馬經抄集諺解

  • 연대: 미상
  • 저자: 李曙
  • 출처: 馬經抄集諺解下
  • 출판: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종수정: 2016-01-01

入竹管中ᄒᆞ야 吹鼻兩孔內호되 兩次 馬患肺風毛燥ᄒᆞ라

대통 소개 너허 코 두 구무 안헤 부로ᄃᆡ ᄒᆞᄅᆞ 두 번을 ᄒᆞ라

馬患肺風毛燥이라

肺風者ᄂᆞᆫ 肺熱生風也니

폐풍은 폐의 열이 ᄇᆞᄅᆞᆷ을 냄이니

皆因餵養太盛ᄒᆞ야 肉滿膘肥애

다 치기ᄅᆞᆯ 너무 셩히 ᄒᆞ야 고기 ᄀᆞᄃᆞᆨᄒᆞ야 ᄉᆞᆯ지매

少騎多餵ᄒᆞ며 日久失於洗浴ᄒᆞ야

ᄐᆞ기ᄅᆞᆯ 젹게 ᄒᆞ고 머기기ᄅᆞᆯ 하게 ᄒᆞ며 날이 오래되 싯ᄭᅵ디 아니믈 인ᄒᆞ야

瘀汗이 沈於毛竅ᄒᆞ며 土臼塵이 迷塞肌膚ᄒᆞ야

어ᄅᆡᆫ ᄯᆞᆷ이 터럭 굼긔 ᄃᆞᆷ기며 ᄠᆡ와 듣글이 ᄉᆞᆯ해 막히여

榮衛壅極ᄒᆞ야 熱積心胸ᄒᆞ야 傳之於肺애

영위 막혀 극ᄒᆞ야 열이 심흉의 싸혀 폐예 뎐홈애

肺受其邪ᄒᆞ야 遍傳經絡也라

부홰 그 샤긔ᄅᆞᆯ 바다 경낙의 두로 뎐홈이라

令獸로 渾身騷癢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온 몸을 ᄀᆞᆯ야와 ᄒᆞ며

遍體風生ᄒᆞ야 皮肌揩擦ᄒᆞ야

몸애 두로 ᄇᆞᄅᆞᆷ이 나 갓과 ᄉᆞᆯ흘 비ᄇᆡ며 갈기며

脫落鬃毛ᄒᆞᄂᆞ니 此謂肺熱生風之癥也니 五參散治之ᄒᆞ고

터럭이 버서뎌 ᄠᅥ러디ᄂᆞ니 이ᄂᆞᆫ 닐온 폐열ᄉᆡᆼ풍증이니 오ᄉᆞᆷ산으로 고티고

徹鶻脈血ᄒᆞ며 甘草湯으로 洗之ᄒᆞ고

골ᄆᆡᆨ혈을 ᄲᅡ이며 감초탕으로 싯기고

老瘦冬瘙者ᄂᆞᆫ 肺風散으로 灌之ᄒᆞ고 塗疥方으로 搽之ᄒᆞ라

늙ᄭᅩ 여위여 겨으ᄅᆡ ᄀᆞ랴와 ᄒᆞᄂᆞᆫ 이ᄂᆞᆫ 폐풍산으로 흘리고 도개방으로 ᄇᆞᄅᆞ라

脈色은 雙鳧沈細ᄒᆞ며 口色이 如綿ᄒᆞ고

ᄆᆡᆨ과 ᄉᆡᆨ은 ᄡᅡᆼ부 팀셰ᄒᆞ며 입 빗치 소옴 ᄀᆞᆺ고 됴니ᄒᆞ기ᄂᆞᆫ

調理ᄂᆞᆫ 夏繫涼棚ᄒᆞ여

녀ᄅᆞᆷ애 서ᄂᆞᆯᄒᆞᆫ 가개에 ᄆᆡ며

冬拴暖廄ᄒᆞ고 勿近火灰地ᄒᆞ라

겨올에 ᄃᆞᄉᆞᆫ 외향의 ᄆᆡ고 불ᄌᆡ ᄇᆞ린 ᄯᅡ해 갓가이 말라

五參散ᄂᆞᆫ 治馬肺風毛燥이니

오ᄉᆞᆷ산은 ᄆᆞᆯ이 폐풍으로 ᄹᅥᆯ이 조ᄒᆞ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兩半을 蜜二兩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냥 반을 ᄭᅮᆯ 두 냥과

酸漿 水一盞과 皂莢一挺을 擂碎取汁半盞애 同調灌之ᄒᆞ라

ᄭᅩ아린 믈 ᄒᆞᆫ 잔과 조협 ᄒᆞ나흘 즛두드려 낸 즙 반 잔애 ᄒᆞᆫᄃᆡ 골라 흘리라

甘草湯은 洗馬熱燥ᄒᆞᄂᆞ니라

감초탕은 ᄆᆞᆯ이 열ᄒᆞ야 번조ᄒᆞᄂᆞᆫ ᄃᆡ 싯기ᄂᆞ니라

右剉水三升 煎三五沸ᄒᆞ야 去滓帶

우ᄅᆞᆯ 싸ᄒᆞ라 믈 서 되애 세 다ᄉᆞᆺ 소솜을 달혀 즈의ᄅᆞᆯ ᄇᆞ리고

熱灌之ᄒᆞ고 洗後애

열을 ᄃᆡᄒᆞ야 싯ᄭᅵ고 싯ᄭᅵᆫ 후에

候乾以蠟燭油로 搽之ᄒᆞ라

ᄆᆞᄅᆞᆷ을 기둘러 밀쵸 기ᄅᆞᆷ으로ᄡᅥ 비뷔여 ᄇᆞᄅᆞ라

肺風散은 治老馬血弱瘦瘙ᄒᆞᄂᆞ니라

폐풍산은 늘근 ᄆᆞᆯ이 혈긔 약ᄒᆞ야 여위며 ᄀᆞ려와 ᄒᆞᄂᆞᆫ ᄃᆡ 곳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兩半을 砂糖一兩과 溫水盞과 同調灌之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냥 반을 사당 ᄒᆞᆫ 냥과 ᄃᆞᄉᆞᆫ 믈 큰 ᄒᆞᆫ 잔애 ᄒᆞᆫᄃᆡ 골라

안 보임. 재구작업이 필요함

초 머겨 머롬애 흘리라 개창에 ᄇᆞᄅᆞᄂᆞᆫ 방문이라

안 보임. 재구작업이 필요함

우ᄅᆞᆯ ᄀᆞᄅᆞᆯ이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ᄉᆡᆼ유애 골라 고로게 ᄒᆞ고

안 보임. 재구작업이 필요함

몬져 고ᄉᆞᆷ과 무이와 조협과 녀노와 췌츈피 달힌 믈로ᄡᅥ

안 보임. 재구작업이 필요함

싯ᄭᅵᆫ 후에 ᄒᆞ여곰 ᄆᆞᄅᆞ거든 비ᄇᆡ여 ᄇᆞᄅᆞ라

馬患項脊悕이라

項悕者ᄂᆞᆫ 風悕也니

목을 앗ᄭᅵᄆᆞᆫ ᄇᆞᄅᆞᆷ으로 앗ᄭᅵᆷ이니

皆因乘騎遠至ᄒᆞ야 帶汗卸鞍ᄒᆞ야

다 타 ᄃᆞᆯ려 먼 ᄃᆡ 니르러 ᄯᆞᆷ을 ᄃᆡᄒᆞ야 기ᄅᆞ마ᄅᆞᆯ 벗겨

夜拴舍簷之下ᄒᆞ야 外感風邪이라

밤의 집 쳠하 아래 ᄆᆡ야 밧그로 풍샤ᄅᆞᆯ 감홈을 인연홈이라

令獸로 伸頭直項ᄒᆞ며 脊板如櫞ᄒᆞ야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머리 펴 목이 고ᄃᆞ며 등ᄆᆞᆯ리 널이며

顧回不得ᄒᆞ며 首悕難低ᄒᆞᄂᆞ니

남모 ᄀᆞᆺᄐᆞ야 도로혀디 못ᄒᆞ며 머리ᄅᆞᆯ 앗ᄭᅧ ᄂᆞ초기 어려워 ᄒᆞᄂᆞ니

此謂外感風邪之癥也니 連翹散으로 灌之ᄒᆞ고

이 닐온 밧ᄭᅳ로 풍샤ᄅᆞᆯ 감ᄒᆞᆫ 증이니 년효산으로 흘리고

項上針腰間七針ᄒᆞ며 徹鶻脈血ᄒᆞ라

목 우 아홉 곳ᄃᆞᆯ 침 주며 허리 ᄉᆞ이 닐곱 곳ᄃᆞᆯ 침 주고 골ᄆᆡᆨ피ᄅᆞᆯ ᄲᅡ이라

脈色은 舌唇이 赤紫ᄒᆞ며 鳧脈이 沈遲ᄒᆞ고

ᄆᆡᆨ과 빗ᄎᆞᆫ 혀와 입시울이 젹ᄌᆞᄒᆞ며 부ᄆᆡᆨ이 팀ᄒᆞ며 디ᄒᆞ고

調理ᄂᆞᆫ 餵養暖廄ᄒᆞ며 晴朗애 放於郊ᄒᆞ야

됴니ᄒᆞ기ᄂᆞᆫ ᄃᆞᄉᆞᆫ 외향의 머기며 쳥명ᄒᆞᆫ 제 드르희 노하

令曬之ᄒᆞ여 寒夜의 休拴冷處ᄒᆞ며

ᄒᆡ로 ᄒᆞ여곰 ᄧᅬ며 치운 밤의 ᄂᆡᆼᄒᆞᆫ 고ᄃᆡ ᄆᆡ디 말며

須防簷巷風吹ᄒᆞ라

모롬이 쳠항 ᄇᆞᄅᆞᆷ을 방어ᄒᆞ라

連翹散은 治馬項悕低頭不得이니라

년효산은 ᄆᆞᆯ이 목을 앗ᄭᅧ 머리 ᄂᆞ초디 못ᄒᆞ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兩半을 蜜二兩과 薑五片과 水一升애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냥 반을 ᄭᅮᆯ 두 냥과 ᄉᆡᆼ강 다ᄉᆞᆺ 편과 믈 ᄒᆞᆫ 되애

煎二三沸ᄒᆞ야 溫灌호되 加爪蔞根尤妙ᄒᆞ니라

두 세 소ᄉᆞᆷ을 달혀 ᄃᆞᄉᆞ게 ᄒᆞ야 흘리되 과루근을 더으면 더옥 묘ᄒᆞ니라

馬患破傷風이라

破傷風者ᄂᆞᆫ 外感風也니

파샹풍은 밧ᄭᅳ로 ᄇᆞᄅᆞᆷ을 감호미니

因勞傷過度ᄒᆞ며 蓄養失調ᄒᆞ야

다 잇버 샹홈이 과도ᄒᆞ며 튝양ᄒᆞ기ᄂᆞᆯ 고로홈을 일ᄒᆞ며

鞍鞽애 撞腫鬐頭ᄒᆞ며 氊屜打傷脊背ᄒᆞ며

기로마 가지애 몬다회 머리 다텨 브으며 엇치애 등ᄆᆞᄅᆞ 다하 샹ᄒᆞ^며

鞦皮애 磨破尾根ᄒᆞ며

츄피애 ᄭᅩ리 밋티 ᄀᆞ이 여힐며

肚帶애 搽損肘後ᄒᆞ며

ᄇᆡᆺᄯᅢ애 다릿 뒤히 쓰치여 ᄒᆞ야디며

或栓簷巷之處ᄒᆞ야 賊風이

혹 쳠항의 ᄆᆡ야 도적 ᄇᆞᄅᆞᆷ이 허홈을 인연ᄒᆞ야

因虛而入皮膚라

갓과 ᄉᆞᆯ해 들오믈 인연홈이라

令獸로 渾身麻痺ᄒᆞ며 眼急驚狂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왼 몸이 잘여 범ᄇᆡ며 눈이 급ᄒᆞ야 놀라 밋치며

四肢強硬ᄒᆞ며 口內垂涎ᄒᆞ며 耳緊尾直ᄒᆞ며

ᄉᆞ지 굿세며 입애 춤을 흘리며 귀 긴급ᄒᆞ고

牙關難開ᄒᆞ며 不食水草ᄒᆞᄂᆞ니

ᄭᅩᆼ지 고ᄃᆞ며 아관을 여지 못ᄒᆞ며 슈초ᄅᆞᆯ 먹디 못ᄒᆞᄂᆞ니

此謂破傷애 外感風邪之癥也니 千金散으로 治之ᄒᆞ고

이 닐온 ᄒᆞ여뎌 샹홈애 밧ᄭᅳ로 풍샤ᄅᆞᆯ 감모홈이니 쳔금산으로 곳티고

徹鶻脈血ᄒᆞ며 烙門穴伏兔穴 百會穴ᄒᆞ고 朱砂散으로吹鼻內ᄒᆞ라

골ᄆᆡᆨ혈을 ᄲᅡ이며 풍문혈 복토혈 ᄇᆡᆨ회혈을 지지고 쥬사산으로 코해 블라

脈色은 舌唇이 赤紫ᄒᆞ며 鳧脈微遲ᄒᆞ고

ᄆᆡᆨ과 ᄉᆡᆨ은 혀와 입시울이 븕고 ᄇᆞᆯ그며 부ᄆᆡᆨ이 미ᄒᆞ며 디ᄒᆞ고

調理ᄂᆞᆫ餵養暖廄ᄒᆞ며 口不住食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ᄃᆞᄉᆞᆫ 외향의 머기며 입에 머기기ᄂᆞᆯ 근치디 말며

氊屜늘 背上搭之ᄒᆞ고 寒夜의 休拴外ᄒᆞ며

언치ᄅᆞᆯ 등 우희 ᄆᆡ고 치운 밤의 밧ᄭᅴ ᄆᆡ디 말며

須防簷巷賊風ᄒᆞ라

모롬이 쳠항 적풍을 방어ᄒᆞ라

千金散은 治馬破傷風及諸風病이니라

쳔금산은 ᄆᆞᆯ의 파샹풍과 밋 모ᄃᆞᆫ ᄇᆞᄅᆞᆷ병을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一兩을 溫水一盞애 調灌호되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ᄒᆞᆫ 냥을 ᄃᆞᄉᆞᆫ 믈 ᄒᆞᆫ 잔애 골라 흘리되

天陰이어든 薑湯에 調灌ᄒᆞ라

하ᄂᆞᆯ히 흐리거든 강탕애 골^라 흘리라

朱砂散은 方見上ᄒᆞ다

쥬사산은 방문이 우희 낫타나다

馬患胡骨把胯이라

胡骨把胯者 一名은 腲腿風也니

호골파과ᄂᆞᆫ ᄒᆞᆫ 일홈은 외퇴풍이니

皆因膘肥肉重애 餵多騎少ᄒᆞ니

다 ᄉᆞᆯ지며 고기 듕홈애 머기믈 하게 ᄒᆞ고 타기ᄅᆞᆯ 젹이 ᄒᆞ니

穀料熱毒이 積於臟內ᄒᆞ야 熱機而生風也라

곡셕 머근 열ᄒᆞᆫ 독이 장ᄂᆡ에 싸혀 열이 극ᄒᆞ여 ᄇᆞᄅᆞᆷ병을 인연홈이라

令獸로 左癱 右□ᄒᆞ며 四足이 拳攣ᄒᆞ야 臥地不起ᄒᆞ니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좌난우환ᄒᆞ며 ᄉᆞ죡이 우기쥐여 ᄯᅡ해 누어 니디 못ᄒᆞ며

氣促喘粗ᄒᆞᄂᆞ니

긔운이 ᄲᆞᄅᆞ며 숨결이 크ᄂᆞ니

此謂風癱之癥也니 病甚者ᄂᆞᆫ 難治어

이 닐온 풍난증이니 병이 심ᄒᆞᆫ 쟈ᄂᆞᆫ 곳티기 어렵고

輕者ᄂᆞᆫ 麒麟蝎散으로 灌之ᄒᆞ고

경ᄒᆞᆫ 쟈ᄂᆞᆫ 긔딘갈산으로 흘니고

火針膊搶風大胯小胯穴ᄒᆞ라

박쳠과 창풍과 대과와 쇼과혈을 화침ᄒᆞ라

脈色은 舌唇이 赤紫ᄒᆞ며 命脈이 濇沉ᄒᆞ고

ᄆᆡᆨ과 ᄉᆡᆨ은 혀와 입시올이 젹ᄌᆞᄒᆞ며 명ᄆᆡᆨ이 ᄉᆡᆨᄒᆞ며 팀ᄒᆞ고

調理ᄂᆞᆫ 養暖廄ᄒᆞ며 忌栓冷處ᄒᆞ라

됴니ᄒᆞ기ᄂᆞᆫ 더온 외향의 머기며 ᄎᆞᆫ 고ᄃᆡ ᄆᆡ기ᄅᆞᆯ 금긔ᄒᆞ라

麟蝎散은 治馬筋疼骨痛ᄒᆞ야 把前

긔닌갈산은 ᄆᆞᆯ이 힘이 저리며 뼈 알하 앏ᄑᆞᆯ 발ᄆᆞ며

把後病이라

뒤 바ᇣᄂᆞᆫ 병을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一兩을 苦酒一盞애 同前三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ᄒᆞᆫ 냥을 됴ᄒᆞᆫ 슐 ᄒᆞᆫ 잔의 ᄒᆞᆫᄃᆡ 세 소ᄉᆞᆷ을 달혀

沸溫灌ᄒᆞ라

ᄃᆞᄉᆞ게 ᄒᆞ야 흘리ᄂᆞ니라

馬患心熱風邪이라

熱邪者ᄂᆞᆫ 正名은 中風也니

열샤쟈ᄂᆞᆫ 졍 일홈은 듕풍이니

皆因三焦積熱ᄒᆞ야 胷膈停痰ᄒᆞ야

다 삼쵸애 열이 싸히여 흉격애 담이 뎡뉴ᄒᆞ야

心竅痰瘀이 迷亂其心也라

념통 궁긔 엉긘 담이 그 ᄆᆞᄋᆞᆷ을 미난케 홈이라

令獸로 換腎出汗ᄒᆞ며 肉顫頭搖ᄒᆞ며 左右亂跌ᄒᆞ며 氣促喘粗ᄒᆞᄂᆞ니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왼 몸애 ᄯᆞᆷ을 내며 고기ᄅᆞᆯ ᄯᅥᆯ고 머^리ᄅᆞᆯ 흔들며 좌우로 어즈러이 기티더며 긔운이 ᄲᆞᄅᆞ며 숨겨리 크ᄂᆞ니

此謂 熱極中風之癥也니 鎮心散灌之ᄒᆞ고

이 닐온 열이 극ᄒᆞ야 듕풍ᄒᆞᆫ 증이니 딘심산으로 흘리고

徹鶻脈血 蹄頭血ᄒᆞ며 火烙風門穴 百會穴ᄒᆞ라

골ᄆᆡᆨ혈과 뎨두혈을 ᄲᅡ이고 풍문혈과 ᄇᆡᆨ회혈을 블로 지지라

脈色은 雙鳧洪數ᄒᆞ며 舌似雞冠ᄒᆞ고

ᄆᆡᆨ과 ᄉᆡᆨ은 쌍부ᄆᆡᆨ이 홍삭ᄒᆞ며 혜 ᄃᆞᆰ긔 볏 ᄀᆞᆺ고

調理ᄂᆞᆫ 餵養涼處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서ᄂᆞᆯᄒᆞᆫ 고ᄃᆡ 머기며

水浸青草喂之ᄒᆞ며 青竹葉을 喂之亦妙ᄒᆞ니

믈애 쳥초ᄅᆞᆯ ᄃᆞᆷ가 머기며 프른 댓닙흘 머기미 ᄯᅩ 묘ᄒᆞ니

少令牽行ᄒᆞ고 諸料忌之ᄒᆞ라

져근덧 ᄒᆞ여곰 잇ᄭᅳ러 녜고 졔뇨ᄅᆞᆯ 금긔ᄒᆞ라

鎮心散은 治馬心風으로 驚悸顛狂不寧이니라

딘심산은 ᄆᆞᆯ이 심풍으로 놀라며 밋쳐 편티 아닌 병을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一兩을 童便一盞애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ᄒᆞᆫ 냥을 동변 ᄒᆞᆫ 잔애

同調ᄒᆞ야 草後애 灌之ᄒᆞ라

ᄒᆞᆫᄃᆡ 골라 초 머근 후에 흘리라

朱砂散은 治馬心熱風邪이니라

쥬사산은 ᄆᆞᆯ의 심열풍샤ᄅᆞᆯ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豬膽汁半盞과 童便半盞애 同調灌之ᄒᆞ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뎨담 반 잔과 동변 반 잔애 ᄒᆞᆫᄃᆡ 골라 흘리라

麝香散은 治馬中風이니라

샤향산은 ᄆᆞᆯ의 듕풍ᄒ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