馬經抄集諺解

  • 연대: 미상
  • 저자: 李曙
  • 출처: 馬經抄集諺解下
  • 출판: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종수정: 2016-01-01

몬져 방풍탕으로ᄡᅥ 창을 싯ᄭᅵᆫ 후에 ᄆᆞᄅᆞ니로 븟티면 즉제 됸ᄂᆞ니라

防風湯은 治馬五療이니라

방풍탕은 ᄆᆞᆯ의 다ᄉᆞᆺ 가지 뎡창을 고티ᄂᆞ니라

右切ᄒᆞ야 水煎三沸ᄒᆞ야 去滓ᄒᆞ고

우ᄅᆞᆯ ᄡᅡᄒᆞ라 믈에 세 소ᄉᆞᆷ을 달혀 즈의ᄅᆞᆯ ᄇᆞ리고

溫洗瘡處ᄒᆞ라

더오니로 헌 곳ᄃᆞᆯ 싯ᄭᅵ라

雄黃散은 治馬隂毒으로 瘰癧瘡이니라

웅황산은 ᄆᆞᆯ이 음독으로 나 녁창ᄒ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麵糊애 和作棗核大ᄒᆞ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밀풀애 화ᄒᆞ야 대쵸ᄡᅵ 크니만 ᄆᆡᆼᄃᆞ라

以針으로 刺破瘡口ᄒᆞ고 納一枚ᄒᆞ라

침으로ᄡᅥ 부으름 부리ᄅᆞᆯ 허로고 ᄒᆞᆫ 낫식 녀흐라

黃柏散은 治馬隂毒으로 脊背肥瘡이니라

황ᄇᆡᆨ산은 ᄆᆞᆯ이 양녹으로 등ᄆᆞᄅᆞ 헌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等分為末ᄒᆞ야 醋調ᄒᆞ야 塗瘡上ᄒᆞ면 立差니라

우ᄅᆞᆯ 등분ᄒᆞ야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초애 ᄆᆞ라 브으롬 우희 ᄇᆞᄅᆞ면 즉제 됸ᄂᆞ니라

青黛散은 治馬心毒으로 舌上生瘡이니라

쳥ᄃᆡ산은 ᄆᆞᆯ이 심독으로 셜샹에 ᄉᆡᆼ창ᄒᆞᆫ ᄃᆡ 고티ᄂᆞᆫ니라

右為末ᄒᆞ야 蜜水에 調勻ᄒᆞ야 入絹袋ᄒᆞ야 馬口內에 噙之ᄒᆞ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ᄭᅮᆯ믈애 골라 깁 쟐ᄅᆡ 녀허 ᄆᆞᆯ 입 안해 머금기라

凡礬散은 治馬肝毒으로 眼下赤瘡이니라

범반산은 ᄆᆞᆯ이 간독으로 눈 아래 블근 창질을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先以漿水로 洗瘡後에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몬뎌 ᄯᅳ믈로ᄡᅥ 헌 ᄃᆡ 싯ᄭᅵᆫ 후에

乾貼之ᄒᆞ고 次日애 再洗再貼ᄒᆞ라

ᄆᆞᄅᆞ니로 븟티고 잇튼날 다시 싯ᄭᅵ고 다시 븟티라

秦芁散은 治馬脾毒으로 唇腫生瘡이니라

진규산은 ᄆᆞᆯ이 비위독으로 입시울이 부어 헌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好醋애 調ᄒᆞ야 塗唇上ᄒᆞ면 立差니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됴ᄒᆞᆫ 초애 ᄆᆞ라 입시울 우희 ᄇᆞᄅᆞ면 즉제 됸ᄂᆞ니라

乳香散은 治馬肺毒으로 毛燥ᄒᆞ며

유향산은 ᄆᆞᆯ이 폐독으로 터럭이 ᄆᆞᄅᆞ며

尾鬃이 脫落이니라

초리와 갈기 ᄠᅥ러디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血瘙이어든 防風湯으로 洗淨貼之ᄒᆞ며 乾瘙이어든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혈소어든 방풍탕으로 조히 싯기고 븟티고 간소어든

油調塗之ᄒᆞ라

기름에 ᄆᆞ라 ᄇᆞᄅᆞ라

瀝青膏ᄂᆞᆫ 治馬骨毒으로

녁쳥고ᄂᆞᆫ ᄆᆞᆯ이 골독으로 굽이 ᄉᆡ며

漏蹄血毒으로 枯蹄病이니라

혈독으로 굽이 ᄆᆞᄅᆞᄂᆞᆫ 병을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溶化作膏ᄒᆞ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노겨 고ᄅᆞᆯ ᄆᆡᆼᄃᆞ라

漏蹄어든 利刀로 削開ᄒᆞ야 出了膿ᄒᆞ고

누뎨어든 드ᄂᆞᆫ 칼ᄒᆞ로 갓ᄭᅡ 여러 고롬을 내고 약을 ᄇᆞᄅᆞ며

塗膏ᄒᆞ고 燒鐵로 烙之ᄒᆞ고 死蹄어든 削去硬甲ᄒᆞ고

달온 쇠로 지지고 ᄉᆞ뎨어든 ᄃᆞᆫᄃᆞᆫᄒᆞᆫ 겁질을 갓ᄭᅡ ᄇᆞ리고

塗膏扵上ᄒᆞ여 燒鐵로 烙之ᄒᆞ라

약을 우희 ᄇᆞᄅᆞ며 달온 쇠로 지지라

龍骨散은 治馬筋毒으로 燥蹄ᄒᆞ며 寸踠生瘡이니라

뇽골산은 ᄆᆞᆯ이 근독으로 굽이 ᄆᆞᄅᆞ며 촌완의 헌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先以漿水로 凈洗後에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몬져 ᄯᅳ믈로 조히 싯긴 후에

乾貼ᄒᆞ면 立差니라

ᄆᆞᄅᆞ니로 븟티면 즉제 됸ᄂᆞᆫ니라

木別子散은 治馬氣毒으로 鼻孔凖頭이

목별ᄌᆞ산은 ᄆᆞᆯ이 긔독으로 콧구무와 콧ᄆᆞᆯ리 허러 ᄇᆞᄅᆞᆷ 드러

破裂風瘡이니라

헐무은 ᄃᆡᄅᆞᆯ 고티ᄂᆞᆫ니라

右為末ᄒᆞ야 醋打麵糊애 熬成膏ᄒᆞ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초의 ᄡᅮᆫ 플에 ᄆᆞ라 고ᄅᆞᆯ ᄆᆡᆼᄃᆞ라

塗之鼻凖호되 隔日에 再塗ᄒᆞfk

콧ᄆᆞᆯᄅᆡ ᄇᆞᄅᆞ되 날을 ᄉᆞ이 두어 ᄯᅩ ᄇᆞᄅᆞ라

地龍散은 治馬肺毒瘡이니라

디뇽산은 ᄆᆞᆯ의 폐독창을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蜜一兩과 水一升애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두 냥을 ᄭᅮᆯ ᄒᆞᆫ 냥과 믈 ᄒᆞᆫ 되애 ᄒᆞᆫᄃᆡ 골라

同調ᄒᆞ야 草少灌之ᄒᆞ라

초를 젹게 머기고 흘리라

砒霜散은 治馬肺毒瘡이니라

비상산은 ᄆᆞᆯ의 폐독창을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貼瘡處호되 凡三次則效이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헌 고ᄃᆡ 붓티되 무릇 세 ^번을 ᄒᆞᆫ 즉 효험 나ᄂᆞ니라

鼠粘子散은 治馬肺毒瘡이니라

셔졈ᄌᆞ산은 ᄆᆞᆯ의 폐독창을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一兩半을 水一鐘애 煎三沸ᄒᆞ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ᄒᆞᆫ 냥 반을 믈 ᄒᆞᆫ 둉ᄌᆞ애 세 소ᄉᆞᆷ을 달혀

候溫ᄒᆞ야 草半에 灌之ᄒᆞ라

ᄃᆞᄉᆞ홈을 기두러 초 반애 흘리라

秦芁散은 治馬肺熱로 渾身疥瘙ᄒᆞᄂᆞ니라

진규산은 ᄆᆞᆯ이 폐열로 온 몸애 비ᄅᆞ로 ᄀᆞ랴와 ᄒᆞᄂᆞᆫ ᄃᆡ 고티ᄂᆞᆫ니라

右為末ᄒᆞ야 每服二兩을 蜜二兩과 生薑一片과 虀汁一升애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 복 두 냥을 ᄭᅮᆯ 두 냥과 ᄉᆡᆼ강 ᄒᆞᆫ 조각과 ᄒᆡ즙 ᄒᆞᆫ 되애

同煎三沸ᄒᆞ야 溫灌ᄒᆞ라

ᄒᆞᆫᄃᆡ 세 소ᄉᆞᆷ을 달혀 ᄃᆞᄉᆞ거든 흘^리라

雄黃散은 治馬諸般腫毒과 及筋骨이 脹大ᄒᆞᄂᆞ니라

웅황산은 ᄆᆞᆯ의 여러 가지 죵독과 밋 근골이 브어 크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用一大匙를 麵一匙와 醋一椀애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양 ᄡᅳᆯ 제 큰 ᄒᆞᆫ 술을 ᄀᆞᄅᆞ ᄒᆞᆫ 술과

同熬熟ᄒᆞ야 敷腫處ᄒᆞ라

초 ᄒᆞᆫ 사발애 ᄒᆞᆫᄃᆡ 닉게 복가 부은 고ᄃᆡ 븟티라

牡蠣散은 治馬袖口隂腫이면 消腫毒ᄒᆞᄂᆞ니라

모녀산은 ᄆᆞᆯ의 슈구음죵을 고티면 죵독이 스러디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每用一大匙를 醋一盞애 煎成膏ᄒᆞ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양 ᄡᅳᆯ 제 큰 ᄒᆞᆫ 술을 초 ᄒᆞᆫ 잔에 달혀 고ᄅᆞᆯ ᄆᆡᆼᄃᆞ라

熱塗腫處ᄒᆞ면 即消ᄒᆞᄂᆞ니라

브은 고ᄃᆡ ᄇᆞᄅᆞ면 즉제 ᄉᆞ라디ᄂᆞ니라

定粉散은 治馬花瘡이니라

뎡분산은 ᄆᆞᆯ의 나븨창을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야 漿水로 洗患處後애 貼之ᄒᆞ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ᄯᅳ믈로 알ᄅᆞᆫ 고ᄃᆞᆯ 싯긴 후애 븟티라

罔砂散은 治馬瘙蹄라

망사산은 ᄆᆞᆯ굽 헐히 먹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右為末ᄒᆞ애 羊骨髓에 調塗ᄒᆞ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양^의 골슈에 ᄆᆞ라 ᄇᆞᄅᆞ라

如聖散은 塗馬枯死蹄甲ᄒᆞ야 血毒痛이니라

여셩산은 ᄆᆞᆯ이 굽이 이우러 혈독으로 알ᄂᆞᆫ ᄃᆡ ᄇᆞᄅᆞᄂᆞ니라

右四味를 文武火애 熬成膏ᄒᆞ야

우 네 가지를 문무화애 복가 고ᄅᆞᆯ ᄆᆡᆼᄃᆞ라

溫水로 洗患處ᄒᆞ야 待乾塗之ᄒᆞ고 次日에 又塗ᄒᆞ라

더운 믈로 알ᄅᆞᆫ 고ᄃᆞᆯ 싯겨 ᄆᆞᄅᆞᆷ을 기둘러 ᄇᆞᄅᆞ고 버금날에 ᄯᅩ ᄇᆞᄅᆞ라

搽疥方이라

비ᄅᆞ애 ᄇᆞᄅᆞᄂᆞᆫ 방문이라

右為末ᄒᆞ야 以生油燒熱ᄒᆞ야 調勻搽之ᄒᆞ고 次日애 再搽ᄒᆞ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기름을 덥게 달혀 고로게 골라 ᄇᆞᄅᆞ고

治馬打破脊梁方이라

버금날에 ᄯᅩ ᄇᆞᄅᆞ라

馬歯莧 石灰

ᄆᆞᆯ이 등ᄆᆞᄅᆞ 다하 헌 ᄃᆡ 고티ᄂᆞᆫ 방문이라

右ᄅᆞᆯ 共搗和九ᄒᆞ야 隂乾再碾為末ᄒᆞ여

우ᄅᆞᆯ ᄒᆞᆫ가지로 ᄯᅵ허 환을 ᄆᆡᆼᄃᆞ라 음간ᄒᆞ야 다시 ᄀᆞ라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椒湯으로 洗患處ᄒᆞ먀 待乾貼之ᄒᆞ면 立效니라

호쵸믈로 알ᄅᆞᆫ 고ᄃᆞᆯ 싯겨 ᄆᆞᄅᆞ믈 기두려 븟티면 즉제 됸ᄂᆞ니라

右為末ᄒᆞ여 瘡乾이어든 油調塗之ᄒᆞ고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헌 ᄃᆡ ᄆᆞᄅᆞ거든 기름애 ᄃᆞ라 ᄇᆞᄅᆞ고

瘡濕이어든 乾貼之ᄒᆞ다 丹礬散이라

헌 ᄃᆡ 젓거든 ᄆᆞᄅᆞ니로 븟티라

右ᄅᆞᆯ 先將礬ᄒᆞ며 銚內熔作汁入黃丹ᄒᆞ야 攪勻

우ᄅᆞᆯ 몬져 ᄇᆡᆨ반을 가져 쵸의예 노겨 즙을 ᄆᆡᆼᄃᆞᆯ고

令熬以黃丹色紫為度後애

황단을 녀허 고로 섯거 복그되 황단 빗치 ᄇᆞᆯᄀᆞᄆᆞ로ᄡᅥ 도ᄅᆞᆯ

將柯子核ᄒᆞ야 搗爛ᄒᆞ고 入丹礬ᄒᆞ야

삼은 후에 가ᄌᆞᄡᅵᄅᆞᆯ ᄯᅵ허 즛긔티고

同搗為末臨用애

단반을 녀허 ᄒᆞᆫᄃᆡ ᄯᅵ허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ᄡᅳᆷ애

先以溫漿水로 洗瘡口ᄒᆞ고

님ᄒᆞ여 몬져 더온 ᄯᅳ믈로 헌 ᄃᆡ 싯ᄭᅧ 스서 ᄆᆞᄅᆞ게 ᄒᆞ고

拭乾ᄒᆞ고 用薬末貼之ᄒᆞ라 極者도 不過兩次에 立效니라

약 ᄀᆞᆯᄅᆞᆯ ᄡᅥ 븟티라 극ᄒᆞᆫ 니도 두 번 넘디 못홈애 즉제 효험ᄒᆞ니라

敗龜散은 治馬脊背瘡이니라 敗龜板 不拘多少為末ᄒᆞ야 瘡花이어든

패귀산은 ᄆᆞᆯ등 헌ᄃᆡ 고티ᄂᆞ니라 패귀판을 다쇼 혜디 말고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油調塗之ᄒᆞ고

헌 ᄃᆡ ᄆᆞᄅᆞ거든 기ᄅᆞᆷ에 ᄆᆞ라 ᄇᆞᄅᆞ고 고롬 잇거든

有膿水이어든 洗淨乾貼之ᄒᆞ고 用袋封蓋ᄒᆞ면 立效니라

조히 싯ᄭᅵ고 ᄆᆞᄅᆞ니로 븟티고 젼대로ᄡᅥ 봉ᄒᆞ여 덥프면 즉제 효험ᄒᆞ니라

右為末ᄒᆞ야 鹽水로 洗瘡處ᄒᆞ고 貼之ᄒᆞ면 立效니라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소곰믈로 헌 ᄃᆡ 싯기고 븟티면 즉제 효험ᄒᆞ니라

瘟疫門

治馬傷蹄方이라

ᄆᆞᆯ이 굽 샹ᄒᆞᆫ ᄃᆡ 고티ᄂᆞᆫ 방문이라

調藥末ᄒᆞ야 攤扵帛上에

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황미 ᄒᆞᆫ 홉을 쥭 쑤어

扵蹄上에 裹之ᄒᆞ면 立效니라

약 ᄀᆞᆯᄅᆞᆯ ᄩᅡ ᄇᆡᆨ샹의 펴 굽 우희 ᄡᅡᄆᆡ면 즉제 효험ᄒᆞ니라

治馬附骨疽라

ᄆᆞᆯ 부골져 고팀이라

右等分爛搗ᄒᆞ야 納瘡口ᄒᆞ라

우ᄅᆞᆯ 등분ᄒᆞ야 즛ᄯᅵ허 창구애 녀호라

桃花散은 治馬老鼠瘡이니 郷名은 蝶瘡이라

도화산은 ᄆᆞᆯ의 노셔창을 고팀이니 향명은 나ᄇᆡ창이라

右ᄅᆞᆯ 等分細末ᄒᆞ야 以針으로 橫刺ᄒᆞ야

우ᄅᆞᆯ 등분ᄒᆞ야 ᄀᆞᄂᆞ리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침으로ᄡᅥ ᄀᆞᄅᆞ 딜러

去惡汁ᄒᆞ고 用唐紙裹納ᄒᆞ라

모딘 즙을 내고 당지예 ᄡᅡ 녀흐라

又方은 針開瘡口ᄒᆞ고 以皂莢細末로

우방은 침으로 브으름 부리를 헤혀고 조협 ᄀᆞᄂᆞᆫ ᄀᆞᆯᄅᆞ로ᄡᅥ

納之ᄒᆞ면 大效니라

녀흐면 크게 효험ᄒᆞ니라

又方은 黃獷皮肉並骨을 燒存性細末ᄒᆞ야 唐紙예 裹ᄒᆞ야 納瘡中ᄒᆞ라

우방은 죡져비 피육과 ᄲᅧ를 아오로 셩이 잇ᄭᅦ ᄉᆞ라 ᄀᆞᄂᆞᆯ게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당지예 ᄡᅡ 헌 ᄃᆡ 녀호라

又方은 射干을 削如棗核大ᄒᆞ야

우방은 샤간을 ᄭᅡᆨᄭᅡ 대쵸ᄡᅵ 크니만 ᄒᆞ야

以針으로 刺瘡作孔ᄒᆞ야 去惡汁ᄒᆞ고 納之ᄒᆞ면

침으로ᄡᅥ 헌 ᄃᆡᄅᆞᆯ 딜러 구무 내야 모딘 즙을 내고 녀흐면

其腫이 膿出即愈니라

그 브으름이 고롬이 나 즉제 됸ᄂᆞ니라

治疥瘡方이라

비ᄅᆞ 고티ᄂᆞᆫ 방문이라

猛灰二斗과 白術爛搗一斗를

ᄆᆡ온 ᄌᆡ 두 말과 ᄇᆡᆨ튤 즛ᄯᅵᄒᆞ니

水二盆에 煎至一盆ᄒᆞ야 稍熱塗之ᄒᆞ면

ᄒᆞᆫ 말을 믈 두 동ᄒᆡ애 달혀 ᄒᆞᆫ 동희예 니르게 ᄒᆞ야 잠ᄭᅡᆫ 덥게 ᄒᆞ야

不過三度애 永差니라

ᄇᆞᄅᆞ면 세 번애 넘디 못ᄒᆞ야 영차ᄒᆞ리라

又方은 苦參 白頭翁 各三斤을 水五盆에

우방은 고ᄉᆞᆷ과 ᄇᆡᆨ두옹 각 서 근을 믈 다ᄉᆞᆺ 동ᄒᆡ에 달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