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栗谷先生諺解 卷之一

  • 연대: 1749
  • 저자: 李珥 撰
  • 출처: 四書栗谷諺解 1~4
  • 출판: 홍문각
  • 최종수정: 2016-01-01

文王이 發政施仁ᄒᆞ샤ᄃᆡ

文王이 政을 發ᄒᆞ야 仁을 施ᄒᆞ샤ᄃᆡ

必先斯四者ㅣ러시니

반ᄃᆞ시 이 네희게 몬져 ᄒᆞ더시니

詩云

詩예 닐오ᄃᆡ

哿矣富人이어니와

哿ᄒᆞ니ᄂᆞᆫ 富人이어니와

哀此煢獨이라 ᄒᆞ니이다

이 焭獨이 哀홉^다 ᄒᆞ니이다

王曰 善哉言乎ㅣ여

王이 ᄀᆞᄅᆞ샤ᄃᆡ 善타 말이여

曰 王如善之ᅟᅵᆫ댄

ᄀᆞᄅᆞ샤ᄃᆡ 王이 만일 善히 녀기실딘댄

則何為不行이시니잇고

엇디 行티 아니시ᄂᆞ니잇고

王曰 寡人은 有疾호니

ᄀᆞᄅᆞ샤ᄃᆡ 寡人은 疾을 둣노니

寡人이 好貨ᄒᆞ노이다

寡人이 貨ᄅᆞᆯ 好ᄒᆞ노이다

對曰

對ᄒᆞ야 ᄀᆞᄅᆞ샤ᄃᆡ

昔者公劉ㅣ 好貨ᄒᆞ더시니

녜 ^ 公劉ㅣ 貨ᄅᆞᆯ 好ᄒᆞ더시니

詩云

詩예 닐오ᄃᆡ

乃積乃倉이어ᄂᆞᆯ

이에 積ᄒᆞ며 이에 倉ᄒᆞ야ᄂᆞᆯ

乃裹餱糧호ᄃᆡ 于橐于囊이오

이에 餱糧을 裏호ᄃᆡ 橐의 ᄒᆞ며 囊의 ᄒᆞ고

思戢用光ᄒᆞ샤

戢ᄒᆞ야 ᄡᅥ 光호ᄆᆞᆯ 思ᄒᆞ샤

弓矢斯張ᄒᆞ며

弓矢ᄅᆞᆯ 이에 張ᄒᆞ며

干戈戚揚으로 爰方啟行이라 ᄒᆞ니

干과 戈와 戚과 揚으로 이에 처음으로 行을 啓ᄒᆞ다 ᄒᆞ니

故居者ㅣ 有積倉ᄒᆞ며

故로 居ᄒᆞᆫ 者ㅣ 積倉을 두며

行者ㅣ 有裹糧也ㅣ라사

行ᄒᆞᄂᆞᆫ 者ㅣ 裏糧을 두어사

然後可以爰方啟行이니

그런 後에 可히 ᄡᅥ 이에 처음으로 行을 啓ᄒᆞᆯ디니

王如好貨ㅣ어시든

王이 만일 貨ᄅᆞᆯ 好ᄒᆞ거시든

與百姓同之ᄒᆞ시면

百姓과 더브러 ᄒᆞᆫ가지로 ᄒᆞ시면

於王何有ㅣ리잇고

王ᄒᆞ기예 므서시 어려우리잇고

王曰

王이 ᄀᆞᄅᆞ샤ᄃᆡ

寡人은 有疾호니

寡人은 疾을 둣노니

寡人이 好色ᄒᆞ노이다

寡人이 色을 好ᄒᆞ노이다

對曰

對ᄒᆞ야 ᄀᆞᄅᆞ샤ᄃᆡ

昔者大王이 好色ᄒᆞ샤

녜 大王이 色을 好ᄒᆞ샤

愛厥妃러시니

그 妃ᄅᆞᆯ 愛ᄒᆞ더시니

詩云

詩예 닐오ᄃᆡ

古公亶父ㅣ 來朝走馬ᄒᆞ샤

古公亶父ㅣ 오시ᄂᆞᆫ 아ᄎᆞᆷ의 ᄆᆞᆯ을 ᄃᆞᆯ리샤

率西水滸ᄒᆞ샤

西ㅅ녁 믈ᄭᆞ을 조ᄎᆞ샤

至於岐下ᄒᆞ샤

岐下의 니르샤

爰及姜女로 聿來胥宇ㅣ라ᄒᆞ니

이에 밋 姜^女로와 宇ᄅᆞᆯ 胥ᄒᆞ시다 ᄒᆞ니

當是時也ᄒᆞ야

이 時ᄅᆞᆯ 當ᄒᆞ야

內無怨女ᄒᆞ며

안ᄒᆞ로ᄂᆞᆫ 怨女ㅣ 업ᄉᆞ며

外無曠夫ᄒᆞ더니

밧그로ᄂᆞᆫ 曠夫ㅣ 업더니

王如好色이어시든

王이 만일 色을 好ᄒᆞ거시든

與百姓同之ᄒᆞ시면

百姓과 더브러 ᄒᆞᆫ가지로 ᄒᆞ시면

於王何有ㅣ리잇고

王ᄒᆞ기예 므서시 어려우리잇고

孟子ㅣ 謂齊宣王曰

孟子ㅣ 齊宣王ᄭᅴ 닐러 ᄀᆞᄅᆞ샤ᄃᆡ

王之臣이 有託其妻子於其友

王의 臣이 그 妻子ᄅᆞᆯ 그 벗의게 의탁ᄒᆞ야 두고

而之楚遊者ㅣ 比其反也ᄒᆞ야 則凍餒其妻子ᄒᆞ면

楚의 가 놀 者ㅣ 그 도라오매 밋처 그 妻子ᄅᆞᆯ 凍餒케 ᄒᆞ면

則如之何ㅣ리잇고

엇디ᄒᆞ리잇고

王曰 棄之니이다

王이 ᄀᆞᄅᆞ샤ᄃᆡ 棄ᄒᆞᆯ띠니이다

曰 士師ㅣ 不能治士ㅣ면 則如之何ㅣ리잇고

ᄀᆞᄅᆞ샤ᄃᆡ 士師ㅣ 能히 士ᄅᆞᆯ 治티 몯ᄒᆞ면 엇디ᄒᆞ리잇고

王曰 已之니이다

王이 ᄀᆞᄅᆞ샤ᄃᆡ 已ᄒᆞᆯ띠니아디

曰 四境之內不治면 則如之何ㅣ리잇고

ᄀᆞᄅᆞ샤ᄃᆡ 四境의 안히 다ᄉᆞ리디 몯ᄒᆞ면 엇디ᄒᆞ리잇고

王이 顧左右而言他ᄒᆞ시다

王이 左右ᄅᆞᆯ 도라 보시고 他ᄅᆞᆯ 言ᄒᆞ시다

孟子ㅣ 見齊宣王曰

孟子ㅣ 齊宣王을 보와 ᄀᆞᄅᆞ샤ᄃᆡ

所謂故國者ᄂᆞᆫ

닐온 밧 녯 나라히라 호ᄆᆞᆫ

非謂有喬木之謂也ㅣ라

喬木이 잇다 닐오미 아니라

有世臣之謂也ㅣ니

世臣이 이쇼ᄆᆞᆯ 닐오미니

王無親臣矣샷다

王이 親臣이 업스샷^다

昔者所進을 今日不知其亡也ㅣ온여

녜 進ᄒᆞᆫ 바ᄅᆞᆯ 오ᄂᆞᆯ 그 亡호ᄆᆞᆯ 아디 몯ᄒᆞ시고녀

王曰 吾何以識其不才而舍之리잇고

王이 ᄀᆞᄅᆞ샤ᄃᆡ 내 엇디 그 才티 몯ᄒᆞᆫ 줄을 아라 舍ᄒᆞ리잇고

曰 國君進賢호ᄃᆡ

ᄀᆞᄅᆞ샤ᄃᆡ 國君이 賢을 進호ᄃᆡ

如不得已니

시러곰 마디 몯ᄒᆞᆯ ᄃᆞ시 ᄒᆞᄂᆞ니

將使卑踰尊ᄒᆞ며

쟝ᄎᆞᆺ ᄒᆞ여곰 卑로 尊을 踰ᄒᆞ며

䟽踰戚이어니

䟽로 戚을 踰ᄒᆞᆯ띠어니

可不慎與잇가

可히 삼가디 아니리잇가

左右皆曰賢이라도 未可也ㅣ며

左右ㅣ 다 ᄀᆞᆯ오ᄃᆡ 賢타 ᄒᆞ야도 可티 아니며

諸大夫皆曰賢이라도 未可也ㅣ오

諸大夫ㅣ 다 ᄀᆞᆯ오ᄃᆡ 賢타 ᄒᆞ야도 可티 아니코

國人皆曰賢이라사

國人이 다 ᄀᆞᆯ오ᄃᆡ 賢타 ᄒᆞ야사

然後察之ᄒᆞ야 見賢焉 然後用之ᄒᆞ고

그런 後에 察ᄒᆞ야 賢호ᄆᆞᆯ 본 後에 ᄡᅳ고

左右皆曰不可ㅣ라도 勿聽ᄒᆞ며

左右ㅣ 다 ᄀᆞᆯ오ᄃᆡ 可티 아니타 ᄒᆞ야도 ^ 듯디 말며

諸大夫皆曰不可ㅣ라도 勿聽이오

諸大夫ㅣ 다 ᄀᆞᆯ오ᄃᆡ 可티 아니타 ᄒᆞ야도 듯디 말고

國人皆曰不可ㅣ라사

國人이 다 ᄀᆞᆯ오ᄃᆡ 可티 아니타 ᄒᆞ야사

然後察之ᄒᆞ야 見不可焉 然後去之니이다

그런 後에 察ᄒᆞ야 不可호ᄆᆞᆯ 본 後에 去ᄒᆞᆯ디니이다

左右皆曰可殺이라도 勿聽ᄒᆞ며

左右ㅣ 다 ᄀᆞᆯ오ᄃᆡ 可히 殺ᄒᆞᆯ 거시라 ᄒᆞ야도 듯디 말며

諸大夫皆曰可殺이라도 勿聽이오

諸大夫ㅣ 다 ᄀᆞᆯ오ᄃᆡ 可히 殺ᄒᆞᆯ 거시라 ᄒᆞ야도 듯디 말고

國人皆曰可殺이라사

國人이 다 ᄀᆞᆯ오ᄃᆡ 可히 殺ᄒᆞᆯ 거시라 ᄒᆞ야사

然後察之ᄒᆞ야 見可殺焉 然後殺之니

그런 後에 察ᄒᆞ야 可히 殺호ᄆᆞᆯ 본 後에 殺ᄒᆞᆯ띠니

故曰 國人殺之也ㅣ니이다

故로 ᄀᆞᆯ오ᄃᆡ 國人이 殺호미라 ᄒᆞᄂᆞ니이다

如此然後可以為民父母ㅣ리이다

이러ᄒᆞᆫ 後에 可히 ᄡᅥ 民의 父母ㅣ 되리이다

齊宣王이 問曰

齊宣王이 問ᄒᆞ야 ᄀᆞᄅᆞ샤ᄃᆡ

湯이 放桀ᄒᆞ시고 武王이 伐紂ㅣ라 ᄒᆞ니

湯이 桀을 放ᄒᆞ시고 武王이 紂ᄅᆞᆯ 伐ᄒᆞ시다 ᄒᆞ니

有諸잇가

잇ᄂᆞ니잇가

孟子ㅣ 對曰

孟^子ㅣ 對ᄒᆞ야 ᄀᆞᄅᆞ샤ᄃᆡ

於傳有之ᄒᆞ니이다

傳에 잇ᄂᆞ니이다

曰 臣弒其君이 可乎잇가

ᄀᆞᄅᆞ샤ᄃᆡ 신해 그 님금을 주기미 可ᄒᆞ니잇가

曰 賊仁者ᄅᆞᆯ 謂之賊이오

ᄀᆞᄅᆞ샤ᄃᆡ 仁을 賊ᄒᆞᄂᆞᆫ 者ᄅᆞᆯ 賊이라 니ᄅᆞ고

賊義者ᄅᆞᆯ 謂之殘이오

義ᄅᆞᆯ 賊ᄒᆞᄂᆞᆫ 者ᄅᆞᆯ 殘이라 니ᄅᆞ고

殘賊之人을 謂之一夫ㅣ니

殘賊읫 人을 一夫ㅣ라 니ᄅᆞᄂᆞ니

聞誅一夫紂矣오

一夫紂ᄅᆞᆯ 誅ᄒᆞ시다 듯고

未聞弒君也케이다

君을 弑호ᄆᆞᆫ 듯디 몯게이다

孟子ㅣ 見齊宣王曰

孟子ㅣ 齊宣王을 보와 ᄀᆞᄅᆞ샤ᄃᆡ

為巨室인댄 則必使工師求大木ᄒᆞ샤

큰 집을 ᄒᆞ실딘댄 반ᄃᆞ시 工師로 ᄒᆞ여곰 큰 남글 求ᄒᆞ라 ᄒᆞ샤

工師ㅣ 得大木ᄒᆞ면

工師ㅣ 큰 남글 어드면

則王이 喜ᄒᆞ샤 以為能勝其任也ㅣ라 ᄒᆞ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