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栗谷先生諺解 卷之一

  • 연대: 1749
  • 저자: 李珥 撰
  • 출처: 四書栗谷諺解 1~4
  • 출판: 홍문각
  • 최종수정: 2016-01-01

曰 然則王之所大欲을 可知已니

ᄀᆞᄅᆞ샤ᄃᆡ 그러면 王의 크게 欲ᄒᆞ시ᄂᆞᆫ 바ᄅᆞᆯ 可히 알디니

欲辟土地ᄒᆞ며 朝秦楚ᄒᆞ야

土地ᄅᆞᆯ 辟ᄒᆞ며 秦楚ᄅᆞᆯ 죠화 바다

莅中國 而撫四夷也ㅣ로소니

中國을 莅ᄒᆞ야 四夷ᄅᆞᆯ 撫코져 ᄒᆞ시노소니

以若所為로 求若所欲이면

이리 ᄒᆞᄂᆞᆫ 바로 ᄡᅥ 이리 欲ᄒᆞᄂᆞᆫ 바ᄅᆞᆯ 求ᄒᆞ면

猶緣木而求魚也ㅣ니이다

木을 緣ᄒᆞ야 魚ᄅᆞᆯ 求홈 ᄀᆞᆺᄐᆞ니이다

王曰 若是其甚與잇가

王이 ᄀᆞᄅᆞ샤ᄃᆡ 이ᄀᆞᆺ티 그 甚ᄒᆞ리잇가

曰 殆有甚焉ᄒᆞ니

ᄀᆞᄅᆞ샤ᄃᆡ 甚호미 잇ᄂᆞ니

緣木求魚ᄂᆞᆫ 雖不得魚ㅣ나

木을 緣ᄒᆞ야 魚ᄅᆞᆯ 求호ᄆᆞᆫ 비록 魚ᄅᆞᆯ 得디 몯ᄒᆞ나

無後災어니와

後災ㅣ 업거니와

以若所為로 求若所欲이면

이리 ᄒᆞᄂᆞᆫ 바로 ᄡᅥ 이리 欲ᄒᆞᄂᆞᆫ 바ᄅᆞᆯ 求ᄒᆞ면

盡心力而為之라도

心力을 다ᄒᆞ야 ᄒᆞᆯ디라도

後必有災ᄒᆞ리이다

後애 ^ 반ᄃᆞ시 災ㅣ 이시리이다

曰 可得聞與잇가

ᄀᆞᄅᆞ샤ᄃᆡ 可히 시러곰 드르리잇가

曰 鄒人與楚人戰이면

ᄀᆞᄅᆞ샤ᄃᆡ 鄒人이 楚人과 더브러 戰ᄒᆞ면

則王은 以為孰勝이리잇고

王은 ᄡᅥ 뉘 이긔리라 ᄒᆞ시리잇고

曰 楚人勝ᄒᆞ리이다

ᄀᆞᄅᆞ샤ᄃᆡ 楚人이 이긔리이다

曰 然則小固不可以敵大며

ᄀᆞᄅᆞ샤ᄃᆡ 그러면 小ᄒᆞ니 본ᄃᆡ 可히 ᄡᅥ 大ᄅᆞᆯ 敵디 몯ᄒᆞ며

寡固不可以敵衆이며

寡ᄒᆞ니 본ᄃᆡ 可히 ᄡᅥ 衆을 敵디 몯ᄒᆞ며

弱固不可以敵强이니

弱ᄒᆞ니 본ᄃᆡ 可히 ᄡᅥ 强을 敵디 몯ᄒᆞᆯ디니

海內之地ㅣ 方千里者九애 齊集有其一ᄒᆞ니

海內ㅅ ᄯᅡ히 方이 千里ᄒᆞᆫ 者ㅣ 아홉^애 齊ㅣ 모도아 그 ᄒᆞᆫ나ᄒᆞᆯ 두니

以一服八이 何以異於鄒敵楚哉리잇고

ᄒᆞᆫ나ᄒᆞ로 ᄡᅥ 여ᄃᆞᆲ을 服호미 엇디 ᄡᅥ 鄒ㅣ 楚ᄅᆞᆯ 敵홈과 다ᄅᆞ리잇고

蓋亦反其本矣니이다

ᄯᅩᄒᆞᆫ 그 本을 反ᄒᆞᆯ디니이다

今王이 發政施仁ᄒᆞ샤

이제 王이 政을 發ᄒᆞ야 仁을 施ᄒᆞ샤

使天下仕者ㅣ 皆欲立於王之朝ᄒᆞ며

ᄒᆞ여곰 天下의 仕ᄒᆞᄂᆞᆫ 者ㅣ 다 王의 朝애 立고져 ᄒᆞ며

耕者ㅣ 皆欲耕於王之野ᄒᆞ며

耕ᄒᆞᆫᄂᆞᆫ 者ㅣ 다 王의 野에 耕코져 ᄒᆞ며

商賈ㅣ 皆欲藏於王之市ᄒᆞ며

商賈ㅣ 다 王의 市예 藏코져 ᄒᆞ며

行旅ㅣ 皆欲出於王之塗캐 ᄒᆞ시면

行旅ㅣ 다 王의 途애 出케코져 ᄒᆞ시면

天下之欲疾其君者ㅣ 皆欲赴愬於王ᄒᆞ리니

天下의 그 君^을 疾코져 ᄒᆞᄂᆞᆫ 者ㅣ 다 王ᄭᅴ 赴ᄒᆞ야 愬코져 ᄒᆞ리니

其如是면 孰能禦之리잇고

그 이 ᄀᆞᆺᄐᆞ면 뉘 能히 禦ᄒᆞ리잇고

王曰 吾惛ᄒᆞ야

王이 ᄀᆞᄅᆞ샤ᄃᆡ 내 惛ᄒᆞ야

不能進於是矣로니

能히 이에 進티 몯ᄒᆞ노니

願夫子ᄂᆞᆫ 輔吾志ᄒᆞ샤

願컨댄 夫子ᄂᆞᆫ 내 ᄠᅳᆺ을 輔ᄒᆞ샤

明以教我ᄒᆞ쇼셔

ᄇᆞᆯ키 ᄡᅥ 나ᄅᆞᆯ ᄀᆞᄅᆞ치쇼셔

我雖不敏이나

내 비록 敏티 몯ᄒᆞ나

請嘗試之호리이다

請컨댄 맛보아 시험호리이다

曰 無恒產而有恒心者ᄂᆞᆫ 惟士為能이오

ᄀᆞᄅᆞ샤ᄃᆡ 恒産^이 업고 恒心을 두기ᄂᆞᆫ 오직 士ㅣ 能ᄒᆞ고

若民 則無恒產이면

만일 民은 恒産이 업스면

因無恒心ᄒᆞᄂᆞ니

因ᄒᆞ야 恒心이 업ᄂᆞ니

苟無恒心이면

진실로 恒心이 업스면

放辟邪侈ᄅᆞᆯ 無不為已리니

放辟ᄒᆞ며 邪侈호ᄆᆞᆯ ᄒᆞ디 아니미 업스리니

及陷於罪 然後從而刑之면

밋 罪예 陷ᄒᆞᆫ 後에 미조차 刑ᄒᆞ면

是罔民也ㅣ니

이ᄂᆞᆫ 民을 罔호미니

焉有仁人在位ᄒᆞ야

어ᄃᆡ 가 仁人이 位예 이셔

罔民而可為也ㅣ리잇고

民을 罔ᄒᆞ기ᄅᆞᆯ 可히 ᄒᆞ리잇고

是故明君은 制民之產호ᄃᆡ

이런 故로 明君은 民의 産을 制호ᄃᆡ

必使仰足以事父母ᄒᆞ며

반ᄃᆞ시 ᄒᆞ여곰 우러러 足히 ᄡᅥ 父母ᄅᆞᆯ 셤기며

俯足以畜妻子ᄒᆞ야

구버 足히 ᄡᅥ 妻子ᄅᆞᆯ 쳐

樂歲예 終身飽ᄒᆞ고

樂歲예 몸이 ᄆᆞᆺ도록 飽^ᄒᆞ고

凶年에 免於死亡케 ᄒᆞᄂᆞ니

凶年의 死亡의 免케 ᄒᆞᄂᆞ니

然後驅而之善이라

그린 後에 모라 善의 가ᄂᆞᆫ디라

故民之從之也ㅣ 輕ᄒᆞ니이다

故로 民의 좃기 쉬오니이다

今也制民之產호ᄃᆡ

이제 民의 産을 制호ᄃᆡ

仰不足以事父母ᄒᆞ며

우러러 足히 ᄡᅥ 父母ᄅᆞᆯ 셤기디 몯ᄒᆞ며

俯不足以畜妻子ᄒᆞ야

구버 足히 ᄡᅥ 妻子ᄅᆞᆯ 치디 몯ᄒᆞ야

樂歲예 終身苦ᄒᆞ고

樂歲예 몸이 ᄆᆞᆺ도록 괴롭고

凶年의 不免於死亡케 ᄒᆞᄂᆞ니

凶年에 死亡의 免티 몯게 ᄒᆞᄂᆞ니

此惟救死而恐不贍이어니

이ᄂᆞᆫ 오직 죽기 救홈도 贍티 몯ᄒᆞᆯ가 저커니

奚暇治禮義哉리잇고

어느 겨르레 禮義ᄅᆞᆯ 다ᄉᆞ리리잇고

王欲行之어시든

王이 行코져 ᄒᆞ거시든

則盍反其本矣니잇고

엇디 그 本^을 反티 아니시ᄂᆞ니잇고

五畝之宅에 樹之以桑이면

五 畝ㅅ 집의 桑으로 ᄡᅥ 시므면

五十者ㅣ 可以衣帛矣며

五十者ㅣ 可히 ᄡᅥ 帛을 니브며

雞豚狗彘之畜을 無失其時면

鷄와 豚과 狗와 彘의 치기ᄅᆞᆯ 그 時ᄅᆞᆯ 일티 아니면

七十者ㅣ 可以食肉矣며

七十者ㅣ 可히 ᄡᅥ 肉을 먹으며

百畝之田을 勿奪其時면

百 畝ㅅ 田을 그 時ᄅᆞᆯ 앗디 말면

八口之家ㅣ 可以無飢矣며

八口ㅅ 집이 ^ 可히 ᄡᅥ 飢호미 업스며

謹庠序之教ᄒᆞ야

庠序의 敎ᄅᆞᆯ 삼가

申之以孝悌之義면

孝悌의 義로 ᄡᅥ 申ᄒᆞ면

頒白者ㅣ 不負戴於道路矣리니

頒白ᄒᆞᆫ 者ㅣ 道路의 負載티 아니ᄒᆞ리니

老者衣帛食肉ᄒᆞ며

老者ㅣ 帛을 니브며 肉을 먹으며

黎民不飢不寒이오

黎民이 飢티 아니며 寒티 아니코

然而不王者ㅣ 未之有也ㅣ니이다

그러코 王티 몯ᄒᆞᆯ 者ㅣ 잇디 아니니이다

梁惠王 下

莊暴ㅣ 見孟子曰

莊暴ㅣ 孟子ᄅᆞᆯ 보와 ᄀᆞᆯ오ᄃᆡ

暴ㅣ 見於王ᄒᆞ니

暴ㅣ 王ᄭᅴ 뵈ᄋᆞ오니

王이 語暴以好樂이어시ᄂᆞᆯ

王이 暴 ᄃᆞ려 樂 됴히 녀기모로 ᄡᅥ 니ᄅᆞ거시ᄂᆞᆯ

暴ㅣ 未有以對也호니

暴ㅣ ᄡᅥ 對호ᄆᆞᆯ 두디 몯호니

曰 好樂이 何如ᄒᆞ니잇고

ᄀᆞᆯ온 樂 됴히 녀기미 엇더ᄒᆞ니잇고

孟子曰 王之好樂이 甚이면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王의 樂 됴히 녀기시미 甚^ᄒᆞ면

則齊國이 其庶幾乎ᅟᅵᆫ뎌

齊ㅅ나라히 그 거읜뎌

他日에 見於王曰

다ᄅᆞᆫ 날애 王ᄭᅴ 뵈ᄋᆞ와 ᄀᆞᄅᆞ샤ᄃᆡ

王이 嘗語莊子以好樂이라ᄒᆞ니 有諸잇가

王이 일즉 莊子 ᄃᆞ려 樂 됴히 녀기모로 ᄡᅥ 니르시다 ᄒᆞ니 잇ᄂᆞ니잇가

王이 變乎色曰

王이 ^ 色을 變ᄒᆞ야 ᄀᆞᄅᆞ샤ᄃᆡ

寡人이 非能好先王之樂也ㅣ라

寡人이 能히 先王의 樂을 됴히 녀기미 아니라

直好世俗之樂耳로이다

다ᄆᆞᆫ 世俗의 樂을 됴히 녀기노이다

曰 王之好樂이 甚이면

ᄀᆞᄅᆞ샤ᄃᆡ 王의 樂 됴히 녀기시미 甚ᄒᆞ면

則齊其庶幾乎ᅟᅵᆫ뎌

齊ㅣ 그 거읜뎌

今之樂이 由古之樂也ㅣ니이다

이제 樂이 녜 樂 ᄀᆞᆺᄐᆞ니이다

曰 可得聞與잇가

ᄀᆞᄅᆞ샤ᄃᆡ 可히 시러곰 드ᄅᆞ리잇가

曰 獨樂樂과 與人樂樂이

ᄀᆞᄅᆞ샤ᄃᆡ 혼자 樂호믜 즐거옴과 사ᄅᆞᆷ 더브러 樂호믜 즐거옴미

孰樂이리잇고

어ᄂᆡ야 즐거우리잇고

曰 不若與人이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