馬經抄集諺解

  • 연대: 미상
  • 저자: 李曙
  • 출처: 馬經抄集諺解下
  • 출판: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종수정: 2016-01-01

馬經抄集諺解 下

馬患冷腸即瀉이라

即瀉者ᄂᆞᆫ 水瀉也니

ᄡᅩ와 즈츼ᄂᆞᆫ 쟈ᄂᆞᆫ 믈을 즈츼미니

皆因渴失飲ᄒᆞ며 乘飢애

다 오래 목 ᄆᆞᄅᆞ매 믈을 그릇 머기며 주려심애

誤飲冷水過多ᄒᆞ야

그릇 ᄎᆞᆫ 믈 너무 머기믈 인ᄒᆞ야

失於牽散ᄒᆞ여

잇ᄭᅳ러 산홈을 일허 챵ᄌᆞ애 뎡주ᄒᆞ야

停注於腸ᄒᆞ야 臟冷氣虛ᄒᆞ야 陰陽不分ᄒᆞ야 釀成其瀉라

장이 ᄂᆡᆼᄒᆞ며 긔운이 허ᄒᆞ야 음양이 분티 믓ᄒᆞ야 그 즈츼옴을 일옴이라

令獸肛門即水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항문으로 믈을 즈츼며

腹內如雷多飲

ᄇᆡ 안히 우레 ᄀᆞᆺᄐᆞ며 마시기ᄂᆞᆫ 하게 ᄒᆞ고

少食이면 膁吊毛焦ᄒᆞᄂᆞ니

먹기ᄂᆞᆫ 젹게 ᄒᆞ며 녑ᄭᅮ리 거두혀고 터럭이 ᄇᆞᄉᆞ스ᄒᆞᄂᆞ니

此太謂冷腸即瀉之癥也니 豬苓散治之ᄒᆞ고

이 닐온 챵ᄌᆞ ᄂᆡᆼᄒᆞ야 ᄡᅩ와 즈츼ᄂᆞᆫ 증이니 뎨녕산으로 고티고

放帶脈血ᄒᆞ고

ᄃᆡᄆᆡᆨ혈을 방ᄒᆞ고

脈色은 氣關이 沉滑ᄒᆞ며 唇色이 青黃ᄒᆞ고

ᄆᆡᆨ과 ᄉᆡᆨ은 긔관이 팀ᄒᆞ고 활ᄒᆞ며 입시울 빗치 프르며 누르고

調理ᄂᆞᆫ 飲水애 休飲足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믈을 머김애 ᄒᆞ여곰 죡히 말며

飲後애 牽行百步歸廄ᄒᆞ며 空腸애

믈 머긴 후의 잇ᄭᅳ러 ᄇᆡᆨ 보만 녜여 외향의 도라오며

冷水를 三日忌之ᄒᆞ라

ᄎᆞᆫ 믈을 사ᄒᆞᆯ만 금긔ᄒᆞ라

豬苓散은 治馬即瀉이라

뎨녕산은 ᄆᆞᆯ이 ᄡᅩ와 즈츼ᄂᆞᆫ ᄃᆡ 곳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粟米二合을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그라 ᄆᆡ 복 두 냥을 속미 두 홉을 쥭 쑤어 ᄒᆞᆫᄃᆡ 타

煮粥ᄒᆞ야 同調灌之後애 以無根水로 洗口鼻ᄒᆞ면 立痊ᄒᆞᄂᆞ니라

흘린 후의 불ᄒᆡ 업ᄂᆞᆫ 믈로ᄡᅥ 입과 ᄸᅩᄒᆞᆯ 시스면 즉^제 둇ᄂᆞ니라

馬患新駒妳瀉이라

新駒妳瀉者熱乳所傷也니

새 ᄆᆞ상이 졋 머근 ᄯᅩᆼ 즐히ᄂᆞᆫ 쟈ᄂᆞᆫ 더운 져제 샹홈미니

皆因大馬 餵拴暴日之中ᄒᆞ며

다 어이ᄆᆞᆯ을 더운 날 아래 ᄆᆡ야 머기며

又或遠驟歸來ᄒᆞ야 喘息未寧애

ᄯᅩ 혹 멀리 ᄃᆞᆯ려 도라와 숨을 뎡티 못홈애

幼駒乘飢ᄒᆞ여 誤食熱乳ᄒᆞ야

어린 ᄆᆞ상이 주리믈 ᄹᅡ 더온 졋즐 그릇 머금을 인ᄒᆞ야

停於胃ᄒᆞ야 清濁不分ᄒᆞ야

비위에 머므러 쳥탁을 분티 못ᄒᆞ야

釀成其瀉也라

그 즈츼기ᄂᆞᆯ 일옴이라

令駒로 肚腹脹痛ᄒᆞ야 瀉糞如漿ᄒᆞ며

ᄆᆞ상이로 ᄒᆞ여곰 ᄇᆡ 브어 알ᄒᆞ며 즈칀 ᄯᅩᆼ이 ᄯᅳ믈 ᄀᆞᆺᄐᆞ며

臥地不起ᄒᆞ며 顧腹回首ᄒᆞᄂᆞ니 新駒妳瀉之癥也니

ᄯᅡ희 누어 니디 못ᄒᆞ며 머리ᄅᆞᆯ 두로혀 ᄇᆡᄅᆞᆯ 보ᄂᆞ니

大馬ᄂᆞᆫ 當歸散으로 灌之ᄒᆞ고

이 닐온 어이ᄆᆞᆯ이 폐열ᄒᆞ야 새 ᄆᆞ상이 졋 머근 ᄯᅩᆼ 즈칀ᄂᆞᆫ 증이니

幼駒烏梅散으로 灌之ᄒᆞ라

어이ᄆᆞᆯ은 당귀산으로 머기고 ᄆᆞ상이ᄂᆞᆫ 오ᄆᆡ산오로 흘리라

駒脈色은 雙鳧이 洪大ᄒᆞ며 唇舌이 赤紅ᄒᆞ고

ᄆᆞ상의 ᄆᆡᆨ과 ᄉᆡᆨ은 ᄡᅡᆼ부이 홍ᄒᆞ고 대ᄒᆞ며 입시울과 혜 ᄇᆞᆯ그며 븕고

調理ᄂᆞᆫ 畏養淨室ᄒᆞ며 大馬른 生料減半餵之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어이ᄆᆞᆯ을 ᄉᆡᆼ뇨늘 반만 더러 머기며

酷熱애 休拴廄內ᄒᆞ며 寒夜의 莫令外拴ᄒᆞ라

모딘 더위예 외향 안해 ᄆᆡ디 말고 치운 밤의 ᄒᆞ여곰 밧긔 ᄆᆡ디 말라

烏梅散은 治新馬妳瀉이라

오ᄆᆡ산은 새 ᄆᆞᆯ이 졋 머근 ᄯᅩᆼ 즈츼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白湯一盞애 調灌之ᄒᆞ고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그라 흰 더온 믈 ᄒᆞᆫ 잔애 골라 흘리고

灌後애 移時餵乳ᄒᆞ라

흘린 후의 이시ᄒᆞ야 졋즐 머기라

當歸散은 治馬產後애 瘀血 未盡血熱病이니라

당귀산은 ᄆᆞᆯ이 나ᄒᆞᆫ 후에 어혈이 진티 못ᄒᆞ야 피 열ᄒᆞᆫ 병을 곳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一兩을 水一盞에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ᄒᆞᆫ 냥을 물 ᄒᆞᆫ 잔애 두 세 소솜을 달혀

煎二三沸ᄒᆞ야 入童便半盞ᄒᆞ야 帶熱灌之ᄒᆞ라

동ᄌᆞ 쇼변 반 잔을 녀허 열을 ᄃᆡᄒᆞ여 머기라

枳殼散은 治馬非時即瀉ᄒᆞ며

기각산은 ᄆᆞᆯ이 ᄠᅢ 업시 ᄡᅩ와 즈츼며

因傷飲水過多이니라

믈 먹기을 넘게 홈을 인ᄒᆞ야 샹ᄒᆞᆫ ᄃᆡ 곳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一兩을 水一升애

우ᄅᆞᆯ ᄀᆞᆯᄅᆞᆯ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일 냥을 믈 ᄒᆞᆫ 되애

煎三沸ᄒᆞ야 溫灌ᄒᆞ라

세 소솜을 달혀 ᄃᆞᄉᆞ게 ᄒᆞ야 흘리라

益氣黃芪散은 治馬脾胃寒冷ᄒᆞ야 草榖不化ᄒᆞ며

익긔황기산은 ᄆᆞᆯ이 비와 위 ᄎᆞ며 ᄂᆡᆼᄒᆞ야 초와 곡을 쇼화티 못ᄒᆞ며

四肢虛腫 行動無力ᄒᆞ니라

네 다리 허ᄒᆞ야 브ᄋᆞ며 ᄒᆡᆼ동ᄒᆞᆯ 제 힘이 업ᄂᆞᆫ ᄃᆡ 곳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兩半을 薑五片水一升애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ᆞᆫᄃᆞ라 ᄆᆡ 복 냥 반을 ᄉᆡᆼ강 다ᄉᆞᆺ 조각과 물^ ᄒᆞᆫ 되애

同煎三沸ᄒᆞ야 草前에 溫灌ᄒᆞ라

ᄒᆞᆫᄃᆡ 세 소솜을 달혀 초젼에 ᄃᆞᄉᆞ게 ᄒᆞ야 흘리라

厚樸散은 治馬脾不磨ᄒᆞ야

후박산은 ᄆᆞᆯ이 비 ᄀᆞ디 못ᄒᆞ야

口色黃白이니라

입 빗치 누로며 흰 ᄃᆡ 곳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一兩半을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ᄒᆞᆫ 냥 반을

溫酒一大碗의 同調灌之ᄒᆞ라

ᄃᆞᄉᆞᆫ 술 ᄒᆞᆫ 큰 사발의 ᄒᆞᆫᄃᆡ 골라 머기라

桂心散은 治馬飲冷過多ᄒᆞ야

계심산은 ᄆᆞᆯ이 ᄂᆡᆼᄒᆞᆫ 거ᄉᆞᆯ 넘게 머거 비위 샹ᄒᆞ야

傷脾ᄒᆞ야 作泄瀉ᄒᆞᄂᆞ니라

즈츼옴을 짓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兩半을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냥 반을

溫水半碗 童便一碗애 同調灌之ᄒᆞ라

ᄃᆞᄉᆞᆫ 믈 반 사발과 아ᄒᆡ 오좀 ᄒᆞᆫ 사발의 ᄒᆞᆫᄃᆡ 골라 흘리라

七寶散은 治馬脾寒胃冷ᄒᆞ야 腸鳴泄瀉腹痛이니라

칠보산은 ᄆᆞᆯ이 비 ᄎᆞ며 위 ᄂᆡᆼᄒᆞ야 챵ᄌᆡ 울며 즈츼며 ᄇᆡ 알ᄅᆞᆫ ᄃᆡ 곳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一兩을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일 냥을

薑一片 水一升애 同煎三沸ᄒᆞ야

ᄉᆡᆼ강 ᄒᆞᆫ 조각과 믈 ᄒᆞᆫ 되애 ᄒᆞᆫᄃᆡ 세 소솜을 달혀

候溫ᄒᆞ야 空草灌之ᄒᆞ라

ᄃᆞᄉᆞ홈을 기두러 공초애 홀리라

白附散은 治馬脾胃虛寒ᄒᆞ야 打顫毛焦ᄒᆞᄂᆞ니라

ᄇᆡᆨ부산은 ᄆᆞᆯ이 비위 허ᄒᆞ며 ᄎᆞ며 터럭이 ᄇᆞ스ᄉᆞᄒ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薑一分溫酒一升애 調灌ᄒᆞ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두 냥을 ᄉᆡᆼ강 ᄒᆞᆫ 분과 ᄃᆞᄉᆞᄒᆞᆫ 술 ᄒᆞᆫ 되애 골라셔 흘리라

馬患脫肛이라

脫肛者ᄂᆞᆫ 腸頭脫出也니

탈항^은 챵ᄌᆞᆺ 머리 브ᄅᆞ와다 남이니

羸驢瘦馬이 或負重而高坡ᄒᆞ며

여윈 노새와 야왼 ᄆᆞᆯ이 혹 므거이 시러 놉ᄑᆞᆫ 언덕 오ᄅᆞ며

或夜臥仰於凹處

혹 밤의 오목ᄒᆞᆫ ᄃᆡ 쟛ᄲᅡ 누어 힘쓰믈 인ᄒᆞ야

因努力ᄒᆞ야 以致肛頭弩出ᄒᆞ야

써곰 항문 머리 브르와다 나 ᄇᆞᄅᆞᆷ이 어막에 ᄡᅩ여

風吹瘀膜ᄒᆞ야 硬冷難收ᄒᆞᄂᆞ니

ᄃᆞᆫᄃᆞᆫᄒᆞ고 ᄂᆡᆼᄒᆞ야 거두디 못ᄒᆞᄂᆞ니

此謂臟冷氣虛ᄒᆞ야

이 닐온 오장이 ᄂᆡᆼᄒᆞ고 긔운이 허ᄒᆞ야 힘이 핍졀ᄒᆞ야

力乏努傷之癥也라 通關散으로 灌之ᄒᆞ고

노샹ᄒᆞᆫ 증이라 통관산으로 흘리고

剪蓮花穴ᄒᆞ고 防風散煎水로 洗之ᄒᆞ라

년화혈을 ᄇᆞᆯ라 ᄇᆞ리고 방풍산 달힌 믈로 싯ᄭᅵ라

調理ᄂᆞᆫ 增草料減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초ᄅᆞᆯ 더ᄒᆞ고 뇨ᄂᆞᆯ 덜며

勞傷이어든 寒夜의 暖處拴之ᄒᆞ고 七日勿令騎驟ᄒᆞ라

노샹이어든 ᄎᆞᆫ 밤의 ᄃᆞᄉᆞᆫ 고ᄃᆡ ᄆᆡ고 닐에ᄅᆞᆯ ᄒᆞ여곰 타 ᄃᆞᆯ리디 말라

通關散은 治馬大腸風으로

통관산은 ᄆᆞᆯ이 대댱 ᄇᆞᄅᆞᆷ으로 챵ᄌᆞᆺ 머리 뒤혀 나

腸頭翻出ᄒᆞ야 拋糞不下라

ᄯᅩᆼ을 더뎌 ᄂᆞ리오디 못ᄒᆞ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一兩半을 生油半盞 水一盞애 同調ᄒᆞ야 草前灌之ᄒᆞ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ᄉᆡᆼ유 반 잔과 믈 ᄒᆞᆫ 잔의 ᄒᆞᆫᄃᆡ 골라 초젼의 흘리라

防風散은 治馬脫肛이니라

방풍산은 ᄆᆞᆯ의 탈항을 곳티ᄂᆞ니라

右為剉ᄒᆞ야 水二升애 煎三五沸ᄒᆞ야 去滓ᄒᆞ고

우ᄅᆞᆯ 싸ᄒᆞ라 믈 두 되애 세 다ᄉᆞᆺ 소ᄉᆞᆷ을 달혀 즈의ᄅᆞᆯ ᄇᆞᆯ이고

熱洗淨호대 先用煎刀ᄒᆞ야

열을 ᄃᆡᄒᆞ야 조히 싯기되 몬져 젼도로ᄡᅥ

去盡風皮膜肉ᄒᆞ고

ᄇᆞᄅᆞᆷ ᄡᅩ인 갓과 기ᄅᆞᆷ ᄭᅵ인 고기ᄂᆞᆯ 다 업시 ᄒᆞ고

以中指로 去除硬糞塊ᄒᆞ고

듕지로ᄡᅥ ᄃᆞᆫᄃᆞᆫᄒᆞᆫ ᄯᅩᆼ ᄒᆞᆫ 덩이ᄅᆞᆯ ᄎᆔᄒᆞ야 내고

再洗去血送入肛頭ᄒᆞ고

다시 시서 피ᄅᆞᆯ 업시 ᄒᆞ야 항두에 드려 보내고

乾履底를 灸ᄒᆞ야 熱熨之ᄒᆞ라

ᄆᆞᄅᆞᆫ 신ᄲᅡ당을 구어 열케 울ᄒᆞ라

馬患薑芽이라

薑芽者ᄂᆞᆫ 皆因料後애 飲水太過ᄒᆞ야 水穀相併ᄒᆞ야

강아ᄂᆞᆫ 다 뇨 후에 믈을 넘^게 머거 믈과 콩이 서ᄅᆞ 아올믈 인ᄒᆞ야

傷於脾胃ᄒᆞ야 胃火微弱ᄒᆞ야 陰氣生而傳入心經ᄒᆞ야

비위 샹ᄒᆞ야 위화 미약ᄒᆞ야 음긔나 심경의 뎐ᄒᆞ야 드러

心傳於肺ᄒᆞ야 肺氣燔盛ᄒᆞ야 攻之於鼻ᄒᆞ니

념통이 부화의 뎐ᄒᆞ야 부화 긔운이 번셩ᄒᆞ야 코 ᄒᆞᆯ티니

鼻者ᄂᆞᆫ 肺之竅也라

코ᄂᆞᆫ 폐의 굼기라

氣血이 相凝ᄂᆞᆫ야 於準頭ᄂᆞᆫ야 發生病骨을

긔와 혈이 서ᄅᆞ 엉긔여 콘ᄆᆞᆯᄅᆡ 싸히여 병골이 발ᄒᆞ야

有似薑芽 萌生而發也라

남을 ᄉᆡᆼ강 엄 브르와다 남 ᄀᆞᆺᄐᆞᆫ디라

令馬로 腸中作痛ᄒᆞ며 覷腹跑蹄ᄒᆞ며

ᄆᆞᆯ로 ᄒᆞ여곰 챵ᄌᆞᄅᆞᆯ 알ᄒᆞ며 ᄇᆡᄅᆞᆯ 도라보며 굽을 허위며

連連臥地ᄒᆞ며 鼻咋喘粗ᄒᆞᄂᆞ니

년ᄒᆞ야 ᄯᅡ해 누으며 ᄸᅩᆺ소ᄅᆡ ᄒᆞ고 숨이 굵ᄂᆞ니

此太謂燔氣攻心애

이 닐온 번셩ᄒᆞᆫ 긔운이 념통을 알홈애

肺受其邪也니 順氣散으로 灌之ᄒᆞ고

부홰 그 샤긔ᄅᆞᆯ 바ᄃᆞ미니 슌긔산으로 흘리고

割雙薑ᄒᆞ며 針三江血ᄒᆞ며 徹蹄頭血ᄒᆞ며 吹鼻散으로 吹之ᄒᆞ고

쌍강을 버히며 삼강혈을 침 주며 뎨두혈을 ᄲᅡ히며 ᄎᆔ비산으로 불고

脈色은 臥蠶色이 白ᄒᆞ며 鳧脈이 微遲ᄒᆞ고

ᄆᆡᆨ과 ᄉᆡᆨ은 와ᄌᆞᆷ 빗치 희며 부ᄆᆡᆨ이 미ᄒᆞ며 디ᄒᆞ고

調理ᄒᆞ 不住騎走ᄒᆞ야

됴니ᄒᆞ기ᄂᆞᆫ 머모로디 말고 ᄹᅡ ᄃᆞᆯ려

或溺或瀉ᄒᆞ야 通利則愈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