 불)應(벅벅 응)이오

敬(공경 경)父(아비 부)母(어미 무) 分(ᄂᆞᆫ홀 분)內(안 ᄂᆡ)情(ᄯᅳᆺ 졍)이라

錯(그ᄅᆞᆺ 착)認(알 인)天(하ᄂᆞᆯ 텬)ᄒᆞ야 爲ᄒᆞ 위)上(웃 샹)帝(님금 뎨)ᄒᆞ니

乃(이에 내)大(큰 대)謬(그ᄅᆞᆺ 류)러 最(ᄀᆞ장 최)可(가ᄒᆞᆯ 가)惜(앗길 셕)이로다

人(사ᄅᆞᆷ 인)多(만흘 다)云(닐ᄋᆞᆯ 운)ᄒᆞᄃᆡ 盤(소반 반)古(녜 고)氏(각시 시)가

分(ᄂᆞᆫ홀 분)天(하ᄂᆞᆯ 텬)地(ᄯᅡ 디)ᄒᆞ고 首(머리 슈)御(어거 어)世(인간 셰)라 ᄒᆞ니

此(이 ᄎᆞ)等(무리 등)話(말ᄉᆞᆷ 화)ᄂᆞᆫ 毫(털ᄭᅳᆺ 호)無(업ᄉᆞᆯ 무)據(빙거 거)ㅣ로다

乃(이에 내)是(이 시)人(사ᄅᆞᆷ 인)이 捏(모흘 날)造(지을 조)語(말ᄉᆞᆷ 어)ㅣ로다

昔(녯 셕)孔(구멍 공)子(아ᄃᆞᆯ ᄌᆞ)ㅣ 刪(덜 산)古(녜 고)書(글 셔)ᄒᆞᆯᄉᆡ

其(그 기)定(뎡ᄒᆞᆯ 뎡)斷(ᄭᅳᆫ흘 단)이 自(스ᄉᆞ리 ᄌᆞ)唐(나라 당)虞(나라 우)ㅣ라

故(연고 고)四(넉 ᄉᆞ)書(글 셔)와 及(밋ᄎᆞᆯ 급)五(다ᄉᆞᆺ 오)經(글 경)에

皆(다 ᄀᆡ)不(아닐 불)載(실을 ᄌᆡ) 盤(소반 반)古(녜 고)名(일홈 명)이오

因인ᄒᆞᆯ 인)三(석 삼)皇(님금 황)이 茫(아득ᄒᆞᆯ 망)無(업ᄉᆞᆯ 무)稽(샹고ᄒᆞᆯ 계)ᄒᆞ야

司(맛흘 ᄉᆞ)馬(ᄆᆞᆯ 마)遷(옴길 쳔)이 槪(대개 개)不(아닐 불)題( 쓸 뎨)어든

况(ᄒᆞ믈며 황)盤(쇼반 반)古(녜 고)ᄂᆞᆫ 三(석 삼)皇(님금 황)前(압 젼)이라

更(더옥 ᄀᆡᆼ)虛(뷜 허)幻(밧고일 환)ᄒᆞ니 不(아닐 불)須(모ᄅᆞᆷᄌᆞᆨ이 슈)言(말ᄉᆞᆷ 언)이니라

卽(곳 즉)一(ᄒᆞᆫ 일)草(풀 초)와 卽(곳 즉)一(ᄒᆞᆫ 일)木(나모 목)도

天(하ᄂᆞᆯ 텬)下(아래 하)人(사ᄅᆞᆷ 인)은 做(지을 쥬)不(아닐 불)出(날 츌)이어든

况(ᄒᆞ믈며 황)天(하ᄂᆞᆯ 텬)地(ᄯᅡ 디)ᄂᆞᆫ 實(실샹 실)大(큰 대)哉(잇기 ᄌᆡ)라

豈(엇지 긔)盤(쇼반 반)古(녜 고)가 能(능ᄒᆞᆯ 능)分(ᄂᆞᆫ홀 분)開(열 ᄀᆡ)리오

爾(너 이)當(맛당 당)知(알 지)ᄂᆞᆫ 帝(님금 뎨)能(능ᄒᆞᆯ 능)力(힘 력)으로

親(친ᄒᆞᆯ 친)創(비로솔 창)造(지을 조) 天(하ᄂᆞᆯ 텬)與(더블 여)地(ᄯᅡ 디)ᄒᆞ시고

統(거ᄂᆞ릴 통)世(인간 셰)界(디경 계) 萬(일만 만)千(일쳔 쳔)數(두어 수)ᄒᆞ샤

只(다만 지)成(일울 셩)帝(님금 뎨) 一(ᄒᆞᆫ 일)國(나라 국)度(법도 도)니라

하ᄂᆞ님ᄭᅴ셔 만물을 비로소 지으실 처음에

업ᄉᆞᆷ으로 잇ᄉᆞᆷ을 지으시니

ᄆᆞᆰ은 긔운은 하ᄂᆞᆯ이 되고 흐린 긔운은 ᄯᅡ히 되니

ᄆᆞᆫᄃᆞ지 아니ᄒᆞᆫ ᄯᅢ에 두 긔운이 업ᄂᆞᆫ지라

이 두 긔운과 다못 오ᄒᆡᆼ이

스ᄉᆞ로 잇ᄉᆞᆷ이 아니오 하ᄂᆞ님ᄭᅴ셔 조셩ᄒᆞ심이니

업ᄂᆞᆫ 거ᄉᆞ로 잇ᄂᆞᆫ 거ᄉᆞᆯ ᄆᆞᆫᄃᆞᆫ 거시 실노 신묘ᄒᆞ도다

하ᄂᆞ님이 아니면 능히 ᄆᆞᆫᄃᆞ지 못ᄒᆞᄂᆞ니라

텬디ᄅᆞᆯ ᄆᆞᆫᄃᆞ시고 만물을 온젼이 ᄒᆞ시ᄃᆡ

큰 공을 일우심이 다만 여ᄉᆞᆺ 날이시니라

닐곱재 날에ᄂᆞᆫ 무ᄉᆞᆷ 일을 ᄒᆞ셧ᄂᆞ뇨

안식ᄒᆞ샤 셰샹에 젼ᄒᆞ시니

안식일은 사ᄅᆞᆷ이 맛당이 직흴 거시니

이에 교즁규모라 영원이 폐치 못ᄒᆞᆯ 거시니라

텬디ᄅᆞᆯ 공경ᄒᆞᄂᆞᆫ 거ᄉᆞᆫ 맛당치 아니ᄒᆞ고

하ᄂᆞ님을 공경ᄒᆞᄂᆞᆫ 거ᄉᆞᆫ 리치에 합당ᄒᆞ니라

하ᄂᆞᆯ은 나ᄅᆞᆯ 덥고 ᄯᅡ흔 나ᄅᆞᆯ 실엇시니

내게 씀이 되ᄂᆞᆫ지라 졔ᄉᆞᄒᆞᆷ이 올치 아니ᄒᆞ도다

텬디ᄂᆞᆫ 비컨대 집ᄀᆞᆺ고 하ᄂᆞ님ᄂᆞᆫ 비컨대 부모ᄀᆞᆺᄒᆞ니

집에 졀ᄒᆞᄂᆞᆫ 거ᄉᆞᆫ 례졀에 벅벅이 ᄒᆞᆯ 거시 아니오

부모ᄅᆞᆯ 공경ᄒᆞᄂᆞᆫ 거ᄉᆞᆫ 직분에 일이라

하ᄂᆞᆯ을 그ᄅᆞᆺ 알아 하ᄂᆞ님이라 ᄒᆞ니

ᄀᆞ장 가셕^ᄒᆞ도다

사ᄅᆞᆷ이 만히 닐ᄋᆞᄃᆡ 반고시가

텬디ᄅᆞᆯ ᄂᆞᆫ호고 처음으로 셰샹을 어거ᄒᆞ엿다 ᄒᆞ니

이런 말은 털ᄭᅳᆺ만콤도 빙거가 업ᄂᆞᆫ지라

이ᄂᆞᆫ 사ᄅᆞᆷ이 지어낸 말이로다

녯적 공ᄌᆞ가 고셔ᄅᆞᆯ 덜 ᄉᆡ

그 뎡ᄒᆞ야 ᄭᅳᆫ홈이 당나라와 우나라로브터 ᄒᆞᆫ지라

그런고로 ᄉᆞ셔와 오경에

다 반고시 일홈을 긔록지 아니ᄒᆞ엿고

삼황이 아득ᄒᆞ야 샹고ᄒᆞᆯ 길이 업ᄉᆞᆷ을 인ᄒᆞ야

ᄉᆞ마쳔이 대개 쓰지 아니ᄒᆞ엿거든

ᄒᆞ믈며 반고ᄂᆞᆫ 삼황 이젼이라

더옥 허황ᄒᆞ니 모ᄅᆞᆷᄌᆞᆨ이 말ᄒᆞᆯ 거시 아니니라

ᄒᆞᆫ 풀과 ᄒᆞᆫ 나모도

셰샹 사ᄅᆞᆷ은 ᄆᆞᆫᄃᆞ러 내지 못ᄒᆞ거든

ᄒᆞ믈며 텬디ᄂᆞᆫ 실노 큰지라

엇지 반고가 능히 ᄂᆞᆫ호아 열엇시리오

너희ᄂᆞᆫ 맛당이 하ᄂᆞ님의 능력으로

친히 텬디ᄅᆞᆯ 창조ᄒᆞ시고

셰계에 쳔만 가지ᄅᆞᆯ 거ᄂᆞ리샤

다만 하ᄂᆞ님의 ᄒᆞᆫ 나라 법도ᄅᆞᆯ 일우신 거ᄉᆞᆯ 알지니라

四. 聖賢敬帝

此(이 ᄎᆞ)上(웃 샹)帝(님금 뎨)ᄂᆞᆫ 古(녜 고)人(사ᄅᆞᆷ 인)知(알 지)ᄒᆞ야

常(ᄒᆞᆼ샹 샹)敬(공경 경)拜(졀 ᄇᆡ)ᄒᆞ니 略(간략 략)言(말ᄉᆞᆷ 언)之(갈 지)ᄒᆞ노라

類(ᄀᆞᆺᄒᆞᆯ 류)上(웃 샹)帝(님금 뎨)ᄂᆞᆫ 虞(나라 우)舜(님금 슌)行(ᄒᆡᆼᄒᆞᆯ ᄒᆡᆼ)이오

昭(ᄇᆞᆰ을 쇼)受(밧을 슈)帝(님금 뎨)ᄂᆞᆫ 夏(녀ᄅᆞᆷ 하)禹(님금 우)訓(ᄀᆞᄅᆞ칠 훈)이라

皇(님금 황)上(웃 샹)帝(님금 뎨)ㅣ 惟(오직 유)降(ᄂᆞ릴 강)衷(속 츙)은

成(일울 셩)湯(ᄭᅳᆯ을 탕)言(말ᄉᆞᆷ 언)이니 理(리치 리)最(ᄀᆞ장 최)通(통ᄒᆞᆯ 통)이로다

有(잇ᄉᆞᆯ 유)上(웃 샹)帝(님금 뎨)ᄂᆞᆫ 湯(ᄭᅳᆯ을 탕)王(님금 왕)畏(두려올 외)ᄒᆞ야

敢(굿ᄒᆡ 감)不(아닐 불)正(바ᄅᆞᆯ 졍) 夏(녀ᄅᆞᆷ 하)桀(일홈 걸)罪(허물 죄)라 ᄒᆞ니라

周(두루 쥬)文(글월 문)王(님금 왕)은 或(혹 혹)陟(오ᄅᆞᆯ 쳑)降(ᄂᆞ릴 강)이

在(잇ᄉᆞᆯ ᄌᆡ)上(웃 샹)帝(님금 뎨)ㅣ 左(왼 좌)右올(흘 우)旁(겻 방)이라 ᄒᆞ고

佑(도을 우)下(아래 하)民(ᄇᆡᆨ셩 민)ᄒᆞ샤 作(지을 작)君(님금 군)師(스승 ᄉᆞ)ᄒᆞ샤

相(도을 샹)上(웃 샹)帝(님금 뎨)ᄂᆞᆫ 武(호반 무)王(님금 왕)詞(말ᄉᆞᆷ ᄉᆞ)ㅣ니라

郊(들 교)社(샤직 샤)禮(례돈 례)ᄂᆞᆫ 事(셤길 ᄉᆞ)上(웃 샹)帝(님금 뎨)니

孔(구멍 공)子(아ᄃᆞᆯ ᄌᆞ)言(말ᄉᆞᆷ 언) 非(아닐 비)無(업ᄉᆞᆯ 무)意(ᄯᅳᆺ 의)로다

孟(맛 ᄆᆡᆼ)子(아ᄃᆞᆯ ᄌᆞ)言(말ᄉᆞᆷ 언)ᄒᆞᄃᆡ 人(사ᄅᆞᆷ 인)雖(비록 슈)惡(모질 악)이나

能(능ᄒᆞᆯ 능)齋(ᄌᆡ계 ᄌᆡ)浴(목욕 욕)이면 祀(졔ᄉᆞ ᄉᆞ)帝(님금 뎨)可(올흘 가)라 ᄒᆞ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