眞理便讀三字經

  • 연대: 1895
  • 저자: 미상
  • 출처: 眞理便讀三字經
  • 출판: 고려대학교 신암문고
  • 최종수정: 2016-01-01

悔(뉘웃칠 회)己(몸 긔)罪(허물 죄)ᄒᆞ고 信(밋을 신)耶(어조ᄉᆞ 야)穌(살아날 소)ᄒᆞ샤

衆(뭇 즁)善(착ᄒᆞᆯ 션)德(큰 덕)을 守(직흴 슈)勿(말 물)移(옴길 이)ᄒᆞ고

諸(모들 져)邪(간샤 샤)惡(모질 악)을 要(요구ᄒᆞᆯ 요)脫(버슬 탈)離(ᄯᅥ날 리)하며

嫖(음란ᄒᆞᆯ 표)與(더블 여)賭(ᄂᆡ기 도)와 鴉(가마귀 아)片(조각 편)烟(연긔 연)을

必(반ᄃᆞ 필)遠(멀 원)開(열 ᄀᆡ) 各(각 각)一(ᄒᆞᆫ 일)邊(가 변)ᄒᆞ라

信(밋을 신)主(님금 쥬)者(놈 쟈)ㅣ 有(잇ᄉᆞᆯ 유)所(바 소)禁(금ᄒᆞᆯ 금)ᄒᆞ니

凡(므ᄅᆞ 범)虛(뷜 허)事(일 ᄉᆞ)ᄅᆞᆯ 切(ᄀᆞᆫ졀 졀)莫(말 막)行(ᄒᆡᆼᄒᆞᆯ ᄒᆡᆼ)ᄒᆞ쇼

祭(졔ᄉᆞ 졔)祖(할아비 조)先(몬져 션)과 拜(졀 ᄇᆡ)死(죽을 ᄉᆞ)尸(죽엄 시)와

供(이바지 공)靈(신령 령)位(자리 위)와 燒(살올 쇼)錢(돈 젼)紙(조희 지)과

擇(갈흴 ᄐᆡᆨ)吉(길ᄒᆞᆯ 길)日(날 일)과 劃(그올$획)符(부작 부)張(베플 쟝)과

扶(붓들 부)鸞(ᄉᆡ 란)乩(졈칠 계)와 請(쳥ᄒᆞᆯ 쳥)陰(그늘 음)陽(볏 양)과

又(ᄯᅩ 우)測(혜아릴 측)字(글ᄌᆞ ᄌᆞ)와 竝(아올 병)起(닐 긔)課(공부 과)와

與(더블 여)相(셔로 상)面(낫 면)과 及(밋칠 급)命(목숨 명)學(ᄇᆡ홀 학)이니

此(이 ᄎᆞ)一(ᄒᆞᆫ 일)類(죵류 류)ᄂᆞᆫ盡(다ᄒᆞᆯ 진)空(뷜 공)虛(뷜 허)ᄒᆞ니

我(나 아)聖(거륵 셩)敎(ᄀᆞᄅᆞ칠 교)에 必(반ᄃᆞ 필)嚴(엄ᄒᆞᆯ 엄)拒(막을 거)니라

하ᄂᆞ님의 도ᄅᆞᆯ 무ᄉᆞᆷ 일홈으로 닐ᄏᆞᆺᄂᆞ뇨

영원이 오래도록 일ᄒᆞᆷ을 복음이라 ᄒᆞᄂᆞ니라

하ᄂᆞ님의 도ᄅᆞᆯ 모ᄅᆞᆷᄌᆞᆨ이 사ᄅᆞᆷ이 알 거시니

더 클 수 업ᄂᆞᆫ 은혜ᄂᆞᆫ 쥬ᄭᅴ셔 셰샹에 강ᄉᆡᆼᄒᆞᆷ이로다

쥬의 도ᄅᆞᆯ 밋으면 일만 복이 오리니

이러ᄒᆞᆷ을 인ᄒᆞᆫ 고로 복음이라 닐ᄏᆞᆺ고

거륵ᄒᆞᆫ 교회ᄂᆞᆫ 쥬ᄭᅴ셔 셰우신 바ㅣ니

하ᄂᆞᆯ 도ᄅᆞᆯ 보젼ᄒᆞ야 ᄯᅡ ᄭᅳᆺᄭᆞ지 젼ᄒᆞ게 ᄒᆞ심이오

교즁에 례졀은 두 가지가 잇ᄉᆞ니

ᄒᆞ나흔 령셰ᄒᆞᄂᆞᆫ 거시오 ᄒᆞ나흔 셩찬 먹ᄂᆞᆫ 거시라

령셰ᄒᆞᄂᆞᆫ ᄯᅳᆺᄉᆞᆫ 사ᄅᆞᆷ의 죄ᄅᆞᆯ ᄀᆞᄅᆞ침이니

셩신을 의지ᄒᆞ야 더러온 거ᄉᆞᆯ 업시 ᄒᆞᄂᆞᆫ 거시오

ᄯᅩ 령셰ᄒᆞᄂᆞᆫ ᄯᅳᆺᄉᆞᆫ ᄯᅩᄒᆞᆫ 예수의 문인된 거ᄉᆞᆯ 나타내여 ᄇᆞᆰ히ᄂᆞᆫ 거시오

셩찬 먹ᄂᆞᆫ 례ᄂᆞᆫ 쥬ᄭᅴ셔 베프러 뎡ᄒᆞ신 거시니

이에 ᄃᆡ신 못숨 ᄇᆞ리신 거ᄉᆞᆯ 나타내여 ᄇᆞᆰ힘^이라

몬져 ᄯᅥᆨ을 먹고 후에 술을 마시ᄂᆞᆫ 거ᄉᆞᆫ

쥬의 피가 우리ᄅᆞᆯ 위ᄒᆞ야 흘니신 거ᄉᆞᆯ 긔억게 ᄒᆞ심이니

교에 드러오ᄂᆞᆫ 쟈가 모ᄅᆞᆷᄌᆞᆨ이 직분으로 직흴 거시니라

신약과 구약을 부ᄌᆞ러니 강론ᄒᆞ고

ᄒᆞᆼ샹 도고ᄒᆞ고 례ᄇᆡ날을 직흴지니

이 세 가지ᄅᆞᆯ 직희ᄃᆡ 게으ᄅᆞ게 말나

예수의 무리ᄂᆞᆫ 엇더ᄒᆞᆫ 사ᄅᆞᆷ인고

날마다 오륜을 직희고

오륜 외에 하ᄂᆞᆯ 아바지ᄅᆞᆯ 공경ᄒᆞ며

제 죄ᄅᆞᆯ 뉘웃고 예수ᄅᆞᆯ 밋어

모든 착ᄒᆞᆫ 덕을 직혀 옴기지 말고

모든 간샤ᄒᆞ고 악ᄒᆞᆫ 거ᄉᆞᆯ 버셔 ᄇᆞ리기ᄅᆞᆯ 요구ᄒᆞ며

계집 오입과 노ᄅᆞᆷᄒᆞ기와 아편연 먹ᄂᆞᆫ 거ᄉᆞᆯ

반ᄃᆞ시 멀니 ᄒᆞᆫ 가희 더지라

쥬ᄅᆞᆯ 밋ᄂᆞᆫ 쟈가 금ᄒᆞᆯ 바가 잇ᄉᆞ니

므ᄅᆞᆺ 헛된 일을 일졀 ᄒᆡᆼᄒᆞ지 말쇼

조샹의게 졔ᄉᆞ 지내ᄂᆞᆫ 것과 죽은 신톄의게 졀ᄒᆞᄂᆞᆫ 것과

령위에 공양ᄒᆞᄂᆞᆫ 것과 지젼 살오ᄂᆞᆫ 것과

ᄐᆡᆨ일 ᄒᆞᄂᆞᆫ 것과 부작 쓰ᄂᆞᆫ 것과

졈치ᄂᆞᆫ 것과 디슐 ᄒᆞᄂᆞᆫ 것과

파ᄌᆞ졈 ᄒᆞᄂᆞᆫ 것과 ᄉᆞ과ᄅᆞᆯ 버리ᄂᆞᆫ 것과

사ᄅᆞᆷ의 샹 보기와 ^ ᄉᆞ쥬 보ᄂᆞᆫ 거시니

이러ᄒᆞᆫ 류ᄂᆞᆫ 다 헛되니

우리 셩교에셔ᄂᆞᆫ 반ᄃᆞ시 엄ᄒᆞ게 막을 거시니라

十一. 去假歸眞

帝(님금 뎨)造(지을 조)人(사ᄅᆞᆷ 인)을 意(ᄯᅳᆺ 의)當(맛당 당)知(알 지)니

要(모ᄅᆞᆷᄌᆞᆨ이 요)世(인간 셰)人(사ᄅᆞᆷ 인)이 行(ᄒᆡᆼᄒᆞᆯ ᄒᆡᆼ)實(실샹 실)事(일 ᄉᆞ)니

實(실샹 실)事(일 ᄉᆞ)何(엇지 하)오 敬(공경 경)上(웃 샹)帝(님금 뎨)ᄒᆞ며

愛(ᄉᆞ랑 ᄋᆡ)衆(뭇 즁)人(사ᄅᆞᆷ 인)을 如(ᄀᆞᆺᄒᆞᆯ 여)愛(ᄉᆞ랑 ᄋᆡ)己(몸 긔)ᄒᆞ며

守(직흴 슈)五(다ᄉᆞᆺ 오)常(덧덧 샹)하며 盡(다ᄒᆞᆯ 진)五(다ᄉᆞᆺ 오)倫(인륜 륜)이니

天(하ᄂᆞᆯ 텬)下(아래 하)人(사ᄅᆞᆷ 인)의 大(큰 대)本(밋 본)分(ᄂᆞᆫ홀 분)이니라

供(공양ᄒᆞᆯ 공)祖(할아비 조)先(몬져 션)ᄒᆞ며 祭(졔ᄉᆞ 졔)墳(무덤 분)塚(무덤 춍)은

是(이 시)大(큰 대)錯(그ᄅᆞᆺ 착)이니 眞(ᄎᆞᆷ 진)無(업ᄉᆞᆯ 무)用(쓸 용)이오

春(봄 츈)秋(가을 츄)祀(졔ᄉᆞ ᄉᆞ)와 紙(조희 지)錢(돈 젼)燒(살올 쇼)ᄂᆞᆫ

飛(ᄂᆞᆯ 비)作(지을 작)灰(ᄌᆡ 회)니 盡(다ᄒᆞᆯ 진)徒(ᄒᆞᆫ갓 도)勞(슈고 로)니라

魂(넉 혼)若(만일 약)吃(먹을 흘)이면 年(ᄒᆡ 년)一(ᄒᆞᆫ 일)祭(졔ᄉᆞ 졔)가

食(밥 식)不(아닐 불)足(죡ᄒᆞᆯ 죡)이니 必(반ᄃᆞ 필)凍(얼 동)飢(주릴 긔)오

若(만일 약)要(요긴 요)錢(돈 젼)이면 紙(조희 지)何(엇지 하)用(쓸 용)고

焚(살을 분)成(일울 셩)灰(ᄌᆡ 회)ᄒᆞ니 近(갓가올 근)戱(희롱 희)弄(희롱 롱)이로다

人(사ᄅᆞᆷ 인)死(죽을 ᄉᆞ)後(뒤 후)에ᄂᆞᆫ 便(믄득 변)歸(도라갈 귀)陰(그늘 음)ᄒᆞ야

無(업ᄉᆞᆯ 무)食(밥 식)用(쓸 용) 等(무리 등)事(일 ᄉᆞ)情(ᄯᅳᆺ 졍)이니

到(니ᄅᆞᆯ 도)親(어버이 친)死(죽을 ᄉᆞ)ᄒᆞ야 祭(졔ᄉᆞ 졔)已(임의 이)遲(더ᄃᆡᆯ지)니라

盡(다ᄒᆞᆯ 진)孝(효도 효)養(칠 양)은 在(잇ᄉᆞᆯ ᄌᆡ)生(날 ᄉᆡᆼ)時(ᄯᅢ 시)ᄒᆞ니

親(어버이 친)已(임의 이)死(죽을 ᄉᆞ)어든 力(힘 력)要(요긴 요)盡(다ᄒᆞᆯ 진)ᄒᆞ야

按(안험 안)本(밋 본)分(ᄂᆞᆫ홀 분)ᄒᆞ야 厚(두터올 후)葬(장ᄉᆞ 장)塋(무덤 영)ᄒᆞ고

墳(무덤 분)常(ᄒᆞᆼ샹 샹)修(닥글 슈)ᄒᆞ며 訓(ᄀᆞᄅᆞ칠 훈)勿(말 물)違(어긜 위)ᄒᆞ라

記(긔억 긔)親(어버이 친)恩(은혜 은)이 聖(거륵 셩)敎(ᄀᆞᄅᆞ칠 교)規(법 규)니라

하ᄂᆞ님ᄭᅴ셔 사ᄅᆞᆷ ᄆᆞᆫᄃᆞ심을 ᄯᅳᆺ에 맛당이 알 거시니

모ᄅᆞᆷᄌᆞᆨ이 셰샹 사ᄅᆞᆷ이 실샹 일만 ᄒᆡᆼᄒᆞᆯ지니라

실샹 일은 무어시뇨 하ᄂᆞ님을 공경ᄒᆞ며

뭇사ᄅᆞᆷ ᄉᆞ랑ᄒᆞ기ᄅᆞᆯ 제 몸 ᄉᆞ랑ᄒᆞᄃᆞᆺ ᄒᆞ며

오샹을 직희고 오륜을 다ᄒᆞᆯ지니

텬하 사ᄅᆞᆷ의 큰 본분이니라

조샹을 공양ᄒᆞ며 무덤에 졔ᄉᆞᄒᆞᆷ은

이 크게 그ᄅᆞᆺᄒᆞᆷ이니 ᄎᆞᆷ 쓸ᄃᆡ업고

츈츄로 졔ᄉᆞᄒᆞᆷ과 지젼을 살오ᄂᆞᆫ 거ᄉᆞᆫ

ᄌᆡ가 되어 ^ ᄂᆞᆯ니ᄂᆞ니 다 ᄒᆞᆫ갓 슈고ᄲᅮᆫ이니라

흔이 만일 먹을 터히면 일년에 ᄒᆞᆫ번식 졔ᄉᆞ가

먹기에 부죡ᄒᆞᆯ 거시니 반ᄃᆞ시 얼고 주릴 거시오

만일 돈을 요구ᄒᆞᆯ 터히면 조희ᄅᆞᆯ 무어ᄉᆡ 쓸고

살나 ᄌᆡ가 되니 희롱에 갓갑도다

사ᄅᆞᆷ이 죽은 후에ᄂᆞᆫ 문득 음부로 도라가

먹고 쓰ᄂᆞᆫ ᄉᆞ졍이 업ᄂᆞ니

어버이 죽기에 니ᄅᆞ러 졔ᄉᆞᄒᆞᄂᆞᆫ 거시 임의 더ᄃᆡ니라

효도로 공양을 다ᄒᆞᆷ은 살아실 ᄯᅢ에 잇ᄉᆞ니

어버이 임의 죽거든 힘을 모ᄅᆞᆷᄌᆞᆨ이 다ᄒᆞ야

본분을 안험ᄒᆞ야 두터이 션영에 장ᄉᆞᄒᆞ고

분묘ᄅᆞᆯ ᄒᆞᆼ샹 슈리ᄒᆞ며 유훈을 어긔지 말나

어버이 은혜ᄅᆞᆯ 긔억ᄒᆞᄂᆞᆫ 거시 셩교에 규모니라

十二. 詳論禱告

凡(므ᄅᆞᆺ 범)禱(빌 도)告(고ᄒᆞᆯ 고)ㅣ 有(잇ᄉᆞᆯ 유)四(넉 ᄉᆞ)意(ᄯᅳᆺ 의)ᄒᆞ니

首(머리 슈)讚(기릴 찬)美(아ᄅᆞᆷ다올 미) 父(아비 부)上(웃 샹)帝(님금 뎨)ᄒᆞ고

次(버금 ᄎᆞ)感(감동 감)謝(샤례 샤) 帝(님금 뎨)恩(은혜 은)惠(은혜 혜)ᄒᆞ며

第(ᄎᆞ례 뎨)三(석 삼)件(가지 건)은 認(알 인)己(몸 긔)罪(허물 죄)오

求(구ᄒᆞᆯ 구)應(응ᄒᆞᆯ 응)許(허락 허)ㅣ 乃(이에 내)第(ᄎᆞ례 뎨)四(넉 ᄉᆞ)니라

凡(므ᄅᆞᆺ 범)禱(빌 도)告(고ᄒᆞᆯ 고)ᄅᆞᆯ 要(모ᄅᆞᆷᄌᆞᆨ이 요)誠(졍셩 셩)實(실샹 실) 이니

求(구ᄒᆞᆯ 구)何(엇지 하)事(일 ᄉᆞ)오 求(구ᄒᆞᆯ 구)赦(샤ᄒᆞᆯ 샤)宥(샤ᄒᆞᆯ 유)ᄒᆞ며

求(구ᄒᆞᆯ 구)佑(도을 우)護(호위 호)ᄒᆞ며 求(구ᄒᆞᆯ 구)援(구원 원)救(구원 구)ᄒᆞ며

爲(ᄒᆞ 위)己(몸 긔)身(몸 신)ᄒᆞ며 爲(ᄒᆞ 위)家(집 가)內(안 ᄂᆡ)ᄒᆞ며

爲(ᄒᆞ 위)本(밋 본)國(나라 국)ᄒᆞ며 爲(ᄒᆞ 위)敎(ᄀᆞᄅᆞ칠 교)會(모돌 회)ᄒᆞ야

凡(므ᄅᆞᆺ 범)百(일ᄇᆡᆨ ᄇᆡᆨ)事(일 ᄉᆞ)ᄅᆞᆯ 求(구ᄒᆞᆯ 구)皆(다 ᄀᆡ)可(올흘 가)니

父(아비 부)上(웃 샹)帝(님금 뎨)ㅣ 肯(즐길 긍)聽(드ᄅᆞᆯ 텽)我(나 아)니라

凡(므ᄅᆞᆺ 범)禱(빌 도)告(고ᄒᆞᆯ 고)ㅣ 有(잇ᄉᆞᆯ 유)四(넉 ᄉᆞ)樣(모양 양)ᄒᆞ니

禱(빌 도)告(고ᄒᆞᆯ 고)者(놈 쟈)ᄂᆞᆫ 請(쳥ᄒᆞᆯ 쳥)細(자셰 셰)想(ᄉᆡᆼ각 샹)ᄒᆞ라

心(ᄆᆞᄋᆞᆷ 심)禱(빌 도)一(ᄒᆞᆫ 일)이오 隱(숨을 은)禱(빌 도)次(버금 ᄎᆞ)오

私(ᄉᆞᄉᆞ ᄉᆞ)禱(빌 도)三(석 삼)이오 公(공번될 공)禱(빌 도)四(넉 ᄉᆞ)니라

再(두 ᄌᆡ)言(말ᄉᆞᆷ 언)明(ᄇᆞᆰ을 명)ᄒᆞ니라 心(ᄆᆞᄋᆞᆷ 심)禱(빌 도)義(올흘 의)ᄂᆞᆫ

總(도모지 총)不(아닐 불)拘(거리ᄭᅵᆯ 구) 在(잇ᄉᆞᆯ ᄌᆡ)何(엇지 하)地(ᄯᅡ 디)ᄒᆞ고

偶(우연 우)然(그럴 연)間(ᄉᆞ이 간)에 有(잇ᄉᆞᆯ 유)心(ᄆᆞᄋᆞᆷ 심)思(ᄉᆡᆼ각 ᄉᆞ)어든

不(아닐 불)便(믄득 변)跪(ᄭᅮ러안질 궤)면 難(어려올 난)言(말ᄉᆞᆷ 언)之(갈 지)니

非(아닐 비)明(ᄇᆞᆰ을 명)說(말ᄉᆞᆷ 셜)이오 心(ᄆᆞᄋᆞᆷ 심)暗(어두올 암)禱(빌 도)ᄒᆞ야

心(ᄆᆞᄋᆞᆷ 심)內(안 ᄂᆡ)求(구ᄒᆞᆯ 구)ㅣ 爲(ᄒᆞ 위)最(ᄀᆞ장 최)好(됴홀 호)오

隱(숨을 은)禱(빌 도)告(고ᄒᆞᆯ 고)ᄂᆞᆫ 密(ᄲᆡᆨᄲᆡᆨᄒᆞᆯ 밀)室(집 실)裏(쇽 리)에

獨(홀노 독)自(스ᄉᆞ리 ᄌᆞ)求(구ᄒᆞᆯ 구)ᄒᆞᄃᆡ 心(ᄆᆞᄋᆞᆷ 심)靜(고요 졍)一(ᄒᆞᆫ 일)이오

私(ᄉᆞᄉᆞ ᄉᆞ)禱(빌 도)告(고ᄒᆞᆯ 고)ᄂᆞᆫ 領(거ᄂᆞ릴 령)家(집 가)人(사ᄅᆞᆷ 인)ᄒᆞᄃᆡ

男(사나희 남)與(더블 여)女(계집 녀)와 老(늙을 로)幼(어릴 유)等(무리 등)이

每(ᄆᆡ양 ᄆᆡ)早(일을 조)晩(느즐 만)에 同(ᄒᆞᆫ가지 동)禱(빌 도)籲(브ᄅᆞ지질 유)니

是(이 시)聖(거륵 셩)徒(무리 도)의 常(덧덧 샹)規(법 규)矩(법 구)라

看(볼 간)聖(거륵 셩)書(글 셔) 或(혹 혹)一(ᄒᆞᆫ 일)章(글월 장)ᄒᆞ며

或(혹 혹)數(두어 수)節(마ᄃᆡ 졀)이니 短(저를 단)不(아닐 불)妨(방해로올 방)이니라

同(ᄒᆞᆫ가지 동)讚(기릴 찬)美(아ᄅᆞᆷ다올 미)ᄒᆞ고 同(ᄒᆞᆫ가지 동)祈(빌 긔)求(구ᄒᆞᆯ 구)ᄒᆞᄃᆡ

早(일을 조)不(아닐 불)行(ᄃᆞᆫ닐 ᄒᆡᆼ)이면 晩(느즐 만)必(반ᄃᆞ 필)有(잇ᄉᆞᆯ 유)오

公(공번 공)禱(빌 도)告(고ᄒᆞᆯ 고)ᄂᆞᆫ 敎(ᄀᆞᄅᆞ칠 교)友(벗 우)集(모돌 집)하야

同(ᄒᆞᆫ가지 동)心(ᄆᆞᄋᆞᆷ 심)志(ᄯᅳᆺ 지)ᄒᆞ야 拜(졀 ᄇᆡ)上(웃 샹)帝(님금 뎨)니

禮(례돈 례)拜(졀 ᄇᆡ)日(날 일)에 聚(모돌 ᄎᆔ)會(모돌 회)堂(집 당)이오

倘(만일 당)無(업ᄉᆞᆯ 무)有(잇ᄉᆞᆯ 유)어든 任(맛길 임)別(다ᄅᆞᆯ 별)方(모 방)ᄒᆞ라

需(먹을 슈)用(쓸 용)物(만물 물)이 從(좃칠 죵)何(엇지 하)至(니ᄅᆞᆯ 지)오

皆(다 ᄀᆡ)帝(님금 뎨)恩(은혜 은)으로 所(바 소)賞(샹줄 샹)賜(줄 ᄉᆞ)니

有(잇ᄉᆞᆯ 유)用(쓸 용)物(만물 물)을 該(맛당 ᄒᆡ)知(알 지)恩(은혜 은)이니라

常(덧덧 샹)禱(빌 도)告(고ᄒᆞᆯ 고)ᄅᆞᆯ 要(모ᄅᆞᆷᄌᆞᆨ이 요)虔(졍셩 건)誠(졍셩 셩)이니

靠(의지ᄒᆞᆯ 고)誰(누구 슈)名(일홈 명)ᄒᆞ야 來(올 ᄅᆡ)禱(빌 도)告(고ᄒᆞᆯ 고)오

靠(의지ᄒᆞᆯ 고)耶(어조ᄉᆞ 야)穌(살아날 소) 大(큰 대)中(가온ᄃᆡ 즁)保(보젼 보)ᄒᆞ고

敬(공경 경)上(웃 샹)帝(님금 뎨)ᄒᆞ야 必(반ᄃᆞ 필)禱(빌 도)告(고ᄒᆞᆯ 고)ᄒᆞ라

若(만일 약)不(아닐 불)然(그럴 연)이면 虛(뷜 허)進(나아갈 진)敎(ᄀᆞᄅᆞ칠 교)니라

므ᄅᆞᆺ 도고ᄒᆞᆷ이 네 가지 ᄯᅳᆺ시 잇ᄉᆞ니

첫재ᄂᆞᆫ 아바지 하ᄂᆞ님을 찬미ᄒᆞ고

둘재ᄂᆞᆫ 하ᄂᆞ님의 은혜ᄅᆞᆯ 감샤ᄒᆞ며

셋재ᄂᆞᆫ ᄌᆞ긔의 죄ᄅᆞᆯ ᄌᆞ복ᄒᆞᄂᆞᆫ 거시오

응허ᄒᆞ신 거ᄉᆞᆯ 구ᄒᆞᄂᆞᆫ 거시 넷재니라

므ᄅᆞᆺ 도고ᄒᆞ기ᄅᆞᆯ 모ᄅᆞᆷᄌᆞᆨ이 셩실이 ᄒᆞᆯ지니

엇던 일을 구ᄒᆞᄂᆞᆫ고 죄ᄅᆞᆯ 샤ᄒᆞ야 주심을 구ᄒᆞ며

도아주시고 보호ᄒᆞ여 주심을 구ᄒᆞ며 구원ᄒᆞ야 주심을 구ᄒᆞ며

ᄌᆞ긔ᄅᆞᆯ 위ᄒᆞ며 집안흘 위ᄒᆞ며

제 나라흘 위ᄒᆞ며 교회ᄅᆞᆯ 위ᄒᆞ야

범 ᄇᆡᆨᄉᆞᄅᆞᆯ 구ᄒᆞᄂᆞᆫ 거시 다 가ᄒᆞ니

아바지 하ᄂᆞ님ᄭᅴ셔 즐겨 나ㅣ 비ᄂᆞᆫ 거ᄉᆞᆯ 드ᄅᆞ시ᄂᆞ니라

므ᄅᆞᆺ 도고ᄒᆞᄂᆞᆫ 거시 네 가지 모양이 잇ᄉᆞ니

도고ᄒᆞᄂᆞᆫ 쟈ᄂᆞᆫ 쳥컨대 ᄌᆞ셰히 ᄉᆡᆼ각ᄒᆞ라

ᄆᆞᄋᆞᆷ으로 도고ᄒᆞᄂᆞᆫ 거시 첫재오 은밀ᄒᆞ게 도고ᄒᆞᄂᆞᆫ 거시 둘재오

ᄉᆞᄉᆞ로이 도고ᄒᆞᄂᆞᆫ 거시 셋재오 공번되이 도고ᄒᆞᄂᆞᆫ 거시 넷재니라

두 번 말ᄒᆞ야 ᄇᆞᆰ히ᄂᆞ니 ᄆᆞᄋᆞᆷ으로 도고ᄒᆞᄂᆞᆫ ᄯᅳᆺᄉᆞᆫ

도모지 어ᄂᆞ 디방에 잇던지 불구ᄒᆞ고

우연이 ᄆᆞᄋᆞᆷ에 ᄉᆡᆼ각이 잇거든

믄득 ᄭᅮᆯ지 아니ᄒᆞ면 말ᄒᆞ기가 어려오^니

드러내여 말ᄉᆞᆷ을 아니ᄒᆞ고 ᄆᆞᄋᆞᆷ으로 ᄀᆞ만이 빌어

ᄆᆞᄋᆞᆷ 속으로만 구ᄒᆞᄂᆞᆫ 거시 ᄀᆞ장 됴흔 거시오

은밀ᄒᆞ게 도고ᄒᆞᄂᆞᆫ 거ᄉᆞᆫ 골방 속에셔

홀노 스ᄉᆞ로 구ᄒᆞᄃᆡ ᄆᆞᄋᆞᆷ을 졍일ᄒᆞ게 ᄒᆞᄂᆞᆫ 거시오

ᄉᆞᄉᆞ로이 도고ᄒᆞᄂᆞᆫ 거ᄉᆞᆫ 집안 사ᄅᆞᆷ을 거ᄂᆞ리ᄃᆡ

남녀와 로유들이

ᄆᆡ양 일으나 느즈나 ᄒᆞᆫ가지로 빌지니

이ᄂᆞᆫ 거륵ᄒᆞᆫ 무리의 덧덧ᄒᆞᆫ 법이라

셩경에 혹 ᄒᆞᆫ 쟝과

혹 두어 구졀ᄅᆞᆯ 볼지니 저ᄅᆞᆫ 거ᄉᆞᆫ 방해롭지 아니ᄒᆞ니라

ᄒᆞᆫ가지로 찬미ᄒᆞ고 ᄒᆞᆫ가지 빌어 구ᄒᆞᄃᆡ

일즉이 ᄒᆡᆼᄒᆞ지 못ᄒᆞ면 늣게ᄂᆞᆫ 반ᄃᆞ시 잇ᄉᆞᆯ 거시오

공번되이 도고ᄒᆞᄂᆞᆫ 거ᄉᆞᆫ 교우들이 모혀

ᄆᆞᄋᆞᆷ과 ᄯᅳᆺᄉᆞᆯ ᄒᆞᆫ가지로 ᄒᆞ야 하ᄂᆞ님ᄭᅴ 졀ᄒᆞᄂᆞᆫ 거시니

례ᄇᆡ일에 회당에 모도히고

만일 회당이 업거든 다ᄅᆞᆫ ᄃᆡ라도 임의로 ᄒᆞ라

먹고 쓰ᄂᆞᆫ 물건이 어ᄃᆡ로조차 니ᄅᆞ릿ᄂᆞᆫ고

다 하ᄂᆞ님의 은혜로 샹ᄉᆞᄒᆞ신 거시니

쓸ᄃᆡ잇ᄂᆞᆫ 물건을 맛당이 은혜ᄅᆞᆯ 알지니라

ᄒᆞᆼ샹 도고ᄒᆞ기ᄅᆞᆯ 모ᄅᆞᆷᄌᆞᆨ이 졍셩으로 ᄒᆞᆯ지니

뉘 일홈을 의지ᄒᆞ야 와셔 도고ᄒᆞ^ᄂᆞᆫ고

예수 큰 즁보ᄅᆞᆯ 의지ᄒᆞ고

하ᄂᆞ님을 공경ᄒᆞ야 반ᄃᆞ시 도고ᄒᆞᆯ 지니라

만일 그러치 아니 ᄒᆞ면 교에 나아온 거시 헛거시니라

十三. 審判善惡

審(ᄉᆞᆯ필 심)判(판단 판)主(님금 쥬)ᄂᆞᆫ 非(아니 비)閻(마을 염)君(님금 군)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