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倫行實圖 卷第一 孝子圖

  • 연대: 1797
  • 저자: 李秉模
  • 출처: 오륜행실도
  • 출판: 홍문각
  • 최종수정: 2015-01-01

持歸作羹供母

가지고 도라 와 국을 ᄆᆡᆫᄃᆞ라 어믜게 드린대

食畢病愈

먹기ᄅᆞᆯ 다 ᄒᆞ매 병이 나으니

人皆以爲至孝所感

사ᄅᆞᆷ이 다 닐오ᄃᆡ 지극ᄒᆞᆫ 효셩의 감동ᄒᆞᆫ 배라 ᄒᆞ더라

王祥剖氷

王祥誠孝眞堪羨

承順親顔志不回

不獨剖冰雙鯉出

還看黃雀自飛來

鄕里驚嗟孝感深

皇天報應表純心

白頭重作三公貴

行誼尤爲世所^欽

晉有王祥 生魚母嗜

天寒川凍 網釣難致

解衣臥冰 自躍雙鯉

懇懇孝誠 奚止此耳

抱柰夜號 羅雀朝饋

後拜三公 名標靑史

王祥 琅琊人

왕샹은 딘나라 낭야 사ᄅᆞᆷ이니

蚤喪母 繼母朱氏不慈 數譖之

일즉 어미ᄅᆞᆯ 여ᄒᆡ고 계모 쥬시 ᄉᆞ랑티 아니ᄒᆞ여 ᄌᆞ로 ᄎᆞᆷ소ᄒᆞ니

由是失愛於父

일로 말ᄆᆡ암아 아븨게 ᄉᆞ랑을 일허

每使掃除牛下

ᄆᆡ양 마구ᄅᆞᆯ 츠라 ᄒᆞ되

祥愈恭謹

샹이 더옥 공슌ᄒᆞ더라

父母有疾

부뫼 병이 이시매

衣不解帶

오ᄉᆡ ᄯᅴᄅᆞᆯ 그ᄅᆞ디 아니ᄒᆞ고

湯藥必親嘗

탕약을 밧드러 친히 맛보고

母嘗欲生魚

어미 산 고기ᄅᆞᆯ 먹고져 ᄒᆞᄃᆡ

時天寒冰凍

날이 치워 믈^이 어럿ᄂᆞᆫ디라

祥解衣 將剖冰求之

샹이 오ᄉᆞᆯ 벗고 쟝ᄎᆞᆺ 어ᄅᆞᆷ을 ᄭᅢ쳐 고기ᄅᆞᆯ 잡으려 ᄒᆞ더니

冰忽自解 雙鯉躍出

어ᄅᆞᆷ이 홀연 스ᄉᆞ로 푸러디며 니어 둘이 ᄯᅱ여 나더라

母又思黃雀炙

어미 ᄯᅩ 누른 새 젹을 먹고져 ᄒᆞ니

復有黃雀數十飛入其幕

누른 새 수십이 그 집으로 ᄂᆞ라 드러오고

有丹柰結實 母命守之

어미 샹으로 ᄒᆞ여곰 실과 남글 딕희라 ᄒᆞ니

每風雨 輒抱樹而泣

ᄆᆡ양 ᄇᆞ람 블고 비 오면 샹이 남글 안고 우더라

母歿居喪毁瘁

어미 죽어 거상ᄒᆞᆯᄉᆡ ᄋᆡ훼ᄒᆞ야 병들고 여외여

杖而後起

막대ᄅᆞᆯ 집흔 후에 니러나더라

後仕於朝 官至三公

후에 벼ᄉᆞᆯᄒᆞ여 삼공에 니ᄅᆞ니라

許孜埋獸

孝事雙親義事師

此心應只有天知

辛勤營墓頻哀慟

鳥獸徊翔亦愴悲

墓前松栢已蒼蒼

鹿^本無知遂觸傷

一日戕生依樹下

鬼神應使孝心彰

許孜孝恭 好學有立

及喪其親 柴毁而泣

負土東山 鳥獸翔集

人之見之 能不烏邑

許孜 東陽人

허ᄌᆞᄂᆞᆫ 딘나라 동양 사ᄅᆞᆷ이니

年二十 師事豫章太守孔沖 受學

나히 이십에 예쟝 태슈 공츙을 스승ᄒᆞ야 ᄇᆡ호다가

還鄕里 沖亡

향니에 도라 왓더니 츙이 죽으매

孜制服三年

삼 년을 거상ᄒᆞ고

俄而二親歿 柴毁骨立

이윽고 부뫼 다 죽으니 ᄋᆡ훼ᄒᆞ여 ᄲᅨ 드러나

杖而能起

막대ᄅᆞᆯ 잡고야 능히 니러나고

建墓於縣之東山 躬自負土

무덤을 경영ᄒᆞᆯᄉᆡ 몸소 흙을 지고

不受鄕人之助

ᄆᆞᄋᆞᆯ 사ᄅᆞᆷ의 돕ᄂᆞᆫ 거ᄉᆞᆯ 밧디 아니ᄒᆞ더라

每一悲號

ᄆᆡ양 슬피 ^ 브르지디면

鳥獸翔集

새즘ᄉᆡᆼ이 ᄂᆞ라와 못고

孜獨守墓所

ᄌᆡ 홀로 무덤을 딕희여

列植松栢亙五六里

숑ᄇᆡᆨ을 버려 심거 오륙 리의 ᄲᅥ쳣더니

有鹿犯所種松

사슴이 심근 솔을 샹ᄒᆞ이거ᄂᆞᆯ

孜悲歎曰

ᄌᆡ 슬피 탄식ᄒᆞ여 ᄀᆞᆯ오ᄃᆡ

鹿獨不念我乎

사슴은 홀로 날을 념녀티 아니ᄒᆞᄂᆞᆫ다

明日鹿爲猛獸所殺

잇틋ᄂᆞᆯ 사슴이 범의 죽인 배 되여

致於所犯松下

그 솔 아래 두엇거ᄂᆞᆯ

孜悵惋不已爲埋隧側

ᄌᆡ 챵연ᄒᆞ고 슬퍼 ᄒᆞ기ᄅᆞᆯ 마디 아니ᄒᆞ여 무덤 길 겻ᄒᆡ 무드니

自後樹木滋茂

그 후로 남기 졈졈 셩ᄒᆞᄂᆞᆫ디라

孜乃立宅墓次

ᄌᆡ 무덤 아래 집을 짓고

事亡如存

죽은 어버이 셤기기ᄅᆞᆯ 사니ᄀᆞᆺ티 ᄒᆞ니

邑人號其居爲孝順里

고을 사ᄅᆞᆷ이 그 사ᄂᆞᆫ ᄃᆡᄅᆞᆯ 일ᄏᆞᄅᆞᄃᆡ 효슌리라 ᄒᆞ더라

王延躍魚

孝道能敦在稚年

良心一點出天然

三年泣血應堪憫

忌月悲啼更可憐

繼母相看性不慈

心^存孝敬未曾衰

汾濱哀哭魚隨躍

此意皇天后土知

王延 西河人

왕연은 딘나라 셔하 사ᄅᆞᆷ이니

九歲喪母 泣血三年 幾至滅性

구 셰에 어미ᄅᆞᆯ 여희고 삼 년을 피눈믈을 흘려 거의 죽기의 니ᄅᆞ고

每至忌日則 悲啼至旬

ᄆᆡ양 졔날에 다ᄃᆞᄅᆞ면 슬피 울기ᄅᆞᆯ 열흘에 니ᄅᆞ더라

繼母卜氏遇之無道

계모 복시 무도히 ᄃᆡ졉ᄒᆞ여

恒以蒲穰及敗麻頭與延貯衣

ᄆᆡ양 부들품과 ᄶᅳᆨ긔 삼머리로 연의 오ᄉᆡ 두어 주니

延知而不言

연이 알오ᄃᆡ 말을 아니ᄒᆞ고

事母彌謹

어미 셤기기ᄅᆞᆯ 더옥 공근ᄒᆞ더라

卜氏嘗盛冬思生魚

복시 일즉 깁흔 겨ᄋᆞᆯ에 산 고기ᄅᆞᆯ 먹고져 ᄒᆞ여

使延求而不獲 杖之流血

연으로 ᄒᆞ여곰 구ᄒᆞ여 엇디 못ᄒᆞ니 텨셔 피 흐르ᄂᆞᆫ^디라

延尋汾叩凌而哭

연이 믈에 가 어ᄅᆞᆷ을 두ᄃᆞ리며 우니

忽有一魚長五尺

홀연 ᄒᆞᆫ 고기 길ᄒᆡ 다ᄉᆞᆺ 자히나 ᄒᆞ여

踊出冰上 取以進

어ᄅᆞᆷ 우ᄒᆡ ᄯᅱ여 나거ᄂᆞᆯ 가져다가 드리니

母食之積日不盡

어미 여러 날을 먹으되 진티 아니ᄒᆞᄂᆞᆫ디라

於是心悟 撫延如己生

이에 ᄆᆞᄋᆞᆷ에 ᄭᆡᄃᆞ라 연을 ᄉᆞ랑호믈 긔츌ᄀᆞᆺ티 ᄒᆞ더라

延事親色養

연이 어버이ᄅᆞᆯ 지셩으로 셤겨

夏則扇枕席

여ᄅᆞᆷ이면 벼개와 자리에 부ᄎᆡ딜ᄒᆞ며

冬則以身溫被

겨ᄋᆞᆯ이면 몸으로ᄡᅥ 니블을 ᄃᆞᄉᆞᄒᆞ게 ᄒᆞ고

隆冬盛寒 身無全衣

늉동셩한에 몸에ᄂᆞᆫ 셩ᄒᆞᆫ 오시 업ᄉᆞ되

而親極滋味

어버이ᄂᆞᆫ 맛 됴흔 음식이 극ᄒᆞ고

父母終廬於墓側

부뫼 죽으매 무덤 겻ᄒᆡ 녀막ᄒᆞ니라

楊香搤虎

南北朝 宋

命在當時頃刻間

虎頸搤持寧顧死

致令嚴父得生還

幼齡體弱氣軒昂

父命能令虎不傷

靑史尙留名姓在

至今誰不道楊香

楊香 南鄕縣楊豐女也

양향은 송나라 남향 고을 양풍의 ᄯᆞᆯ이니

隨父田間穫粟

아비ᄅᆞᆯ ᄯᆞᆯ와 밧ᄒᆡ셔 곡식을 뷔다가

豐爲虎所噬

아비 범의게 물니이니

香年甫十四

이 ᄯᅢ에 향의 나히 겨요 십ᄉᆞ 셰라

手無寸刃

손에 죠고만 ^ ᄂᆞᆯ이 업ᄉᆞ니

直搤虎頸 豐因獲免

바로 범의게 ᄃᆞ라드러 목을 즈르쥔대 범이 노하 ᄇᆞ리니 아비 사라 난디라

太守孟肇之 賜資穀 旌其門閭焉

원이 듯고 ᄌᆡ믈과 곡식을 주고 졍문ᄒᆞ니라

潘綜救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