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倫行實圖 卷第一 孝子圖

  • 연대: 1797
  • 저자: 李秉模
  • 출처: 오륜행실도
  • 출판: 홍문각
  • 최종수정: 2015-01-01

靑史獨稱江巨孝

古今誰復可齊名

江革負母 逃難異鄕

遇賊陳欵 賊不忍傷

盡心於孝 備養於傭

便身何物 有不畢供

江革 臨淄人

강혁은 한나라 님츼 사ᄅᆞᆷ이니

少失父

어려셔 아비ᄅᆞᆯ 일코

遭天下亂

란리ᄅᆞᆯ 만나

負母逃難

어미ᄅᆞᆯ 업고 피란ᄒᆞ여

常采拾以爲養

ᄆᆡ양 ᄂᆞ믈을 ᄏᆡ고 드른 거ᄉᆞᆯ 주어 공양ᄒᆞᆯᄉᆡ

數遇賊 或劫欲將去

ᄌᆞ로 도적을 만나 혹 겁박ᄒᆞ여 잡아 가려 ᄒᆞ면

輒涕泣求哀 言有老母

믄득 울며 비되 노뫼 이셔라 ᄒᆞ고

辭氣愿欵 有足感動人者

말ᄉᆞᆷ이 공슌ᄒᆞ고 ᄀᆞᆫ졀ᄒᆞ야 사ᄅᆞᆷ^을 감동ᄒᆞ니

賊不忍害

도적이 ᄎᆞ마 해티 못ᄒᆞ고

或指避兵之方 遂得俱全於難

혹 피란ᄒᆞᆯ 곳을 ᄀᆞ르치니 인ᄒᆞ여 난리 듕에 모ᄌᆡ 다 보젼ᄒᆞᆫ디라

窮貧裸跣 行傭以供母

가난ᄒᆞ고 궁박ᄒᆞ여 몸과 발을 벗고 고공이 되여 어미ᄅᆞᆯ 공양ᄒᆞ되

便身之物 莫不畢給

어믜 몸에 편ᄒᆞᆫ 거ᄉᆞᆫ 아니 죡ᄒᆞᆫ 거시 업ᄉᆞᆫ디라

建武末 與母歸鄕里

건무【한 광무 대 년호라】 말에 어미로 더브러 고향에 도라 와

每至歲時 縣當案比

ᄆᆡ양 셰시에 관가의셔 ᄇᆡᆨ셩 졈고ᄒᆞᆯᄉᆡ

革以母老 不欲搖動

혁이 어미 늙으므로 요동티 아니케 ᄒᆞ여

自在轅中挽車 不用牛馬

손조 술위ᄅᆞᆯ 미러 마쇼의게 메오디 아니ᄒᆞ니

鄕里稱曰

향리 사ᄅᆞᆷ이 일ᄏᆞᄅᆞᄃᆡ

江巨孝

강거효【거효ᄂᆞᆫ 큰 ᄒᆈ라】라 ᄒᆞ더니

母終 常寢伏冢廬

어미 죽으매 ᄆᆡ양 무덤 겻ᄒᆡ 녀막ᄒᆞ고 거상을 ᄆᆞᄎᆞ^되

服竟不忍除

상복을 ᄎᆞ마 벗디 못ᄒᆞ니

郡守遣丞掾釋服

군ᄉᆔ 승연【군슈 아ᄅᆡ 벼ᄉᆞᆯ이라】을 보내여 상복을 벗겻더니

元和中 詔以穀千斛賜之

원화【한 쟝뎨 대 년호라】 듕에 됴셔ᄒᆞ샤 곡식 쳔 셕을 주시고

常以八月長吏存問致羊酒

ᄆᆡ양 팔월의 댱니【원이라】로 존문ᄒᆞ고 양과 술을 주라 ᄒᆞ시다

薛包洒掃

不得親心涕泗濡

晨昏洒掃守門閭

積誠感得親顔悅

父子和諧遂厥初

中分財産讓田廬

孝義能全世罕如

自是佳名聞闕下

侍中有命召公^車

父兮憎兒 多因繼室

兒若至誠 將悔其失

包也被敺 未忍遠出

慚而還之 終始如一

薛包 汝南人

셜포ᄂᆞᆫ 한나라 여남 사ᄅᆞᆷ이니

父娶後妻

아비 후쳐ᄅᆞᆯ ᄎᆔᄒᆞ매

憎包分出之

포ᄅᆞᆯ 믜워 ᄒᆞ여 내티거ᄂᆞᆯ

包日夜號泣不去

푀 밤낫으로 브르지져 울며 가디 아니ᄒᆞ더니

至被敺扑 不得已 廬于舍外

매 맛기에 니ᄅᆞ러ᄂᆞᆫ 마디 못ᄒᆞ여 집 밧긔 막을 의지ᄒᆞ고 이셔

早入洒掃

일즉이 드러와 ᄡᅳ레딜ᄒᆞᆫ대

父怒又逐之

아비 노ᄒᆞ여 ᄯᅩ 구츅ᄒᆞ거ᄂᆞᆯ

乃廬于里門

니문에 막을 의지ᄒᆞ고

晨昏不廢

신혼【부모긔 됴셕으로 뵈ᄂᆞᆫ 녜라】을 폐티 아니ᄒᆞ여

積歲餘

ᄒᆞᆫ ᄒᆡ 남ᄌᆞᆨ이 되니

父母慚而還之

부뫼 븟그러워 도로 ᄃᆞ려 ^ 오니라

父母亡 弟求分財異居

부뫼 죽으매 아이 ᄌᆡ믈을 ᄂᆞᆫ화 각각 살기ᄅᆞᆯ 구ᄒᆞ거ᄂᆞᆯ

包不能止 奴婢引老者

말니디 못ᄒᆞ여 노비ᄂᆞᆫ 늙은 거ᄉᆞᆯ 잡아

曰與我共事久

ᄀᆞᆯ오ᄃᆡ 날로 더브러 ᄒᆞᆫ가지로 일ᄒᆞ연 디 오래니

若不能使也

너ᄂᆞᆫ 능히 브리디 못ᄒᆞ리라 ᄒᆞ고

田廬取荒頓者

밧과 집은 거츤 거ᄉᆞᆯ 가지며

曰少時所治意所戀也

ᄀᆞᆯ오ᄃᆡ 내 져머실 ᄯᅢ 다ᄉᆞ리던 배라 ᄆᆞᄋᆞᆷ에 권련ᄒᆞ노라 ᄒᆞ고

器物取朽敗者

긔믈은 석고 샹ᄒᆞᆫ 거ᄉᆞᆯ 가지며

曰素所服食

ᄀᆞᆯ오ᄃᆡ 내 본ᄃᆡ ᄡᅳ고 먹던 거시라

身口所安也

몸과 입의 편ᄒᆞᆫ 배라 ᄒᆞ고

弟數破其産

아이 ᄌᆞ조 가산을 파ᄒᆞ매

輒復賑給

믄득 다시 니워 주더라

安帝徵拜 侍中

안황뎨 블러 시듕 벼ᄉᆞᆯ을 ᄒᆞ이시다

孝娥抱屍

孝娥姓曹 父溺驚濤

娥年十四 晝夜哀號

聲不暫停 旬又七日

投江抱屍 經宿以出

誠貫穹壤 淚溢滄浪

黃絹妙筆 萬世流芳

孝女曹娥者 會稽人

효녀 조아ᄂᆞᆫ 한나라 회계 사ᄅᆞᆷ이니

父盱爲巫祝

아비 무당이 되여

漢安二年五月五日 於縣江 泝濤迎婆娑神

오월 오일에 강ᄀᆞ의셔 파ᄉᆞ신【믈 신령이라】을 마즐ᄉᆡ

値江水大發而遂溺死

마ᄎᆞᆷ 강믈이 턍일ᄒᆞ여 ᄲᅡ져 죽어

不得其屍

그 죽엄을 엇^디 못ᄒᆞ니

娥年十四

이 ᄯᅢ에 조아의 나히 십ᄉᆞ 셰라

乃沿江號哭

강ᄀᆞ으로 ᄃᆞᆫ니며 브르지져 울어

晝夜不絶聲

밤낫으로 소ᄅᆡᄅᆞᆯ 긋치디 아니ᄒᆞ더니

旬有七日 遂投江而死

열니레 만의 믈의 ᄲᅡ져 죽어

抱父屍而出

아븨 죽엄을 안고 믈 우ᄒᆡ ᄯᅳ니

後吏民改葬樹碑焉

후에 아젼과 ᄇᆡᆨ셩이 고쳐 장ᄉᆞᄒᆞ고 비ᄅᆞᆯ 셰오다

黃香扇枕

黃香行孝自髫年

扇枕溫衾世共傳

寒暑不令親體受

誠心一念出天然

江夏黃童志異常

當時已道世無雙

累官直至尙書令

孝感能令後嗣昌

黃香 江夏人

황향은 한나라 강하 사ᄅᆞᆷ이니

年九歲失母

나히 구 셰에 어미ᄅᆞᆯ 일코

思慕憔悴 殆不免喪

ᄉᆞ모ᄒᆞ고 쵸췌ᄒᆞ여 거의 죽게 되니

鄕人稱其孝

향니 ^ 사ᄅᆞᆷ이 그 효셩을 일ᄏᆞᆺ더라

獨養其父

홀로 그 아비ᄅᆞᆯ 봉양ᄒᆞᆯᄉᆡ

躬執勤苦

몸소 근고ᄒᆞ믈 잡아

夏則扇枕席

여ᄅᆞᆷ이면 벼개와 자리에 부ᄎᆡ딜ᄒᆞ고

冬則以身溫被

겨ᄋᆞᆯ이면 몸으로ᄡᅥ 니블을 ᄃᆞᄉᆞᄒᆞ게 ᄒᆞ니

太守劉護表而異之

태ᄉᆔ 나라ᄒᆡ 주문ᄒᆞ여

自是名聞於世

일로브터 셰샹에 일홈난디라

後官累遷至尙書令

후에 벼ᄉᆞᆯ이 여러 번 올마 샹셔령에 니ᄅᆞ고

子瓊及孫皆貴顯

아ᄃᆞᆯ과 손ᄌᆡ 다 귀히 되니라

丁蘭刻木

刻木爲親出至情

晨昏定省似平生

恍然容色能相接

感應由來在一誠

孝思精徹杳冥間

木像能爲戚戚顔

當代圖形旌至行

誰人不道漢丁蘭

哀哀丁蘭 早喪慈顔

衆人皆有 我獨無母

刻木肖形 事之猶生

晨昏定省 以盡誠敬

噫彼世人 不有其親

生不能養 能不泚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