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栗谷先生諺解 卷之四

  • 연대: 1749
  • 저자: 李珥 撰
  • 출처: 四書栗谷諺解 1~4
  • 출판: 홍문각
  • 최종수정: 2016-01-01

孔子ㅣ ᄀᆞᄅᆞ샤ᄃᆡ 益ᄒᆞᆫ 者ㅣ 세 樂호미오

損者三樂ㅣ니

損ᄒᆞᆫ 者ㅣ 세 樂호미니

樂節禮樂ᄒᆞ며

禮樂을 節ᄒᆞ기ᄅᆞᆯ 樂ᄒᆞ며

樂道人之善ᄒᆞ며

人의 善 니ᄅᆞ기ᄅᆞᆯ 樂ᄒᆞ며

樂多賢友ㅣ 益矣오

賢友ㅣ 하기ᄅᆞᆯ 樂호미 益호미오

樂驕樂ᄒᆞ며

驕樂을 樂ᄒᆞ며

樂佚遊ᄒᆞ며

佚遊ᄅᆞᆯ 樂ᄒᆞ며

樂宴樂이 損矣니라

宴^樂을 樂호미 損호미니라

孔子曰 侍於君子애 有三愆ᄒᆞ니

孔子ㅣ ᄀᆞᄅᆞ샤ᄃᆡ 君子의게 侍호매 세 愆이 잇ᄂᆞ니

言未及之而言을 謂之躁ㅣ오

言이 及디 몯ᄒᆞ여셔 言호믈 躁ㅣ라 니ᄅᆞ고

言及之而不言을 謂之隱이오

言이 及호대 言티 아니호ᄆᆞᆯ 隱이^라 니ᄅᆞ고

未見顔色而言을 謂之瞽ㅣ니라

顔色을 보디 아니코 言호ᄆᆞᆯ 瞽ㅣ라 니ᄅᆞᄂᆞ니라

孔子曰 君子ㅣ 有三戒ᄒᆞ니

孔子ㅣ ᄀᆞᄅᆞ샤ᄃᆡ 君子ㅣ 세 戒호미 잇ᄂᆞ니

少之時옌 血氣未定이라 戒之在色이오

져문 제ᄂᆞᆫ 血氣 定^티 몯ᄒᆞᆫ디라 戒호미 色의 잇고

及其壯也ᄒᆞ얀 血氣方剛이라 戒之在鬪ㅣ오

그 壯호매 미처ᄂᆞᆫ 血氣 ᄇᆡ야흐로 剛ᄒᆞᆫ디라 戒호미 鬪의 잇고

及其老也ᄒᆞ얀 血氣旣衰라 戒之在得이니라

그 늘그매 미처ᄂᆞᆫ 血氣 이믜 衰ᄒᆞᆫ디라 戒호미 得의 잇ᄂᆞ니라

孔子曰 君子ㅣ 有三畏ᄒᆞ니

孔子ㅣ ᄀᆞᄅᆞ샤ᄃᆡ 君子ㅣ 세 가지 畏호미 잇ᄂᆞ니

畏天命ᄒᆞ며

天命을 畏ᄒᆞ^며

畏大人ᄒᆞ며

大人을 畏ᄒᆞ며

畏聖人之言이니라

聖人의 言을 畏ᄒᆞᄂᆞ니라

小人은 不知天命而不畏也ㅣ라

小人은 天命을 아디 몯ᄒᆞ야 畏티 아닛ᄂᆞᆫ디라

狎大人ᄒᆞ며

大人을 狎ᄒᆞ며

侮聖人之言이니라

聖人의 言을 侮ᄒᆞᄂᆞ니라

孔子曰 生而知之者ᄂᆞᆫ 上也ㅣ오

孔子ㅣ ᄀᆞᄅᆞ샤ᄃᆡ 生ᄒᆞ며 안 者ᄂᆞᆫ 上이오

學而知之者ᄂᆞᆫ 次也ㅣ오

學ᄒᆞ야 안 者ᄂᆞᆫ 버그미오

困而學之ᄂᆞᆫ 又其次也ㅣ니

困ᄒᆞ야 學ᄒᆞᄂᆞᆫ 이ᄂᆞᆫ ᄯᅩ 버그미니

困而不學이면 民斯爲下矣니라

困호ᄃᆡ 學디 아니면 民의셔 下ㅣ 될디니라

孔子曰 君子ㅣ 有九思ᄒᆞ니

孔子ㅣ ᄀᆞᄅᆞ샤ᄃᆡ 君子ㅣ 아홉 가지 思ᄅᆞᆯ 둣ᄂᆞ니

視思明ᄒᆞ며

視애 明을 思ᄒᆞ며

聽思聰ᄒᆞ며

聽애 聰을 思ᄒᆞ며

色思溫ᄒᆞ며

色애 溫을 思ᄒᆞ며

貌思恭ᄒᆞ며

貌애 恭을 思ᄒᆞ며

言思忠ᄒᆞ며

言애 忠을 思ᄒᆞ며

事思敬ᄒᆞ며

事애 敬을 思ᄒᆞ며

疑思問ᄒᆞ며

疑예 問을 思ᄒᆞ며

忿思難ᄒᆞ며

忿애 難을 思ᄒᆞ며

見得思義니라

得을 보고 義ᄅᆞᆯ ^ 思호미니라

孔子曰

孔子ㅣ ᄀᆞᄅᆞ샤ᄃᆡ

見善如不及ᄒᆞ고 見不善如探湯을

善을 보고 밋디 몯ᄒᆞᆯ ᄃᆞᆺᄒᆞ고 不善을 보고 湯을 探ᄐᆞᆺ ᄒᆞ기ᄅᆞᆯ

吾見其人矣며 吾聞其語矣로라

내 그 人을 보며 내 그 말을 드럿노라

隱居以求其志ᄒᆞ며 行義以達其道ᄅᆞᆯ

隱居ᄒᆞ야 ᄡᅥ 그 ᄠᅳᆺ을 求ᄒᆞ며 義ᄅᆞᆯ 行ᄒᆞ야 ᄡᅥ 그 道ᄅᆞᆯ 達ᄒᆞ기ᄅᆞᆯ

吾聞其語矣오 未見其人也케라

내 그 말을 듯고 그 人을 보디 몯게라

齊景公이 有馬千駟호ᄃᆡ

齊景公이 ᄆᆞᆯ 千駟ᄅᆞᆯ 두되

死之日에 民無德而稱焉ᄒᆞ고

死ᄒᆞᆫ 날애 民이 德을 일ᄏᆞᄅᆞᆷ이 업고

伯夷叔齊ᄂᆞᆫ 餓于首陽之下호ᄃᆡ

伯夷 叔齊ᄂᆞᆫ 首陽 아래셔 주리되

民到于今稱之ᄒᆞ니

民이 이제 니르히 일ᄏᆞᄅᆞ니

其斯之謂與ᅟᅵᆫ뎌

그 이ᄅᆞᆯ 니ᄅᆞᆷ인뎌

十二篇錯簡當在此句上

陳亢이 問於伯魚曰

陳亢이 伯魚ᄃᆞ려 問ᄒᆞ야 ᄀᆞᆯ오되

子亦有異聞乎아

子ㅣ ᄯᅩᄒᆞᆫ 다ᄅᆞᆫ 드르미 잇ᄂᆞ냐

對曰 未也ㅣ라

對ᄒᆞ야 ᄀᆞᆯ오ᄃᆡ 업다

嘗獨立이어시ᄂᆞᆯ

일즉 혼자셔 겨시거ᄂᆞᆯ

鯉ㅣ 趨而過庭이라니

鯉ㅣ 趨ᄒᆞ야 庭의 디나다니

曰學詩乎아

ᄀᆞᄅᆞ샤ᄃᆡ 詩ᄅᆞᆯ 學ᄒᆞ얀ᄂᆞᆫ다

對曰未也ㅣ로이다

對ᄒᆞ야 ᄀᆞᆯ오ᄃᆡ 몯 ᄒᆞ얏노이다

不學詩면 無以言이라 ᄒᆞ야시ᄂᆞᆯ

詩ᄅᆞᆯ 學디 아니면 ᄡᅥ 言호미 업스리라 ᄒᆞ야시ᄂᆞᆯ

鯉ㅣ 退而學詩ᄒᆞ고

鯉ㅣ 믈러와 詩ᄅᆞᆯ 學ᄒᆞ고

他日애 又獨立이어시ᄂᆞᆯ

다ᄅᆞᆫ 날애 ᄯᅩ 혼자셔 겨시거ᄂᆞᆯ

鯉ㅣ 趨而過庭이라니

鯉ㅣ 趨ᄒᆞ야 庭의 디나다니

曰學禮乎아

ᄀᆞᄅᆞ샤ᄃᆡ 禮ᄅᆞᆯ 學ᄒᆞ얏ᄂᆞᆫ다

對曰未也ㅣ로이다

對ᄒᆞ야 ᄀᆞᆯ오ᄃᆡ 몯 ᄒᆞ얏노이다

不學禮면 無以立이라 ᄒᆞ야시ᄂᆞᆯ

禮예ᄅᆞᆯ 學디 아니면 ᄡᅥ 立^호미 업스리라 ᄒᆞ야시ᄂᆞᆯ

鯉ㅣ 退而學禮ᄒᆞ니

鯉ㅣ 믈터와 禮ᄅᆞᆯ 學호니

聞斯二者호라

이 두 가지ᄅᆞᆯ 드럿노라

陳亢이 退而喜曰

陳亢이 믈러와 깃거 ᄀᆞᆯ오ᄃᆡ

問一得三호니

ᄒᆞᆫ나ᄒᆞᆯ 무로매 세흘 어드니

聞詩聞禮오

詩ᄅᆞᆯ 드르며 禮ᄅᆞᆯ 듯고

又聞君子之遠其子也ㅣ와라

ᄯᅩ 君子의 그 子ᄅᆞᆯ 멀리 호^ᄆᆞᆯ 듯과라

邦君之妻ᄅᆞᆯ 君稱之曰夫人이오

邦君의 妻ᄅᆞᆯ 君이 일ᄏᆞ라 ᄀᆞᆯ오ᄃᆡ 夫人이라 ᄒᆞ고

夫人自稱曰小童이오

夫人이 스스로 일ᄏᆞ라 ᄀᆞᆯ오ᄃᆡ 小童이라 ᄒᆞ고

邦人稱之曰君夫人이오

邦^人이 일ᄏᆞ라 ᄀᆞᆯ오ᄃᆡ 君夫人이라 ᄒᆞ고

稱諸異邦曰寡小君이오

다ᄅᆞᆫ 邦에 가 일ᄏᆞ라 ᄀᆞᆯ오ᄃᆡ 寡小君이라 ᄒᆞ고

異邦人稱之예 亦曰君夫人이라 ᄒᆞᄂᆞ니라

다ᄅᆞᆫ 邦人이 일ᄏᆞᄅᆞ매 ᄯᅩᄒᆞᆫ ᄀᆞᆯ오ᄃᆡ 君夫人이라 ᄒᆞᄂᆞ니라

陽貨 第十七

陽貨ㅣ 欲見孔子ㅣ어ᄂᆞᆯ

陽貨ㅣ 孔子ᄅᆞᆯ 見케코져 ᄒᆞ거ᄂᆞᆯ

孔子ㅣ 不見ᄒᆞ신대

孔子ㅣ 보디 아니ᄒᆞ신대

歸孔子豚ᄒᆞ야ᄂᆞᆯ

孔子ᄭᅴ 豚을 歸ᄒᆞ야ᄂᆞᆯ

孔子ㅣ 時其亡而往拜之러시니

孔子ㅣ 그 亡ᄒᆞᆫ 제ᄅᆞᆯ 時ᄒᆞ야 가 拜ᄒᆞ더시니

遇諸塗ᄒᆞ시다

길ᄒᆡ 만나시다

謂孔子曰 來ᄒᆞ라

孔子ᄭᅴ 닐러 ᄀᆞᆯ오ᄃᆡ 오라

予與爾言호리라

내 너와 더브러 말호리라

曰懷其寶而迷其邦이 可謂仁乎아

ᄀᆞᆯ오ᄃᆡ 그 寶ᄅᆞᆯ 푸머셔 그 邦을 迷케 호미 可히 仁이라 니ᄅᆞ랴

曰不可ᄒᆞ다

ᄀᆞᄅᆞ샤ᄃᆡ 可티 아니타

好從事而亟失時ㅣ 可謂知乎아

事의 從호ᄆᆞᆯ 됴히 녀기되 ᄌᆞ조 時ᄅᆞᆯ 일호미 可히 知타 니ᄅᆞ랴

曰不可ᄒᆞ다

ᄀᆞᄅᆞ샤ᄃᆡ 可티 아니타

日月逝矣라 歲不我與ㅣ니라

日月이 逝ᄒᆞᄂᆞᆫ디라 歲^ㅣ 나ᄅᆞᆯ 與티 아니ᄒᆞᄂᆞ니라

孔子曰 諾다

孔子ㅣ ᄀᆞᄅᆞ샤ᄃᆡ 諾다

吾將仕矣로리라

내 쟝ᄎᆞᆺ 仕호리라

子曰 性相近也ㅣ나

子ㅣ ᄀᆞᄅᆞ샤ᄃᆡ 性이 서ᄅᆞ 近ᄒᆞ나

習相遠也ㅣ니라

習이 서ᄅᆞ 遠ᄒᆞᄂᆞ니라

子曰 唯上知與下愚ᄂᆞᆫ 不移니라

子ㅣ ᄀᆞᄅᆞ샤ᄃᆡ 오직 上知와 다ᄆᆞᆺ 下愚ᄂᆞᆫ 옮디 아닛ᄂᆞ니라

子ㅣ 之武城ᄒᆞ샤 聞弦歌之聲ᄒᆞ시고

子ㅣ 武城의 가샤 弦歌의 소ᄅᆡ를 드ᄅᆞ시고

夫子ㅣ 莞爾而笑曰

夫子ㅣ 莞爾히 우어 ᄀᆞᄅᆞ샤ᄃᆡ

割鷄예 焉用牛刀ㅣ리오

雞割ᄒᆞ기예 엇디 牛刀ᄅᆞᆯ ᄡᅳ리오

子游ㅣ 對曰

子游ㅣ 對ᄒᆞ야 ᄀᆞᆯ오ᄃᆡ

昔者偃也ㅣ 聞諸夫子호니

녜 偃이 夫子ᄭᅴ 듯ᄌᆞ오니

曰君子學道則愛人이오

ᄀᆞᄅᆞ샤ᄃᆡ 君子ㅣ 道ᄅᆞᆯ ᄇᆡ호면 人을 ᄉᆞ랑ᄒᆞ고

小人學道則易使也ㅣ라 ᄒᆞ더시다

小人이 道ᄅᆞᆯ ᄇᆡ호면 브리기 쉽다 ᄒᆞ더시다

子曰 二三者아 偃之言이 是也ㅣ니

子ㅣ ᄀᆞᄅᆞ샤ᄃᆡ 二三子아 偃의 말이 올ᄒᆞ니

前言은 戱之耳니라

前의 말은 희롱호미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