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栗谷先生諺解 卷之三

  • 연대: 1749
  • 저자: 李珥 撰
  • 출처: 四書栗谷諺解 1~4
  • 출판: 홍문각
  • 최종수정: 2016-01-01

不以泰乎잇가

너무 泰티 아니ᄒᆞ니잇가

孟子曰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非其道ᅟᅵᆫ댄

그 道ㅣ 아닌댄

則一簞食ㅣ라도 不可受於人이어니와

ᄒᆞᆫ 簞 밥이라도 可히 人의게 밧디 몯ᄒᆞ려니와

如其道ᅟᅵᆫ댄

만일 그 道ᅟᅵᆫ댄

則舜이 受堯之天下ᄒᆞ샤ᄃᆡ 不以爲泰ᄒᆞ시니

舜이 堯의 天下ᄅᆞᆯ 바드샤ᄃᆡ ᄡᅥ 泰히 아니 녀기시니

子以爲泰乎아

子ᄂᆞᆫ ᄡᅥ 泰타 ᄒᆞᄂᆞ냐

曰 否ㅣ라

ᄀᆞᆯ오ᄃᆡ 否ㅣ라

士ㅣ 無事而食이 不可也ㅣ니이다

士ㅣ 事 업시 食홈이 可티 아니ᄒᆞ니이다

曰 子不通功易事ᄒᆞ야

ᄀᆞᄅᆞ샤ᄃᆡ 子ㅣ 功을 通ᄒᆞ며 事ᄅᆞᆯ 易ᄒᆞ야

以羡補不足이면

羡으로 ᄡᅥ 不足을 補티 아니ᄒᆞ면

則農有餘粟ᄒᆞ며 女有餘布ㅣ어니와

農이 餘粟을 두며 女ㅣ 餘布ᄅᆞᆯ 두려니와

子如通之ᅟᅵᆫ댄 則梓匠輪輿ㅣ 皆得食於子ᄒᆞ리니

子ㅣ 만일 通ᄒᆞ면 梓匠輪輿ㅣ 다 시러곰 子의게 食ᄒᆞ리니

於此有人焉ᄒᆞ니

이에 人이 이시니

入則孝ᄒᆞ고 出則悌ᄒᆞ며

들면 孝ᄒᆞ고 나면 悌ᄒᆞ며

守先王之道ᄒᆞ야 以待後之學者ᄒᆞ며

先王의 道ᄅᆞᆯ 지킈여 ᄡᅥ 後이 學者ᄅᆞᆯ 待ᄒᆞ며

而不得食於子ㅣ로소니

子의게 시러곰 食디 몯ᄒᆞ리로소니

子ㅣ 何尊梓匠輪輿ᄒᆞ고 而輕爲仁義者哉오

子ㅣ 엇디 梓匠^輪輿ㅣ란 尊ᄒᆞ고 仁義ᄒᆞᄂᆞᆫ 者ᄅᆞᆯ 가ᄇᆡ야이 녀기ᄂᆞ뇨

曰 梓匠輪輿ᄂᆞᆫ 其志將以求食也ㅣ어니와

ᄀᆞᆯ오ᄃᆡ 梓匠輪輿ᄂᆞᆫ 그 ᄠᅳᆺ이 쟝ᄎᆞᆺ ᄡᅥ 食을 求ᄒᆞ려커니와

君子之爲道也도 其志亦將以求食與잇가

君子의 道ᄒᆞ기도 ᄯᅩᄒᆞᆫ 쟝ᄎᆞᆺ ᄡᅥ 食을 求ᄒᆞ렷ᄂᆞ잇가

曰 子何以其志爲哉오

ᄀᆞᄅᆞ샤ᄃᆡ 子ㅣ 엇디 ᄡᅥ 그 ᄠᅳᆺ으로 ᄒᆞ리오

其有功於子ᄒᆞ야 可食而食之矣니라

그 子의게 功이 이셔 可히 食ᄒᆞ얌즉거든 食ᄒᆞᆯ디니라

且子ᄂᆞᆫ 食志乎아 食功乎아

ᄯᅩ 子ᄂᆞᆫ 志ᄅᆞᆯ 食ᄒᆞ랴 功을 食ᄒᆞ랴

曰 食志니이다

ᄀᆞᆯ오ᄃᆡ 志ᄅᆞᆯ 食ᄒᆞᆯ디니이다

曰 有人於此ᄒᆞ니

ᄀᆞᄅᆞ샤ᄃᆡ 이에 人이 이시니

毁瓦畫墁이오

瓦ᄅᆞᆯ 毁ᄒᆞ며 墁을 畫ᄒᆞ고

其志將以求食也ᅟᅵᆫ댄 則子食之乎아

그 ᄠᅳᆺ이 쟝ᄎᆞᆺ ᄡᅥ 食을 求ᄒᆞ려 ᄒᆞᆯ딘댄 子ㅣ食ᄒᆞ랴

曰 否이다

ᄀᆞᆯ오ᄃᆡ 否이다

曰 然則子非食志也ㅣ라 食功也ㅣ로다

ᄀᆞᄅᆞ샤ᄃᆡ 그러면 子ㅣ 志ᄅᆞᆯ 食홈이 아니라 功을 食홈이로다

萬章이 問曰 宋은 小國也ㅣ니

萬章이 問ᄒᆞ야 ᄀᆞᆯ오ᄃᆡ 宋은 져근 나라이니

今將行王政이어ᄂᆞᆯ

이제 쟝ᄎᆞᆺ 王政을 行호려커ᄂᆞᆯ

齊楚ㅣ 惡而伐之ᄒᆞᄂᆞ니 則如之何ㅣ리잇고

齊와 楚ㅣ 아쳐ᄒᆞ야 치ᄂᆞ니 엇디리잇고

孟子曰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湯이 居亳에 與葛爲鄰이러시니

湯이 亳에 居ᄒᆞ심애 葛로 더브러 鄰이 되엿더시니

葛伯이 放而不祀ㅣ어ᄂᆞᆯ

葛伯이 放ᄒᆞ야 祀티 아니커ᄂᆞᆯ

湯이 使人問之曰

湯이 사ᄅᆞᆷ 브려 므러 ᄀᆞᄅᆞ샤ᄃᆡ

何爲不祀오

엇디 祀티 아닛ᄂᆞ뇨

曰 無以供犧牲也ㅣ로이다

ᄀᆞᆯ오ᄃᆡ ᄡᅥ 犧牲을 供홈이 업소이다

湯이 使遺之牛羊ᄒᆞ신대

湯이 ᄒᆡ여곰 牛^羊을 주신대

葛伯이 食之ᄒᆞ고 又不以祀ㅣ어ᄂᆞᆯ

葛伯이 食ᄒᆞ고 ᄯᅩ ᄡᅥ 祀티 아니커ᄂᆞᆯ

湯이 又使人問之曰

湯이 ᄯᅩ 사ᄅᆞᆷ 브려 므로 ᄀᆞᄅᆞ샤ᄃᆡ

何爲不祀오

엇디 祀티 아닛ᄂᆞ뇨

曰 無以供粢盛也ㅣ로이다

ᄀᆞᆯ오ᄃᆡ ᄡᅥ 秶盛을 供홈이 업소이다

湯이 使亳衆往爲之耕ᄒᆞ시니

湯이 亳衆을 브려 가 爲ᄒᆞ야 耕ᄒᆞ라 ᄒᆞ시니

老弱이 饋食ㅣ어ᄂᆞᆯ

老弱이 食ᄅᆞᆯ 饋ᄒᆞ거ᄂᆞᆯ

葛伯이 師其民ᄒᆞ야

葛伯이 그 民을 師ᄒᆞ야

要其有酒食黍稻者奪之호ᄃᆡ

그 酒食ㅣ며 黍稻 둣ᄂᆞᆫ 者ᄅᆞᆯ 要ᄒᆞ야 奪호ᄃᆡ

不授者殺之리니

주지 아닛ᄂᆞᆫ 者ᄅᆞᆯ 주기더디

有童子ㅣ 以黍肉餉이어ᄂᆞᆯ

童子ㅣ 黍와 肉으^로 ᄡᅥ 餉ᄒᆞ리 잇거ᄂᆞᆯ

殺而奪之ᄒᆞ니

주기고 奪ᄒᆞ니

書曰 葛伯仇餉이라 ᄒᆞ니

書에 ᄀᆞᆯ오ᄃᆡ 葛伯이 餉을 仇ᄒᆞ다 ᄒᆞ니

此之謂也ㅣ니라

이ᄅᆞᆯ 닐옴이니라

爲其殺是童子而征之ᄒᆞ신대

그 이 童子 주기믈 爲ᄒᆞ야 征ᄒᆞ신대

四海之內ㅣ 皆曰

四海 안히 다 ᄀᆞᆯ오ᄃᆡ

非富天下也ㅣ라

天下ᄅᆞᆯ 富히 녀기미 아니라

爲匹夫匹婦復讎也ㅣ라 ᄒᆞ니라

匹夫ㅣ며 ^ 匹婦ᄅᆞᆯ 爲ᄒᆞ야 讐ᄅᆞᆯ 復홈이라 ᄒᆞ니라

湯이 始征 自葛載ᄒᆞ샤

湯이 처음으로 征홈을 葛브터 시작ᄒᆞ샤

十一征而無敵於天下ᄒᆞ니

열ᄒᆞᆫ 번 征ᄒᆞ시매 天下에 敵이 업스니

東面而征애 西夷ㅣ 怨ᄒᆞ며

東面ᄒᆞ야 征ᄒᆞ시매 西夷ㅣ 원망ᄒᆞ며

南面而征애 北狄이 怨ᄒᆞ야 曰

南面ᄒᆞ야 征ᄒᆞ시매 北狄이 원망ᄒᆞ야 ᄀᆞᆯ오ᄃᆡ

奚爲後我오 ᄒᆞ야

엇디 우리게 後ᄒᆞ시뇨 ᄒᆞ야

民之望之ㅣ 若大早之望雨也ᄒᆞ야

民의 ᄇᆞ라기 큰 ᄀᆞ믈에 비 ᄇᆞ라기 ᄀᆞᆺᄐᆞ야

歸市者弗止ᄒᆞ며

市^예 가ᄂᆞᆫ 者ㅣ 止티 아니ᄒᆞ며

芸者不變이어ᄂᆞᆯ

芸ᄒᆞᄂᆞᆫ 者ㅣ 變티 아니커ᄂᆞᆯ

誅其君 弔其民ᄒᆞ신대

그 君을 誅ᄒᆞ시고 그 民을 弔ᄒᆞ신대

如時雨降ᄒᆞ야 民大悅ᄒᆞ니

時雨ㅣ 降홈 ᄀᆞᆺᄐᆞ야 民이 크게 깃거ᄒᆞ니

書曰 徯我后ᄒᆞ노소니

書에 ᄀᆞᆯ오ᄃᆡ 우리 님금을 기ᄃᆞ리노소니

后來其無罰가 ᄒᆞ니라

님금이 오시면 그 罰이 업스랴 ᄒᆞ니라

有攸不爲臣이어ᄂᆞᆯ

臣이 되디 아닛ᄂᆞᆫ 배 잇거ᄂᆞᆯ

東征ᄒᆞ샤 綏厥士女ᄒᆞ신대

東으로 征ᄒᆞ샤 그 士女ᄅᆞᆯ 綏ᄒᆞ신대

匪厥玄黃ᄒᆞ야

그 玄黃을 匪ᄒᆞ야

紹我周王見休ᄒᆞ야

우리 周王을 紹ᄒᆞ야

惟臣附于大邑周ㅣ라 ᄒᆞ니

休홈을 보아 大邑周^에 臣ᄒᆞ야 附ᄒᆞ다 ᄒᆞ니

其君子ᄂᆞᆫ 實玄黃于匪ᄒᆞ야 以迎其君子ᄒᆞ고

그 君子ᄂᆞᆫ 玄黃을 匪예 實ᄒᆞ야 ᄡᅥ 그 君子ᄅᆞᆯ 맛고

其小人은 簞食壺漿으로 以迎其小人은

그 小人은 簞食와 壺漿으로 ᄡᅥ 그 小人을 마ᄌᆞ믄

救民於水火之中ᄒᆞ야

民을 水火ㅅ 가온대 救ᄒᆞ야

取其殘而已矣ᅟᅵᆯᄉᆡ니라

그 殘을 取ᄒᆞ실 ᄯᆞᄅᆞᆷ일ᄉᆡ니라

太誓曰 我武惟揚ᄒᆞ야 侵于之疆ᄒᆞ야

太誓에 ᄀᆞᆯ오ᄃᆡ 우리 武ᄅᆞᆯ 揚ᄒᆞ야 뎌 彊을 侵ᄒᆞ야

則取于殘ᄒᆞ야 殺伐用張ᄒᆞ면

殘을 取ᄒᆞ야 殺伐이 ᄡᅥ 張ᄒᆞ면

于湯有光이라 ᄒᆞ니라

湯ᄭᅴ 光이 이시리라 ᄒᆞ니라

不行王政云爾니

王政을 行티 몯ᄒᆞᆯᄉᆡ니

苟行王政이면

진실로 王^政을 行ᄒᆞ면

四海之內ㅣ 皆舉首而望之ᄒᆞ야 欲以爲君ᄒᆞ리니

四海 안히 다 머리ᄅᆞᆯ 드러 ᄇᆞ라 ᄡᅥ 님금을 삼고져 ᄒᆞ리니

齊楚雖大ᅟᅵᆫᄃᆞᆯ 何畏焉이리오

齊楚ㅣ 비록 큰ᄃᆞᆯ 므서시 저프리오

孟子ㅣ 謂戴不勝曰

孟子ㅣ 載不勝ᄃᆞ려 닐러 ᄀᆞᄅᆞ샤ᄃᆡ

子欲子之王之善與아

子ㅣ 子의 王의 善ᄒᆞ샴을 欲ᄒᆞᄂᆞᆫ다

我ㅣ 明告子호리라

내 ᄇᆞᆯ기 子ᄃᆞ려 告호리라

有楚大夫於此ᄒᆞ니

楚大夫ㅣ 이에 이시니

欲其子之齊語也ᅟᅵᆫ댄

그 아^ᄃᆞᆯ의 齊ㅅ 말 홈을 欲ᄒᆞᆯ딘댄

則使齊人傳諸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