馬經抄集諺解
혹 오좀 누며 혹 즈츼여 통니ᄒᆞᆫ 즉 ᄯᅭᆺᄂᆞ니
勿令飲水ᄒᆞ며 寒夜不可拴外ᄒᆞ며
ᄒᆞ여곰 믈 머기디 말며 ᄎᆞᆫ 밤의 가히 밧ᄭᅴ ᄆᆡ디 말며
孕馬忌吹鼻ᄒᆞ라
ᄌᆞ식 ᄇᆡᆫ ᄆᆞᆯᄅᆞᆫ ᄎᆔ비ᄅᆞᆯ 금긔ᄒᆞ라
順氣散은 治馬薑芽腹痛이니라
슌긔산은 ᄆᆞᆯ이 강아로 ᄇᆡ 알ᄂᆞᆫ ᄃᆡ 곳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塩三錢 青蔥三枝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두 냥을 소곰 서 돈과 프른 파 세 가지ᄅᆞᆯ ᄀᆞᄅᆞᆯ기 싸흘고
苦酒一升애 同煎三沸ᄒᆞ야 溫灌之ᄒᆞ라 吹鼻散이라
됴ᄒᆞᆫ 술 ᄒᆞᆫ 되애 ᄒᆞᆫᄃᆡ 세 소ᄉᆞᆷ을 달혀 ᄃᆞᄉᆞ게 ᄒᆞ야 흘리라
右為末ᄒᆞ야 每用一字호되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ᆞᆫᄃᆞ라 ᄆᆡ양 일 ᄌᆞᄂᆞᆯ ᄡᅳ되
以竹管吹入鼻中 不住牽行ᄒᆞ면
대통으로ᄡᅥ 부러 코 가온ᄃᆡ 드리고 머므디 말고 잇ᄭᅳ러 녜면
鼻中出水ᄒᆞ며 或溺之ᄒᆞ야 大效ᄒᆞᄂᆞ니라
코해셔 믈이 나며 혹 오좀 누어 크게 효험 나ᄂᆞ니라
馬患熱痛이라
熱痛者ᄂᆞᆫ 陽氣太盛也니
열통ᄒᆞᄂᆞᆫ 쟈ᄂᆞᆫ 양긔 너모 성홈이니
皆因暑月炎天애 乘騎地遠ᄂᆞᆫ야 鞍屜失於解卸ᄂᆞᆫ야 熱積於胃ᄂᆞᆫ야 胃火遍行經絡也라
다 더운 ᄃᆞᆯ이며 더운 적 하ᄂᆞᆯ애 먼 ᄯᅡ해 ᄹᅡ ᄃᆞᆯ리믈 인ᄒᆞ야 기ᄅᆞ^마 어치 벗기믈 그릇ᄒᆞ야 열이 위예 싸혀 위예 해경낙의 두로 ᄃᆞᆫ니미라
令獸로 頭低眼閉ᄒᆞ며 行立如癡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머리ᄅᆞᆯ ᄂᆞ초고 눈을 ᄀᆞ므며 ᄒᆡᆼᄒᆞ며
臥多行立如癡ᄒᆞ며 臥多
셜 제 어린 ᄃᆞᆺ ᄒᆞ여 눕기ᄅᆞᆯ 하게 ᄒᆞ고
立少ᄒᆞ며 惡熱喜冷ᄒᆞᄂᆞ니
셔기ᄅᆞᆯ 젹게 ᄒᆞ며 열을 아쳐로와ᄒᆞ고 ᄂᆡᆼ을 됴히 너기ᄂᆞ니
此謂暑傷之癥이니 香薷散灌之ᄒᆞ고
이 닐온 더위로 샹ᄒᆞᆫ 증이니 향유산으로 흘리고
徹鶻脈血ᄒᆞ고
골ᄆᆡᆨ혈을 ᄲᅡ이고
調理ᄂᆞᆫ 散放清涼之處ᄒᆞ며 水浸青草餵之ᄒᆞ며 休拴暖處 諸料忌之ᄒᆞ다
됴니ᄒᆞ기ᄂᆞᆫ 서늘티온 고대 노ᄒᆞ며 믈에 쳥초ᄅᆞᆯ ᄃᆞᆷ가 머^기며 ᄃᆞᄉᆞᆫ 고대 ᄆᆡ디 말며 졔뇨ᄅᆞᆯ 금긔ᄒᆞ라
香薷散은 治馬熱癥中暑이니라
향유산은 ᄆᆞᆯ의 열증과 더위 든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蜜兒亮 漿水半生 童便半盞애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ᆞᆫᄃᆞ라 ᄆᆡ 복 두 냥을 ᄯᅳ믈 반 되와 동ᄌᆞ 쇼변 반 잔애 ᄒᆞᆫᄃᆡ 골라
同調ᄒᆞ야 草後에 灌之ᄒᆞ라
초 머근 후에 흘리라
馬患舌瘡이라
舌上生瘡者ᄂᆞᆫ 心經積熱也니
혀 우희 창이 나ᄂᆞᆫ 이ᄂᆞᆫ 심경의 열이 젹홈이니
皆因餵養太盛ᄒᆞ야 肉滿膘肥
다 치기ᄅᆞᆯ 너모 셩케 ᄒᆞ야 고기 ᄀᆞᄃᆞᆨᄒᆞ고
膘肥애 負重乘騎ᄒᆞ야 地裡遼源ᄒᆞ야
ᄉᆞᆯ져심애 므거이 싯고 ᄃᆞᆯ려 먼 ᄯᅡᄒᆡ 가 열ᄒᆞ야 홈애
乘熱而餵料太多ᄒᆞ야
뇨와 초 머김을 너무 넘게 홈을 인ᄒᆞ야
熱積於胃ᄒᆞ야 毒氣衝咽ᄒᆞ야 唇舌生瘡也라
열이 비위애 싸혀 독ᄒᆞᆫ 긔운이 목ᄭᅮᆷ긔 딜려 입시울과 혀애 창이 나ᄂᆞ니라
令獸로 口目喉哽咽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목굼기 막키며
口內垂涎ᄒᆞ면 料草難咽ᄒᆞ며
입 안해 춤을 흘리며 뇨와 초ᄅᆞᆯ ᄉᆞᆷᄭᅵ디 못ᄒᆞ며
耳搭頭低ᄒᆞᄂᆞ니
귀ᄅᆞᆯ 느리디며 머리ᄅᆞᆯ ᄂᆞᆺ초ᄂᆞ니
此謂心熱舌瘡之癥也니 消黃散으로 治之ᄒᆞ라
이 닐온 념통이 열ᄒᆞ야 혜 허ᄂᆞᆫ 증이니 쇼황산으로 고티라
徹鶻脈血ᄒᆞ고 青黛散을 口內噙之ᄒᆞ라
골ᄆᆡᆨ혈을 ᄲᅡ이고 쳥ᄃᆡ산을 입 안해 머곰기라
脈色은 雙鳧이 洪數ᄒᆞ며 唇舌이 鮮紅ᄒᆞ고
ᄆᆡᆨ과 ᄉᆡᆨ은 쌍부이 홍ᄒᆞ고 삭ᄒᆞ며 입시울이며 혜 ᄭᆡᄀᆞ지 븕고
諸生料忌之ᄒᆞ라
모ᄃᆞᆫ ᄉᆡᆼ뇨ᄅᆞᆯ 금긔ᄒᆞ라
消黃散은 治馬心經積熱이니라
쇼황산은 ᄆᆞᆯ이 심경의 열이 젹ᄒ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兩半을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냥 반을
雞子清一個 米泔水一盞애 同調草飽灌之ᄒᆞ라
계ᄌᆞ쳥 ᄒᆞᆫ나과 ᄠᅳ믈 ᄒᆞᆫ 잔애 ᄒᆞᆫᄃᆡ 골라 초포에 흘리라
右為末ᄒᆞ야 生絹袋內예 盛貯ᄒᆞ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ᄉᆡᆼ깁 쟐ᄂᆡ 녀허
水中浸濕ᄒᆞ야 於口內噙之ᄒᆞ라
믈에 ᄃᆞᆷ가 적셔 입 안해 머금기라
馬患心經熱이라
心經熱者 心經의 伏熱也니
심경이 열홈ᄋᆞᆫ 심경의 열이 복홈이니
皆因餵養太盛ᄒᆞ야 肉滿膘肥애 負重乘驥遠地ᄒᆞ야
다 머김을 너무 셩히 ᄒᆞ야 고기 ᄎᆞ며 ᄉᆞᆯ짐^애 므거이 싯고
鞍屜失於解卸ᄒᆞ며
먼 ᄯᅡ해 ᄃᆞᆯ려가 엇치ᄅᆞᆯ 그릇 벗기며
乘熱而餵料草ᄒᆞ야
열홈을 ᄹᅡ 뇨초 머김을 인ᄒᆞ야
熱毒이 積於膈內ᄒᆞ며 瘀痰이 結在胸中ᄒᆞ야
열독이 격ᄂᆡ예 싸히며 엉긘 담이 흉듕에 ᄆᆡ치여
心肺壅極ᄒᆞ야 熱氣衝咽이라
념통과 부홰 막혀 극ᄒᆞ야 열긔 목굼긔 다와ᄃᆞ미라
令獸로 舌唇赤腫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혀와 입시울이 븕거 브으며
口內垂涎ᄒᆞ며 精神이 困倦ᄒᆞ며
입 안해 춤을 흘리며 졍신이 곤ᄒᆞ야 게으르며
兩眼如朱ᄒᆞᄂᆞ니
두 눈이 쥬사 ᄀᆞᆺᄂᆞ니
此謂熱積心胸之癥也니
이 닐온 심흉에 열이 젹ᄒᆞᆫ 증이니 셰심산으로 흘리고
徹胸堂血ᄒᆞ고 膽礬散을 舌上애 吹之ᄒᆞ라
흉당혈을 ᄲᅡ이고 담반산을 혀 우희 불라
洪大ᄒᆞ며 口色이 鮮紅ᄒᆞ고
ᄆᆡᆨ과 ᄉᆡᆨ은 ᄡᅡᆼ부이 홍ᄒᆞ고 크며 입 빗치 ᄭᅢᄀᆞ지 븕고
調理ᄂᆞᆫ 餵養淨處ᄒᆞ며 用米泔水ᄒᆞ야 口內洗之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조ᄒᆞᆫ 고대 머기며 ᄯᅳ믈로ᄡᅥ 입 안ᄒᆞᆯ 시ᄉᆞ며
酷熱에 休拴廄內ᄒᆞ며 一切生料를 忌之ᄒᆞ라
모딘 더위예 외향의 ᄆᆡ디 말며 일졀이 ᄉᆡᆼ뇨ᄅᆞᆯ 금긔ᄒᆞ라
洗心散은 治馬心經伏熱ᄒᆞ야 舌上生瘡이라
셰심산은 ᄆᆞᆯ이 심경의 열이 복ᄒᆞ야 혀 우희 창^질 난 ᄃᆡ 곳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蜜二兩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두 냥을 ᄭᅮᆯ 두 냥과 ᄠᅳ믈 ᄒᆞᆫ 되얘
米泔水一升애 同調ᄒᆞ야 草飽灌之ᄒᆞ라
ᄒᆞᆫᄃᆡ 골라 초포애 흘리라
膽礬散은 專治馬舌瘡이라
담반산은 ᄆᆞᆯ의 혀 헌 ᄃᆡ 오로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先用米泔水ᄒᆞ야 洗淨口內ᄒᆞ고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ᆞᆫᄃᆞ라 몬져 ᄯᅳ믈을 ᄡᅥ 입 안ᄒᆞᆯ 조히 싯고
以竹管으로 吹入舌上ᄒᆞ라
대통으로ᄡᅥ 혀 우희 블라
馬患心痛이라
心痛者ᄂᆞᆫ 心不寧也니
념통을 알호몬 념통이 편안티 아님이니
因食之太飽ᄒᆞ야 乘騎奔走太急ᄒᆞ야
다 머김을 너무 ᄇᆡ블리 ᄒᆞ야 타 ᄃᆞᆯ리기ᄅᆞᆯ 너무 급피 홈을 인ᄒᆞ야
瘀痰이 凝於羅膈痞 氣衝塞心胸ᄒᆞ야
엉긘 담이 나격에 엉긔며 비긔 심흉애 막딜려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令獸胸堂汗出ᄒᆞ며 氣促喘粗 前蹄跪地ᄒᆞ며
흉당에 ᄯᆞᆷ이 나며 긔운이 ᄲᆞᄅᆞ고 숨이 크며 앏굽으로 ᄯᅡ해 ᄭᅮᆯ며
眼閉頭低ᄒᆞᄂᆞ니
눈을 ᄀᆞᆷ고 머리ᄅᆞᆯ ᄂᆞ초ᄂᆞ니
此謂氣怔忡之癥也니
이 닐온 심긔 ᄭᆞᆷᄌᆞ기ᄂᆞᆫ 증이니 쳥심산으로 흘리고
清心散으로 灌之ᄒᆞ고 脈色은 雙鳧이 洪數ᄒᆞ며 色似雞冠ᄒᆞ고
ᄆᆡᆨ과 ᄉᆡᆨ은 ᄡᅡᆼ부이 홍ᄒᆞ고 삭ᄒᆞ며 빗ᄎᆞᆫ ᄃᆞᆰ긔 볏 ᄀᆞᆺ고
畏養淨室ᄒᆞ며 每用童便一盞ᄒᆞ야 草後灌之ᄒᆞ며
조ᄒᆞᆫ 집의 머기며 ᄆᆡ양 동변 ᄒᆞᆫ 잔으로ᄡᅥ 초 머근 후에 흘리며
酷熱애 休拴熱處ᄒᆞ며 一切生料忌之ᄒᆞ라
모딘 더위예 ᄃᆞᄉᆞᆫ 고ᄃᆡ ᄆᆡ디 말며 일졀이 ᄉᆡᆼ뇨ᄅᆞᆯ 금긔ᄒᆞ라
清心散은 治馬心痛不寧이니
쳥심산은 ᄆᆞᆯ이 념통 알하 편티 안닌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蜜二兩과 薑散片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두 냥을 ᄭᅮᆯ 두 냥과 ᄉᆡᆼ강 삼 편과
雞子清과 無根水애 同調灌之ᄒᆞ라
ᄃᆞᆰ긔 알 흰ᄌᆞ의와 불희 업ᄂᆞᆫ 믈애 ᄒᆞᆫᄃᆡ 골라 흘리라
大黃散은 治馬心經伏熱ᄒᆞ야 見物驚狂
대황산은 ᄆᆞᆯ이 심경의 열이 복ᄒᆞ야 믈을 보고 놀라 미쳐
倒地ᄒᆞ며 眼內如硃病이니라
ᄯᅡ해 것구러디며 눈 안히 쥬사 ᄀᆞᆺᄐᆞᆫ 병을 고티ᄂᆞᆫ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一兩半을 蜜二兩 沸湯一盞애 同調灌之ᄒᆞ고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ᄒᆞᆫ 냥 반을 ᄭᅮᆯ 두 냥과 ᄭᅳᆯ힌 믈 ᄒᆞᆫ 잔애 ᄒᆞᆫᄃᆡ
隔日再灌之ᄒᆞ면 立效ᄒᆞ리라
골라 흘리고 날을 ᄉᆞ이 두어 ᄯᅩ 흘리면 즉제 됴ᄒᆞ리라
遠志散은 治馬熱敷心經ᄒᆞ야
원지산은 ᄆᆞᆯ이 열이 심경의 오래 복ᄒᆞ야
顏色이 朦朧ᄒᆞ야 多怕多驚이니라
눈빗치 어렴ᄑᆞᆺᄒᆞ야 하게 저허ᄒᆞ며 하게 놀라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兩半을 水一升애 同煎三沸 放溫ᄒᆞ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ᆞᆫᄃᆞ라 ᄆᆡ 복 냥 반을 믈 ᄒᆞᆫ 되애 세 소솜을 달혀
草飽灌之馬患ᄒᆞ라
ᄃᆞᄉᆞᆫ 거슬 방ᄒᆞ야 초포애 흘리라
馬患揭鞍風이라
揭鞍風은 揭鞍風揭鞍外感風也니
게안풍은 기ᄅᆞ마 벗ᄭᅧ셔 밧ᄭᅳ로 ᄇᆞᄅᆞᆷ을 감홈이니
皆因騎來有汗애 簷下卸鞍ᄒᆞ니
다 ᄃᆞᆯ려와 ᄯᆞᆷ이 이심애 쳠하 아래셔 기ᄅᆞ마ᄅᆞᆯ 벗기니
賊風乘虛而入이라
도적 ᄇᆞᄅᆞᆷ이 허홈을 ᄹᅡ 들믈 인홈이라
初患애 渾身揩擦ᄒᆞ며 次傅肌肉ᄒᆞ야
처엄 알ᄒᆞᆯ 제 온 몸을 비븨며 벅어 긔육의 뎐ᄒᆞ야
令獸로 四肢強硬ᄒᆞ며 口內垂涎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ᄉᆞ지 굿세며 입 안해 춤을 흘리며
耳緊尾直ᄒᆞ며 牙關難開ᄒᆞ며 不食水草ᄒᆞᄂᆞ니
귀 긴급ᄒᆞ며 ᄭᅩᆼ지 고ᄃᆞ며 아관을 여디 못ᄒᆞ며 슈초ᄅᆞᆯ 먹디 못ᄒᆞᄂᆞ니
此謂外感風邪之癥也니 追風散으로 灌之ᄒᆞ고
이 닐온 밧ᄭᅳ로 풍샤ᄅᆞᆯ 감홈이니 튜풍산으로 흘리고
徹鶻脈血ᄒᆞ며 烙風門穴 伏兔穴ᄒᆞ고 朱砂散으로 鼻內吹之ᄒᆞ라
골ᄆᆡᆨ혈을 ᄲᅡ이며 풍문혈과 복토혈을 지지고 쥬사산으로 코해 블라
脈色은 雙鳧이 遲細ᄒᆞ며 口色이 鮮紅ᄒᆞ고
ᄆᆡᆨ과 ᄉᆡᆨ은 ᄡᅡᆼ부이 디ᄒᆞ고 셰ᄒᆞ며 입 빗치 ᄭᆡᄀᆞ지 븕고
調理ᄂᆞᆫ 常騎走ᄒᆞ야 回拴暖廄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잇ᄯᅡ감 타 ᄃᆞᆯ려 도라와
汗息卸鞍ᄒᆞ며
다ᄉᆞᆫ 외향의 ᄆᆡ며 ᄯᆞᆷ이 그치거든 기ᄅᆞ마ᄅᆞᆯ 벗ᄭᅵ며
一切風寒를 忌之ᄒᆞ라 追風散은 治馬揭鞍風이라
일졀이 풍한을 금긔ᄒᆞ라 튜풍산은 ᄆᆞᆯ이 게안풍ᄒᆞᆫ ᄃᆡ 곳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五錢을 溫酒半盞애 調灌之ᄒᆞ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오 젼을 ᄃᆞᄉᆞᆫ 술애 골라 흘리라
硃砂散은 療風開孔이니라
쥬사산은 ᄇᆞᄅᆞᆷ을 고티며 구무를 여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用一字ᄒᆞ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양 ᄒᆞᆫ ᄌᆞ로ᄡ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