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간이방언해 卷之三권
疼痛煩坐臥不得
알ᄑᆞ고 답답ᄒᆞ야 안ᄯᅵ 몯ᄒᆞ며 눕도 몯거든
麻根사ᇝ불휘一兩
사ᇝ 불휘 ᄒᆞᆫ 랴ᇰ과
大麻子삼ᄡᅵ一兩
삼ᄡᅵ ᄒᆞᆫ 랴ᇰ과
子芩솝서근픐 불휘一兩
솝서근픐 불휘 ᄒᆞᆫ 랴ᇰ^과
亂髮灰허튼 머리터럭半兩擣麤羅爲散
허튼 머리터럭 ᄉᆞ론 ᄌᆡ 반 랴ᇰ과ᄅᆞᆯ 디허 굵게 처
每服四錢
네 돈곰 ᄒᆞ야
以水一中盞煎至六分去滓
믈 닷 홉애 달혀 서 홉만 ᄒᆞ거든 즈ᅀᅴ 앗고
每於食前溫服
밥 아니 머거셔 ᄃᆞ시 ᄒᆞ야 머그라
車前葉뵈ᄧᅡᇰ잇 닙一握硏絞取汁
뵈ᄧᅡᇰ잇 닙 ᄒᆞᆫ 줌을 즛ᄀᆞ라 ᄧᅩᆫ 즙과
蜜ᄢᅮᆯ一合相和令勻
ᄢᅮᆯ ᄒᆞᆫ 홉과ᄅᆞᆯ 섯거 고ᄅᆞ게 ᄒᆞ야
空腹頓服
고ᇰ심에 믄득 머그라
葱파十四莖幷根碎切滑石三錢將葱置椀中
파 열네 줄기ᄅᆞᆯ 불휘 조쳐 횩게 사ᄒᆞ로니ᄅᆞᆯ 그르세 담고
以湯八分烹之合却少時待通口
믈로 여듧 분만 달혀 져근 덛 믈려 내야 이베 마ᄌᆞᆯ 만커든
調滑石末分爲二服
활셕 ᄀᆞᄅᆞ 서 돈을 프러 둘헤 ᄂᆞᆫ화 머그라
靑頭鴨머리 프른 올히一隻治如食
머리 프른 올히 ᄒᆞ나ᄒᆞᆯ 샤ᇰ녜 먹ᄃᆞ시 ᄆᆡᇰᄀᆞ로니와
蘿蔔根댓무ᅀᅮ 믿
댓무ᅀᅮ 믿과
冬瓜도ᇰ화
도ᇰ화와
葱白팟 믿 ᄒᆡᆫ ᄃᆡ各四兩如常法羹
팟 믿 ᄒᆡᆫ ᄃᆡ 각 넉 랴ᇰᄋᆞᆯ 샤ᇰ녜 ᄀᆡᇰᄀᆞ티 ᄒᆞ야
煮鹽醋調和空心食
소곰과 초와 달혀 프러 고ᇰ심에 머그라
白煮亦佳
ᄆᆡᆫ므레 글혀 머거도 ᄯᅩ 됴ᄒᆞ니라
葱白팟 믿 ᄒᆡᆫ ᄃᆡ十莖去鬚切
팟 믿 ᄒᆡᆫ ᄃᆡ 열 줄기ᄅᆞᆯ 불휘 앗고 사ᄒᆞ로니와
黃牛乳누른 ᄉᆈ젓二合
누른 ᄉᆈ졋 두 홉과ᄅᆞᆯ 몬져 봇가 닉게 ᄒᆞ고
粳米ᄒᆡᆫ ᄡᆞᆯ三合先以乳炒葱令熟卽入米水依尋
ᄒᆡᆫ ᄡᆞᆯ 서 홉과 믈와 녀허
常煮粥食之
샤ᇰ녯 쥭ᄀᆞ티 글혀 머그라
小便常不利陰中痛
져근ᄆᆞᄅᆞᆯ 수이 몯 보아 옴듀ᇰ이 알ᄑᆞ거든
葵子아혹 ᄡᅵ一升
아혹 ᄡᅵ ᄒᆞᆫ 되와
生薑一斤^水五升煮
ᄉᆡᇰ아ᇰ ᄒᆞᆫ 근과ᄅᆞᆯ 믈 닷 되애 글혀
取二升服
두 되만 ᄒᆞ거든 머그라
禿筆무듼 붇燒灰服
무듼 붇 ᄉᆞ론 ᄌᆡᄅᆞᆯ 머그라
五淋져근ᄆᆞᆯ 볼 제 돌히어나 피어나 곱이어나 나ᄂᆞ니와 긔운으로 나ᄂᆞ니와 ᄀᆞᆺ바 나ᄂᆞ니왜니 이 다ᄉᆞᆺ 가짓 림지리라
다ᄉᆞᆺ 가짓 림지레
以多年水梳여러 ᄒᆡ 무근 얼에빗燒^存性
여러 ᄒᆡ 무근 얼에비슬 ᄌᆡ ᄃᆞ외디 아니케 ᄉᆞ라
空心冷水調下
ᄎᆞᆫ므레 프러 고ᇰ심에 머고ᄃᆡ
男用男梳
남진이어든 남진의 비슬 ᄒᆞ고
女用女梳
겨지비어든 겨지븨 비스로 ᄒᆞ라
燈心草根及苗곬불휘와 움生煮服之
곬 불휘와 움과 ᄂᆞᄅᆞᆯ 글혀 머그라
虎枚감뎟 불휘不計多少爲末
감뎟 불휘ᄅᆞᆯ 하나 져그나 ᄀᆞᆯᄋᆞᆯ ᄆᆡᇰᄀᆞ라
每服二錢用飯飮^下不拘時候
두 돈곰 밥 글힌 므레 ᄢᅵ니 혜디 말오 머그라
川牛膝ᄉᆈ무룹 불휘 一兩水煎服效
ᄉᆈ무룹 불휘 ᄒᆞᆫ 랴ᇰᄋᆞᆯ 므레 달혀 머고미 됴ᄒᆞ니라
楡白皮느릅나못 ᄒᆡᆫ 거플陰乾爲末
느릅나못 ᄒᆡᆫ 거프를 ᄀᆞᄂᆞᆯ해 ᄆᆞᆯ외야 ᄀᆞᆯᄋᆞᆯ ᄆᆡᇰᄀᆞ라
每日旦脕以水五合末三錢調
날마다 아ᄎᆞᆷ 나죄 믈 닷 홉애 서 돈곰 프러
如膏服
골ᄀᆞ티 ᄒᆞ야 머그라
黃蜀葵花누른 규화作末
누른 규화를 ᄀᆞᆯᄋᆞᆯ ᄆᆡᇰᄀᆞ라
每服一二錢
ᄒᆞᆫ두 돈곰 ᄒᆞ야
通草煎湯이흐름너출 글힌 믈調下
이흐름너출 글힌 므레 프러 머그라
地膚子대ᄡᆞ릿 ᄡᅵ
대ᄡᆞ릿 ᄡᅵ어나
或莝葉五兩
ᄯᅩ 닙과 줄기어나 닷 랴ᇰ곰 ᄒᆞ야
水四升煮取二升^半
믈 넉 되예 글혀 두 되 반만 커든
分溫三服
세헤 ᄂᆞᆫ화 ᄃᆞ시 ᄒᆞ야 머그라
氣淋
긔운으로 난 림지레
豉젼국一升以水三升煮一沸去滓
젼국 ᄒᆞᆫ 되ᄅᆞᆯ 믈 서 되예 ᄒᆞᆫ 소솜만 글혀 즈ᅀᅴ 앗고
內鹽소곰一合頓服
소곰 ᄒᆞᆫ 홉을 ^ 녀허 다 머그라
單煮豉汁服之亦可
ᄯᅩ 젼국ᄲᅮᆫ 달흔 므를 머거도 됴ᄒᆞ니라
急氣淋陰腎腫
과ᄀᆞᆯ이 림질로 슈신이 븟거든
泥葱즛두드린 파半斤煨遇爛擣
즛두드린 파 반 근을 구워 므르닉게 디허
貼臍上
ᄇᆡᆺ복 우희 브티라
結澁小便不通
져근ᄆᆞᄅᆞᆯ 구더 몯 보거든
白芷구리댓 불휘三兩醋浸
구리댓 불휘 석 랴ᇰᄋᆞᆯ 초애 ᄃᆞ마
焙乾^爲細末
브레 ᄆᆞᆯ외야 ᄀᆞᄂᆞᆯ에 ᄀᆞ라
煎木通이흐름너출酒調下二錢連服
이흐름너출 글힌 수레 두 돈곰 프러 니ᇫ워 머그라
林石主石淋此是患石淋人或於溺中出者如小石
림질ᄒᆞᆫ 사ᄅᆞᄆᆡ 누어 난 효ᄀᆞᆫ 돌ᄒᆞᆯ
水磨服之
므레 ᄀᆞ^라 머그면
當得碎石隨溺出
ᄇᆞᅀᅡ딘 돌히 조차 나리라
瞿麥셕듁화取子擣爲末
셕듁화 ᄡᅵ 디흔 ᄀᆞᆯᄋᆞᆯ
酒服方寸匕日三
수레 ᄒᆞᆫ 술옴 프러 ᄒᆞᄅᆞ 세 번 머그면
三日當下石
사ᄋᆞᆯ만 ᄒᆞ야 돌히 나리라
獼猴桃ᄃᆞ래幷藤汁服
ᄃᆞ래ᄅᆞᆯ 너출 조쳐 즛디허 ᄧᅩᆫ 즙을 머그라
礪石ᄡᅳᆺ돌燒赤投酒飮之
ᄡᅳᆺ돌ᄒᆞᆯ 븕게 ᄉᆞ라 녀흔 수를 머그라
滑石以水一小盞濃磨服之
활셕을 믈 서 홉애 디투 ᄀᆞ라 머그라
鷄糞ᄃᆞᆯᄀᆡ ᄯᅩᇰ細硏爲末
ᄃᆞᆯᄀᆡ ᄯᅩᇰᄋᆞᆯ ᄀᆞᄂᆞᆯ에 ᄀᆞ라 ᄀᆞᆯᄋᆞᆯ ᄆᆡᇰᄀᆞ라
每服以冷水調下一錢
ᄎᆞᆫ므레 ᄒᆞᆫ 돔곰 프러 머그라
朝服至食時當下石出
아ᄎᆞᄆᆡ 머그면 밥 ᄣᅢ만 ᄒᆞ야 돌히 나리라
石淋水道澁痛頻下砂石
져근ᄆᆞᆯ 볼 제 구더 알파 ᄌᆞ조 몰애 나거든
車前草뵈ᄧᅡᇰ이 二兩
뵈ᄧᅡᇰ이 두 랴ᇰ과
楡白皮느릅나못 ᄒᆡᆫ 거플一兩亂髮허튼 머리터럭如鷄子大燒灰細剉
느릅나못 ᄒᆡᆫ 거플 ᄒᆞᆫ 랴ᇰ과ᄅᆞᆯ ᄀᆞᄂᆞᆯ에 사ᄒᆞ라
以水二大盞煮取一盞半去滓
믈 두 되예 글혀 ᄒᆞᆫ 되 닷 홉만 커든 즈ᅀᅴ 앗고
入亂髮灰
허튼 머리터럭 무ᇰ긔^요니 ᄃᆞᆯᄀᆡ 알만 케 ᄒᆞ야 ᄉᆞ론 ᄌᆡᄅᆞᆯ 녀허
更煎三二沸
다시 두ᅀᅥ 소솝을 글혀
食前分爲三服
밥 아니 머거셔 세헤 ᄂᆞᆫ화 머그라
白茅根ᄒᆡᆫ ᄠᅱᆺ 불휘三兩剉
ᄒᆡᆫ ᄠᅱᆺ 불휘 석 랴ᇰ 사ᄒᆞ로니와
露蜂房ᄆᆞᆯ버릐 집一兩微炙
ᄆᆞᆯ버릐 집 ᄒᆞᆫ 랴ᇰ 브레 자ᇝ간 ᄧᅬ요니와
葛花츩곳一兩擣碎
츩 곳 ᄒᆞᆫ 랴ᇰ과ᄅᆞᆯ 디^허 ᄇᆞᅀᅡ
以水二大盞煮
믈 두 되예 글혀
取一盞半去滓
ᄒᆞᆫ 되 닷 홉만 커든 즈ᅀᅴ 앗고
食前分爲三服當下石出
밥 아니 머거셔 세헤 ᄂᆞᆫ화 머그면 돌히 나리라
鷄糞白ᄃᆞᆯᄀᆡ ᄯᅩᇰ ᄒᆡᆫ ᄃᆡ一兩微炒
ᄃᆞᆯᄀᆡ ᄯᅩᇰ ᄒᆡᆫ ᄃᆡ ᄒᆞᆫ 랴ᇰ 자ᇝ간 봇그니와
雄鷄膽수ᄐᆞᆰ의 ᄡᅳᆯ게半兩乾者同硏令細
수ᄐᆞᆰ의 ᄡᅳᆯ게 반 랴ᇰ ᄆᆞᄅᆞ니와ᄅᆞᆯ ᄒᆞᆫᄃᆡ ᄀᆞᄂᆞᆯ에 ᄀᆞ라
每於食前
밥 아니 머거셔
以溫酒調下一錢
ᄃᆞᄉᆞᆫ 수레 ᄒᆞᆫ 돈곰 프러 먹고ᄃᆡ
以利爲度
훤히 보ᄃᆞ록 ᄒᆞ라
鷰糞져ᄇᆡ ᄯᅩᇰ細硏
져ᄇᆡ ᄯᅩᇰᄋᆞᆯ ᄀᆞᄂᆞᆯ에 ᄀᆞ라
每服以冷水調下二錢
ᄎᆞᆫ므레 두 돈곰 프러
旦服至晩當下石出
아ᄎᆞᄆᆡ 머그면 나조ᄒᆡ 돌히 나리라
石首魚조ᄀᆡ頭中有石如碁子磨細
조ᄀᆡ 머리옛 바독 ᄀᆞᄐᆞᆫ 돌ᄒᆞᆯ ᄀᆞᄂᆞᆯ에 ᄀᆞ라
米飮服一錢
ᄡᆞᆯ 글힌 므레 ᄒᆞᆫ 돈곰 머그라
鼈甲쟈래 다ᇰ아리燒灰細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