家禮諺解 券九
다만 닐오ᄃᆡ
薦祔 事于先 考某官府君ᄒᆞ야
適于 某考 某官府君ᄒᆞ니
尙饗이라 ᄒᆞ라
만일 喪主ㅣ 宗子ㅣ 아니면
宗子의 稱호ᄒᆞᄂᆞᆫ 바ᄅᆞᆯ 조차 ᄒᆞ고
만일 亡者ㅣ ^ 宗子의게 卑幼ᄒᆞ니어든
宗子ㅣ 拜티 말라
亞獻ᄒᆞ며 終獻ᄒᆞ라
버거 獻쟉ᄒᆞ며 ᄆᆞᄌᆞ막 獻쟉ᄒᆞ라
만일 宗子ㅣ 제 喪主ㅣ 되면 主婦ㅣ 亞獻ᄒᆞ고
권당이나 손이나 終獻ᄒᆞ며
만일 喪主ㅣ 宗子ㅣ 아니면 喪主ㅣ 亞獻ᄒᆞ고
主婦ㅣ 終獻ᄒᆞ라
다 卒哭과 밋 初獻녜 ᄀᆞ티 호ᄃᆡ
오직 讀祝 아닌ᄂᆞ니라
侑食ᄒᆞ며 闔門ᄒᆞ며 啓門ᄒᆞ며 辭神ᄒᆞ라
食을 侑ᄒᆞ며 門을 다ᄃᆞ며 門을 열며 神ᄭᅴ 辭ᄒᆞ라
다 卒哭 ᄀᆞ티 호ᄃᆡ 다만 哭디 말라
祝이 奉主ᄒᆞ야 各還故處ᄒᆞ라
祝이 신主ᄅᆞᆯ 뫼셔 各각 녯 고ᄃᆡ 도라오라
祝이 몬져 祖考妣 神主ᄅᆞᆯ 龕실 가온대 녀허 匣을 닫고
버거 亡者의 神主ᄅᆞᆯ 西階 卓子 우희셔 녀허 匣을 닫아 뫼셔
靈座의 도라오ᄃᆡ
門의 나셔 主人 以下ㅣ 哭ᄒᆞ고 조차 가ᄆᆞᆯ 올 적 녜 ᄀᆞ티 ᄒᆞ야
盡哀ᄒᆞ고 그치라
만일 喪主ㅣ 宗子ㅣ 아니면 哭ᄒᆞ고
몬져 行ᄒᆞ거든 宗子ㅣ ᄯᅩ 哭ᄒᆞ고 보내여
盡哀ᄒᆞ고 그치라
만일 다ᄅᆞᆫ ᄃᆡ ^ 기祭ᄒᆞ거든
祖考妣 신主ᄅᆞᆯ ᄯᅩ 새 신主 ᄀᆞ티 드리라
程子ㅣ ᄀᆞᆯᄋᆞ샤ᄃᆡ
喪을 三 年을 기ᄃᆞ려셔 祔ᄒᆞᆯ디니
만일 卒哭애 祔ᄒᆞᆫ 즉
三 年을 믄득 다 이리 업ᄉᆞ리라
禮애 卒哭애 오히려 朝夕哭이 이시니
신主ㅣ 寢애 잇디 아니ᄒᆞ면
어ᄂᆡ 고ᄃᆡ 가 哭ᄒᆞ리오
朱子ㅣ ᄀᆞᆯᄋᆞ샤ᄃᆡ
古者애 가廟애 昭穆 次셰 이시니
昭ᄂᆞᆫ 덧더디 昭ㅣ 되고
穆은 덧더디 穆이 되ᄂᆞᆫ 故로
새로 주근 者ᄅᆞᆯ 그 祖父 廟애 祔ᄒᆞᆫ 則 爲ᄒᆞ여
그 祖^父ᄭᅴ 當당히 다ᄅᆞᆫ 廟애 遷홈으로써 告ᄒᆞ고
새로 주근 者ᄅᆞᆯ 當당히 이 廟애 들 漸으로ᄡᅥ 告ᄒᆞ니라
이제 公私의 廟ㅣ 다 堂이 同ᄒᆞ고
室이 異ᄒᆞ여
西로ᄡᅥ 上을 삼ᄂᆞᆫ 制을 ᄆᆡᆼ글고
다시 左昭 右穆ᄒᆞᄂᆞᆫ 次셰 업ᄉᆞᆫ디라
ᄒᆞᆫ 번 遆遷홈이 이신 則
모ᄃᆞᆫ 室이 다 遷ᄒᆞ고
새로 주근 者ㅣ 當당히 그 禰의 故室애 드니
이 곧 禮의 큰 節목이 녜로 더브러 ᄀᆞᆮ디 아니호되
禮를 ᄒᆞᄂᆞᆫ 者ㅣ 오히려 祖父의 祔ᄒᆞ라 ᄒᆞᆫ 文ᄌᆞᄅᆞᆯ 자바 ᄒᆞ니
意義 업ᄉᆞᆫ ᄃᆞᆺ ᄒᆞ도다
그러나 드듸여 變^ᄒᆞ여 禰廟애 祔코져 ᄒᆞᆫ 則
ᄯᅩᄒᆞᆫ 禮ᄅᆞᆯ 앗겨 羊을 두ᄂᆞᆫ ᄠᅳ디 아니니라
楊氏 復이 ᄀᆞᆯ오ᄃᆡ
司馬공의 禮와 家禮애 다 임의 祔ᄒᆞᆫ 後애
主ᄅᆞᆯ 寢의 復홈을 올타 ᄒᆞ니
닐온 바 神主ᄅᆞᆯ 뫼셔 各각 故處애 還홈이라
小祥
鄭氏 닐오ᄃᆡ
祥은 吉타 호미라
期而小祥ᄒᆞ라
돌ᄉᆡ 小祥ᄒᆞ라
喪ᄉᆞ 나모로브터 이에 니ᄅᆞ히
閏ᄃᆞᆯ은 혜디 말고 므릇 열석 ᄃᆞᆯ이라
녜ᄂᆞᆫ 날을 졈卜ᄒᆞ야 祭ᄒᆞ더니
이제 다만 ^ 첫 忌일을 ᄡᅥ셔 簡易홈믈 조ᄎᆞ니
大祥이 이과 ᄀᆞᄐᆞ니라
前期一日ᄒᆞ야
ᄒᆞᄅᆞ 前 期ᄒᆞ야
主人以下ㅣ 沐浴ᄒᆞ고
主人 以下ㅣ 沐ᄒᆞ며 浴ᄒᆞ고
陳器具饌ᄒᆞ라
器ᄅᆞᆯ 陳ᄒᆞ며 饌믈을 ᄀᆞ초라
主人이 모ᄃᆞᆫ 丈夫ᄅᆞᆯ 거ᄂᆞᆯ이고 믈 ᄲᅳ려 ᄡᅳᆯ며 싯가ᄉᆡ고
主婦ㅣ 모ᄃᆞᆫ 婦女ᄅᆞᆯ 거ᄂᆞᆯ이고 가마와 솓ᄐᆞᆯ 시ᄉᆞ며 祭饌을 ᄀᆞ초라
다ᄅᆞᆫ 거ᄉᆞᆫ 다 卒哭 적 禮과 ᄀᆞᄐᆞ니라
設次ᄒᆞ고 陳練服ᄒᆞ라
막次ᄅᆞᆯ 設ᄒᆞ고 練服^을 陳ᄒᆞ라
丈夫ㅣ며 婦人을 各각 다ᄅᆞᆫ ᄃᆡ 設次ᄒᆞ고
練服을 그 가온ᄃᆡ 두라
男子ᄂᆞᆫ 누은 뵈로ᄡᅥ 冠을 ᄆᆡᆼ글고
首絰과 負版과 辟領과 衰ᄅᆞᆯ 업시 ᄒᆞ고
婦人은 긴 쵸마ᄅᆞᆯ 버혀 ᄒᆡ여곰 ᄯᅡ희 ᄭᅳ이디 아니케 ᄒᆞ라
應당이 期년복 니브니ᄂᆞᆫ 吉服을 ᄀᆞ라 니브되
그리나 오히려 그 ᄃᆞᆯ 盡ᄒᆞ도록('그리나'? '그러나'?)
金이며 진珠ㅣ며 錦繡ㅣ며 다紅이며 紫디 거ᄉᆞᆯ 닙디 말고
오직 妻ᄅᆞᆯ 爲ᄒᆞᆫ 者ᄂᆞᆫ 오히려 禫복을 닙어ᄯᅡ가
열다ᄉᆞᆺ ᄃᆞᆯ이 盡커든 버ᄉᆞ라
楊氏 復이 ᄀᆞᆯ오ᄃᆡ
按호니 儀禮 喪服記애 衰와 負版과 辟領制도 載록홈을 甚히 ᄌᆞ셰호ᄃᆡ
다만 闕ᄒᆞᆫ 문이 이셔
衰와 負版과 辟領을 어ᄂᆡ 時예 더롬을 닐ᄋᆞ디 아니ᄒᆞ엿거ᄂᆞᆯ
司馬公 書儀애 닐오ᄃᆡ
임의 練홈애 男子ㅣ 首絰과 負版과 辟領과 衰ᄅᆞᆯ 업시 ᄒᆞ라 ᄒᆞᆫ 故로
家禮ᄂᆞᆫ 書儀ᄅᆞᆯ 의據ᄒᆞ여 닐오ᄃᆡ
小祥애 首絰과 負版과 辟領과 衰ᄅᆞᆯ 업시 ᄒᆞ라 ᄒᆞ니라
다만 禮經애 임의 練홈애 男子ᄂᆞᆫ 首絰올 덜고
婦人^ᄂᆞᆫ 腰帶를 덜라 ᄒᆞ엿거ᄂᆞᆯ
家禮애ᄂᆞᆫ 婦人 成服ᄒᆞᆯ 時애도
婦人이 絰帶ᄒᆞ라 ᄒᆞᆫ 文이 다 업ᄉᆞ니
이 疏略ᄒᆞᆫ디라
故로 임의 練홈애 ᄯᅩᄒᆞᆫ 婦人이 帶 더름을 니ᄅᆞ디 아니ᄒᆞ여시니
맛당히 禮經으로ᄡᅥ 正을 삼을디니라
厥明에 夙興ᄒᆞ야 設蔬果酒饌ᄒᆞ라
그 이ᄐᆞᆫ날 닐어 蔬果와 酒饌을 設ᄒᆞ라
다 卒哭 ᄀᆞ티 ᄒᆞ라
質明에 祝이 出主ᄒᆞ고
質明에 祝이 신主ᄅᆞᆯ 내고
主人以下ㅣ 入哭ᄒᆞ라
主人 以^下ㅣ 드러가 哭ᄒᆞ라
다 卒哭 ᄀᆞᄐᆞ되
다만 主人이 門外예 杖을 지혀 두고
期년 親으로 더브러 各각 그 服을 닙고 드러가라
만일 이믜 服을 버슨 者ㅣ 외祭ᄅᆞᆯ 참預ᄒᆞ거든
ᄯᅩ 華盛ᄒᆞᆫ 옷슬 버서 업시코
다 哭홈을 盡哀ᄒᆞ고 그치라
乃出就次ᄒᆞ야 易服ᄒᆞ고
이에 나와 막次의 나아가 服을 ᄀᆞ라 닙고
復入哭ᄒᆞ라
다시 드러가 哭ᄒᆞ라
祝이 止곡ᄒᆞ라
降神ᄒᆞ라
神을 降ᄒᆞ라
卒哭 ᄀᆞ티 ᄒᆞ라
三獻ᄒᆞ라
세 번 獻쟉ᄒᆞ라
卒哭 적 녜 ᄀᆞ티 ᄒᆞ라
祝版이 前과 ᄀᆞᄐᆞ되
다만 ᄀᆞᆯ오ᄃᆡ
日月不居ᄒᆞ야 奄及小祥ᄒᆞ니
夙興夜處ᄒᆞ야 小心畏忌ᄒᆞ며
不惰其身ᄒᆞ야 哀慕不寧이라
敢用潔牲柔毛와 粢盛 醴齊ᄒᆞ야
薦此常事ᄒᆞ니 尙饗이라 ᄒᆞ라
侑食ᄒᆞ며 闔門ᄒᆞ며 啓門ᄒᆞ며 辭神ᄒᆞ라
食을 ^ 侑ᄒᆞ며 門을 다ᄃᆞ며 문을 열며 □□ 辭ᄒᆞ라
다 卒哭 적 禮 ᄀᆞ티 ᄒᆞ라
止朝夕哭ᄒᆞ라
朝夕哭을 그치라
오직 삭망애 除服 몯 ᄒᆞᆫ 者ㅣ 모다셔 哭ᄒᆞ라
그 喪ᄉᆞ 맛난 후의 親戚이 일즉 서르 보디 몯ᄒᆞ엿던 者ㅣ 서르 보와든
비록 ᄇᆞᆯ셔 服을 버서셔도
오히려 哭호ᄆᆞᆯ 盡哀ᄒᆞᆫ 後에 敍拜ᄒᆞ라
始食菜果ᄒᆞ라
비로소 ᄂᆞᄆᆞᆯ히며 실果ᄅᆞᆯ 머그라
妻喪애 期년 너머셔 主祭홈을 뭇ᄌᆞᆸ뇌이다
朱子ㅣ ᄀᆞᆯᄋᆞ샤ᄃᆡ
이 샹考티 몯ᄒᆞ엿거니와
다만 ^ 司馬氏 大小祥祭애 임의 服을 버ᄉᆞᆫ 者도 다 祭애 참與케 ᄒᆞᆫ즉
主祭ᄒᆞᄂᆞᆫ 者ㅣ 비록 임의 服을 버ᄉᆞ나
ᄯᅩ 엇디 祭애 참與홈이 害로오리오
다만 可히 오로 吉服을 ᄡᅳ디 몯ᄒᆞᆯ 거시니
모로미 吊服과 밋 忌日의 服 ᄀᆞᆮ티 홈이 可ᄒᆞ니라
大祥
再期而大祥ᄒᆞ라
두 돌ᄉᆡ 大祥ᄒᆞ라
喪ᄉᆞ 나모로브터 이에 니ᄅᆞ히
閏ᄃᆞᆯ은 헤디 말고 므릇 스믈다ᄉᆞᆺ ᄃᆞᆯ이라
ᄯᅩ 다만 둘재 忌日을 ᄡᅥ 祭ᄒᆞ라
前期一日ᄒᆞᅌᅣ 沐浴ᄒᆞ고
ᄒᆞᄅᆞ 前 期ᄒᆞ야 沐ᄒᆞ며 浴ᄒᆞ고
陳器具饌ᄒᆞ라
器ᄅᆞᆯ 陳ᄒᆞ고 饌믈을 ᄀᆞ초라
다 小祥 ᄀᆞ티 ᄒᆞ라
設次ᄒᆞ고 陳禫服ᄒᆞ라
막次ᄅᆞᆯ 設ᄒᆞ고 禫服을 陳ᄒᆞ라
司馬溫公이 ᄀᆞᆯ오ᄃᆡ
丈夫ᄂᆞᆫ ᄲᅳᆯ이 드리딘 거믄 紗로 ᄒᆞᆫ 幞頭ㅣ며 거믄 뵈옷시며 뵈로 角帶ᄅᆞᆯ ᄡᆞᆯ디니
大祥 몯 디난 ᄉᆞ이예 닙고 ᄡᅥ 나가 ᄂᆞᆷ 뵈ᄂᆞᆫ 거시라
婦人은 冠梳ᄒᆞ고 ᄠᆞᆫ 머리 ᄒᆞ고 鵝黃 ^ 비치며
靑ᄉᆡᆨ이며 碧ᄉᆡᆨ이며 皂ᄉᆡᆨ이며 白ᄉᆡᆨ으로ᄡᅥ 옷과 신을 ᄒᆞ고
그 金이며 진珠ㅣ며 다紅이며 금繡ᄂᆞᆫ 다 可히 ᄡᅳ디 몯ᄒᆞᆯ 거시라
뭇ᄌᆞ오ᄃᆡ 子ㅣ 母ᄅᆞᆯ 爲ᄒᆞ여
大祥과 밋 禫졔애 夫ㅣ 임의 服이 업서시니
그 祭ᄅᆞᆯ 맛당히 엇디ᄒᆞ리잇고
朱子ㅣ ᄀᆞᆯᄋᆞ샤ᄃᆡ
이젯 禮애 几筵을 반ᄃᆞ시 三 年만의 던 則
小祥 大祥 祭도 다 夫ㅣ 主ᄒᆞᆯ 거시어니와
다만 小祥 後애 夫ㅣ 卽제 服을 버ᄉᆞ니
大祥 祭애 夫ㅣ ᄯᅩᄒᆞᆫ 저컨대ᄂᆞᆫ
모로미 素服을 吊服 ᄀᆞᆮ디 ^ 홈이 可ᄒᆞ니라
다만 그 祝詞ᄅᆞᆯ 고텨 구ᄐᆡ여 子ㅣ 되예 祭홈을 니ᄅᆞ디 말올디니라
告遷于祠堂ᄒᆞ라
톄遷호ᄆᆞᆯ 祠堂의 告ᄒᆞ라
술이며 실果로ᄡᅥ 告호ᄃᆡ
朔日의 네 ᄀᆞ티 ᄒᆞ라
만일 親盡ᄒᆞᆫ 祖ㅣ 업거든
祝版의 云云ᄒᆞ고
告호ᄆᆞᆯ ᄆᆞᆺ고 神主ᄅᆞᆯ 고텨 ᄡᅳ되
加贈ᄒᆞᆯ 제 녜 ᄀᆞᆮ게 ᄒᆞ고 遆遷ᄒᆞ야
西로 올려 東녁 ᄒᆞᆫ 龕실을 뷔워 ᄡᅥ
새 신主ᄅᆞᆯ 기돌오고
만일 親盡ᄒᆞᆫ 祖ㅣ 잇고
그 別子ㅣ어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