眞理便讀三字經

  • 연대: 1895
  • 저자: 미상
  • 출처: 眞理便讀三字經
  • 출판: 고려대학교 신암문고
  • 최종수정: 2016-01-01

此(이 ᄎᆞ)類(ᄀᆞᆺᄒᆞᆯ 류)語(말ᄉᆞᆷ 어)ᄂᆞᆫ 說(말ᄉᆞᆷ 셜)不(아닐 불)盡(다ᄒᆞᆯ 신)이로다

惜(앗길 셕)世(인간 셰)人(사ᄅᆞᆷ 인)은 心(ᄆᆞᄋᆞᆷ 심)不(아닐 불)明(ᄇᆞᆰ을 명)ᄒᆞ야

錯(그ᄅᆞᆺ 착)認(알 인)佛(부쳐 불)과 玉(구슬 옥)皇(님금 황)等(무리 등)과

天(하ᄂᆞᆯ 텬)與(더블 여)地(ᄯᅡ 디)와 千(일쳔 쳔)萬(일만 만)神(귀신 신)을

爲(ᄒᆞ 위)上(웃 샹)帝(님금 뎨)ᄒᆞ며 爲(ᄒᆞ 위)主(님금 쥬)宰(ᄌᆡ샹 ᄌᆡ)ᄒᆞ야

瀆(더러일 독)眞(ᄎᆞᆷ 진)主(님금 쥬)ᄒᆞ니 實(실샹 실)可(올흘 가)哀(슬플 ᄋᆡ)로다

勸(권ᄒᆞᆯ 권)爾(너 이)衆(무리 즁)ᄒᆞ노니 速(속ᄒᆞᆯ 속)醒(ᄭᆡᆯ 셩)悟(ᄭᆡᆯ 오)ᄒᆞ야

免(면ᄒᆞᆯ 면)上(웃 샹)帝(님금 뎨)의 動(움ᄌᆞᆨ일 동)義(올흘 의)怒(셩낼 노)ᄒᆞ라

一(ᄒᆞᆫ 일)同(ᄒᆞᆫ가지 동)來(올 ᄅᆡ) 心(ᄆᆞᄋᆞᆷ 심)意(ᄯᅳᆺ 의)虔(졍셩 건)ᄒᆞ야

敬(공경 경)上(웃 상)帝(님금 뎨)ᄒᆞ고 莫(말 막)迷(흐릴 미)眩(어ᄌᆞ러올 현)이러다

하ᄂᆞ님은 녯 사ᄅᆞᆷ이 알아

ᄒᆞᆼ샹 공경ᄒᆞ고 졀ᄒᆞ엿시니 약간 말ᄒᆞ노라

하ᄂᆞ님ᄭᅴ 졔ᄉᆞᄒᆞᆷ은 우슌이 ᄒᆡᆼᄒᆞ엿고

ᄇᆞᆰ히 하ᄂᆞ님ᄭᅴ 밧음은 하우의 ᄀᆞᄅᆞ침이라

황ᄒᆞᆫ 하ᄂᆞ님ᄭᅴ셔 졍셩을 ᄂᆞ림은

셩탕의 말이니 리치가 ᄀᆞ장 통ᄒᆞ엿도다

하ᄂᆞ님이 계심은 셩탕이 두려워 ᄒᆞ야

감히 하걸의 죄ᄅᆞᆯ 바ᄅᆞ지 아니리오 ᄒᆞ니라

쥬문왕은 혹 오ᄅᆞ고 ᄂᆞ림이

하ᄂᆞᆫ님 좌우에 잇다 ᄒᆞ고

ᄇᆡᆨ셩을 도으샤 님금과 스승을 지으샤

하ᄂᆞ님을 돕ᄂᆞᆫ다 ᄒᆞᆷ은 무왕의 말이라

교ᄉᆞᄒᆞᄂᆞᆫ 례ᄂᆞᆫ 하ᄂᆞ님을 셤김이니

공ᄌᆞ의 말이 ᄯᅳᆺ 업ᄂᆞᆫ 거시 아니로다

ᄆᆡᆼᄌᆞㅣ 말ᄒᆞᄃᆡ 사ᄅᆞᆷ이 비록 악ᄒᆞ나

능히 ᄌᆡ ^ 계ᄒᆞ고

목욕ᄒᆞ면 하ᄂᆞ님ᄭᅴ 가히 졔ᄉᆞᄒᆞᆫ다 ᄒᆞ니

이ᄀᆞᆺᄒᆞᆫ 말은 말노 다ᄒᆞ지 못ᄒᆞ겟도다

앗갑다 셰샹 사ᄅᆞᆷ은 ᄆᆞᄋᆞᆷ이 ᄇᆞᆰ지 못ᄒᆞ야

그ᄅᆞᆺ 부쳐와 옥황과

하ᄂᆞᆯ과 ᄯᅡ와 쳔만 가지 귀신을

하ᄂᆞ님이라 ᄒᆞ며 쥬ᄌᆡ라 ᄒᆞ야

ᄎᆞᆷ 되신 쥬ᄅᆞᆯ 더러이니 실노 슬프도다

너희 무리ᄅᆞᆯ 권ᄒᆞᄂᆞ니 속히 ᄭᆡᄃᆞ러

하ᄂᆞ님의 올흐신 노ᄒᆞ심을 면ᄒᆞ라

ᄒᆞᆫ가지로 ᄀᆞᆺ치 와셔

ᄆᆞᄋᆞᆷ과 ᄯᅳᆺᄉᆞᆯ 졍셩ᄒᆞ야

하ᄂᆞ님을 공경ᄒᆞ고 미현ᄒᆞ지 말지어다

五.人之本源

亞(버금 아)當(맛당 당)男(사내 남)이오 夏(녀ᄅᆞᆷ 하)娃(계집 와)女(계집 녀)니

普(넓을 보)天(하ᄂᆞᆯ 텬)下(아래 하) 人(사ᄅᆞᆷ 인)始(비로솔 시)祖(할아비 조)로다

人(사ᄅᆞᆷ 인)之(갈 지)體(몸 톄) 兩(두 량)位(자리 위)分(ᄂᆞᆫ홀 분)ᄒᆞ니

一(ᄒᆞᆫ 일)肉(고기 육)身(몸 신)이오 一(ᄒᆞᆫ 일)靈(신령 령)魂(넉 혼)이라

是(이 시)何(엇지 하)物(만물 물)로 做(지을 주)人(사ᄅᆞᆷ 인)身(몸 신)고

上(웃 샹)帝(님금 뎨)用(쓸 용) 土(흙 토)造(지을 조)成(일울 셩)이오

人(사ᄅᆞᆷ 인)之(갈 지)魂(넉 혼)은 乃(이에 내)靈(신령 령)物(만물 물)이니

亦(ᄯᅩ 역)上(웃 샹)帝(님금 뎨)의 所(바 소)特(특별 특)賦(ᄐᆡ올 부)니라

爲(ᄒᆞ 위)氣(긔운 긔)物(만물 물)은 人(사ᄅᆞᆷ 인)之(갈 지)身(몸 신)이니

有(잇ᄉᆞᆯ 유)形(형용 형)像(형샹 샹)이오 有(잇ᄉᆞᆯ 유)死(죽을 ᄉᆞ)生(날 ᄉᆡᆼ)이라

身(몸 신)死(죽을 ᄉᆞ)後(뒤 후)에도 魂(넉 혼)不(아닐 불)亡(망ᄒᆞᆯ 망)ᄒᆞ야

罰(벌ᄒᆞᆯ 벌)地(ᄯᅡ 디)獄(옥 옥)ᄒᆞ며 賞(샹줄 샹)天(하ᄂᆞᆯ 텬)堂(집 당)ᄒᆞᄂᆞ니라

有(잇ᄉᆞᆯ 유)三(석 삼)魂(넉 혼)은 乃(이에 내)虛(뷜 허)語(말ᄉᆞᆷ 어)오

是(이 시)一(ᄒᆞᆫ 일)魂(넉 혼) 是(이 시)眞(ᄎᆞᆷ 진)理(리치 리)라

主(님금 쥬)造(지을 조)人(사ᄅᆞᆷ 인) 象(모양 샹)己(몸 긔)像(형샹 샹)ᄒᆞ시니

性(셩픔 셩)惟(오직 유)善(착ᄒᆞᆯ 션)이오 心(ᄆᆞᄋᆞᆷ 심)惟(오직 유)良(어질 량)이라

人(사ᄅᆞᆷ 인)始(비로솔 시)祖(할아비 조)ㅣ 住(머믈 쥬)埃(틔ᄭᅳᆯ 애)田(밧 뎐)

華(빗날 화)園(동산 원)內(안 ᄂᆡ)ᄒᆞ야 樂(즐길 락)無(업ᄉᆞᆯ 무)邊(가 변)이러니

後(뒤 후)在(잇ᄉᆞᆯ ᄌᆡ)園(동산 원)이라가 被(닙을 피)逐(ᄶᅩ칠 츅)出(날 츌)ᄒᆞ니

是(이 시)誰(누구 슈)逐(ᄶᅩ칠 츅)고 乃(이에 내)上(웃 샹)帝(님금 뎨)시니라

爲(ᄒᆞ 위)何(엇지 하)事(일 ᄉᆞ)로 受(밧을 슈)此(이 ᄎᆞ)刑(형벌 형)고

因(인ᄒᆞᆯ 인)犯(범ᄒᆞᆯ 범)罪(허물 죄)며 違(어긜 위)帝(님금 뎨)命(명ᄒᆞᆯ 명)이니라

誰(누구 슈)第(ᄎᆞ례 뎨)一(ᄒᆞᆫ 일) 犯(범ᄒᆞᆯ 범)帝(님금 뎨)法(법 법)고

祖(할아비 조)亞(버금 아)當(맛당 당)과 與(더블 여)夏(녀름 하)娃(계집 와)니라

繼(니을 계)亞(버금 아)當(맛당 당)ᄒᆞ야 做(지을 조)子(아ᄃᆞᆯ ᄌᆞ)孫(손ᄌᆞ 손)ᄒᆞ니

衆(무리 즁)心(ᄆᆞᄋᆞᆷ 심)內(안 ᄂᆡ)에 有(잇ᄉᆞᆯ 유)惡몹슬 악)根(ᄲᅮᆯ희 근)이라

天(하ᄂᆞᆯ 텬)下(아래 하)人(사ᄅᆞᆷ 인)이 皆(다 ᄀᆡ)一ᄒᆞᆫ 일)類(ᄀᆞᆺᄒᆞᆯ 류)니

無(업ᄉᆞᆯ 무)有(잇ᄉᆞᆯ 유)一(ᄒᆞᆫ 일) 不(아닐 불)犯(범ᄒᆞᆯ 범)罪(허물 죄)라니

아당은 사나희오 하와ᄂᆞᆫ 계집이니

온 텬하 사ᄅᆞᆷ의 시조로다

사ᄅᆞᆷ의 몸이 두 위에 ᄂᆞᆫ호엿시니

ᄒᆞ나흔 육신이오 ᄒᆞ나흔 령혼이라

이 무ᄉᆞᆷ 물건으로 사ᄅᆞᆷ^의 몸을 ᄆᆞᆫᄃᆞ럿ᄂᆞ뇨

하ᄂᆞ님ᄭᅴ셔 흙으로써 조셩ᄒᆞ신 거시오

사ᄅᆞᆷ의 혼은 이에 령ᄒᆞᆫ 물건이니

ᄯᅩᄒᆞᆫ 하ᄂᆞ님ᄭᅴ셔 특별이 ᄐᆡ오신 거시니라

긔운된 물건은 사ᄅᆞᆷ의 몸이니

형샹이 잇고 죽고 사ᄂᆞᆫ 거시 잇ᄂᆞᆫ지라

육신이 죽은 후에도 령혼은 업서지지 아니ᄒᆞ야

디옥으로 벌을 ᄒᆞ며 텬당으로 샹을 ᄒᆞᄂᆞ니라

삼혼이 잇다 ᄒᆞᆷ은 이에 허ᄒᆞᆫ 말이오

이 령혼 ᄒᆞ나히 ᄎᆞᆷ 리치니라

쥬ᄭᅴ셔 사ᄅᆞᆷ ᄆᆞᆫᄃᆞ심을 ᄌᆞ긔 모양으로 형샹ᄒᆞ시니

셩픔이 오직 착ᄒᆞ고 ᄆᆞᄋᆞᆷ이 오직 어지니라

사ᄅᆞᆷ의 시조가 ᄋᆡ뎐화원에 머물너

즐거옴이 한량이 업더니

후의 동산에 잇다가 ᄶᅩᆺ차 내침을 닙엇시니

이 누구가 ᄶᅩᆺ찻ᄂᆞᆫ고 이에 하ᄂᆞ님이시니라

무ᄉᆞᆷ 일노 ᄒᆞ여 이 형벌을 밧앗ᄂᆞᆫ고

죄ᄅᆞᆯ 범ᄒᆞ며 하ᄂᆞ님의 명령어긤을 인ᄒᆞᆷ이니라

누구가 뎨일노 하ᄂᆞ님의 법을 범ᄒᆞ엿ᄂᆞᆫ고

시조 아당과 다못 하와니라

아당^을 니어 ᄌᆞ손이 되니

뭇 사ᄅᆞᆷ의 ᄆᆞᄋᆞᆷ 속에 악한 ᄲᅮᆯ희가 잇ᄂᆞᆫ지라

텬하 사ᄅᆞᆷ이 다 ᄒᆞᆫ 류ㅣ니

ᄒᆞ나도 죄ᄅᆞᆯ 범ᄒᆞ지 아니ᄒᆞᆫ 이가 업ᄂᆞ니라

六. 鬼神之別

世(인간 셰)人(사ᄅᆞᆷ 인)外(밧 외)에 有(잇ᄉᆞᆯ 유)天(하ᄂᆞᆯ 텬)使(부릴 ᄉᆞ)ᄒᆞ니

爲(ᄒᆞ 위)帝(님근 뎨)用(쓸 용)이오 成(일울 셩)帝(님금 뎨)旨(ᄯᅳᆺ 지)니라

衆(무리 즁)天(하ᄂᆞᆯ 텬)使(부릴 ᄉᆞ)도 帝(님금 뎨)造(지을 조)成(일울 셩)이시니

乃(이에 내)靈(신령 령)物(만물 물)이오 無(업ᄉᆞᆯ 무)肉(고기 욱)身(몸 신)이라

得(엇을 득)救(구원 구)人(사ᄅᆞᆷ 인)이 受(밧을 슈)其(그 기)助(도을 조)ᄒᆞᄂᆞ니

帝(님금 뎨)命(명ᄒᆞᆯ 명)之(갈 지)ᄒᆞ샤 常(ᄒᆞᆼ샹 샹)照(빗쵤 죠)顧(도라볼 고)ᄒᆞ시ᄂᆞ니라

聖(거륵 셩)書(글 셔)中(가온ᄃᆡ 즁)에 所(바 소)言(말ᄉᆞᆷ 언)鬼(귀신 귀)ᄂᆞᆫ

非(아닐 비)他(다ᄅᆞᆯ 타)物(만물 물)이오 魔(마귀 마)一(ᄒᆞᆫ 일)類(ᄀᆞᆺᄒᆞᆯ 류)라

諸(모들 져)邪(간샤 샤)魔(마귀 마)ᄅᆞᆯ 初(처음 초)造(지을 조)時(ᄯᅢ 시)에

未(아닐 미)犯(범할 범)法(법 법)ᄒᆞ야ᄂᆞᆫ 亦(ᄯᅩ 역)天(하ᄂᆞᆯ 뎨)使(부릴 ᄉᆞ)러니

因(인ᄒᆞᆯ 인)犯(범ᄒᆞᆯ 범)法(법 법)으로 被(닙을 피)帝(님금 뎨)趕(ᄶᅩ칠 한)ᄒᆞ야

離(ᄯᅥ날 리)高(놉흘 고)天(하ᄂᆞᆯ 텬)ᄒᆞ니 惡(몹쓸 악)萬(일만 만)端(ᄭᅳᆺ 단)이라

專(오로지 젼)誘(ᄭᅬ올 유)人(사ᄅᆞᆷ 인)ᄒᆞ야 背(등 ᄇᆡ)上(웃 샹)主(님금 쥬)케 ᄒᆞ며

拜(졀 ᄇᆡ)偶(ᄶᅡᆨ 우)像(형샹 샹)ᄒᆞ야 陷(ᄲᅡ질 함)諸(모들 져)苦(고로올 고)케 ᄒᆞ나

然(그럴 연)邪(간샤 샤)魔(마귀 마)도 終(ᄆᆞᆺᄎᆞᆷ 죵)被(닙을 피)逐(ᄶᅩ칠 츅)ᄒᆞ야

受(밧을 슈)永(길 영)刑(형벌 형)ᄒᆞ고 下(아래 하)地(ᄯᅡ 디)獄(옥 옥)이니라

論(의론 론)魔(마귀 마)鬼(귀신 귀)컨대 聖(거륵 셩)書(글 셔)云(닐ᄋᆞᆯ 운)ᄒᆞ샤ᄃᆡ

卽(곳 즉)鬼(귀신 귀)首(머리 슈)니 爾(너 이)當(맛당 당)明(ᄇᆞᆰ을 명)ᄒᆞ라

眞(ᄎᆞᆷ 진)上(웃 샹)帝(님금 뎨)ᄅᆞᆯ 不(아닐 불)敬(공경 경)拜(졀 ᄇᆡ)ᄒᆞ고

眞(ᄎᆞᆷ 진)救(구원 구)主(임금 쥬)ᄅᆞᆯ 不(아닐 불)依(의지ᄒᆞᆯ 의)賴(힘닙을 뢰)ᄒᆞ며

行(ᄒᆡᆼᄒᆞᆯ ᄒᆡᆼ)世(인간 셰)間(ᄉᆞ이 간) 諸(모들 져)邪(간샤 샤)事(일 ᄉᆞ)ᄒᆞ면

卽(곳 즉)稱(닐ᄏᆞᄅᆞᆯ 칭)爲(ᄒᆞ 위) 魔(마귀 마)鬼(귀신 귀)子(아ᄃᆞᆯ ᄌᆞ)니라

到(니ᄅᆞᆯ 도)死(죽을 ᄉᆞ)後(뒤 후)에 此(이 ᄎᆞ)等(무리 등)人(사ᄅᆞᆷ 인)은

下(아래 하)地(ᄯᅡ 디)獄(옥 옥)ᄒᆞ야 受(밧을 슈)沈(ᄌᆞᆷ길 침)淪(ᄲᅡ질 륜)이니라

邪(간샤 샤)魔(마귀 마)來(올 ᄅᆡ)ᄒᆞ야 迷(아득ᄒᆞᆯ 미)惑(혹ᄒᆞᆯ 혹)人(사ᄅᆞᆷ 인)이면

靠(의지ᄒᆞᆯ 고)己(몸 긔)力(힘 력)ᄒᆞ야ᄂᆞᆫ 敵(ᄃᆡ뎍 뎍)不(아닐 불)勝(이긜 승)이리니

靠(의지ᄒᆞᆯ 고)主(님금 쥬)功(공 공)ᄒᆞ야 求(구ᄒᆞᆯ 구)天(하ᄂᆞᆯ 텬)父(아비 부)ᄭᅴ

賜(줄 ᄉᆞ)聖(거륵 셩)神(신령 신)이면 能(능ᄒᆞᆯ 능)救(구원 구)護(호위ᄒᆞᆯ 호)ᄒᆞ리라

셰샹 사ᄅᆞᆷ 밧긔 텬ᄉᆞ가 잇ᄉᆞ니

하ᄂᆞ님의 쓰심이 되고 하ᄂᆞ님의 ᄯᅳᆺᄉᆞᆯ 일우ᄂᆞ니라

여러 텬ᄉᆞ도 하ᄂᆞ님ᄭᅴ셔 조셩ᄒᆞ신 거시니

이에 신령ᄒᆞᆫ 물건이오 육신^이 업ᄂᆞᆫ지라

구원을 엇ᄂᆞᆫ 사ᄅᆞᆷ들이 그 도음을 밧ᄂᆞ니

하ᄂᆞ님ᄭᅴ셔 명ᄒᆞ샤 ᄒᆞᆼ샹 빗최여 도라보시ᄂᆞ니라

셩셔에 말ᄒᆞᆫ 바 귀신은

다ᄅᆞᆫ 물건이 아니오 마귀와 ᄀᆞᆺᄒᆞᆫ 류ㅣ라

모든 샤귀와 마귀ᄅᆞᆯ 처음 ᄆᆞᆫᄃᆞᆯ ᄯᅢ에

법을 범치 아니ᄒᆞ여ᄂᆞᆫ ᄯᅩᄒᆞᆫ 텬ᄉᆞㅣ러니

법을 범ᄒᆞᆷ으로 하ᄂᆞ님ᄭᅴ셔 ᄶᅩᆺ차내심을 닙어

놉흔 하ᄂᆞᆯ을 ᄯᅥ나니 일만 가지로 악ᄒᆞᆫ지라

오ᄅᆞ지 사ᄅᆞᆷ을 ᄭᅬ와 샹쥬ᄅᆞᆯ ᄇᆡ반케 ᄒᆞ며

우샹의게 졀ᄒᆞ야 모든 고로옴에 ᄲᅡ지게 ᄒᆞ나

그러ᄒᆞ나 샤귀와 마귀도 ᄆᆞᆺᄎᆞᆷ내 ᄶᅩᆺ침을 닙어

영원ᄒᆞᆫ 형벌을 밧고 디옥에 드러가ᄂᆞ니라

마귀ᄅᆞᆯ 의론컨대 셩셔에 닐ᄋᆞ시ᄃᆡ

곳 귀신의 머리니 너희가 맛당이 ᄇᆞᆰ히라

ᄎᆞᆷ되신 하ᄂᆞ님을 공경치 아니ᄒᆞ고

ᄎᆞᆷ되신 구쥬ᄅᆞᆯ 의지ᄒᆞ지 아니ᄒᆞ며

셰샹에 모든 간악ᄒᆞᆫ 일만 ᄒᆡᆼᄒᆞ면

곳 닐ᄏᆞᆺ기ᄅᆞᆯ 마귀의 아ᄃᆞᆯ이라 ᄒᆞᄂᆞ니라

죽은 후에 이러ᄒᆞᆫ 사ᄅᆞᆷ은 디옥에 ᄂᆞ려 침륜ᄒᆞᄂᆞᆫ 고ᄉᆡᆼ을 밧게 ᄒᆞᄂᆞ니라

샤귀와 마귀가 와셔 사ᄅᆞᆷ을 미혹ᄒᆞ^면

ᄌᆞ긔의 힘을 의지ᄒᆞ여ᄂᆞᆫ ᄃᆡ뎍을 이긔지 못ᄒᆞ리니

쥬의 공로ᄅᆞᆯ 의지ᄒᆞ야

하ᄂᆞᆯ 아바지ᄭᅴ 셩신 주심을 구ᄒᆞ면 능히 구원ᄒᆞ리라

七. 歌頌上主

大(큰 대)主(님금 쥬)宰(ᄌᆡ샹 ᄌᆡ)ㅣ 造(지을 조)天(하ᄂᆞᆯ 텬)地(ᄯᅡ 디)ᄒᆞ시고

造(지을 조)萬(일만 만)物(만물 물)ᄒᆞ샤 俱(다 구)齊(ᄀᆞᄌᆞᆨᄒᆞᆯ 졔)備ᄀᆞ촐 비)ᄒᆞ시니

大(큰 대)功(공 공)能(능ᄒᆞᆯ 능)이 無(업ᄉᆞᆯ 무)旣(임의 긔)極(다ᄒᆞᆯ 극)이라

該(맛당 ᄒᆡ)讚(기릴 찬)美(아ᄅᆞᆷ다올 미)이니라 永(길 영)不(아닐 불)息(쉴 식)

晝(낫 쥬)有(잇ᄉᆞᆯ 유)日(날 일)ᄒᆞ야 光(빗 광)滿(ᄀᆞ득ᄒᆞᆯ 만)天(하ᄂᆞᆯ 텬)ᄒᆞ고

夜(밤 야)有(잇ᄉᆞᆯ 유)月(ᄃᆞᆯ 월)ᄒᆞ야 照(빗쵤 죠)無(업ᄉᆞᆯ 무)邊(갓 변)ᄒᆞ며

日(날 일)月(ᄃᆞᆯ 월)外(밧 외)에 有(잇ᄉᆞᆯ 유)衆(뭇 즁)星(별 셩)ᄒᆞ니

皆(다 ᄀᆡ)帝(님금 뎨)造(지을 조)라 德(큰 덕)難(어려올 난)名(일홈 명)이로다

陸(뭇 륙)地(ᄯᅢ 디)上(웃 샹)에 有(잇ᄉᆞᆯ 유)五(다ᄉᆞᆺ 오)穀(곡식 곡)과

同(ᄒᆞᆫ가지 동)花(ᄭᅩᆺ 화)草(풀 초)와 同(ᄒᆞᆫ가지 동)樹(나무 슈)木(나모 목)이오

海(바다 ᄒᆡ)中(가온ᄃᆡ 즁)有(잇ᄉᆞᆯ 유) 諸(모들 져)水(물 슈)族(겨례 족)이

皆(다 ᄀᆡ)上(웃 샹)帝(님금 뎨)의 造(지을 조)之(갈 지)物(만물 물)이오

林(수풀 림)間(ᄉᆞ이 간)鳥(새 됴) 無(업ᄉᆞᆯ 무)數(두어 수)隻(ᄶᅡᆨ 쳑)을

帝(님금 뎨)賜(줄 ᄉᆞ)彼(뎌 피)ᄒᆞ샤 常(ᄒᆞᆼ샹 샹)有(잇ᄉᆞᆯ 유)吃(먹을 흘)ᄒᆞ시고

有(잇ᄉᆞᆯ 유)走(다랄 쥬)獸(즘승 슈)며 有(잇ᄉᆞᆯ 유)昆(맛 곤)蟲(버레 츙)을

天(하ᄂᆞᆯ 텬)父(아비 부)養(기ᄅᆞᆯ 양)ᄒᆞ시니 惠(은혜 혜)無(업ᄉᆞᆯ 무)窮(다ᄒᆞᆯ 궁)이로다

人(사ᄅᆞᆷ 인)之(갈 지)靈(신령 령)은 稟밧을 품)於(늘 어)帝(님금 뎨)ᄒᆞ니

應(응ᄒᆞᆯ 응)萬(일만 만)事(일 ᄉᆞ)ᄒᆞ고 具(ᄀᆞ촐 구)衆(뭇 즁)理(리치 리)라

上(웃 샹)帝(님금 뎨)佑(도을 우) 世(인간 셰)間(ᄉᆞ이 간)人(사ᄅᆞᆷ 인)ᄒᆞ샤

貴(귀ᄒᆞᆯ 귀)與(더블 여)賤(쳔ᄒᆞᆯ 쳔)을 總(다 총)不(아닐 불)論(의론 론)ᄒᆞ시고

每(ᄆᆡ양 ᄆᆡ)日(날 일)裏(속 리)에 有(잇ᄉᆞᆯ 유)口(입 구)糧(량식 량)ᄒᆞ며

有(잇ᄉᆞᆯ 유)房(구들 방)屋(집 옥)과 同(ᄒᆞᆫ가지 동)衣(옷 의)裳(치마 샹)ᄒᆞ시며

格(법식 격)外(밧 외)顯(나타날 현) 慈(ᄉᆞ랑 ᄌᆞ)愛(ᄉᆞ랑 ᄋᆡ)心(ᄆᆞᄋᆞᆷ 심)ᄒᆞ샤

遣(보낼 견)耶(어조ᄉᆞ 야)穌(살아날 소) 救(구원 구)萬(일만 만)民(ᄇᆡᆨ셩 민)ᄒᆞ시니

故(연고 고)我(나 아)等(무리 등)이

該(맛당 ᄒᆡ)同(ᄒᆞᆫ가지 동)聲(소ᄅᆡ 셩)ᄒᆞ야

讚(기릴 찬)其(그 기)名(일홈 명)ᄒᆞ고

感(감격 감)宏(너ᄅᆞᆯ 굉)恩(은혜 은)이로다

크신 쥬ᄌᆡᄭᅴ셔 텬디ᄅᆞᆯ ᄆᆞᆫᄃᆞ시고

만물을 ᄆᆞᆫᄃᆞ샤 다 ᄀᆞᄌᆞᆨ히 ᄀᆞ초아 계시니

큰 공과 능ᄒᆞ심이 임의 극진ᄒᆞᆫ지라

당연이 찬미ᄒᆞ기ᄅᆞᆯ 영영이 쉬지 아니ᄒᆞᆯ지니라

낫제ᄂᆞᆫ ᄒᆡ가 잇서 빗치 하ᄂᆞᆯ에 ᄀᆞ득ᄒᆞ고

밤에ᄂᆞᆫ ᄃᆞᆯ이 잇서 빗최ᄂᆞᆫ 거시 가이 업ᄉᆞ며

ᄒᆡ와 ᄃᆞᆯ 외에 뭇 별이 잇ᄉᆞ니

다 하ᄂᆞ님ᄭᅴ셔 지은 거시라 덕을 일홈ᄒᆞ니 어렵도다

륙디에 오곡이며

ᄭᅩᆺ과 풀이며 나모가 잇고

바다희 잇ᄂᆞᆫ 모든 물고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