馬經抄集諺解

  • 연대: 미상
  • 저자: 李曙
  • 출처: 馬經抄集諺解下
  • 출판: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종수정: 2016-01-01

每用一丸을 細切青蔥三枝과

ᄒᆞᆫ 환을 ᄀᆞᄂᆞᆯ이 싸ᄒᆞᆫ 프른 파 세 가지과

苦酒一盞애 同煎三沸ᄒᆞ야

ᄡᅳᆫ 술 ᄒᆞᆫ 잔에 ᄒᆞᆫᄃᆡ 세 소ᄉᆞᆷ을 달혀

入生油四兩과 童便半盞ᄒᆞ야 灌之ᄒᆞ라

ᄉᆡᆼ유 넉 냥과 동ᄌᆞ 쇼변 반 잔을 녀혀 흘니라

馬患胎氣風이라

胎氣者ᄂᆞᆫ 胎中氣이 不順也야

ᄐᆡ긔ᄂᆞᆫ ᄐᆡ듕 긔운이 슌티 아님이니

皆因妊娠負重ᄒᆞ며 外感

다 ᄌᆞ식 ᄇᆡ여심애 므거이 실으며 밧ᄭᅳ로 감모ᄒᆞ며

內傷ᄒᆞ야 清氣不升ᄒᆞ며

안ᄒᆞ로 샹ᄒᆞ여 ᄆᆞᆯ근 긔운이 오ᄅᆞ디 못ᄒᆞ며

濁氣不降ᄒᆞ야 清濁不分ᄒᆞ야

더러운 긔운이 ᄂᆞ리디 못ᄒᆞ야 쳥탁이 분티 못홈을 인연ᄒᆞ야

以致子宮이 煩躁ᄒᆞ야 胎氣不寧이라

ᄡᅥ곰 ᄌᆞ궁이 번조ᄒᆞ야 ᄐᆡ긔 편안티 못홈을 닐옴이라

令獣로 四肢虛腫難行ᄒᆞ며 搭頭低ᄒᆞᄂᆞ니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ᄉᆞ지 부어 것기 어려워 ᄒᆞ며 귀ᄅᆞᆯ 덥티고 머리 ᄂᆞ초ᄂᆞ니

此謂胎氣流行經絡也니 當歸散으로 治之ᄒᆞ고

이 닐온 ᄐᆡ긔운이 경낙의 뉴ᄒᆡᆼ홈이니 당귀산으로 고티고

胎風者ᄂᆞᆫ 產後에 外感風也니

ᄐᆡ풍쟈ᄂᆞᆫ ᄌᆞ식 나흔 후에 밧ᄭᅳ로 ᄇᆞᄅᆞᆷ을 감홈이니

令獣로 前行後拽ᄒᆞ며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앏프로 녜고 뒤흘 ᄭᅳ으며

腰癱腿瘓ᄒᆞ며 四足卷攣ᄒᆞ야 臥而不起ᄒᆞᄂᆞ니

허리와 다리 어리며 네 발이 가동그리혀 눕고 니디 못ᄒᆞᄂᆞ니

此謂產後胎風之癥也니 麒麟蝎散으로 治之ᄒᆞ고

이 닐온 산후에 ᄐᆡ풍증이니 긔닌갈산으로 고티고

胎風者ᄂᆞᆫ 火針百會穴掠草穴ᄒᆞ고

ᄐᆡ풍ᄒᆞ니ᄂᆞᆫ ᄇᆡᆨ회혈과 낙초혈을 화침ᄒᆞ고

調理ᄂᆞᆫ 散放扵廄ᄒᆞ야 自臥自起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외향의 노하 제대로 눕닐게 ᄒᆞ며

空膓에 忌飲ᄒᆞ며 忌拴濕地ᄒᆞ라

공댱에 믈 머김을 금긔ᄒᆞ며 저즌 ᄯᅡ해 ᄆᆡ기를 금긔ᄒᆞ라

當歸散은 治馬胎氣이니라

당귀산은 ᄆᆞᆯ의 ᄐᆡ긔ᄒᆞ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一兩半을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ᄒᆞᆫ 냥 반을

紅花一錢과 水二升애 同煎三沸ᄒᆞ야 溫灌ᄒᆞ라

홍화 ᄒᆞᆫ 돈과 믈 두 되애 ᄒᆞᆫᄃᆡ 달혀 ᄃᆞᄉᆞ게 ᄒᆞ야 흘리라

麒麟蝎散은 治馬胎風이니라

긔닌갈산은 ᄆᆞᆯ이 ᄐᆡ풍ᄒ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一兩半을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ᄒᆞᆫ 냥 반을

苦酒二升애 同煎三五沸ᄒᆞ야 溫灌ᄒᆞ라

됴ᄒᆞᆫ 술 두 되에 ᄒᆞᆫᄃᆡ 세 소ᄉᆞᆷ을 달혀 ᄃᆞᄉᆞ게 ᄒᆞ야 흘니라

白朮散은 治馬胎動不安이니

ᄇᆡᆨ튤산은 ᄆᆞᆯ이 ᄐᆡ동ᄒᆞ야 편안티 아년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一兩半을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ᄒᆞᆫ 냥 반을

薑五片과 水一升에 同煎四五沸ᄒᆞ야 溫灌之ᄒᆞ라

ᄉᆡᆼ강 다ᄉᆞᆺ 편과 믈 ᄒᆞᆫ 되애 네 다ᄉᆞᆺ 소ᄉᆞᆷ을 ᄒᆞᆫᄃᆡ 달혀 ᄃᆞᄉᆞ게 ᄒᆞ야 흘리라

大服皮散은 治孕馬이 服痛不寧이니라

대복피산은 ᄌᆞ식 ᄇᆡᆫ ᄆᆞᆯ이 ᄇᆡ 알하 편안티 아녀 ᄒᆞ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一兩半을 細切青蔥三枝애 水一升애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ᄒᆞᆫ 냥 반을 ᄀᆞᄂᆞ리 싸ᄒᆞᆫ 파 세 가지와 믈 ᄒᆞᆫ 되애 골나

調煎三沸ᄒᆞ야 溫灌之ᄒᆞ라

세 소ᄉᆞᆷ을 달혀 ᄃᆞᄉᆞ게 ᄒᆞ야 흘리라

蟬蟲者ᄂᆞᆫ 氣化也니

비튱쟈ᄂᆞᆫ 긔로 화홈이니

皆因餵養太盛ᄒᆞ야

다 머김을 넘우 셩히 ᄒᆞ야

肉滿膘肥애 日久失扵洗浴ᄒᆞ야

고기 ᄎᆞ고 ᄉᆞᆯ짐애 날이 오래 싯ᄭᅵ디 몯홈을 인연ᄒᆞ야

屎溺交混ᄒᆞ며 汗垢이 相凝ᄒᆞ야 痞氣이 化生

ᄯᅩᆼ과 오좀이 섯겨 더러우며 ᄯᆞᆷ과 ᄠᆡ 엉긔여 뭉킌 긔운이 화ᄉᆡᆼᄒᆞ여

而為蟲ᄒᆞ야 在扵袖袋之中ᄒᆞ야 有似蜂錐蠍蜇이라

버러지 되야 졷ᄉᆞᆷ ᄭᅡ온대 이셔 벌이며 젼갈 ᄡᅩ기 ᄀᆞᆺᄐᆞ미 이심이라

令獣로 忽然倒地ᄒᆞ야

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홀연 ᄯᅡ해 구러뎌

四足稍空ᄒᆞ고 起而複舊ᄒᆞ야

네 발을 공듕으로 추혀며 니러 도로 녜라온 ᄃᆞᆺ ᄒᆞ야

水草如常ᄒᆞᄂᆞ니

슈초ᄅᆞᆯ 샹해 ᄀᆞᆺ티 ᄒᆞᄂᆞ니

此謂蟲咬隂?之癥也니

이 닐온 버러지 음심을 므너흐ᄂᆞᆫ 증이니

醫人이 摘去其蟲ᄒᆞ고 貫衆散煎湯으로 洗之ᄒᆞ고

고티ᄂᆞᆫ 사ᄅᆞᆷ이 그 버레ᄅᆞᆯ ᄠᅡ ᄇᆞ리고 관즁산 달힌 믈로 싯기고

脈色은 雙鳧平正ᄒᆞ며 口色이 平和ᄒᆞ고

ᄆᆡᆨ과 ᄉᆡᆨ은 쌍부ᄆᆡᆨ이 평졍ᄒᆞ며 입 빗치 평화ᄒᆞ고

調理ᄂᆞᆫ 冬拴凈廄ᄒᆞ고 夏繫涼棚ᄒᆞ며

됴니ᄒᆞ기ᄂᆞᆫ 겨을에 조ᄒᆞᆫ 외향의 ᄆᆡ며 녀름에 서느러온 가개예 ᄆᆡ며

休拴穢處ᄒᆞ라

더러온 고ᄃᆡ ᄆᆡ지 말라

貫衆散은 殺蟲이니라

관즁산은 벌레ᄅᆞᆯ 주기ᄂᆞ니라

右ᄅᆞᆯ 水二升애 煎三沸ᄒᆞ야 去滓ᄒᆞ고 將獣縛倒ᄒᆞ야

우ᄅᆞᆯ 믈 두 되애 세 소ᄉᆞᆷ을 달혀 즈의 ᄇᆞ리고 즘ᄉᆡᆼ을 ᄆᆡ야디워

摘去蟬蟲ᄒᆞ고 次用 藥湯ᄒᆞ야 將袖口飜ᄒᆞ고 帶熱洗之ᄒᆞ라

비튱을 ᄯᅡᄇᆞᆯ이고 버거 약믈로ᄡᅥ 슈구ᄅᆞᆯ 뒤혀고 열을 ᄃᆡᄒᆞ야 싯ᄭᅵ라

療毒이라

療者ᄂᆞᆫ 疽也니

뎡쟈ᄂᆞᆫ 브으름이니

皆因乘騎ᄒᆞ야 路遠 日久애 鞍屜失於觧卸ᄒᆞ야

다 타 길히 멀어 날이 오람애 엇치 벗김을 일허

瘀汗이 沉扵毛竅ᄒᆞ며 敗血이 凝注皮膚ᄒᆞ여

어릔 ᄯᆞᆷ이 털굼긔 막히며 패ᄒᆞᆫ 피 갓과 ᄉᆞᆯ희 엉긔믈 인연ᄒᆞ야

以致鬐甲梁頭와 排鞍平膜兩邊에

ᄡᅥ곰 몬다회 ᄆᆞᄅᆞ와 기르마지히 ᄉᆞᆯ 두 녁희 브으름이 나며

彂腫ᄒᆞ며 或汗結鞍氊ᄒᆞ야 擦磨 打破而傷이라

혹 ᄯᆞᆷ이 엇치에 ᄆᆡᆺ치여 ᄡᅳᆺ쳐 ᄒᆞ여뎌 샹홈을 닐외미라

其狀이 有五ᄒᆞ니

그 형상이 다ᄉᆞᆺ 가지 이시니

乾殻而不腫者ᄂᆞᆫ 傷其皮니 曰黑療也오

겁질이 ᄆᆞᄅᆞ고 븟ᄯᅵ 아니ᄒᆞᄂᆞ니ᄂᆞᆫ 그 갓치 샹홈이니 ᄀᆞᆯ온 흑뎡이오

脊肉潰而有黃膜者ᄂᆞᆫ 傷其筋이니 曰筋療也오

등ᄆᆞᄅᆞ 고기 허여뎌 누른 기ᄅᆞᆷ 잇ᄂᆞ니ᄂᆞᆫ 그 힘이 샹홈이니 ᄀᆞᆯ온 근뎡이오

破而有黃水出者ᄂᆞᆫ 傷其氣니 曰氣療也오

ᄒᆞ여뎌 누론 믈^이 나ᄂᆞ니ᄂᆞᆫ 그 긔운이 샹홈이니 ᄀᆞᆯ온 긔뎡이오

浮而洪大無頭者ᄂᆞᆫ

들ᄯᅥ 너르며 크고 머리 업ᄉᆞᆫ니ᄂᆞᆫ

傷其膜이니 曰水療也오

그 지막이 샹홈이니 ᄀᆞᆯ온 슈뎡이오

破而赤色多膿者ᄂᆞᆫ 傷其血이니 曰血療也라

ᄒᆞ여뎌 빗치 븕고 고롬이 하니ᄂᆞᆫ 그 피 샹홈이니 ᄀᆞᆯ온 혈뎡이라

治者이 必擇晴日ᄒᆞ야

고티ᄂᆞᆫ 쟈이 반ᄃᆞ시 ᄆᆞᆰ근 날을 ᄀᆞᆯᄒᆞ여

以鋒利針으로 刺破ᄒᆞ야 割去死皮潰肉ᄒᆞ고

드ᄂᆞᆫ 침으로 딜러 헐워 죽은 갓과 허여딘 고기ᄅᆞᆯ 베혀 ᄇᆞ리고

以防風散煎湯으로

방풍산 달힌

溫洗瘡內ᄒᆞ야 濜去黃水血膿ᄒᆞ고

믈로 더여 헌 ᄃᆡ 안흘 씨서 누ᄅᆞᆫ 믈과 피과 고롬을 다 업시 ᄒᆞ고

黑療者ᄂᆞᆫ 醋麵糊ᄒᆞ야 調續斷散ᄒᆞ야 塗之ᄒᆞ고

흑뎡ᄋᆞᆫ 초해 쑨 플로ᄡᅥ 쇽단산을 골라 ᄇᆞᄅᆞ고

筋療 氣療者ᄂᆞᆫ 用草烏散為末ᄒᆞ야 乾貼之ᄒᆞ고

근뎡과 긔뎡은 초오산을 ᄡᅥ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ᆞᄅᆞ니로 븟티고

水療者ᄂᆞᆫ 以烏金膏로 貼之ᄒᆞ고

슈뎡ᄋᆞᆫ 오금고로ᄡᅥ 븟티고

血療者ᄂᆞᆫ 以葶藶散으로 為末貼之ᄒᆞ라

혈뎡ᄋᆞᆫ 뎡녁산으로ᄡᅥ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부티라

已前治療애 俱用藥水ᄒᆞ야 先洗後에

이젼 뎡죵 고팀애 다 약믈로ᄡᅥ 몬져 싯긴 후에

以各方으로 貼之ᄒᆞ면 凡三 次則瘥이니라

각각 방문으로ᄡᅥ 붓티면 믈읫 세 번ᄶᅢᆫ 즉 됸ᄂᆞ니라

毒者ᄂᆞᆫ 亦瘡也니

독쟈ᄂᆞᆫ ᄯᅩᄒᆞᆫ 헌 ᄃᆡ니

乃六腑之中애 毒氣凝也라

이에 뉵부듕애 독긔 엉긤이라

其癥이 有十ᄒᆞ니

그 증이 열 가지 이시니

有兩胷堂及後胯遍身애 生瘰癧者ᄂᆞᆫ 隂之毒也오

냥흉당과 밋 뒷다리와 몸에 두로 나녁이 나ᄂᆞᆫ 이ᄂᆞᆫ 음독이오

兩前膊과 及梁頭脊背애 生腫毒者ᄂᆞᆫ 陽之毒也오

두 엇기과 밋 몬다회 머리와 등ᄆᆞᄅᆞ애 브으믈 난 이ᄂᆞᆫ 양독이오

兩牙關中과 及舌尖上애 有赤色而生瘡者ᄂᆞᆫ 心之毒也오

두 아관 듕과 밋 혓긋 우희 블근 빗치 잇ᄭᅩ 창이 낫ᄂᆞᆫ 니ᄂᆞᆫ 심독이오

兩眼下와 及 淚堂中에 有赤瘡ᄒᆞ야

두 눈 아래와 밋 누당 듕에 블근 헌 ᄃᆡ 이셔

久而不差者ᄂᆞᆫ 肝之毒也오

오래 됴리 아니ᄒᆞᄂᆞᆫ 니ᄂᆞᆫ 간의 독이오

兩唇角과 及口中이 破裂血出者ᄂᆞᆫ 脾之毒也오

두 입 어귀과 밋 입 ᄭᅡ온대 ᄩᅥ뎌 피 나ᄂᆞᆫ 니ᄂᆞᆫ 비의 독이오

兩鬐甲과 及遍身毛瘙而尾鬃脫落者ᄂᆞᆫ 肺之毒也오

두 몬^다회과 밋 온 몸 터럭이 모되고 ᄭᅩᆼ지와 갈기 버서져 ᄠᅥ러디ᄂᆞ니ᄂᆞᆫ 폐의 독이오

四蹄下垂泉穴上에 有孔ᄒᆞ야 出膿血者ᄂᆞᆫ 腎之毒也오

네 굽 알애 슈쳔혈 우희 굼우 이셔 고롬 나ᄂᆞᆫ 니ᄂᆞᆫ 신의 독이오

四足間蹄上寸踠中이 燥破而出膿血者ᄂᆞᆫ 筋之毒也오

네 발 ᄉᆞ이 굽 우 촌완듕이 ᄆᆞᆯ라 ᄩᅥ뎌 고롬이 나ᄂᆞ니ᄂᆞᆫ 근의 독이오

兩鼻孔中과 及凖頭이 破裂而成瘡者ᄂᆞᆫ 氣之毒也오

두 코구무과 밋 코ᄆᆞᆯ리 ᄩᅥ뎌 창을 일오니ᄂᆞᆫ 긔의 독이오

四蹄甲이 焦枯堅硬ᄒᆞ야 行步難者ᄂᆞᆫ 血之毒也니

네 굽이 ᄆᆞᆯ라 ᄃᆞᆫᄃᆞᆫᄒᆞ여 ᄒᆡᆼ보ᄒᆞ기 어려워 ᄒᆞᄂᆞ니ᄂᆞᆫ 혈의 독이니

十毒治法은 以方藥으로 灌之ᄒᆞ며 以湯藥으로 洗之ᄒᆞ며

십독 고티ᄂᆞᆫ 법은 방약으로ᄡᅥ 흘리며 탕약으로ᄡᅥ 싯기며

以膏藥으로 塗之ᄒᆞ며 以末藥으로 貼之ᄒᆞ며

고약으로ᄡᅥ ᄇᆞᄅᆞ며 말약으로ᄡᅥ 븟티며 화침으로ᄡᅥ 지지며

以火針으로 烙之ᄒᆞ며 以生針으로 刺之ᄒᆞ라

ᄉᆡᆼ침으로ᄡᅥ ᄯᅵ르라

續斷散은 治馬黑療이니라

쇽단산은 ᄆᆞᆯ의 흑뎡을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醋糊애 調藥末塗之ᄒᆞ면 立差니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초의 ᄡᅮᆫ 플애 약 ᄀᆞᆯᄂᆞᆯ 골라 ᄇᆞ르면 즉제 됸ᄂᆞ니라

草烏散은 治馬筋療이니라

초오산은 ᄆᆞᆯ의 근뎡을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先以防風湯煎湯으로 凈洗後에 乾貼之ᄒᆞ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몬져 방풍탕 달힌 믈로 조히 싯긴 후에 ᄆᆞᄅᆞ니로 븟티라

葶藶散은 治馬血療이니라

뎡녁산은 ᄆᆞᆯ의 혈뎡을 고티ᄂᆞ니라

右等分細末ᄒᆞ야 先以防風湯으로 煎湯

우ᄅᆞᆯ 등분ᄒᆞ야 ᄀᆞᄂᆞ리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凈洗瘡後에 乾貼之ᄒᆞ라

방풍탕 달힌 믈로 조히 싯ᄭᅵᆫ 후에 ᄆᆞᄅᆞ니로 븟티라

烏金膏ᄂᆞᆫ 治馬水療이니라

오금고ᄂᆞᆫ ᄆᆞᆯ의 슈뎡을 고티ᄂᆞ니라

右等分為末ᄒᆞ야

우ᄅᆞᆯ 등분ᄒᆞ야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先以防風湯으로 洗瘡後애 乾貼之ᄒᆞ면 立差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