馬經抄集諺解

  • 연대: 미상
  • 저자: 李曙
  • 출처: 馬經抄集諺解下
  • 출판: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종수정: 2016-01-01

막힌 긔운이 흉듕에 ᄆᆡ침을 인연홈이라

令獸胷疼膊痛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가ᄉᆞᆷ을 알ᄒᆞ며

束步難行ᄒᆞ며

뭇근 ᄃᆞ시 거러 녜기 어려워 ᄒᆞ며

頻頻換腳站艱辛ᄒᆞᄂᆞ니

ᄌᆞ로 다리ᄂᆞᆯ 밧ᄭᅩ며 셔기ᄅᆞᆯ 간신ᄒᆞᄂᆞ니

此謂肺把胷膊之癥也니 當歸散으로 治之ᄒᆞ고

이 닐온 부화 흉박의 잡피인 증이니 당귀산으로 고티고

徹胷堂血ᄒᆞ고

흉당혈을 ᄲᅡ히고

脈色은 風開沉細而小ᄒᆞ고 臥蠶紫而唇紅ᄒᆞ고

ᄆᆡᆨ과 ᄉᆡᆨ은 풍관이 팀셰ᄒᆞ여 쟉으며 와ᄌᆞᆷ이 ᄇᆞᆰ으며 입시울 빗치 브ᇃ고

調理ᄂᆞᆫ 日縱於郊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나ᄌᆡ 드르희 노흐며

夜散於廄ᄒᆞ야 任其自臥自起ᄒᆞ며

밤의 외양의 노하 제대로 누으며 닐게 ᄒᆞ며

草飽애 休令騎驟ᄒᆞ며 一切生料ᄂᆞᆯ 忌之ᄒᆞ라

초포애 ᄒᆞ여곰 타 ᄃᆞᆯ리디 말며 일졀히 ᄉᆡᆼ뇨ᄅᆞᆯ 금긔ᄒᆞ라

當歸散은 治馬胷膊痛이니라

당귀산은 ᄆᆞᆯ이 가ᄉᆞᆷ 알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水一升애 煎三五沸ᄒᆞ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두 냥을 믈 ᄒᆞᆫ 되애 세 다엿 소ᄉᆞᆷ을 달혀

入童便半盞ᄒᆞ야 溫灌草後ᄒᆞ라

동변 반 잔을 녀허 ᄃᆞᄉᆞ게 ᄒᆞ여 초 머근 후의 흘리라

馬患腎虛이라

腎虛者ᄂᆞᆫ 腎贁也니

신이 허ᄒᆞᆫ 쟈ᄂᆞᆫ 신이 패홈이니

皆因勞傷過度ᄒᆞ며 喂少騎多ᄒᆞ야 傷扵

다 잇버 샹홈이 과도ᄒᆞ며 머김을 젹이 ᄒᆞ고 ᄐᆞ기 하게 ᄒᆞ야

五臟ᄒᆞ야 傳入腎經ᄒᆞ니

오장이 샹ᄒᆞ야 신경의 뎐ᄒᆞ니

腎受其邪ᄒᆞ야 外傳腰胯也라

신이 그 샤긔ᄅᆞᆯ 바다 밧ᄭᅳ로 요과의 뎐홈이라

令獸로 後蹄虛腫ᄒᆞ며 胯痛腰拖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뒷굽이 브으며 다리ᄅᆞᆯ 알코 허리ᄅᆞᆯ ᄭᅳ으며

精神이 短慢ᄒᆞ며 耳이 搭頭低ᄒᆞᄂᆞ니

졍신이 단만ᄒᆞ며 귀 느리티며 머리 ᄂᆞᆺ초ᄂᆞ니

此謂腎贁虛羸之癥也니 華澄茄散으로 治之ᄒᆞ고

이 닐온 신이 패ᄒᆞ여 허ᄒᆞ여 여위ᄂᆞᆫ 증이니 필딩가산으로 고티고

火針百會穴 巴山穴ᄒᆞ라

ᄇᆡᆨ회혈과 파산혈을 화침ᄒᆞ라

脈色은 雙鳧이 沉細ᄒᆞ며 口色이 青黃ᄒᆞ고

ᄆᆡᆨ과 ᄉᆡᆨ은 쌍브ᄆᆡᆨ이 팀ᄒᆞ고 셰ᄒᆞ며 입 빗치 프르며 누로고

調理ᄂᆞᆫ 餵養煖廄ᄒᆞ며 增加料草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ᄃᆞᄉᆞᆫ 외향의 머기며 뇨와 초ᄅᆞᆯ 더ᄒᆞ며

寒夜의 休拴外ᄒᆞ라

치운 밤의 밧ᄭᅴ ᄆᆡ디 말라

華澄茄散은 治馬腎虛ᄒᆞ야 後腳浮腫ᄒᆞᄂᆞ니라

필딩가산은 ᄆᆞᆯ이 신이 허ᄒᆞ야 뒷ᄯᅡ리 브은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青蔥二枝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두 냥을 ᄑᆞ른 파 두 가지과

飛鹽半兩과 苦酒一升애 同煎三沸ᄒᆞ야 草後애 灌之ᄒᆞ라

소곰 반 냥과 쓴 술 ᄒᆞᆫ 되애 ᄒᆞᆫᄃᆡ 세 소ᄉᆞᆷ을 달혀 초 머근 후애 흘리라

馬患腎經痛이라

腎經痛者ᄂᆞᆫ 內腎痛也니

신경을 알ᄅᆞᆫ 이ᄂᆞᆫ ᄂᆡ신을 알홈이니

皆因騎驟失調ᄒᆞ며

다 ᄐᆞ기ᄅᆞᆯ 고로 홈을 일흐며 ᄃᆞᆯ니기ᄅᆞᆯ 넘우 급히 ᄒᆞ며 저러 평좌티 못ᄒᆞ야

奔走太急ᄒᆞ며 蹉不平坐ᄒᆞ야 傷胯ᄒᆞ며

뒤ᄯᅡ리 샹ᄒᆞ며 눈으로 허공을 드듸여

眼踏空虛ᄒᆞ야 蹙損腰窩ᄒᆞ야 滯氣凝扵腎部ᄒᆞ며

허리 오모가리 움ᄯᅵᆯ려 멍긘 긔운이 신부애 엉긔며

淤血流注膀胱ᄒᆞ야 氣血이 結扵腰脊也라

어ᄅᆡᆫ 피 방광에 뉴주ᄒᆞ여 긔운과 피 허리애 ᄆᆡ침을 인연홈이라

令獸로 前行後拽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아프로 ᄒᆡᆼᄒᆞ고 뒤흘 ᄭᅳ으며

胯痛腰疼ᄒᆞ야 難臥難起ᄒᆞ며 形體羸瘦ᄒᆞᄂᆞ니

다리며 허리ᄅᆞᆯ 알하 눕닐기 어려워 ᄒᆞ며 얼굴이 여위ᄂᆞ니

此謂氣凝腎虛之癥也니 破故紙散治之ᄒᆞ고

이 닐온 긔운이 엉긔고 신이 허ᄒᆞᆫ 증이니 파고지산으로 고티고

放腎堂血ᄒᆞ며 火針腰上七穴ᄒᆞ라

신당피ᄅᆞᆯ 주며 요샹 칠혈을 화침ᄒᆞ라

脈色은 腎命脈이 濇ᄒᆞ며 口色이 赤紅ᄒᆞ고

ᄆᆡᆨ과 빗ᄎᆞᆫ 신명ᄆᆡᆨ이 ᄉᆡᆨᄒᆞ며 입 빗치 븕고

調理ᄂᆞᆫ 餵養於廄ᄒᆞ며

됴리ᄒᆞ기ᄂᆞᆫ 외양의 머기며 ᄎᆞᆫ ᄃᆡ 즌 고ᄃᆡ ᄆᆡ디 말며

休拴寒濕之處ᄒᆞ며 忌風吹ᄒᆞ라

ᄇᆞᄅᆞᆷ 부ᄂᆞᆫ ᄃᆡᄅᆞᆯ 금긔ᄒᆞ라

破故紙散은 治馬內腎痛ᄒᆞ라

파고지산은 ᄆᆞᆯ이 ᄂᆡ신을 알하 눕닐기 어려워 ᄒᆞ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苦酒애 同煎三沸ᄒᆞ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두 냥을 총쥬애 ᄒᆞᆫᄃᆡ 세 소ᄉᆞᆷ을 달혀

入童便半盞 空草灌之ᄒᆞ라

동변 반 잔을 녀허 공초애 흘리라

馬患胞轉이라

胞轉者ᄂᆞᆫ 一名小腸結也니

포뎐쟈ᄂᆞᆫ ᄒᆞᆫ 일흠은 쇼댱 결홈이니

皆因乘騎湧急ᄒᆞ야 卒熱而飲冷水ᄒᆞ야 水未入腸애

다 타 ᄃᆞᆯ림을 급히 ᄒᆞ야 문득 열홈애 ᄎᆞᆫ 믈을 머겨 믈이 챵^ᄌᆞ애 드디 못ᄒᆞ여실 제

又且加之緊驟ᄒᆞ야 清氣未升ᄒᆞ며

ᄯᅩ 긴급이 ᄃᆞᆯ려 ᄆᆞᆯ근 긔운이 오ᄅᆞ디 못ᄒᆞ며 흐린 긔운이 ᄂᆞ리디 못ᄒᆞ야

濁氣未降ᄒᆞ야 清濁未分애 冷熱相緊ᄒᆞ야

쳥탁 미분애 ᄂᆡᆼ과 열이 서르 얽ᄆᆡ야

以致膀胱閉塞也라

ᄡᅥ곰 방광 막힘애 닐오믈 인연홈이라

令獸로 肚腹이 脹痛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ᄇᆡ 브어 알ᄒᆞ며

踏地蹲腰ᄒᆞ며 欲臥不臥ᄒᆞ며

ᄯᅡᄒᆞᆯ 드딀 제 허리ᄅᆞᆯ 줏ᄭᅳ리혀며 눕고져 호ᄃᆡ 눕디 못ᄒᆞ며

打尾跑蹄ᄒᆞᄂᆞ니

ᄭᅩᆼ지ᄅᆞᆯ 티며 굽을 허위ᄂᆞ니

此謂胞轉之癥也니 滑石散으로 治之ᄒᆞ고

이 닐온 포뎐증이니 활셕산으로 고티고

徹三江血ᄒᆞ라

삼강혈을 ᄲᅡ이라

脈色은 右鳧이 中濇而沉ᄒᆞ며 口色이 紅而紫ᄒᆞ고

ᄆᆡᆨ과 빗ᄎᆞᆫ 우부ᄆᆡᆨ이 가온대 ᄉᆡᆨᄒᆞ고 팀ᄒᆞ며 입 빗치 븕그며 ᄇᆞᆰ고

調理ᄂᆞᆫ 徐徐牽走ᄒᆞ며 腹下ᄅᆞᆯ 刮之ᄒᆞ라

됴니ᄒᆞ기ᄂᆞᆫ 날회야 잇그러 ᄃᆞᆯ리며 ᄇᆡ 아래ᄅᆞᆯ 글그라

滑石散은 治馬胞轉이니라

활셕산은 ᄆᆞᆯ이 포뎐ᄒ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脹二兩을 水一升애 調煎三沸ᄒᆞ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두 냥을 믈 ᄒᆞᆫ 되에 ᄩᅡ 세 소ᄉᆞᆷ을 달혀

入童便半盞ᄒᆞ야 空草熱灌ᄒᆞ라

동변 반 잔을 녀허 공초애 덥게 ᄒᆞ야 흘리라

馬患溺血이라

溺血者ᄂᆞᆫ 勞傷也니

피오좀 누ᄂᆞᆫ 이ᄂᆞᆫ 잇버 샹홈이니

皆因羸馬를 負重勞傷ᄒᆞ며

다 여윈 ᄆᆞᄅᆞᆯ 무거이 시러 잇버 샹ᄒᆞ며

乘騎奔走太過ᄒᆞ야 熱毒이 流

ᄩᅡ ᄃᆞᆯ리기ᄂᆞᆯ 넘우 넘게 ᄒᆞ야 더운 독이 신경의 흘러

入腎經ᄒᆞ야 陰陽이 失序ᄒᆞ며 清濁이 不分이라

드러 음과 양이 ᄎᆞ셔ᄅᆞᆯ 일흐며 쳥과 탁이 분티 못홈을 인연홈이라

令獸로 尿血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피오좀 누며

頭低搭ᄒᆞ며 膴吊毛焦ᄒᆞᄂᆞ니

머리ᄅᆞᆯ ᄂᆞ초고 귀ᄅᆞᆯ 탑ᄒᆞ며 녑구리 거두혀며 터럭이 ᄇᆞ스ᄉᆞ ᄒᆞᄂᆞ니

此謂血淋之癥也니 秦芁散으로 治之ᄒᆞ고

이 닐온 혈림증이니 진규산으로 고티고

脈色은 命門脈이 渭ᄒᆞ며 蜃古이 如綿ᄒᆞ고

ᄆᆡᆨ과 빗ᄎᆞᆫ 명문ᄆᆡᆨ이 활ᄒᆞ며 입시울과 혜 소옴 ᄀᆞᆺ고

調理ᄂᆞᆫ 喂拴煖廄ᄒᆞ며 增加草料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ᄃᆞᄉᆞᆫ 오향의 ᄆᆡ야 머기며 초와 뇨ᄅᆞᆯ 더ᄒᆞ며

青竹葉을 空膓애 喂之ᄒᆞ고 勿令騎驟ᄒᆞ라

프른 댓닙을 공댱에 머기고 ᄒᆞ여곰 ᄹᅡ ᄃᆞᆯ리디 말라

秦芁散은 治馬小便溺血이니라

진규산은 ᄆᆞᆯ이 쇼변 뇨혈 ᄒᆞ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脹一兩半을 青竹葉煎湯一盞애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ᄒᆞᆫ 냥 반을 프른 댓닙 달힌 믈 ᄒᆞᆫ 잔애 ᄒᆞᆫᄃᆡ 골라

同調空草灌之ᄒᆞ라

초 머기디 말고 흘리라

馬患垂縷不收이라

垂縷不收者ᄂᆞᆫ 腎虧之癥也니

슈루ᄒᆞ야 거두지 못ᄒᆞᄂᆞᆫ 쟈ᄂᆞᆫ 신이 휴ᄒᆞᆫ 증이니

皆因瘦馬勞傷過度ᄒᆞ며

다 여윈 ᄆᆞᆯ이 노샹홈이 과도ᄒᆞ며

空膓애 誤飲濁水太過ᄒᆞ야 停立不散ᄒᆞ야

공댱애 흐린 믈을 넘우 넘게 그릇 머겨 머므러 셰여 분산케 아니ᄒᆞ야

流入腎經ᄒᆞ야 滲扵臍下ᄒᆞ야 積扵神口ᄒᆞ야

신경의 흘러 드러 졔하의 스믜여 슈구에 ᄡᅡ히여 응결ᄒᆞ야

凝結而成腫也라

둉긔 일옴을 인연홈이라

令獣尿月尋不縮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뇨심을 주리혀디 못ᄒᆞ며

垂縷難收ᄒᆞ며 草細

드리디여 거두기 어려워 ᄒᆞ며

膴吊胯拽腰拖ᄒᆞᄂᆞ니

초ᄅᆞᆯ 젹이 먹고 녑구리 거두혀며 다리ᄅᆞᆯ ᄭᅳ을고 허리 ᄭᅳ으ᄂᆞ니

破故紙散으로 治之ᄒᆞ고

파고지산으로 고티고

火針腰上七穴ᄒᆞ라

요샹 닐곱 혈을 화침ᄒᆞ라

脈色은 雙鳧이 遲細ᄒᆞ며 口色이 如綿ᄒᆞ고

ᄆᆡᆨ과 빗ᄎᆞᆫ 쌍부ᄆᆡᆨ이 디셰ᄒᆞ며 입 빗치 소옴 ᄀᆞᆺ고

調理ᄂᆞᆫ 增料草ᄒᆞ며 省奔馳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뇨초ᄅᆞᆯ 더ᄒᆞ며 ᄃᆞᆯ리기ᄅᆞᆯ 덜ᄒᆞ며

夜拴煖廄ᄒᆞ며 乾馬糞으로 鋪地臥之ᄒᆞ며

밤의 ᄃᆞᄉᆞᆫ 외양애 ᄆᆡ며 ᄆᆞᄅᆞᆫ ᄱᆞᆯᄯᅩᆼ으로 ᄯᅡ해 펴고 누이며

莫飲空腸水ᄒᆞ며 休拴濕地眠ᄒᆞ라

공댱애 믈을 머기디 말며 저즌 ᄯᅡᄒᆡ ᄆᆡ야 조올게 말라

破故紙散은 治馬腎敗ᄒᆞ야 垂縷不收라

파고지산은 ᄆᆞᆯ이 신이 패ᄒᆞ야 드리워 거두디 못ᄒᆞ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脹一兩을 水一鐘애 煎三沸ᄒᆞ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ᄒᆞᆫ 냥을 믈 ᄒᆞᆫ 죵ᄌᆞ애 세 소ᄉᆞᆷ을 달혀

入童便半盞ᄒᆞ야 空草애 溫灌ᄒᆞ라

동변 반 잔을 녀허 공초애 ᄃᆞᄉᆞ게 ᄒᆞ야 흘리라

右剉ᄒᆞ야 水三升애 煎三沸ᄒᆞ야 去滓ᄒᆞ고

우ᄅᆞᆯ ᄡᅡᄒᆞ라 믈 세 되애 세 소ᄉᆞᆷ을 달혀

揚去火氣ᄒᆞ고 帶熱洗之ᄒᆞ라

즈의ᄅᆞᆯ ᄇᆞ리고 화긔ᄅᆞᆯ 부처 ᄇᆞ리고 덥게 ᄒᆞ야 싯기라

馬患草噎이라

草噎ᄂᆞᆫ 咽噎塞也니

초에ᄂᆞᆫ 목 몌여 막힘이니

皆因奔走遠來ᄒᆞ야 喘息未定애

다 ᄃᆞᆯ려 멀리 와 숨을 뎡티 못홈애

卒然而喂料草ᄒᆞ니 乘飢食之太急ᄒᆞ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