馬經抄集諺解

  • 연대: 미상
  • 저자: 李曙
  • 출처: 馬經抄集諺解下
  • 출판: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종수정: 2016-01-01

右為末ᄒᆞ야 每用一字호되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양 ᄒᆞᆫ ᄌᆞᄅᆞᆯ ᄡᅳ되

入竹管中ᄒᆞ야 吹鼻內ᄒᆞ라

대통애 녀허 코 안해 블라

馬患肺寒吐沫이라

肺寒吐沫者ᄂᆞᆫ 氣凝肺竅也니

부화 한ᄒᆞ야 춤을 비왓ᄂᆞᆫ 이ᄂᆞᆫ 긔운이 부화 굼긔 엉긔오미니

皆因乘騎緊驟ᄒᆞ며 冷水飲之太急ᄒᆞ야

다 ᄐᆞ기 급히 ᄃᆞᆯ리며 ᄂᆡᆼ슈 머기믈 너무 급히 ᄒᆞ야

搶扵肺脘ᄒᆞ야 肺氣凝結ᄒᆞ야 津液이

부화 굼긔 다딜러 폐긔 엉긔며 ᄆᆡ치여 진ᄋᆡᆨ이 변화ᄒᆞ야

變化成痰이라

담 일옴을 인연홈이라

使獸은 精神이 困倦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졍신이 곤ᄒᆞ고 게어르며

耳搭頭低ᄒᆞ여 頻頻咬齒ᄒᆞ며

귀ᄅᆞᆯ 느리디고 머리ᄅᆞᆯ ᄂᆞᆺ초며 ᄌᆞ로 ᄌᆞ로 니ᄅᆞᆯ ᄀᆞᆯ며

吐沫垂涎ᄒᆞᄂᆞ니

거품을 비왓ᄐᆞ며 춤을 흘리ᄂᆞ니라

此謂肺寒之癥也니 半夏散으로 治之ᄒᆞ고

이 닐온 부화 ᄎᆞᆫ 증이니 반하산으로 고티고

此癥은 輿口瘡垂涎으로 不同ᄒᆞ니

이 증은 입이 허러 춤 흘리ᄂᆞ니로 더브러 ᄀᆞᆺ지 아니ᄒᆞ니

治者이 祥之니라

고티ᄂᆞᆫ 쟈이 ᄌᆞ셔히 ᄒᆞ라

師皇曰 吐沫은 津液이 不清也니 酸漿虀水로 灌之라 ᄒᆞ고

ᄉᆞ황이 ᄀᆞᆯ오ᄃᆡ 토말^홈은 진ᄋᆡᆨ이 쳥티 못홈이니 산쟝과 ᄒᆡ슈로 흘리라 ᄒᆞ고

脈色은 脈洪 唇赤者ᄂᆞᆫ 口瘡이오

ᄆᆡᆨ과 ᄉᆡᆨ은 ᄆᆡᆨ이 홍ᄒᆞ고 입시올이 븕근 니ᄂᆞᆫ 입이 허롬이오

脈沉唇白者ᄂᆞᆫ 肺寒吐沫이오

ᄆᆡᆨ이 팀ᄒᆞ고 입시울이 희니ᄂᆞᆫ 폐한ᄒᆞ야 토말홈이라

調理ᄂᆞᆫ 喂養廄內ᄒᆞ며 飲水애

됴니ᄒᆞ기ᄂᆞᆫ 외향 안해 머기며 믈 머김애 ᄒᆞ여곰 죡히 말오며

勿令足ᄒᆞ며 寒夜의 不可拴外放野니라

치운 밤의 밧ᄭᅴ ᄆᆡ며 드르해 노티 말올ᄯᅵ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一兩半을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냥 반을

喬麺一匙와 蜜一匙와 生薑一片과 酸漿水一升애

모밀 ᄀᆞᄅᆞ ᄒᆞᆫ 술과 ᄭᅮᆯ ᄒᆞᆫ 술과 ᄉᆡᆼ강 ᄒᆞᆫ 조각과 ᄭᅩ아리믈 ᄒᆞᆫ 되애 ᄒᆞᆫᄃᆡ 골라

同調ᄒᆞ야 草飽灌之ᄒᆞ라

초 머거 브르거든 흘리라

馬患肺敗라

肺敗者ᄂᆞᆫ 肺勞也니

부화 패ᄒᆞᆫ 쟈ᄂᆞᆫ 부홰 잇ᄲᅩ미니

皆因食之太飽ᄒᆞ야 負重乘騎를

다 머김을 너무 브르게 ᄒᆞ야 므거이 시르며 타 ᄃᆞᆯ리기를

太過湧急ᄒᆞ야

너무 넘게 ᄒᆞ며 믈 솟ᄯᆞ시 급피 ᄒᆞ야

蹙損肺經ᄒᆞ야 滯氣凝扵肺部ᄒᆞ며

폐경이 움ᄯᅵᆯ려 손ᄒᆞ야 멍긘 긔운이 폐부애 엉긔며

瘀血이 結在胷中이라

어릔 피 흉듕애 ᄆᆡ쳐 이시믈 인연홈이라

令獣로 鼻流膿涕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ᄸᅩᄒᆞ로 고롬이 흐르며 긔운이 ᄲᆞᄅᆞ고

氣促喘粗ᄒᆞ며 毛焦膁吊ᄒᆞ며

숨결이 크며 터럭이 ᄇᆞ스ᄉᆞᄒᆞ고

耳搭頭低ᄒᆞᄂᆞ니

녑구리 거두혀며 귀 느리디고 머리 ᄂᆞ초ᄂᆞ니

此謂肺壅勞傷之癥也니 秦芁散治之ᄒᆞ라

이 닐온 부화 막키여 잇ᄲᅡ 샹ᄒᆞᆫ 증이니 진규산으로 곳티라

師皇이 曰 膿血相兼ᄒᆞ며 及脊背板硬ᄒᆞ며

ᄉᆞ황이 ᄀᆞᆯ오ᄃᆡ 고롬 피 서ᄅᆞ 겸ᄒᆞ며 밋 등ᄆᆞᆯ리 널 ᄀᆞᆺ티 ᄃᆞᆫᄃᆞᆫᄒᆞ며

氣如抽鉅者不治니라

긔운이 톱질ᄒᆞᄂᆞ^니 ᄀᆞᆺᄐᆞ면 고티디 못ᄒᆞᄂᆞ니라

脈色은 風關脈이 浮大ᄒᆞ며 唇舌色이 青黃이라

ᄆᆡᆨ과 ᄉᆡᆨ은 풍관ᄆᆡᆨ이 부대ᄒᆞ며 입시울과 혜 빗치 프르고 누로니라

開喉腧穴ᄒᆞ고 調理ᄂᆞᆫ 餵養淨室ᄒᆞ며 熟料增加ᄒᆞ며

후유혈을 열고 됴니ᄒᆞ기ᄂᆞᆫ 조ᄒᆞᆫ 집의 머기며 슉뇨ᄅᆞᆯ 더ᄒᆞ며

每朝애 童便一盞을 灌之ᄒᆞ며

ᄆᆡ일 아ᄎᆞᆷ애 동변 ᄒᆞᆫ 잔을 흘리며

寒夜의 不可外拴ᄒᆞ며 忌用豬膽ᄒᆞ라

치온 밤의 가히 밧ᄭᅴ ᄆᆡ디 말며 뎨담 ᄡᅳ기ᄅᆞᆯ 금긔ᄒᆞ라

秦芁散은 治馬肺病이니라

진규산은 ᄆᆞᆯ의 부화병을 곳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蜜二兩과 虀汁一盞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두 냥을 ᄭᅮᆯ 두 냥과 ᄒᆡ즙 ᄒᆞᆫ 잔과

童便半盞애 同調灌之ᄒᆞ라

동변 반 잔애 ᄒᆞᆫᄃᆡ 골라 흘리라

馬患肺壅이라

肺壅은 飽傷肺也니

폐옹홈은 ᄇᆡ 블러 부화 샹^홈이니

皆因脿騮肥馬이 氣壯神強애

다 표뉴와 비마이 긔운이 장ᄒᆞ며 졍신이 강홈애 초ᄅᆞᆯ 브르게 먹여

草飽ᄒᆞ야 負重乘騎ᄒᆞ야 奔走太過ᄒᆞ야 損傷肺經ᄒᆞ야

므거이 싯고 ᄹᅡ ᄃᆞᆯ리믈 너무 넘게 ᄒᆞ야 폐경이 손샹ᄒᆞ야

痰凝於羅膈ᄒᆞ야 氣痞於心胷이라

담이 나격의 엉긔며 긔운이 심흉에 막키믈 인연홈이라

令獣로 咽喉哽噎ᄒᆞ며 鼻孔流膿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인휘 막키며 콧구무로 고롬을 흘리며

啌嗽不爽ᄒᆞ며 膁吊毛焦ᄒᆞᄂᆞ니

기춤 기ᄎᆞᆷ애 ᄆᆞᆰᄯᅵ 아니며 녑구리 거두혀며 터럭이 ᄇᆞ스ᄉᆞᄒᆞᄂᆞ니

此謂肺壅之癥也니 百合散으로 治之ᄒᆞ고

이 닐온 부화 막키인 증이니 ᄇᆡᆨ합산으로 곳티고

徹鶻脈血ᄒᆞ라

골ᄆᆡᆨ혈을 ᄲᅡ이라

師皇이 曰 氣促喘粗애

ᄉᆞ황이 ᄀᆞᆯ오ᄃᆡ 긔운이 ᄲᆞᄅᆞ고 숨ᄭᅧᆯ리 큼애

鶻脈抽者ᄂᆞᆫ 難治오

골ᄆᆡᆨ ᄲᅡ인 이ᄂᆞᆫ 고티기 어녑고 잇ᄲᅥ 샹ᄒᆞ야

勞傷彂者ᄂᆞᆫ 亦難治니라

발ᄒᆞᆫ 이ᄂᆞᆫ ᄯᅩᄒᆞᆫ 고티기 어려오니라

脈色은 肺脈이 洪大ᄒᆞ며 色如雞冠ᄒᆞ고

ᄆᆡᆨ과 ᄉᆡᆨ은 폐ᄆᆡᆨ이 넙고 크며 혀 빗치 ᄃᆞᆰ긔 볏 ᄀᆞᆺ고

調理ᄂᆞᆫ 喂飬凈室ᄒᆞ며 每朝애 童便灌之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조ᄒᆞᆫ 집의 머기며 ᄆᆡ양 아ᄎᆞᆷ애 동변을

少令騎驟ᄒᆞ고 生料忌之ᄒᆞ라

흘리며 ᄒᆞ여곰 젹이 ᄹᅡ ᄃᆞᆯ리고 ᄉᆡᆼ뇨ᄅᆞᆯ 금긔ᄒᆞ라

百合散은 治馬鼻內出膿이니라

ᄇᆡᆨ합산은 ᄆᆞᆯ이 코 안ᄒᆞ로 고롬 나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爲末ᄒᆞ야 每服一兩을 蜜一匙와 蕎糆一匙와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ᄒᆞᆫ 냥을 ᄭᅮᆯ ᄒᆞᆫ 술과 모밀 ᄀᆞᆯᄋᆞ ᄒᆞᆫ 술과

蘿葍湯一盞애 同調ᄒᆞ야 草後애 灌之ᄒᆞ라

나복탕 ᄒᆞᆫ 잔애 ᄒᆞᆫᄃᆡ 골라 초 머근 후애 흘리라

啌嗽論이라

周靈王이 問扵太史王良曰

쥬녕왕이 태ᄉᆞ 왕냥ᄃᆞ려 무러 ᄀᆞᆯ오샤ᄃᆡ

馬之啌嗽이 多生扵肺者ᄂᆞᆫ 何也오

ᄆᆞᆯ의 기ᄎᆞᆷ이 폐로 하게 나ᄂᆞᆫ 쟈ᄂᆞᆫ 엇ᄯᅵ오

太史이 答曰

태ᄉᆞ이 ᄃᆡ답ᄒᆞ야 ᄀᆞᆯ오ᄃᆡ

五臓六腑이 皆使獣로 啌非獨肺也닝이다

오장과 뉵뷔 다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깃게 홈이오 홀로 폐만 아니닝이다

王曰願聞其道ᄒᆞ노라

왕이 ᄀᆞᆯ오샤ᄃᆡ 원퀀대 그 도ᄅᆞᆯ 듯고져 ᄒᆞ노라

良이 曰 肺啌之狀은

냥이 ᄀᆞᆯ오ᄃᆡ 폐로 깃ᄂᆞᆫ 형상은 기ᄎᆞᆷ홈애

啌而喘息有音ᄒᆞ며鼻

숨쉴 저긔 소ᄅᆡ 이시며 코해 건 코히

流濃涕也오

흐르고

心啌之狀은 啌而前蹄跑地니

심으로 깃ᄂᆞᆫ 형상은 기ᄎᆞᆷ홈애 앏굽으로 ᄯᅡᄒᆞᆯ 허위ᄂᆞ니

謂心痛也오

닐온 심을 알홈이오

肝啌之狀은 啌而頭則左顧니

간으로 깃ᄂᆞᆫ 형상은 기ᄎᆞᆷ홈애 머리ᄅᆞᆯ 왼녁흐로 도로혀니

謂左脇이 痛也오

닐온 왼녑흘 알흠이오

脾啌之狀은 啌之애 頭則右顧니

비로 깃ᄂᆞᆫ 형상은 기ᄎᆞᆷ홈애 머리ᄅᆞᆯ 올ᄒᆞᆫ녁흐로 도로 혀ᄂᆞ니

謂右脇痛也오

닐온 올ᄒᆞᆫ 녑흘 알홈이오

腎啌之狀은 啌則懸其後腳이니

신으로 깃ᄂᆞᆫ 형상은 기ᄎᆞᆷᄒᆞᆫ 즉 그 뒷ᄯᅡ리ᄅᆞᆯ 드니

謂腰中이 痛也라

닐온 허리 알^홈이라

此謂五臓內傷外應之啌也닝이다

이 닐온 오장이 안흐로 샹ᄒᆞ야 밧ᄭᅳ로 응ᄒᆞᆫ 기ᄎᆞᆷ이닝이다

肺啌不已면 大膓이 受之니

폐로 깃ᄭᅵᄅᆞᆯ 마디 아니면 대댱이 바ᄃᆞ니

啌則氣喘ᄒᆞ며 鼻流膿涕ᄒᆞ며

깃ᄎᆞᆫ 즉 긔운을 흘근다히며 코해 건 코ᄅᆞᆯ 흘리며

甚則屁出而遺糞矣오

심ᄒᆞᆫ 즉 방긔ᄂᆞᆯ ᄭᅱ며 ᄯᅩᆼ을 ᄉᆞ고

心啌不已면 小腸이 受之니

심으로 깃ᄭᅵᄅᆞᆯ 마디 아니면 쇼댱이 바ᄃᆞ니

啌則前蹄跑地ᄒᆞ며 甚則咬歯頭垂扵地矣오

깃ᄎᆞᆫ 즉 앏굽으로 ᄯᅡᄒᆞᆯ 허위며 심ᄒᆞᆫ 즉 니ᄅᆞᆯ ᄀᆞᆯ고 머리ᄅᆞᆯ ᄯᅡ해 드리오고

肝啌不已면 膽腑受之니

간으로 깃ᄭᅵᄅᆞᆯ 마디 아니면 담부 바ᄃᆞ니

甚則口吐黃涎矣오

깃ᄎᆞᆫ 즉 머리ᄅᆞᆯ 왼녁흐로 도로혀며 심ᄒᆞᆫ 즉 입에 누론 춤을 비왓고

脾啌不已면 胃腑受之니

비로 깃ᄭᅵᄅᆞᆯ 마디 아니면 위부 바ᄃᆞ니

啌則頭扵右顧ᄒᆞ며

기ᄎᆞᆫ 즉 머리ᄅᆞᆯ 올ᄒᆞᆫ녁흐로 도로혀며

甚而嘔吐則有長蟲出矣오

심ᄒᆞ야 게온 즉 긴 버러지 이셔 나고

腎啌不已면 膀胱이 受之니

신으로 깃ᄭᅵᄅᆞᆯ 마디 아니면 방광이 바ᄃᆞ니

啌則懸其後腳ᄒᆞ며

기ᄎᆞᆫ 즉 그 뒷ᄯᅡ리ᄅᆞᆯ 들며 심ᄒᆞᆫ 즉

甚則小便而遺溺矣오

오좀을 ᄡᆞ고

久啌不已면 三焦受之니

오래 깃ᄭᅵᄅᆞᆯ 마디 아니면 삼ᄎᆈ 바ᄃᆞ니

啌則毛焦草細ᄒᆞ며

깃ᄎᆞᆫ 즉 터럭이 ᄇᆞ스ᄉᆞᄒᆞ고 초ᄅᆞᆯ 젹게 머그며

鼻出臭膿ᄒᆞ며 身形羸瘦ᄒᆞ며 四蹄虛腫ᄒᆞ며

코흐로 내 나ᄂᆞᆫ 고롬이 나며 몸이며 얼굴리 여위며 네 굽이 허ᄒᆞ야 브으며

肚腹脹滿ᄒᆞ며 逆氣聚扵胃開也닝이다

ᄇᆡ 턍만ᄒᆞ며 거스리ᄂᆞᆫ 긔운이 위관의 모ᄃᆞᆷ이닝이다

王曰 治之奈何오

왕이 ᄀᆞᆯ오샤ᄃᆡ 곳티기ᄅᆞᆯ 엇ᄯᅵ ᄒᆞ리오

良이 曰凡治者ᄂᆞᆫ 飬其心ᄒᆞ며 歛其肺ᄒᆞ며

냥이 ᄀᆞᆯ오ᄃᆡ 므릇 다ᄉᆞ리기ᄂᆞᆫ 그 심을 양ᄒᆞ며 그 폐ᄅᆞᆯ 념ᄒᆞ며

健脾ᄒᆞ며 清其肝ᄒᆞ며 滋其腎ᄒᆞ며 補其隂ᄒᆞ며

그 비ᄅᆞᆯ 건ᄒᆞ며 그 간을 쳥케 ᄒᆞ며 그 신을 ᄌᆞᄒᆞ며 그 음을 보ᄒᆞ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