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栗谷先生諺解 卷之一

  • 연대: 1749
  • 저자: 李珥 撰
  • 출처: 四書栗谷諺解 1~4
  • 출판: 홍문각
  • 최종수정: 2016-01-01

作之君 作之師ᄂᆞᆫ

君을 作ᄒᆞ며 師ᄅᆞᆯ 作ᄒᆞ샤ᄆᆞᆫ

惟曰 其助上帝라

오직 ᄀᆞᆯ온 그 上帝ᄅᆞᆯ 돕ᄂᆞᆫ디라

寵之四方이시니

四方의 寵호미시니

有罪無罪예

罪 이시며 罪 업ᄉᆞ매

惟我在커니

오직 내 잇거니

天下ㅣ 曷敢有越厥志리오 ᄒᆞ니

天下ㅣ 엇디 敢히 그 ᄠᅳᆺ을 넘구리 이시료 ᄒᆞ니

一人衡行於天下ᄅᆞᆯ 武王이 恥之ᄒᆞ시니

ᄒᆞᆫ 사ᄅᆞᆷ이나 天下의 衡行호ᄆᆞᆯ 武王이 붓그리시니

此ᄂᆞᆫ 武王之勇也ㅣ시니

이ᄂᆞᆫ 武王의 勇이시니

而武王이 亦一怒而安天下之民ᄒᆞ시니이다

武王이 ᄯᅩᄒᆞᆫ ᄒᆞᆫ 번 怒ᄒᆞ시매 天下의 民을 편안케 ᄒᆞ시니이다

今王이 亦一怒而安天下之民ᄒᆞ시면

이제 王이 ᄯᅩᄒᆞᆫ ᄒᆞᆫ 번 怒호매 天下의 民을 편안케 ᄒᆞ시면

民이 惟恐王之不好勇也ㅣ리이다

民이 오직 ^ 王이 勇을 好티 아니실가 저흐리이다

齊宣王이 見孟子於雪宮이러시니

齊宣王이 孟子ᄅᆞᆯ 雪宮의셔 보더시니

王曰 賢者도 亦有此樂乎잇가

王이 ᄀᆞᄅᆞ샤ᄃᆡ 어딘 者도 ᄯᅩᄒᆞᆫ 이 樂을 둣ᄂᆞ니잇가

孟子ㅣ 對曰

孟子^ㅣ 對ᄒᆞ야 ᄀᆞᄅᆞ샤ᄃᆡ

有ᄒᆞ니

둣ᄂᆞ니

人不得이면

人이 得디 몯ᄒᆞ면

則非其上矣니이다

그 上을 외게 녀기ᄂᆞ니이다

不得而非上者도 非也ㅣ며

得디 몯ᄒᆞ야 그 上을 외게 녀기ᄂᆞᆫ 者도 외며

為民上而不與民同樂者도 亦非也ㅣ니이다

民上이 되여 民과 더브러 ᄒᆞᆫ가지로 즐기디 아닛ᄂᆞᆫ 者도 ᄯᅩᄒᆞᆫ 외니이다

樂民之樂者ᄂᆞᆫ 民亦樂其樂ᄒᆞ고

民의 樂을 樂ᄒᆞᄂᆞᆫ 者ᄂᆞᆫ 民이 ᄯᅩ 그 樂을 樂ᄒᆞ고

憂民之憂者ᄂᆞᆫ 民亦憂其憂ᄒᆞᄂᆞ니

民의 憂ᄅᆞᆯ 憂ᄒᆞᄂᆞᆫ 者ᄂᆞᆫ 民이 ᄯᅩ 그 憂ᄅᆞᆯ 憂ᄒᆞᄂᆞ니

樂以天下ᄒᆞ며

樂을 天下로 ᄡᅥ ᄒᆞ며

憂以天下ㅣ오

憂ᄅᆞᆯ 天下로 ᄡᅥ ᄒᆞ고

然而不王者ㅣ 未之有也ㅣ니이다

그리코 王티 몯^ᄒᆞᆯ 者ㅣ 잇디 아니니이다

昔者齊景公이 問於晏子曰

녜 齊景公이 晏子ᄃᆞ려 問ᄒᆞ야 ᄀᆞᄅᆞ샤ᄃᆡ

吾欲觀於轉附朝儛ᄒᆞ고

내 轉附와 朝儛의 가 놀고

遵海而南ᄒᆞ야

海ᄅᆞᆯ 遵ᄒᆞ야 南ᄒᆞ야

放于琅邪ᄒᆞ노니

琅邪의 니르고져 ᄒᆞ노니

吾ㅣ 何修而可以比於先王觀也오

내 엇디 닷가^야 可히 ᄡᅥ 先王의 노ᄅᆞ시매 比ᄒᆞ료

晏子ㅣ 對曰

晏子ㅣ 對ᄒᆞ야 ᄀᆞᆯ오ᄃᆡ

善哉問也ㅣ여

善ᄒᆞ다 므르시미여

天子適諸侯曰巡狩ㅣ니

天子ㅣ 諸侯의게 適호ᄆᆞᆯ ᄀᆞᆯ온 巡狩ㅣ니

巡狩者ᄂᆞᆫ 巡所守也ㅣ오

巡狩ᄂᆞᆫ 守ᄒᆞᆫ 바의 巡호미오

諸侯朝於天子曰述職이니

諸侯ㅣ 天子ᄭᅴ 朝호ᄆᆞᆯ ᄀᆞᆯ온 述職이니

述職者ᄂᆞᆫ 述所職也ㅣ라

述職은 職ᄒᆞᆫ 바ᄅᆞᆯ 述호미라

無非事者ㅣ오

事 아니미 업고

春省耕而補不足ᄒᆞ며

春에 耕을 省ᄒᆞ야 不足을 補ᄒᆞ며

秋省歛而助不給이러시니

秋의 斂을 省ᄒᆞ야 不給을 助ᄒᆞ더시니

夏諺曰

夏諺의 ᄀᆞᆯ오ᄃᆡ

吾王不遊ㅣ면

우리 王이 遊티 아니ᄒᆞ시면

吾何以休ㅣ며

우리 엇디 ᄡᅥ 休ᄒᆞ며

吾王不豫면

우리 王이 豫티 아니ᄒᆞ시면

吾何以助ㅣ리오

우리ᄅᆞᆯ 엇디 ᄡᅥ 助ᄒᆞ리오

一遊一豫ㅣ 為諸侯度ㅣ라 ᄒᆞ니이다

ᄒᆞᆫ 번 遊ᄒᆞ시며 ᄒᆞᆫ 번 豫ᄒᆞ샤미 諸侯의 度ㅣ 되다 ᄒᆞ니이다

今也不然ᄒᆞ야

이제ᄂᆞᆫ 그러티 몯ᄒᆞ야

師行而糧食애

師ㅣ 行ᄒᆞ며 糧을 食호매

飢者弗食ᄒᆞ며

飢ᄒᆞᆫ 者ㅣ 食디 몯ᄒᆞ며

勞者弗息ᄒᆞ야

勞ᄒᆞᆫ 者ㅣ 息디 몯ᄒᆞ야

睊睊胥讒ᄒᆞ야

睊睊ᄒᆞ야 서ᄅᆞ ᄭᅮ지저

民乃作慝이어늘

民이 이에 慝을 作ᄒᆞ거ᄂᆞᆯ

方命虐民ᄒᆞ야

命을 方ᄒᆞ며 民^을 虐ᄒᆞ야

飲食若流ᄒᆞ며

飮食을 흐르기ᄀᆞᆺ티 ᄒᆞ며

流連荒亡ᄒᆞ야

流ᄒᆞ며 連ᄒᆞ며 荒ᄒᆞ며 亡ᄒᆞ야

為諸侯憂ᄒᆞᄂᆞ니이다

諸侯의 근심이 되ᄂᆞ니이다

從流下而忘反을 謂之流ㅣ오

流ᄅᆞᆯ 조차 ᄂᆞ려 反을 니조ᄆᆞᆯ 流ㅣ라 니ᄅᆞ고

從流上而忘反을 謂之連이오

流ᄅᆞᆯ 조차 올라 反을 니조^ᄆᆞᆯ 連이라 니ᄅᆞ고

從獸無厭을 謂之荒이오

獸ᄅᆞᆯ 從ᄒᆞ야 厭호미 업소ᄆᆞᆯ 荒이라 니ᄅᆞ고

樂酒無厭을 謂之亡이니

酒ᄅᆞᆯ 樂ᄒᆞ야 厭호미 업소ᄆᆞᆯ 亡이라 니ᄅᆞᄂᆞ니

先王은 無流連之樂과 荒亡之行이러시니

先王은 流連의 樂과 荒亡의 行이 업더시니

惟君所行也ㅣ니이다

오직 君의 行ᄒᆞ실 ᄲᅢ니이다

景公이 說ᄒᆞ샤

景公이 깃그샤

大戒於國ᄒᆞ시고

크게 나라ᄒᆡ 戒ᄒᆞ시고

出舍於郊ᄒᆞ야

郊의 出舍ᄒᆞ샤

於是始興發ᄒᆞ야

이에 비로소 ^ 興發ᄒᆞ야

補不足ᄒᆞ시고

不足을 補ᄒᆞ시고

召太師曰

大師ᄅᆞᆯ 블러 ᄀᆞᄅᆞ샤ᄃᆡ

為我作君臣相說之樂ᄒᆞ라 ᄒᆞ시니

나ᄅᆞᆯ 為ᄒᆞ야 君臣이 서르 說ᄒᆞᄂᆞᆫ 樂을 지으라 ᄒᆞ시니

蓋微招角招是也ㅣ니

徵招와 角招ㅣ 이니

其詩曰

그 詩예 ᄀᆞᆯ오ᄃᆡ

畜君何尤ㅣ리오 ᄒᆞ니

君을 畜호미 므슴 허믈이리오 ᄒᆞ니

畜君者ᄂᆞᆫ 好君也ㅣ니이다

君을 畜호ᄆᆞᆫ 君을 好호미니이다

齊宣王이 問曰

齊宣王이 問ᄒᆞ야 ᄀᆞᄅᆞ샤ᄃᆡ

人皆謂我毀明堂이라 ᄒᆞᄂᆞ니

人이 다 날ᄃᆞ려 닐오ᄃᆡ 明堂을 헐ᄭᅥ시라 ᄒᆞᄂᆞ니

毀諸잇가 已乎잇가

헐리잇가 말리잇가

孟子ㅣ 對曰

孟子ㅣ 對ᄒᆞ야 ᄀᆞᄅᆞ샤ᄃᆡ

夫明堂者ᄂᆞᆫ 王者之堂也ㅣ니

明堂은 王者의 堂이니

王欲行王政이어시든

王이 王政을 行코져 ᄒᆞ거시든

則勿毀之矣쇼셔

허디 마ᄅᆞ쇼^셔

王曰

王이 ᄀᆞᄅᆞ샤ᄃᆡ

王政을 可得聞與잇가

王政을 可히 어더 드르리잇가

對曰

對ᄒᆞ야 ᄀᆞᄅᆞ샤ᄃᆡ

昔者文王之治岐也애 耕者九一ᄒᆞ며

녜 文王이 岐ᄅᆞᆯ 다ᄉᆞ리실 제 耕ᄒᆞᄂᆞᆫ 者ᄅᆞᆯ 九애 一을 ᄒᆞ며

仕者世祿ᄒᆞ며

仕ᄒᆞᄂᆞᆫ 者ᄅᆞᆯ 世로 祿ᄒᆞ며

關市譏而不征ᄒᆞ며

關과 市ᄅᆞᆯ 譏코 征티 아니ᄒᆞ며

澤梁無禁ᄒᆞ며

澤과 梁애 禁^이 업스며

罪人不孥ㅣ러시니

罪人을 孥티 아니터시니

老而無妻曰鰥이오

老코 妻 업소ᄆᆞᆯ ᄀᆞᆯ온 鰥이오

老而無夫曰寡ㅣ오

老코 夫 업소ᄆᆞᆯ ᄀᆞᆯ온 寡ㅣ오

老而無子曰獨이오

老코 子 업소ᄆᆞᆯ ᄀᆞᆯ온 獨이오

幼而無父曰孤ㅣ니

幼코 父 업소ᄆᆞᆯ ᄀᆞᆯ온 孤ㅣ니

此四者ᄂᆞᆫ 天下之窮民而無告者ㅣ라

이 네 ᄒᆞᆫ 天下의 窮ᄒᆞᆫ 民이 告ᄒᆞᆯ ᄃᆡ 업슨 者ᅟᅵᆫ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