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각경언해 下3-2권

  • 한문제목: 圓覺經諺解
  • 연대: 1465
  • 출판: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영인본

둘흔 理行이니 淨名經에 罪 안팟긔 잇디 아니호ᄆᆞᆯ 觀홈ᄃᆞᆯ ᄀᆞᆮᄒᆞ니라

餘意ᄂᆞᆫ 如上ᄒᆞ니라

나ᄆᆞᆫ ᄠᅳ든 우 ᄀᆞᆮᄒᆞ니라

遇善境界ᄒᆞ야

善境界ᄅᆞᆯ 맛나

感應也ㅣ니 或見佛像ᄒᆞ며 或睹光明ᄒᆞ리니

感興이니 시혹 佛像ᄋᆞᆯ 보ᅀᆞ오며 시혹 光明을 보리니

不作聖心이 名善境界오

聖心을 짓디 아니호미 일후미 善境界오

若作聖解ᄒᆞ면 卽墮群邪ᄒᆞ리니

ᄒᆞ다가 聖解ᄅᆞᆯ 지ᅀᅳ면 곧 한 邪애 ᄠᅥ러디리니

故로 下文에 云ᄒᆞ샤ᄃᆡ

그럴ᄉᆡ 下文에 니ᄅᆞ샤ᄃᆡ

非彼所聞 一切境界어든 終不可取라 ᄒᆞ시니라

뎌의 드론 一切 境界 아니어든 내죠ᇰ내 取홈 몯ᄒᆞ리라 ᄒᆞ시니라

若天台意ᄂᆞᆫ 卽與信等과 相應이 名善境界라

ᄒᆞ다가 千台ㅅ ᄠᅳ든 곧 信等과 相應호미 일후미 善境界라

信 等과 相應호ᄆᆞᆫ 信과 進과 念과 定과 慧와 五根과로 相應ᄒᆞᆯ시라

得心輕安ᄒᆞ리니

ᄆᆞᅀᆞ미 經安을 得ᄒᆞ리니

獲益也ㅣ니 身心이 調暢ᄒᆞ야 輕利安和ᄒᆞ며

益을 어두미니 身心이 調暢ᄒᆞ야 輕利ᄒᆞ며 安和ᄒᆞ며

神爽氣淸ᄒᆞ며 支體柔潤ᄒᆞᆯ시라

神이 ᄇᆞᆯᄀᆞ며 氣分이 ᄆᆞᆯᄀᆞ며 支體 보ᄃᆞ라오며 촉촉ᄒᆞᆯ시라

二ᄂᆞᆫ 明離相用心이라

둘흔 相ᄋᆞᆯ 여희여 用心호ᄆᆞᆯ ᄇᆞᆯ기샤미라

過三七日ᄒᆞ야

三七日을 디내야

躡前이라

알ᄑᆞᆯ 드듸샤미라

一向攝念호리라

一向ᄒᆞ야 念을 자보미라

亦名會緣入實이니

ᄯᅩ 일후미 緣을 뫼화 實에 드로미니

謂初以塵心麤重으로

닐오ᄃᆡ 처ᅀᅥᆷ 塵心이 麤ᄒᆞ며 므거우ᄆᆞ로

令託勝相ᄒᆞ야 爲緣ᄒᆞ니

勝ᄒᆞᆫ 相ᄋᆞᆯ 브터 緣을 삼게 ᄒᆞ니

相旣皆虛ᄒᆞᆯᄉᆡ 誠宜入實이니라

相이 ᄒᆞ마 다 虛ᄒᆞᆯᄉᆡ 眞實로 實에 드로미 맛다ᇰᄒᆞ니라

攝念者ᄂᆞᆫ 論애 云호ᄃᆡ

念을 자보ᄆᆞᆫ 論에 닐오ᄃᆡ

若修止者ᄂᆞᆫ 住於靜處ᄒᆞ야 端坐正意ᄒᆞ야

ᄒᆞ다가 止ᄅᆞᆯ 닷ᄀᆞ린 靜處에 住ᄒᆞ야 正히 안자 ᄠᅳ들 正히 ᄒᆞ야

乃至心若馳散이어든 卽當攝來ᄒᆞ야 住於正念이니

ᄆᆞᅀᆞ미 ᄒᆞ다가 ᄃᆞᆯ여 흗거든 곧 반ᄃᆞ기 자바와 正念에 住홀디니

正念者ᄂᆞᆫ 當知唯心이라

正念은 반ᄃᆞ기 알라 오직 ᄆᆞᅀᆞ미라

無外境界라 ᄒᆞ니라

밧 境界 업스니라 호매 니르니라

然이나 論與經이 皆先以禮懺等으로

그러나 論과 經괘 다 몬져 禮의 懺과ᄃᆞᆯᄒᆞ로

除惑業之濁ᄒᆞ고

惑業ㅅ 흐리요^ᄆᆞᆯ 덜오

次以正念으로 攝馳散之動ᄒᆞ시니

버거 正念으로 ᄃᆞᆯ여 흐튼 뮈유믈 자ᄇᆞ시니

空而又寂ᄒᆞ야ᅀᅡ 方能現佛之像ᄒᆞ시니라

空ᄒᆞ고 ᄯᅩ 寂ᄒᆞ야ᅀᅡ 비르서 能히 부텻 像ᄋᆞᆯ 나토시리라

二ᄂᆞᆫ 明遇夏安居ㅣ니

둘흔 夏安居 맛나ᄆᆞᆯ ᄇᆞᆯ기시니

文이 三이니 一은 標異聲聞이오

文이 세히니 ᄒᆞ나ᄒᆞᆫ 聲聞에 달오ᄆᆞᆯ 標ᄒᆞ샤미오

若經夏首ᄒᆞ야 三月安居호ᄃᆡᆫ

ᄒᆞ다가 夏首ᄅᆞᆯ 디내야 三月 安居호ᄃᆡᆫ

當爲淸淨菩薩止住ᄒᆞ야

반ᄃᆞ기 淸淨ᄒᆞᆫ 菩薩ᄋᆡ 止住ᄅᆞᆯ ᄆᆡᇰᄀᆞ라

然이나 建道場ᄒᆞ야 或在伽藍커나 或於餘處ㅣ어나

그러나 道場ᄋᆞᆯ 셰여 시혹 伽藍애 잇거나 시혹 다ᄅᆞᆫ 고디어나

期限이 未滿ᄒᆞ야셔 夏首ㅣ 已臨커든

期限이 ᄎᆞ디 몯ᄒᆞ야셔 夏首ㅣ ᄒᆞ마 다ᄃᆞᆮ거든

入衆安居ᄒᆞ면 則乖誓約ᄒᆞ리며

모ᄃᆞᆫ ᄃᆡ 드러 安居ᄒᆞ면 盟哲ㅅ 期約애 어긔리며

作念結夏ᄒᆞ면 又雜觀心이라

念을 지ᅀᅥ 結夏ᄒᆞ면 ᄯᅩ 觀心에 섯그리라

道場中人이 由此疑惑ᄒᆞ릴ᄉᆡ

道場 中엣 사ᄅᆞ미 이ᄅᆞᆯ 브터 疑惑ᄒᆞ릴ᄉᆡ

如來ㅣ 遠念ᄒᆞ샤 故爲辨明ᄒᆞ샤ᄃᆡ

如來ㅣ 머리 念ᄒᆞ샤 부러 爲ᄒᆞ샤 ᄀᆞᆯᄒᆡ야 ᄇᆞᆯ기샤ᄃᆡ

爲俗乖律ᄒᆞ면 卽非코

俗ᄋᆞᆯ 爲ᄒᆞ야 律에 어긔면 곧 외오

因大廢小ᄒᆞ면 無失이라 ᄒᆞ시니

크닐 因ᄒᆞ야 져그닐 말면 외욤 업스니라 ᄒᆞ시니

故로 決定毘尼經에 云ᄒᆞ샤ᄃᆡ

그럴ᄉᆡ 決定毗尼經에 니ᄅᆞ샤ᄃᆡ

持聲聞戒ᄒᆞ면 是ᄂᆞᆫ 破菩薩戒오

聲聞戒ᄅᆞᆯ 디니면 이ᄂᆞᆫ 菩薩戒ᄅᆞᆯ 허루미오

持菩薩戒ᄒᆞ면 是ᄂᆞᆫ 破聲聞戒라 ᄒᆞ시니라

菩薩戒ᄅᆞᆯ 디^니면 이ᄂᆞᆫ 成文戒ᄅᆞᆯ 허루미라 ᄒᆞ시니라

心離聲聞ᄒᆞ며

ᄆᆞᅀᆞ매 聲聞을 여희며

大小ㅣ 不同이니

大와 小왜 ᄀᆞᆮ디 아니호미니

次卽下애 說ᄒᆞ시니라

버거 곧 아래 니ᄅᆞ시니라

不假徒衆ᄒᆞ야

徒衆을 븓디 아니ᄒᆞ야

不必六和ㅣ라

구틔여 여슷 和^合 아니호미라

和合有六謂 身口意戒見利

여슷 和合은 身과 口와 意와 戒와 見과 利왜니

身和共住

身和ᄂᆞᆫ ᄒᆞᆫᄃᆡ 住호미오

口和無諍

口和ᄂᆞᆫ 諍 업수미오

意和無違

意和ᄂᆞᆫ ᄒᆞᆫ가지로 닷고미오

見和同解

見和ᄂᆞᆫ ᄒᆞᆫ가지로 골오 호미라

至安居日ᄒᆞ야 卽於佛前에 作如是言호ᄃᆡ

安居日에 니르러 곧 佛前에 이 ᄀᆞᆮᄒᆞᆫ 말호ᄃᆡ

言在下也ᄒᆞ니라

마리 아래 잇ᄂᆞ니라

二ᄂᆞᆫ 正陳辭句ㅣ오

둘흔 辭句ᄅᆞᆯ 正히 펴샤미오

我比丘

우리 比丘

梵語也ㅣ니 此ㅣ 含三義故로 存梵不譯ᄒᆞ니

梵語ㅣ니 이 세 ᄠᅳ들 머구머실ᄉᆡ 梵을 두어 翻譯 아니ᄒᆞ니

一은 怖魔ㅣ오 二ᄂᆞᆫ 乞士ㅣ오 三은 淨戒라

ᄒᆞ나ᄒᆞᆫ 摩ㅣ 저호미오 둘흔 비ᄂᆞᆫ 士ㅣ오 세흔 조ᄒᆞᆫ 戒라

怖魔者 初出家時 魔宮振動

魔ㅣ 저호ᄆᆞᆫ 처ᅀᅥᆷ 出家ᄒᆞᆯ 제 魔宮이 ᄠᅥ러 뮈요미오

乞士者 上從 善知識

비ᄂᆞᆫ 士ᄂᆞᆫ 우흐^로 善知識을 조차

乞法以錬神

法을 비러 神을 닷고

下從檀越 乞衣食以資身

아래로 檀越을 조차 衣食을 비러 모ᄆᆞᆯ 도올시라

比丘尼

比丘尼

尼ᄂᆞᆫ 女也ㅣ니 謂女比丘ㅣ라

尼ᄂᆞᆫ 女ㅣ니 닐오ᄃᆡ 女比丘ㅣ라

優婆塞優婆夷

優婆塞 優婆夷

此云近事男近事女ㅣ니 謂親近比丘比丘尼ᄒᆞ야

예셔 닐오매 갓가이 셤기ᄂᆞᆫ 男이며 갓가이 셤기ᄂᆞᆫ 女ㅣ니 닐오ᄃᆡ

而承事故ㅣ니 卽三歸五戒之士女也ㅣ라

比丘와 比丘尼ᄅᆞᆯ 親近ᄒᆞ야 셤기ᄂᆞᆫ 젼ᄎᆡ니 곧 三歸 五戒옛 士女ㅣ라

小乘은 局於二衆ᄒᆞ고 大乘은 道俗이 俱霑ᄒᆞᄂᆞ니라

小乘은 二衆에 븓들이고 大乘은 道와 俗괘 다 닙ᄂᆞ니라

某甲이

某甲이

各稱其名이라

各各그 일후믈 닐오미라

踞ᄂᆞᆫ 居ㅣ라

踞ᄂᆞᆫ 살시라

菩薩乘ᄒᆞ야

菩薩ㅅ 乘에 踞ᄒᆞ야

簡羊鹿車ㅣ라

羊鹿車ᄅᆞᆯ ᄀᆞᆯᄒᆡ샤미라

修寂滅行ᄒᆞ야

寂滅行ᄋᆞᆯ 닷가

簡四諦行이라

四諦行애 ᄀᆞᆯᄒᆡ샤미라

同入淸淨實相住持ᄒᆞ야

淸淨ᄒᆞᆫ 實相 住待예 ᄒᆞᆫ가지로 드러

簡事相住持라

事相 住待예 ᄀᆞᆯᄒᆡ시니라

以大圓覺爲我伽藍ᄒᆞ야

大圓覺ᄋᆞ로 우리 伽藍을 사마

此云衆園이니 園이 是衆居處故ㅣ라

예셔 닐오매 衆의 園이니 園이 이 衆의 사ᄂᆞᆫ ᄯᅡ힌 젼ᄎᆡ라

圓覺은 則萬德所依니 以八識海ㅣ 澄ᄒᆞ야

圓覺은 萬德의 븓ᄂᆞᆫ 고디니 八識 바ᄅᆞ리 ᄆᆞᆯ가

流注ㅣ 寂滅ᄒᆞ야 體遍法界故로

흘러 브ᅀᅮ미 寂滅ᄒᆞ야 體ㅣ 法界예 ᄀᆞᄃᆞᆨᄒᆞᆯᄉᆡ

得名大ᄒᆞ니 於四智中엔 則圓鏡也ㅣ라

大ㅅ 일후믈 得^ᄒᆞ니 四智 中엔 圓鏡이라

身心이 安居ᄒᆞ며

身心이 安居ᄒᆞ며

身은 卽五識이니 依色根所發故ㅣ오

身ᄋᆞᆫ 곧 五^識이니 色根을 브터 發혼 젼ᄎᆡ오

心은 卽意識이니 以五識으로 取塵커든

心은 곧 意識이니 五識으로 塵을 取커든

意識이 分別ᄒᆞ야 熏動心海ᄒᆞ야

意識이 分別ᄒᆞ야 心海ᄅᆞᆯ 熏ᄒᆞ야

波浪이 從生ᄒᆞᆯᄉᆡ 故로 不名安이어니와

뮈워 믌겨리 브터 날ᄉᆡ 安이라 일훔 몯ᄒᆞ려니와

今에 意無分別ᄒᆞ며 五ㅣ 不妄緣ᄒᆞ야

이제 意ㅣ 分別 업스며 五ㅣ 妄히 緣티 아니ᄒᆞ야

識浪이 永寂ᄒᆞ야 與體一如故로 名安也ㅣ라

識ㅅ 믌겨리 永히 괴외ᄒᆞ야 體와 ᄒᆞᆫ 如ᅟᅵᆯᄉᆡ 일후미 安이라

身安故로 卽成所作智오

身이 安ᄒᆞᆯᄉᆡ 곧 成所作智오

心安故로 則妙觀察智라

心이 安ᄒᆞᆯᄉᆡ 곧 妙觀察智라

平等性智라

平等 性智라

此예 以四惑이 相應ᄒᆞ야

아ᄅᆡ 四惑이 서르 應ᄒᆞ야

妄計賴耶ᄒᆞ야 爲自內我ᄒᆞ야

妄히 賴邪ᄅᆞᆯ 혜여 내 아ᇇ 我ᄅᆞᆯ 사마

於平等理中에 起不平等見ᄒᆞ다가

平等ᄒᆞᆫ 理 中에 平等 아니ᄒᆞᆫ 見ᄋᆞᆯ 니르왇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