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보상절 3권

  • 한문제목: 釋譜詳節
  • 연대: 1447
  • 출판: 아세아문화사 영인본(천병식)

釋譜詳節 第三

王召善相者五百人。於大寶殿令占太子。咸言

淨飯王이 相 보ᇙ 사ᄅᆞᆷ 五百ᄋᆞᆯ 大寶殿에 뫼호아 太子ᄅᆞᆯ 뵈더시니 모다 ᄉᆞᆯᄫᅩᄃᆡ

出家成佛

出家ᄒᆞ시면 成佛ᄒᆞ시고

成佛은 부텻 道理ᄅᆞᆯ 일우실씨라

在家輪王。

지븨 겨시면 輪王이 ᄃᆞ외시리로소ᅌᅵ다

又曰。香山大仙阿私陀者。具五神通能斷王疑。

ᄯᅩ ᄉᆞᆯᄫᅩᄃᆡ 香山ㅅ 阿私陀 □人이 □□^ᅌᅵ다

彼仙應念騰空到宮。

그 仙人이 즉자히 虛□애 ᄂᆞ라 오나ᄂᆞᆯ

將太子出欲令致敬。

王이 太子 ᄃᆞ려 나샤 ᄭᅮᆯ이ᅀᆞᄫᅩ려 커시ᄂᆞᆯ

便止之曰。

阿私陀ㅣ 두립사리 말이ᅀᆞᆸ고 ᄉᆞᆯᄫᅩᄃᆡ

此乃三界中尊。

三界 中에 尊ᄒᆞ신 부니시니ᅌᅵ다

卽起合掌禮太子足。便具相已忽然悲泣。

ᄒᆞ고 合掌ᄒᆞ야 절ᄒᆞᅀᆞᆸ고 울어늘

王이 두리샤 엇뎨 우는다 ᄒᆞ신대 ᄉᆞᆯᄫᅩᄃᆡ

若出家者成一切智然必成佛說法度人。

太子ㅣ 三十二相 ^ 八十種好ㅣ ᄀᆞᄌᆞ시니 다ᇰ다ᅌᅵ 出家ᄒᆞ샤 부톄 ᄃᆞ외시리로소ᅌᅵ다

我今已年百二十矣。不久生無想天。

나ᄂᆞᆫ 늘거 ᄒᆞ마 無想天으로 가리니

그저긔 阿私陁이 나히 一百 스믈히러니라

不睹佛興故自悲耳。

法化ᄅᆞᆯ 몯 미처 보ᅀᆞᄫᆞ릴ᄊᆡ 우노ᅌᅵ다

法化ᄂᆞᆫ 부톄 큰 법으로 衆生ᄋᆞᆯ 濟渡ᄒᆞ샤 사오나ᄫᆞᆫ 사ᄅᆞ미 어딜에 ᄃᆞ욀씨라

母七日終。應受忉利天上功祚。適升彼天。

太子 나신 닐웨 짜히 四月ㅅ 보롬날 摩耶夫^人이 업스샤 忉利天으로 가시니

五萬梵天各執寶瓶。

五萬 梵天은 寶甁 잡고

寶甁은 보ᄇᆡ옛 甁이라

二萬魔妻手執寶縷侍菩薩母。

二萬 魔妻ᄂᆞᆫ 寶縷 자바 侍衛ᄒᆞᅀᆞᄫᆞ니라

魔妻ᄂᆞᆫ 귓거싀 가시오 寶縷는 보ᄇᆡ옛 시리라

王聞此言,甚大歡喜,卽遣請諸婆羅門等。婆羅門衆皆悉集已,設諸供養,或與象馬及以七寶,田宅僮僕。供養畢已,抱太子出,卽便白諸婆羅門言:『當爲太子作何等名?』

王이 婆羅門ᄋᆞᆯ 만히 請ᄒᆞ시고 太子 아나 나샤 일훔 지터시니

諸婆羅門,卽共論議,而答王言:

모다 ᄉᆞᆯᄫᅩᄃᆡ

『太子生時,一切寶藏皆悉發出,所有諸瑞莫非吉祥,

나시ᇙ 저긔 吉慶ᄃᆞ^왼 祥瑞 하시란ᄃᆡ

以此義故,當名太子爲薩婆悉達。』

일후믈 薩婆悉達이라 ᄒᆞᅀᆞᆸ사ᅌᅵ다

薩婆悉達ᄋᆞᆫ ᄀᆞ자ᇰ 됴타 ᄒᆞ논 마리라

說此語時,虛空天神,卽擊天鼓,燒香散花,唱言:

虛空애셔 天神이 붑 티고 香 퓌우며 곳 비코 닐오ᄃᆡ

天神ᄋᆞᆫ 하ᄂᆞᆳ 神靈이라

『善哉!』

됴ᄒᆞ시ᅌᅵ다 ᄒᆞ더라

或有說言。

ᄒᆞᆫ 臣下ㅣ 王ᄭᅴ ᄉᆞᆯᄫᅩᄃᆡ

太子年幼 誰能養育。

太子ㅣ 져머 겨시니 뉘 기ᄅᆞᅀᆞᄫᆞ려뇨

唯大愛道 能使長大耳。

오직 大愛道ㅣᅀᅡ 기ᄅᆞᅀᆞᄫᆞ리^ᅌᅵ다

大愛道ᄂᆞᆫ ᄀᆞ자ᇰ 道理ᄅᆞᆯ ᄉᆞ라ᇰᄒᆞᆯ씨니 西天 마래 摩訶波闍波提니 難陁ㅅ 어마니미시니라

時白淨王詣大愛道乳哺令長。

王이 大愛道ᄋᆡ그ᅌᅦ 가샤 졋 머겨 기ᄅᆞ라 ᄒᆞ야시ᄂᆞᆯ

時大愛道卽可之。

大愛道ㅣ 그리 호리ᅌᅵ다 ᄒᆞ시니라

王告大愛道。

王이 大愛道ᄃᆞ려 니ᄅᆞ샤

擁護太子將詣天祠。

太子 뫼셔 天神 祭ᄒᆞᄂᆞᆫ ᄃᆡ 절ᄒᆡᅀᆞᄫᅩ리라 ᄒᆞ야 가더시니

羣臣과 婇女와 諸^天괘 푸ᇰ류ᄒᆞ야 졷ᄌᆞᄫᅡ 가니라

하ᄂᆞᆯ 祭ᄒᆞᄂᆞᆫ ᄃᆡ 가시니 ᄆᆡᇰᄀᆞ론 像이 다 니러 太子ᄭᅴ 절ᄒᆞ며 ᄉᆞᆯᄫᅩᄃᆡ

太子ᄂᆞᆫ 天 人 中에 ᄆᆞᆺ 尊ᄒᆞ시니

天 人 中은 하ᄂᆞᆯ 사ᄅᆞᇝ 中이라

엇뎨 우리그ᅌᅦ 와 절호려 커시뇨

王이 놀라샤 讚嘆ᄒᆞ야 니ᄅᆞ샤ᄃᆡ

내 아ᄃᆞ리 天神 中에 ᄆᆞᆺ 尊ᄒᆞ니 일후믈 天^中天이라 ᄒᆞ라

天中天은 하ᄂᆞᆯ햇 하ᄂᆞᆯ히니 부텻 둘찻 일후미시니라。

하ᄂᆞᆯ 祭ᄒᆞᄂᆞᆫ ᄃᆡ 가시ᇙ 저기 부텻 나히 세히러시니 昭王ㄱ 스믈여듧찻 ᄒᆡ 丙辰이라

經云。王時聞仙決定說已。

王이 阿私陁 仙人의 말 드르시고

慮恐出家

太子ㅣ 出家ᄒᆞ시ᇙ가 저ᄒᆞ샤

選五百靑衣。

五百 靑衣ᄅᆞᆯ ᄀᆞᆯᄒᆡ야

爲依乳母種種供奉。

졋어미 조차 ᄃᆞᆮ니며 種種ᄋᆞ로 뫼ᅀᆞᄫᅡ 놀라 ᄒᆞ시고

起三時殿七寶莊嚴。

ᄯᅩ 三時殿을 지ᅀᅥ 七^寶로 莊嚴ᄒᆞ고

三時殿은 세 時節에 사ᄅᆞ시ᇙ 지비니

봄 ᄀᆞᅀᆞᆯᄒᆡ 사ᄅᆞ시ᇙ 집과 녀르메 사ᄅᆞ시ᇙ 집과 겨ᅀᅳ레 사ᄅᆞ시ᇙ 지비라

五百婇女宿衛殿宇。

푸ᇰ류 잘 ᄒᆞᇙ 伎女 五百ᄋᆞᆯ ᄀᆞᆯᄒᆡ야 서르 ᄀᆞ라 뫼ᅀᆞᄫᅢᆺ게 ᄒᆞ시니

伎ᄂᆞᆫ 잘ᄒᆞᆯ씨니 伎女는 푸ᇰᄅᆔ며 여러 가짓 ᄌᆡ조 잘 ᄒᆞᄂᆞᆫ 겨지비라

花果池鳥不可稱計。

고지며 모시며 各色 새ᄃᆞᆯ히 몯 니르 혜리러라。

年漸長大

그ᄢᅴ 太子ㅅ 나히 漸漸 ᄌᆞ라거시ᄂᆞᆯ

王作寶冠

王이 寶冠ᄋᆞᆯ ᄆᆡ^ᄀᆞ라 받ᄌᆞᄫᆞ시며

冠ᄋᆞᆫ 쓰ᄂᆞᆫ 거시니 寶冠ᄋᆞᆫ 보ᄇᆡ로 ᄭᅮ뮨 冠이라

瓔珞玩好之具。無不給與。

瓔珞이며 노리갯 거슬 다 ᄀᆞ초 받ᄌᆞᄫᆞ시니

舉國仁惠安樂難言。

나라히 오ᄋᆞ로 便安코 즐거ᄫᅮ미 몯내 니ᄅᆞ리러라。

經云。時王會議應立太子。

王이 太子 셰요려 ᄒᆞ샤 臣下 모도아 議論ᄒᆞ샤

以二月八日具物盛四大海水。

二月ㅅ 여ᄃᆞ랫 나래 四海 바ᄅᆞᆳ 믈 길유려 ᄒᆞ거시ᄂᆞᆯ

四海ᄂᆞᆫ 四方앳 바ᄅᆞ리라

諸仙諸人各各頂戴已。

仙人^ᄃᆞᆯ히 이여다가 王ᄭᅴ 받ᄌᆞᄫᆞᆫ대

授與父王便灌太子頂。以寶印付之。

王이 太子ㅅ 머리예 브ᅀᅳ시고 보ᄇᆡ옛 印 받ᄌᆞᄫᆞ시고

擊鼓宣令言。

붑 텨 出令ᄒᆞ샤

今立薩婆悉達以爲太子。

悉達ᄋᆞᆯ 太子 셰와라 ᄒᆞ시니

空天八部同聲讚言善哉。

虛空애셔 八部ㅣ 모다 됴ᄒᆞ시ᅌᅵ다 ᄒᆞ더라。

그ᄢᅴ 七寶ㅣ 虛空ᄋᆞ로셔 다 오니

七寶ᄂᆞᆫ 金輪寶와 如意珠寶와 玉女寶와 主藏臣寶와 主兵臣^寶와 馬寶와 象寶왜라

그 金輪寶ㅣ 네 天下애 ᄂᆞ라 가니 그 나라ᄃᆞᆯ히 다 降服ᄒᆞ야 오니라

時,淨飯王復為太子,多集羝羊安置宮內,

그ᄢᅴ 王이 수羊 모도아 宮內예 두샤

宮內ᄂᆞᆫ 宮 안히라

為令太子生歡喜故。

太子ᄅᆞᆯ 즐기시게 ᄒᆞ더시니

是時太子,乘彼羊車,至於園林。及其親叔,

太子ㅣ 羊 술위 ᄐᆞ시고 東山애도 가시며 아자바니ᇝ긔도 가샤 노니더시니

時,淨飯王知其太子年已八歲,即會百官群臣宰相,

王이 百官 뫼호^시고

百官ᄋᆞᆫ 온 그위니 한 臣下ᄅᆞᆯ 니ᄅᆞ니라

이 ᄢᅴ 부텻 나히 닐구비러시니 昭王ㄱ 셜흔둘찻 ᄒᆡ 庚申이라

而告之言:

니ᄅᆞ샤ᄃᆡ

『卿等當知!今我化內,誰最有智?誰具技能,種種悉通,堪為太子作於師匠,教使學書及餘諸論?』

天下ㅅ 內예 뉘ᅀᅡ 智慧 이시며 ᄌᆡ죄 ᄀᆞ자 太子ㅅ 스스ᅌᅵ ᄃᆞ외려뇨

時諸臣等,即報王言:

모다 ᄉᆞᆯᄫᅩᄃᆡ

『大王!當知,今有毘奢婆蜜多羅,善知諸論,最勝最妙,如是大師,堪教太子種種書論。』

毗奢波 蜜多羅ㅣᅀᅡ ᄆᆞᆺ 어디니ᅌᅵ다

時,淨飯王即遣使人召彼毘奢婆蜜多羅,而告之言:

王이 毗奢波 蜜多羅ᄅᆞᆯ 블러 니ᄅᆞ샤ᄃᆡ

『尊者大師!汝能為我,教此太子一切技藝諸書論不?』

尊者ㅣ 날 위ᄒᆞ야 太^子ㅅ 스스ᅌᅵ ᄃᆞ외오라

尊者ᄂᆞᆫ 尊ᄒᆞ시니라 혼 마리니 어딘 사ᄅᆞᄆᆞᆯ 고마ᄒᆞ야 尊者ㅣ라 ᄒᆞᄂᆞ니라

時蜜多羅報言:『大王!謹依王命,我今堪能。』

蜜多羅ㅣ ᄉᆞᆯᄫᅩᄃᆡ 그리 호리ᅌᅵ다

太子ㅣ 童男 童女 ᄃᆞ리시고

童男ᄋᆞᆫ 아ᄒᆡ 남지니오 童女는 아ᄒᆡ 겨지비라

五百 釋童이 앏 뒤헤 圍遶ᄒᆞᅀᆞᄫᅡ

釋童ᄋᆞᆫ 釋姓엣 아ᄒᆡ라

學堂애 오ᄅᆞ시ᇙ 저긔

學堂ᄋᆞᆫ 글 ᄇᆡ호시ᇙ 지비라

蜜多羅^ㅣ ᄇᆞ라ᅀᆞᆸ고 ᄀᆞ마니 몯 안자 ᄒᆞ가라 업시 니러나

太子ᄭᅴ 절ᄒᆞᅀᆞᆸ고 두루 돌ᄫᅩ며 붓그려 ᄒᆞ더라

菩薩手執金筆 栴檀書隸 明珠書床。

太子ㅣ 글 ᄇᆡ호기 始作ᄒᆞ샤 明珠書案애 牛頭栴檀香 七寶 書板 노ᄒᆞ시고

明珠는 ᄆᆞᆯᄀᆞᆫ 구스리니 明珠書案ᄋᆞᆫ 明珠로 ᄭᅮ뮨 書案이라

書板ᄋᆞᆫ 글 쓰시ᄂᆞᆫ 너리니 七寶書板ᄋᆞᆫ 香書板애 七寶로 ᄭᅮ밀씨라

問師選友。

金 붇 자ᄇᆞ샤 글 쓰시며 무르샤ᄃᆡ

今師何書而相教乎。

므슴 그를 ᄀᆞᄅᆞ쵸려 ᄒᆞ시ᄂᆞᆫ고

其師答曰。

蜜多羅ㅣ 對答ᄒᆞᅀᆞᄫᅩᄃᆡ

以梵佉留而相教耳。

梵書 佉留書로 ᄀᆞᄅᆞ치ᅀᆞᄫᅩ리ᅌᅵ다

菩薩答曰。其異書者有六十四。

太子ㅣ ᄒᆞ샤ᄃᆡ 그리 여ᄉᆔᆫ네 가지니

여ᄉᆔᆫ 네 가짓 그른 梵書와 佉留書와 佛迦羅書와 安佉書와 曼佉書와 安求書와 大秦書와 護衆書와 取書와 半書와 久與書와 疾堅書와 陁^比羅書와

夷狄塞書와 陁與書와 康居書와 最上書와 陁羅書와 佉沙書와 秦書와 匈奴書와 中間字書와 維耆多書와 富沙富書와 天書와 龍書 鬼書와 健畓和書와

眞陁羅書와 摩休勒書와 阿須倫書와 迦留羅書와 鹿輪書와 言善書와 天腹書와 風書와 降伏書와 北方 天下書와 狗那尼 天下書와 東方 天下書와 擧書와

下書와 要書와 堅固書와 ^ 陁阿書와 得晝書와 厭擧書와 無與書와 轉數書와 轉眼書와 閉句書와 上書와 次近書와 乃至書와 度親書와 中御書와

悉滅音書와 電世界書와 馳又書와 善寂地書와 觀空書와 一切 藥書와 善受書와 攝取書와 背響書왜라

今師何言正有二種。師問。皆何所名。答曰。

엇뎌 다ᄆᆞᆫ 두 가지오 ᄒᆞ시고 다 혜여 니ᄅᆞ신대

時師歡悅說偈讚嘆菩薩。

蜜多羅ㅣ 降服ᄒᆞᅀᆞᄫᅡ 偈 지ᅀᅥ 讚嘆ᄒᆞᅀᆞᆸ고

王ᄭᅴ ᄉᆞᆯᄫᅩᄃᆡ 太子ᄂᆞᆫ 하ᄂᆞᆳ 스스ᅌᅵ어시니 내 어드리 ᄀᆞᄅᆞ치ᅀᆞᄫᆞ리ᅌᅵᆺ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