分類杜工部詩卷之八

  • 연대: 1632
  • 저자: 柳允謙 등(초간본), 미상(중간본)
  • 출처: 重刊杜詩諺解 二
  • 출판: 以會文化社
  • 최종수정: 2015-01-01

歸期豈爛熳 別意終感激

도라올 期約은 엇졔 오라리오마ᄂᆞᆫ @ 여희ᄂᆞᆫ ᄠᅳ든 ᄆᆞᄎᆞ매 感激ᄒᆞ노라

言甫ㅣ 爲拾遺也ㅣ라

顧我蓬屋姿 謬通金門籍

내 다봇 지븨 살 양ᄌᆞ로 외오 @ 金門엣 籍을 通호라

小來習性懶 晩節慵轉劇

져근 제브터 ᄇᆡ혼 性이 게을오니 @ 늘근 時節에 게을오미 ᄀᆞ장 甚ᄒᆞ도다

每愁悔吝作 如覺天地窄

ᄆᆡ양 시름호ᄃᆡ 뉘읏브며 붓그러우미 니르와다 @ 하ᄂᆞᆯ콰 ᄯᅡ쾌 조보ᄆᆞᆯ 알 ᄃᆞᆺ ᄒᆞ노라

易에 終日乾乾ᄒᆞ고 夕惕若이라ᄒᆞ다

羨君齒髮新 行己能夕愓

그듸ᄂᆞᆫ 나^과 머리터리 새로외야 @ 몸 가져 ᄃᆞᆫ뇨ᄆᆞᆯ 能히 나조ᄒᆡ도 저허ᄒᆞ요ᄆᆞᆯ 브노라

臨歧意頗切 對酒不能喫

긼거리ᄅᆞᆯ 臨ᄒᆞ야셔 ᄠᅳ디 ᄌᆞ모 셜울ᄉᆡ @ 수를 相對ᄒᆞ야셔 能히 먹디 몯ᄒᆞ노라

言傷別之極에 所見之物이 異於常時也ㅣ라

廻身視綠野 慘澹如荒澤

모ᄆᆞᆯ 도ᄅᆞ혀 프른 ᄆᆡᄒᆞᆯ 보니 @ 슬퍼 거츤 못 ᄀᆞᆮ도다

上句ᄂᆞᆫ 喩甫의 貧老ᄒᆞ고 下句ᄂᆞᆫ 喩舟의 得時飛揚也ㅣ라

老鴈春忍飢 哀號待枯麥 時哉高飛燕 絢練新羽翮

늘근 기려기ᄂᆞᆫ 보ᄆᆡ 주류믈 견듸여 @ 슬피 우러 이운 麥을 기들우거ᄂᆞᆯ @ 得時ᄒᆞᆫ 노피 ᄂᆞᄂᆞᆫ 져비ᄂᆞᆫ @ 빗난 ᄂᆞᆯ개 새롭도다

褒斜谷과 漢水ᄂᆞᆫ 歸路ㅅ 所經之處ㅣ라 下二句ᄂᆞᆫ 言李舟ㅣ 倘或旋返遲綏이면 無以慰衰疾宿昔交友之望也ㅣ라

長雲濕褒斜 漢水饒巨石 無令軒車遲 衰疾悲宿昔

긴 구루미 褒斜ᄅᆞᆯ 저지고 @ 漢水엔 굴근 돌히 하니 @ 술위로 ᄒᆡ여 더듸에 ᄒᆞ야 @ 늘근 녯 버디 슬케 ᄒᆞ디 말라

入秦行贈西山檢察使竇侍御

竇侍御 驥之子 鳳之雛 年未三十忠義俱

竇侍御ᄂᆞᆫ 驥의 아ᄃᆞ리며 @ 鳳의 삿기로소니 @ 나히 셜흐니 몯ᄒᆞ야셔 忠과 義왜 ᄀᆞᆺ도다

骨鯁은 如肉之有骨ㅣ며 魚之有鯁ㅣ니 言剛直也ㅣ라 迎風寒露ᄂᆞᆫ 漢ㅅ 館名ㅣ라 此ᄂᆞᆫ 言侍御의 胸襟ㅣ 淸澈也ㅣ라

骨鯁絕代無 烱如一段淸氷出萬壑 置在迎風寒露之玉壺

骨鯁호미 代에 그처 업스니 @ ᄇᆞᆯ고미 ᄒᆞᆫ 낫 ᄆᆞᆯᄀᆞᆫ 어르ᄆᆞᆯ 萬 壑애 가 내야 @ 迎風寒露館ㅅ 玉壺애 노햇ᄂᆞᆫ ᄃᆞᆮ ᄒᆞ도다

蔗漿은 取甘蔗汁ᄒᆞ야 作漿ᄒᆞᄂᆞ니 可以除煩熱이니 言天子ㅣ 方憂吐蕃ᄒᆞ야 不無內熱ᄒᆞ시니 侍御ㅣ 入奏ᄒᆞ야 忠言ㅣ 上沃帝心호미 如蔗漿然也ㅣ라

蔗漿歸廚金盌凍 洗滌煩熱足以寧君軀

蔗漿ㅣ 브억긔셔 가니 金盌ㅣ 언 ᄃᆞᆮ ᄒᆞ니 @ 어즈러운 더위ᄅᆞᆯ 시서 足히 ᄡᅥ 님그ᇝ 모ᄆᆞᆯ 便安케 ᄒᆞ리로다

疎通ᄋᆞᆫ 言其施爲通^暢也ㅣ라

政用疎通合典則 戚聯豪貴耽文儒

政事 ᄡᅥ 호미 疎通ᄒᆞ야 法에 마ᄌᆞ니 @ 아ᄋᆞ미 豪貴예 니어쇼ᄃᆡ 글 ᄒᆞᄂᆞᆫ 션ᄇᆡᄅᆞᆯ 즐기놋다

西南隅ᄂᆞᆫ 謂蜀ㅣ라

兵革未息人未蘇 天子亦念西南隅

兵革이 긋디 아니ᄒᆞ야 사ᄅᆞ미 蘇復디 몯ᄒᆞᆯᄉᆡ @ 天子ㅣ ᄯᅩ 西南 모ᄒᆞᆯ 思念ᄒᆞ시ᄂᆞ니라

吐蕃憑陵氣頗麤 竇侍檢察應時須

吐蕃ㅣ 憑陵ᄒᆞ야 氣運ㅣ ᄌᆞ모 멀터우니 @ 竇氏의 檢察호미 時節ㅅ 求호ᄆᆞᆯ 맛ᄀᆞᆯ마 나도다

繩橋火井은 皆在蜀ᄒᆞ다 言運粮饋軍故로 士喜ᄒᆞ고 斬木爲柵故로 猿之失所依而呼也ㅣ라

運粮繩橋壯士喜 斬木火井窮猿呼

繩橋애 軍粮을 옮기니 壯士ㅣ 깃고 @ 火井縣에 남ᄀᆞᆯ 버히니 窮迫ᄒᆞᆫ 나비 우르놋다

八州ᄂᆞᆫ 侍御의 所檢察之州也ㅣ라 三城은 西山三城也ㅣ라

八州刺史思一戰 三城守邊却可圖

여듧 ᄀᆞ옰 刺史ㅣ ᄒᆞᆫ 번 사호고져 ᄉᆞ랑ᄒᆞᄂᆞ니 @ 세 城으로 ᄀᆞᄋᆞᆯ 守禦호ᄆᆞᆫ 도ᄅᆞ혀 어루 圖謀ᄒᆞ리로다

此行入奏計未小 密奉聖旨恩應殊

이 行애 드러가 엳ᄌᆞᆸᄂᆞᆫ 혜아료미 젹디 아니ᄒᆞ니 @ 秘密히 님금 ᄠᅳ들 받ᄌᆞ와 恩惠ᄅᆞᆯ 당당이 달리 ᄒᆞ시리로다

繡衣ᄂᆞᆫ 御史ㅅ 所著이오 綵服은 孝子之衣니 言侍御ㅣ 入奏天陛ᄒᆞ고 覲親家庭也ㅣ라

繡衣春當霄漢立 綵服日向庭闈趨

繡혼 오ᄉᆞ로 보ᄆᆡ 하ᄂᆞᆯᄒᆞᆯ 當ᄒᆞ야 셔고 @ 빗난 오ᄉᆞ로 나날 庭闈ᄅᆞᆯ 向ᄒᆞ야 ᄃᆞᄅᆞ리로다

省郞京尹必俯拾 江花未落還成都

省郞과 京尹을 반ᄃᆞ시 구버 주으리로소니 @ ᄀᆞᄅᆞ맷 고지 디디 아니ᄒᆞ얏거든 成都애 도라오리로다

江花未落還成都 肯訪浣花老翁無

ᄀᆞᄅᆞ맷 고디 디디 아니ᄒᆞ얏거든 成都애 도라오리니 浣花앳 늘근 한아비ᄅᆞᆯ 와볼다 말다

蜀人이 用竹筒酤酒ᄒᆞᄂᆞ니 筒上애 有穿繩眼ᄒᆞ니 滿眼酤ᄂᆞᆫ 言滿迫筒眼也ㅣ라

爲君酤酒滿眼酤 與奴白飯馬靑芻

그듸ᄅᆞᆯ 爲ᄒᆞ야 수를 사ᄃᆡ 누네 ᄀᆞᄃᆞ기 사고 @ 죵으란 ᄒᆡᆫ 바ᄇᆞᆯ 주고 ᄆᆞᆯ란 프른 ᄭᅩᄅᆞᆯ 호리라

徐卿二子歌

君不見 徐卿二子生絶奇 感應吉夢相追隨

그ᄃᆡᄂᆞᆫ 徐卿의 두 아ᄃᆞ리 나 ᄀᆞ장 奇異호ᄆᆞᆯ 보디 아니ᄒᆞᄂᆞᆫ다 @ 됴ᄒᆞᆫ ᄭᅮ믈 感應ᄒᆞ야 서르 조차 나도다

徐陵ㅣ 年數歲時예 僧寶誌曰天上石麒麟也ㅣ라ᄒᆞ다

孔子釋氏親抱送 竝是天上麒麟兒

孔子와 부텨왜 親히 아나 보내니 @ 다 이 하ᄂᆞᆳ 우흿 麒麟의 삿기로다

大兒九齡色淸澈 秋水爲神玉爲骨

큰아ᄃᆞᄅᆞᆫ 아홉 서레 비치 ᄆᆞᆯᄀᆞ니 @ ᄀᆞᄋᆞᆳ 믈로 精神ᄋᆞᆯ 삼고 玉ᄋᆞ로 ᄲᅧᄅᆞᆯ 삼도다

尸子애 虎豹之駒ᄂᆞᆫ 已有食牛之氣ㅣ라ᄒᆞ니 言年雖小而志甚大也ㅣ라

少兒五歲氣食牛 滿堂賓客皆廻頭

져근아ᄃᆞ^ᄅᆞᆫ 다ᄉᆞᆺ 서레 氣運이 쇼ᄅᆞᆯ 머그리로소니 @ 지븨 ᄀᆞᄃᆞ기 안잿ᄂᆞᆫ 손ᄃᆞᆯ히 다 머리ᄅᆞᆯ 도ᄅᆞ혀 보ᄂᆞ다

吾知徐公百不憂 積善袞袞生公侯

徐公ᄋᆡ 온 가짓 이ᄅᆞᆯ 시름 아니ᄒᆞ요ᄆᆞᆯ 내 아노니 @ 善ᄋᆞᆯ 積ᄒᆞ야 니엄 公侯ᄅᆞᆯ 난놋다

丈夫生兒有如此二雛者 名位豈肯卑微休

丈夫ᄋᆡ 아ᄃᆞᆯ 나호미 이 ᄀᆞᆮᄒᆞᆫ 두 삿기 잇ᄂᆞ니 @ 일홈과 벼슬와ᄂᆞᆫ 엇뎨 ᄂᆞᆺ가오며 微少ᄒᆞ야 말리오

贈虞十五司馬

秘書監虞世南也ㅣ라

遠師虞秘監 今喜識玄孫

虞秘監ᄋᆞᆯ 머리 스승ᄒᆞ다니 @ 이제 玄孫 아로ᄆᆞᆯ 깃노라

此ᄂᆞᆫ 言司馬ᄋᆡ 形象ㅣ 近於秘監ᄋᆡ 畵象也ㅣ라 器宇ᄂᆞᆫ 猶言度量也ㅣ라

形象丹靑逼 家聲器宇存

얼구른 그리메 逼近ᄒᆞ니 @ 家門엣 소리ᄂᆞᆫ 器宇ㅣ 잇도다

此ᄂᆞᆫ 言秘監의 文章筆翰也ㅣ라

凄凉憐筆勢 浩蕩問辭源

凄凉ᄒᆞᆫ 부듸 양ᄌᆞᄅᆞᆯ ᄃᆞᆺ오고 @ 浩蕩ᄒᆞᆫ 말ᄉᆞᄆᆡ ᄎᆞᆯᄒᆞᆯ 묻노라

此ᄂᆞᆫ 美司馬ᄒᆞ니라

爽氣金天豁 淸談玉露繁

ᄆᆞᆯᄀᆞᆫ 氣運은 ᄀᆞᄋᆞᆳ 하ᄂᆞᆯ히 훤ᄒᆞᆫ ᄃᆞᆺ고 @ ᄆᆞᆯᄀᆞᆫ 말ᄉᆞᄆᆞᆫ 玉 ᄀᆞᆮᄒᆞᆫ 이스리 한 ᄃᆞᆺ도다

鳳鯤ᄋᆞᆫ 皆比司馬ᄒᆞ다

佇鳴南嶽鳳 欲化北溟鯤

南嶽앳 鳳ᄋᆡ 우루믈 기들오노니 @ 北녁ㅅ 바라앳 鯤ㅣ ᄃᆞ외오져 ᄒᆞ놋다

交態知浮俗 儒流不異門

사괴ᄂᆞᆫ 양ᄌᆞᄅᆞᆯ 浮俗ᄋᆡ 이ᄅᆞᆯ 아노니 @ 션ᄇᆡ 물른 門ㅣ 다ᄅᆞ디 아^니ᄒᆞ니라

過逢連客位 日夜倒芳罇

디나오매 맛보아 客位예 니어 안자셔 @ 낫과 바ᄆᆡ 곳다온 酒樽ᄅᆞᆯ 가홀오노라

此ᄂᆞᆫ 言所見之景ᄒᆞ다

沙岸風吹葉 雲江月上軒

몰애 잇ᄂᆞᆫ 두들겐 ᄇᆞᄅᆞ미 나못니플 불오 @ 구룸 ᄭᅵᆫ ᄀᆞᄅᆞ매ᄂᆞᆫ ᄃᆞᆳ 비치 軒檻애 오ᄅᆞ놋다

言死亡이 迫近ᄒᆞ니 不可不爲燕樂이니라

百年嗟已半 四座敢辭喧

百 年이 슬프다 ᄒᆞ마 半이 ᄃᆞ외니 @ 四座ㅣ 敢히 喧笑호ᄆᆞᆯ 마라리아

此ᄂᆞᆫ 甫ㅣ 欲以書籍오로 與虞而傳其業也ㅣ라

書籍終相與 靑山隔故園

글워ᄅᆞᆯ ᄆᆞᄎᆞ매 서르 주리니 @ 프ᄅᆞᆫ 뫼히 故園에 즈음ᄭᅧᆺ도다

同豆盧峰貽主客李員外賢子棐知字韻

吳越春秋에 歐冶子ㅣ 采五山之精ᄒᆞ며 合六金之英ᄒᆞ야 煉而爲劒ᄒᆞ니라

練金歐冶子 噴玉大宛兒

金을 불이ᄂᆞᆫ 歐冶子ㅣ오 @ 玉ᄋᆞᆯ ᄲᅮᆷᄂᆞᆫ 大宛앳 삿기로다

符ᄂᆞᆫ 光也ㅣ라

符彩高無敵 聰明達所爲

비치 노파 ᄀᆞᆯ오리 업스니 @ 聰明ᄒᆞ야 ᄒᆞ논 배 通達ᄒᆞ도다

左傳에 鄭文公ᄋᆡ 妾燕姞이 夢蘭而生穆公ᄒᆞ니라 晉郄詵이 對策ᄒᆞ야 爲第一ᄒᆞ니 猶桂林一枝故로 及第者ᄅᆞᆯ 謂之折桂ㅣ 本此ᄒᆞ니라

夢蘭他日應 折桂早年知

蘭ᄋᆞᆯ ᄭᅮ메 보아 다^ᄅᆞᆫ 나래 應ᄒᆞ니 @ 桂枝 것구믈 이ᄅᆞᆫ ᄒᆡ예 아노라

爛熳通經術 光芒刷羽儀

爛熳히 經術ᄅᆞᆯ ᄉᆞᄆᆞᆺ 알오 @ 빗내 羽儀ᄅᆞᆯ 빗거스리놋다

晉謝安ᄋᆡ 諸子ㅣ 若芝蘭玉樹ㅣ 生於庭階ᄒᆞ니 此ᄂᆞᆫ 美棐ᄒᆞ다 潘岳이 寓直散騎之省ᄒᆞ니 此ᄂᆞᆫ 言甫ㅣ 爲工部員外郞ㅣ오 李ᄂᆞᆫ 主客員外郞ㅣ오 盧亦省郞而相會於斯也ㅣ라

謝庭瞻不遠 潘省會於斯

謝安ᄋᆡ ᄠᅳᆯ흘 보니 머디 아니ᄒᆞ니 @ 潘岳 省郞이 이어긔 모댓도다

樂府에 有鳳將鶵曲ᄒᆞ니라 田翁ᄋᆞᆫ 甫ㅣ 自謂라 鹿皮翁ᄋᆞᆫ 見前註ᄒᆞ다

唱和將鶵曲 田翁號鹿皮

삿기 더븐 놀애 唱和ᄒᆞ요ᄆᆞᆫ @ 녀름 짓ᄂᆞᆫ 한아비 일호미 鹿皮로라

古詩六首 律詩三十二首

宗族

狂歌行贈四兄

與兄行年校一歲 賢者是兄愚者弟

兄과 다ᄆᆞᆺᄒᆞ야 行年ᄋᆞᆯ ᄒᆞᆫ ᄒᆡᄅᆞᆯ 혜리로소니 @ 어디닌 이 兄이오 어린 거슨 이 아이로다

兄將富貴等浮雲 弟竊功名好權勢

兄ᄋᆞᆫ 富貴ᄅᆞᆯ 가져 ᄠᅳᆫ 구룸과 ᄒᆞᆫ가지로 너기거ᄂᆞᆯ @ 아ᄋᆞᆫ 功名을 일버어셔 權勢ᄅᆞᆯ 됴히 너기노라

鞴ᄂᆞᆫ 音被니 轡也ㅣ라

長安秋雨十日泥 我曹鞴馬聽晨雞 公卿朱門未開鏁 我曹已到肩相齊

長安ㅅ ᄀᆞᄋᆞᆳ 비예 열흜 즌^ᄒᆞᆯ긔 @ 우리 무리 ᄆᆞᆯ셕 잡고 새뱃 ᄃᆞᆰ 소리ᄅᆞᆯ 드러 @ 公卿의 블근 門이 쇠ᄅᆞᆯ 여디 아니ᄒᆞ얏거ᄂᆞᆯ @ 우리 무리 ᄒᆞ마 니르러 가 엇게 서르 ᄀᆞᄌᆞᆨᄒᆞ도다

吾兄睡穩方舒膝 不襪不巾踏曉日

우리 兄ᄋᆞᆫ 자ᄆᆞᆯ 便安히 ᄒᆞ야 보야ᄒᆞ로 무루플 폣다가 @ 보션 업스며 頭巾 업시 새뱃 ᄒᆡ예 나셔 ᄇᆞᆲ놋다

男啼女哭莫我知 身上須繒腹中實

아ᄃᆞᆯ 울며 ᄯᆞᆯ 우루믈 내 아디 아니ᄒᆞ고 @ 몸 우흰 오ᄉᆞᆯ 求ᄒᆞ고 ᄇᆡᄅᆞᆯ 브르게 ᄒᆞᆯ ᄲᅮ니로다

今年思我來嘉州 嘉州酒重花滿樓

올ᄒᆡ 나ᄅᆞᆯ ᄉᆞ랑ᄒᆞ야 嘉州예 오니 @ 嘉州ᄂᆞᆫ 수으리 므겁고 고지 樓의 ᄀᆞᄃᆞᆨᄒᆞ옛도다

樓頭喫酒樓下臥 長歌短詠還相酬

樓 우희셔 수울 먹고 樓 아래 누어셔 @ 긴 놀애와 뎌른 이푸믈 도로 서르 갑놋다

弟ᄂᆞᆫ 甫ㅣ 自謂니 言兄之女ㅣ 拜甫妻ㅣ오 兄之男ㅣ 拜甫也ㅣ라

四時八節還拘禮 女拜弟妻男拜弟

四時와 八節에 도로혀 禮예 걸위여 @ ᄯᆞᄅᆞᆫ 아ᄋᆡ 겨지블 절ᄒᆞ고 아ᄃᆞᄅᆞᆫ 아ᄋᆞᆯ 절ᄒᆞ놋다

幅巾鞶帶不掛身 頭脂足垢何曾洗

一 幅 巾와 갓ᄯᅴᄅᆞᆯ 모매 거지 아니ᄒᆞᄂᆞ니 @ 머리옛 곱과 바랫 ᄠᆡᄅᆞᆯ 어느 일즉 시스리오

吾兄吾兄巢許倫 一生喜怒長任眞

우리 兄 우리 兄ᄋᆞᆫ 巢父 許由의 무리로소니 @ 一生애 깃그며 怒호ᄆᆞᆯ 쟝샹 眞性ᄋᆞᆯ 믿놋다

啾喞^은 喧囂之意라

日斜枕肘寢已熟 啾啾喞喞何爲人

ᄒᆡ 기울어ᄂᆞᆯ ᄇᆞᆯ 볘오 누어 ᄌᆞᆷ드로미 ᄒᆞ마 기프니 @ 啾啾唧唧은 엇던 사ᄅᆞᆷ고 너기놋다

遣興二首

干戈猶未定 弟妹各何之

干戈ㅣ 오히려 安定티 아니ᄒᆞ니 @ 아ᄋᆞ와 누의와ᄂᆞᆫ 各各 어드러 가니오

拭淚霑襟血 梳頭滿面絲

누ᇇ므를 스주니 옷기제 젓ᄂᆞᆫ 피오 @ 머리ᄅᆞᆯ 비스니 ᄂᆞᄎᆡ ᄀᆞᄃᆞᆨᄒᆞᆫ 시리로다

地卑荒野大 天遠暮江遲

ᄯᅡ히 ᄂᆞᆺ가오니 거츤 드르히 크고 @ 하ᄂᆞᆯ히 머니 나죗 ᄀᆞᄅᆞ미 날회야 흐르놋다

衰疾那能久 應無見汝期

늙고 病이^어니 어느 能히 오래 이시리오 @ 당당이 너 볼 期約이 업도다

我今日夜憂 諸弟各異方

내 이제 나ᄌᆡ 바ᄆᆡ 시름ᄒᆞ노니 @ 여러 아이 各各 다ᄅᆞᆫ ᄯᅡ해 갯도다

不知死與生 何况道路長

주그며 사로ᄆᆞᆯ 아디 몯거ᄂᆞᆯ아 @ ᄒᆞᄆᆞᆯ며 길히 기루메 엇졔ᄒᆞ리오

避寇一分散 飢寒永相望

도ᄌᆞ글 수머 ᄒᆞᆫ 번 흐터 나소니 @ 주리며 치우메 기리 서르 ᄇᆞ라노라

虎狼ᄋᆞᆫ 喩盜賊ᄒᆞ니라

豈無柴門歸 欲出畏虎狼

엇뎨 柴門의 갈 ᄃᆡ 업스리오마ᄂᆞᆫ @ 나가고져 타가 虎狼ᄋᆞᆯ 전노라

言兄弟分離ᄒᆞ야 曾不如鴻雁之行飛也ㅣ라

仰看雲中鴈 禽鳥亦有行

구름 ᄉᆞ이옛 ^ 그려기ᄅᆞᆯ 울워러 보니 @ 새ᄃᆞᆯ토 ᄯᅩ 行列이 잇도다

得舍弟消息

田眞兄弟欲分ᄒᆞᆫ대 其夜애 庭前紫荊ㅣ 便枯커ᄂᆞᆯ 兄弟感悟不分ᄒᆞᆫ대 樹還榮茂ᄒᆞ니 此ᄂᆞᆫ 喩兄弟衰老而分離ᄒᆞ야 不復會合也ㅣ라

風吹紫荊樹 色與春庭暮 花落辭故枝 風回反無處

ᄇᆞᄅᆞ미 紫荊남글 부니 @ 비치 보ᇝ ᄠᅳᆯ과 다ᄆᆞᆺᄒᆞ야 져므도다 @ 고지 디여 녯 가지ᄅᆞᆯ 여희니 @ ᄇᆞᄅᆞ미 횟도로 부니 도라올 ᄯᅡ히 업도다

骨肉恩書重 漂泊難相遇

아ᄋᆞᄆᆡ 恩情엣 글워리 重ᄒᆞ니 @ ᄠᅥᄃᆞᆫ녀 브터슈메 서르 맛나미 어렵도다

猶有淚成河 經天復東注

오히려 누ᇇ믈옷 ᄀᆞᄅᆞ미 ᄃᆞ외여 @ 하ᄂᆞᆯᄒᆞᆯ 디나 ᄯᅩ 東ᄋᆞ로 흘러가놋다

甫ㅣ 自註從姪勤이 落第歸어ᄂᆞᆯ 作此送之ᄒᆞ노라

醉歌行

陸機ᄂᆞᆫ 晉人이라

陸機二十作文賦 汝更小年能綴文

陸機ᄂᆞᆫ 스믈헤 文賦ᄅᆞᆯ 지으니 @ 너ᄂᆞᆫ 가ᄉᆡ야 나히 져고ᄃᆡ 能히 그를 지놋다

總角ᄋᆞᆫ 結其髮ᄒᆞ야 爲兩角ㅣ니 童子之飾ㅣ라

總角草書又神速 世上兒子徒紛紛

總角애 草書 스미 ᄯᅩ 神速ᄒᆞ니 @ 世上애 아ᄒᆡᄃᆞᆯᄒᆞᆫ ᄒᆞᆫ갓 어즈럽도다

驊騮ᄂᆞᆫ 良馬ㅣ라 鷙鳥ᄂᆞᆫ 能執服衆鳥者ㅣ라 此ᄂᆞᆫ 喩勤의 年少而俊邁也ㅣ라

驊騮作駒已汗血 鷙鳥擧翮連靑雲

驊騮ᄂᆞᆫ 삿^기 ᄃᆞ외야실 저긔 ᄒᆞ마 피ᄯᆞᄆᆞᆯ 내오 @ 鷙鳥ᄂᆞᆫ ᄀᆞᆺ ᄂᆞᆯ개 들 저긔 프른 구루메 니어 가ᄂᆞ니라

言詞源이 壯健ᄒᆞ야 可以衝激三峽之水ᄒᆞ야 使之倒流也ㅣ라 王羲之筆陣圖애 紙者ᄂᆞᆫ 陣也ㅣ오 筆者ᄂᆞᆫ 城池也ㅣ오 本領者ᄂᆞᆫ 將軍也ㅣ라ᄒᆞ니 此ᄂᆞᆫ 言用筆之快利也ㅣ라

詞源倒流三峽水 筆陣獨掃千人軍

긄 ᄎᆞᆯᄒᆞᆫ 三峽 므를 갓고로 흘리리오 @ 붇 陣ᄋᆞᆫ ᄒᆞ올로 스믄 사ᄅᆞᄆᆡ 軍ᄋᆞᆯ ᄡᅳ러 ᄇᆞ리리로다

射策ᄋᆞᆫ 對策이 有中否ᄒᆞᆯᄉᆡ 取譬於射也ㅣ라

只今年纔十六七 射策君門期第一

이제 나히 아야라 열여닐구비니 @ 君門에 와 射策ᄒᆞ야 第一을 期望ᄒᆞ놋다

養由基去柳葉百步而射之호ᄃᆡ 百發百中ᄒᆞ니 此ᄂᆞᆫ 言勤의 自知其才能也ㅣ라 暫蹶霜蹄ᄂᆞᆫ 喩勤의 落第未足爲失也ㅣ라

舊穿楊葉眞自知 暫蹶霜蹄未爲失

녜 버듨닙 들오소ᄆᆞᆫ 진실로 스싀로 아ᄂᆞ니 @ 잠ᄭᅡᆫ 霜蹄ㅣ 업더듀ᄆᆞᆫ 過失ㅣ 아니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