家禮諺解 券九

  • 연대: 1632
  • 저자: 신식
  • 출처: 家禮諺解 券九
  • 출판: 홍문각 영인본
  • 최종수정: 2016-01-01

主人主婦ㅣ 進饌ᄒᆞ라

主人과 主婦ㅣ 饌믈을 進ᄒᆞ라

主人이 魚과 肉을 奉ᄒᆞ고

主婦ㅣ 손 시서 슷고

麵과 편을 奉ᄒᆞ며

主人이 羹을 奉ᄒᆞ고

主婦ㅣ 뫼ᄅᆞᆯ 奉ᄒᆞ야 ᄡᅥ 進ᄒᆞ야

虞祭 設홈 ᄀᆞ티 ᄒᆞ라

初獻ᄒᆞ라

처엄 獻쟉ᄒᆞ라

다 虞祭 ᄀᆞ티 호ᄃᆡ

오직 祝이 츅版을 자바 主人의 左의 나셔 東向ᄒᆞ야

ᄭᅮ러 닐그미 다ᄅᆞ니라

츅詞ㅣ 다 虞祭과 ᄀᆞᄐᆞ되

다만 三虞ᄅᆞᆯ 고텨 卒哭이라 ᄒᆞ고

哀薦成事 아래 닐오ᄃᆡ

來日에 隮祔 于 祖考 某官府君ᄒᆞ니

尙饗이라 ᄒᆞ라

按호니 이 닐온 祖考ᄂᆞᆫ 亡者의 祖考ᄅᆞᆯ 닐으미라

朱子ㅣ ᄀᆞᆯᄋᆞ샤ᄃᆡ

溫公이 虞祭로ᄡᅥ 祝문을 主人 右의셔 니ᄅᆞ고

卒哭으로 祝문을 主人 左의셔 니ᄅᆞ게 ᄒᆞ니

盖 禮문 ᄠᅳᄃᆞᆯ ^ 어드미니라

楊氏 復이 ᄀᆞᆯ오ᄃᆡ

高氏 禮애 祝이 나아가

祝文을 닐거 ᄀᆞ로ᄃᆡ

日月이 不居ᄒᆞ야 奄及卒哭ᄒᆞ니

叩地號天ᄒᆞ야 五情이 糜潰라

謹以ㅣ 淸酌庶羞로 哀薦成事ᄒᆞ노니

尙饗이라 ᄒᆞ니라

亞獻ᄒᆞ며

버거 獻쟉ᄒᆞ며

終獻ᄒᆞ며

ᄆᆞᄌᆞ막 獻쟉ᄒᆞ며

侑食ᄒᆞ며

食을 侑ᄒᆞ며

闔門ᄒᆞ며

門을 다ᄃᆞ며

啓門ᄒᆞ며

門을 열며

辭神ᄒᆞ라

神ᄭᅴ 辭ᄒᆞ라

다 虞祭 ᄀᆞ티 호ᄃᆡ

오직 祝이 西階 上의셔 東^面ᄒᆞ아

利成을 告ᄒᆞ라

自是로 朝夕之間애 哀至不哭ᄒᆞ라

일로브터 朝夕 ᄉᆞ이예 哀호미 니르러도 哭디 말라

오히려 朝夕哭으란 ᄒᆞ라

主人兄弟ㅣ 疏食水飮ᄒᆞ고

主人 兄弟ㅣ 사오나온 밥이며 믈을 마시고

不食采果ᄒᆞ고 寢席枕木ᄒᆞ라

ᄂᆞᄆᆞᆯ과 실果ᄅᆞᆯ 먹디 말고 돗긔 자며 남글 볘라

楊氏 復이 ᄀᆞᆯ오ᄃᆡ

按호니 古者애 임의 虞ㅣ며

卒哭애 服을 受호미 잇고

練애며 祥^애며 禫애 다 服을 受홈이 이시니

盖 服은 ᄡᅥ 哀ᄅᆞᆯ 表ᄒᆞᆫ 거시라

哀 漸졈 강殺ᄒᆞᆫ 則 服이 漸졈 輕ᄒᆞ니라

그러나 服 受홈을 ᄌᆞ조 고티니

文이 繁 다홈애 갓가온이라

이제 世俗은 受服홈이 업서

처암 주그모로브터 大祥의 니ᄅᆞ히 그 哀 變홈이 업ᄉᆞ니

녜 일이 아니라 書儀와 家禮ᄂᆞᆫ 俗을 좃고

古애 걸리ᄭᅵ디 아니ᄒᆞ니

ᄡᅥ 簡략을 조ᄎᆞᆫ 배니라

檀弓의 ᄀᆞᆯ오ᄃᆡ

殷은 이믜 練ᄒᆞ고셔 祔ᄒᆞ고

周ᄂᆞᆫ 卒哭ᄒᆞ고셔 祔ᄒᆞ니

孔子ㅣ 殷을 善ᄯᅡ ᄒᆞ시니

註애 ᄀᆞᆯ오ᄃᆡ

期년만의 神으로 호믄 人情이라 ᄒᆞ여시나

그러나 殷 적 禮 이믜 업서시니

그 本末을 可히 샹考티 몯ᄒᆞᆯ 거시오

이제 三虞ㅣ며 卒哭을 다 周 적 녜 次禮로 ᄡᅳᆫ 則

이 만홈 자 殷 적 禮ᄅᆞᆯ 從티 몯ᄒᆞᆯ디니라

卒哭明日而祔ㅣ니

卒哭ᄒᆞᆫ 이ᄐᆞᆫ날 祔 졔ᄒᆞᄂᆞ니

卒哭之祭旣徹에 卽陳器具饌ᄒᆞ라

卒哭祭 이믜 설며 즉제 器ᄅᆞᆯ 陳ᄒᆞ고 饌믈을 ᄀᆞ초라

器쉬 卒哭 ᄀᆞᄐᆞ되

오직 祠堂의 陳ᄒᆞ고

ᄉᆞ堂 곧 좁거든 廳事에 가 隨便ᄒᆞ야 ᄒᆞ라

亡者의 祖考妣位ᄅᆞᆯ 가온대 設호ᄃᆡ

南向ᄒᆞ야 西上ᄒᆞ고

亡者의 位ᄅᆞᆯ 그 東南의 設호ᄃᆡ

西向ᄒᆞ고

母喪이어든 祖考位ᄅᆞᆯ 設티 말라

酒甁이며 玄酒甁을 阼階 上의 ᄒᆞ고

火爐ㅣ며 湯甁을 西階 上의 ᄒᆞ고

饌믈 ᄀᆞ초기ᄅᆞᆯ 卒哭 ᄀᆞ티 호ᄃᆡ 세 분ᄭᅴ ᄒᆞ고

母喪이어든 두 분ᄭᅴ ᄒᆞ라

祖妣 二 人 以上이어든 親ᄒᆞ니로ᄡᅥ ᄒᆞ라

雜記예 ᄀᆞᆯ오ᄃᆡ

男子ㅣ 王^父의게 祔ᄒᆞ면 配ᄒᆞ고

女子ㅣ 王母의게 祔ᄒᆞ면 配티 말라 ᄒᆞ니

註에 尊者의게 有事ᄒᆞ면

可히 ᄡᅥ 卑ᄒᆞᆫ의게 미치려니와

卑者의게 有事ᄒᆞ면

敢히 尊ᄒᆞ니ᄅᆞᆯ 援티 몯ᄒᆞᆯ 거시니라

高氏 ᄀᆞᆯ오ᄃᆡ

만일 妣ᄅᆞᆯ 祔ᄒᆞᆫ 則

祖妣와 밋 妣의 位ᄅᆞᆯ 設ᄒᆞ고

다시 祖考位ᄅᆞᆯ 設티 아닐디니라

만일 父ㅣ 이셔셔 妣ᄅᆞᆯ 祔ᄒᆞᆫ 則

可히 祖妣ᄅᆞᆯ 遆遷티 몯ᄒᆞᆯ 거시라

맛당히 각別히 室을 셰워 ᄡᅥ

그 신主ᄅᆞᆯ 藏ᄒᆞ얏다 가 考^ᄅᆞᆯ 기ᄃᆞ며 ᄒᆞᆷᄭᅴ 祔ᄒᆞ라

만일 考妣ᄅᆞᆯ ᄒᆞᆷᄭᅴ 祔ᄒᆞᆫ 則

祖考와 밋 祖妣의 位ᄅᆞᆯ 다 設ᄒᆞᆯ디니라

胡氏 泳이 ᄀᆞᆯ오ᄃᆡ

高氏의 別室애 主ᄅᆞᆯ 藏ᄒᆞ라 ᄒᆞᆫ 말이 적컨댄

그러티 아닌가 ᄒᆞ노라

先生이 內子의 喪애 신主ᄅᆞᆯ 오직 祖妣의 겨틔 祔ᄒᆞ야 두시니

이 맛당이 의據ᄅᆞᆯ 삼암즉ᄒᆞ니라

楊復이 ᄀᆞᆯ오ᄃᆡ

父ㅣ 이시매 妣ᄅᆞᆯ 祔ᄒᆞᆫ 則 父ㅣ 主ㅣ 되니

곧이 夫ㅣ 妻ᄅᆞᆯ 祖妣애 祔ᄒᆞᄂᆞᆫ디라

三 年 喪이 畢ᄒᆞᆯ디라도 遷티 말고

오히려 祖妣애 祔ᄒᆞ엿다가

父의 他^日에 三 年 喪 畢호믈 기ᄃᆞ려셔

祖考妣ᄅᆞᆯ 遆遷ᄒᆞ야사

비로소 考妣 ᄒᆞᆷᄭᅴ 遷ᄒᆞᆯ 거시니

高氏의 父ㅣ 이시매

可히 祖妣ᄅᆞᆯ 遆遷티 몯ᄒᆞ리라 ᄒᆞᆫ 말이 ᄯᅩᄒᆞᆫ 올토다

다만 別室애 신主ᄅᆞᆯ 藏ᄒᆞ라 ᄒᆞᆫ 말인 卽 그ᄅᆞ니라

厥明에 夙興ᄒᆞ야 設蔬果酒饌ᄒᆞ라

그 이ᄐᆞᆫ날 일 닐어 蔬果와 酒饌을 設ᄒᆞ라

다 卒哭 ᄀᆞ티 ᄒᆞ라

質明에 主人以下ㅣ 哭於靈座前ᄒᆞ라

質明에 主人 以下ㅣ 靈座前의 哭^ᄒᆞ라

主人 兄弟ㅣ 다 階下의 杖을 지혀 두고

드러가 哭호믈 盡哀ᄒᆞ고 그치라

按호니 이ᄂᆞᆫ 繼祖ᄒᆞᄂᆞᆫ 宗子의 喪을 닐오미니

그 世셰 嫡댱이 응當이 後에 될 者ㅣ 主喪ᄒᆞ여야

이에 이 禮ᄅᆞᆯ ᄡᅳ고

만일 喪主ㅣ 宗子 아니어든

다 亡者의 繼祖之宗으로ᄡᅥ 이 祔祭ᄅᆞᆯ 主ᄒᆞ라

禮註에 닐오ᄃᆡ

祖廟애 祔ᄒᆞ기ᄅᆞᆯ 맛당이 尊者로 ᄒᆡ여 主ᄒᆞ라 ᄒᆞ니라

詣祠堂ᄒᆞ야 奉神主ᄒᆞ야 出置于座ᄒᆞ라

祠堂의 가 神主ᄅᆞᆯ 뫼셔 座의 내여 노ᄒᆞ라

祝이 발을 걷고 櫝을 열고 祔ᄒᆞᆯ 바

祖考ㅅ 신主ᄅᆞᆯ 뫼셔 座의 노코

內執事者ㅣ 祖妣ㅅ 신主ᄅᆞᆯ 뫼셔 座의 노호되 西上ᄒᆞ라

만일 다ᄅᆞᆫ ᄃᆡ 잇거든

西階 上 卓子 우희 노ᄒᆞᆫ 後에 櫝글 열라

만일 喪主ㅣ 宗子 아니오

繼祖之宗으로 더브러 닫 살거든

宗子ㅣ 爲ᄒᆞ야 祖ᄭᅦ 告ᄒᆞ고

虛位ᄅᆞᆯ 設ᄒᆞ야 ᄡᅥ 祭ᄒᆞ고 祭 ᄆᆞᄎᆞ며 업시 ᄒᆞ라

還奉新主ᄒᆞ야 入祠堂ᄒᆞ야 置于座ᄒᆞ라

도라와 새 신主ᄅᆞᆯ 뫼셔 祠堂의 드러 座의 노ᄒᆞ라

主人 以下ㅣ 도라와 靈座所의 가 哭ᄒᆞ고

祝이 신主櫝을 뫼셔 祠堂 西階 上 卓子 우희 가거든

主人 以下ㅣ 哭ᄒᆞ고 조차 가ᄆᆞᆯ 柩ᄅᆞᆯ 조차 갈 적 ᄎᆞ례 ᄀᆞ티 ᄒᆞ라

門의 니ᄅᆞ러 哭을 그치고

祝이 櫝을 여러 신主 내여 노키ᄅᆞᆯ 前녜 ᄀᆞ티 ᄒᆞ라

만일 喪主ㅣ 宗子 아니어든

오직 喪主와 主婦 以下ㅣ 도라와 마ᄌᆞ라

叙立ᄒᆞ고

펴 셔고

만일 宗子ㅣ 제 喪主ㅣ 되면

펴 셔기ᄅᆞᆯ 虞祭 ^ 적 녜 ᄀᆞᆮ티 ᄒᆞ고

만일 喪主ㅣ 宗子 아니면

宗子와 主婦ㅣ ᄂᆞᆫ화 兩階 아래 셔거든

喪主ᄂᆞᆫ 宗子의 右의 잇고

喪主婦ᄂᆞᆫ 宗子婦의 左의 이쇼ᄃᆡ

ᄆᆞ디어든 앏ᄑᆡ 잇고

졈거든 뒤헤 이시라

녀나ᄆᆞᆫ 거슨 ᄯᅩ 虞祭 적 녜 ᄀᆞᄐᆞ니라

參神ᄒᆞ라

神긔 參ᄒᆞ라

位예 인ᄂᆞᆫ 者ㅣ 다 再拜ᄒᆞ야

祖考妣ᄭᅴ 參ᄒᆞ라

降神ᄒᆞ라

神을 降ᄒᆞ라

만일 宗子ㅣ 제喪主ㅣ 되면 喪主ㅣ 行ᄒᆞ^고

만일 喪主ㅣ 宗子ㅣ 아니면 宗子ㅣ 行ᄒᆞ라

다 卒哭 ᄀᆞ티 ᄒᆞ라

祝이 進饌ᄒᆞ라

祝이 饌믈을 進ᄒᆞ라

다 虞祭 ᄀᆞ티 ᄒᆞ라

初獻ᄒᆞ라

처엄 獻쟉ᄒᆞ라

만일 宗子ㅣ 제 喪主ㅣ 되면 喪主ㅣ 行ᄒᆞ고

만일 喪主ㅣ 宗子ㅣ 아니면 宗子ㅣ 行ᄒᆞ라

다 卒哭 ᄀᆞ티 호ᄃᆡ

다만 酌獻ᄒᆞᆯ 제 몬져 祖考妣 前의 가 ᄒᆞ라

日子ᄂᆞᆫ 前의 卒哭과 ᄀᆞᆮ고

祝版의 다만 닐오ᄃᆡ

孝子 某ᄂᆞᆫ 謹以^潔牲柔毛와 粢盛醴祭로 適于 某考 某官府君ᄒᆞ야

祭祔 孫 某官ᄒᆞ니 尙饗이라 ᄒᆞ고 다 哭디 말라

內喪이어든 닐오ᄃᆡ

某妣 某封 某氏祭祔 孫婦 某封 某氏라 ᄒᆞ라

버거 亡者 前의 가라

만일 宗子ㅣ 제 喪主ㅣ 되면

祝版이 前과 ᄀᆞᆮ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