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栗谷先生諺解 卷之三

  • 연대: 1749
  • 저자: 李珥 撰
  • 출처: 四書栗谷諺解 1~4
  • 출판: 홍문각
  • 최종수정: 2016-01-01

勇士ᄂᆞᆫ 不忘喪其元이라 ᄒᆞ시니

勇士ᄂᆞᆫ 그 元을 喪호믈 닛디 아니타 ᄒᆞ시니

孔子ᄂᆞᆫ 奚取焉고

孔子ᄂᆞᆫ 므서^슬 取ᄒᆞ시뇨

取非其招不往也ㅣ시니

그 招ㅣ 아니어ᄂᆞᆯ 가디 아니호믈 取ᄒᆞ시니

如不待其招而往은 何哉오

만일 그 招ᄅᆞᆯ 기ᄃᆞ리디 아녀 가믄 엇디오

且夫枉尺而直尋者ᄂᆞᆫ 以利言也ㅣ니

ᄯᅩ 尺을 枉ᄒᆞ고 尋을 直호믄 利로 ᄡᅥ 니름이니

如以利ᅟᅵᆫ댄

만일 利로 ᄡᅳᆯ딘댄

則枉尋直尺而利라도

尋을 枉ᄒᆞ고 尺을 直ᄒᆞ야 利ᄒᆞᆯ^디라도

亦可爲與아

ᄯᅩᄒᆞᆫ 可히 ᄒᆞ랴

昔者趙簡子ㅣ 使王良與嬖奚乘ᄒᆞᆫ대

녜 趙簡子ㅣ 王良으로 ᄒᆡ여곰 嬖奚로 더브러 乘ᄒᆞᆫ대

終日而不獲一禽ᄒᆞ고

날이 ᄆᆞᆺ도록 ᄒᆞᆫ 禽을 獲디 몯ᄒᆞ고

嬖奚ㅣ 反命曰

嬖奚^ㅣ 命을 反ᄒᆞ야 ᄀᆞᆯ오ᄃᆡ

天下之賤工也ㅣ라 ᄒᆞ야ᄂᆞᆯ

天下에 賤ᄒᆞᆫ 工이라 ᄒᆞ야ᄂᆞᆯ

或이 以告王良ᄒᆞ대

或이 ᄡᅥ 王良ᄃᆞ려 告ᄒᆞᆫ대

良曰 請復之라 ᄒᆞ야

良이 ᄀᆞᆯ오ᄃᆡ 請컨댄 다시 ᄒᆞ야지라 ᄒᆞ야

彊而後可ㅣ어ᄂᆞᆯ

彊ᄒᆞᆫ 後에 可타 ᄒᆞ야ᄂᆞᆯ

一朝而獲十禽ᄒᆞ니

ᄒᆞᄅᆞ 아ᄎᆞᆷ에 十禽을 獲ᄒᆞ니

嬖奚ㅣ 反命曰

嬖奚ㅣ 命을 反ᄒᆞ야 ᄀᆞᆯ오ᄃᆡ

天下之良工也ㅣ러이다

天下에 良ᄒᆞᆫ 工이러이다

簡子曰

簡子ㅣ ᄀᆞᆯ오ᄃᆡ

我使掌與女乘이라 ᄒᆞ고

내 ᄒᆡ여곰 너와 더브러 乘홈을 掌케 호리라 ᄒᆞ고

謂王良ᄒᆞᆫ대

王良ᄃᆞ려 닐온대

良이 不可

良이 可티 아니타 ^ ᄒᆞ야

曰 吾爲之範我馳驅호니

ᄀᆞᆯ오ᄃᆡ 내 爲ᄒᆞ야 나의 馳驅ᄅᆞᆯ 範으로 호니

終日不獲一ᄒᆞ고

날이 ᄆᆞᆺ도록 一을 獲디 몯ᄒᆞ고

爲之詭遇호니

爲ᄒᆞ야 詭히 遇케 호니

一朝而獲十ᄒᆞ니

ᄒᆞᄅᆞ ᄋᆞᄎᆞᆷ에 十을 獲ᄒᆞ니

詩云 不失其馳어ᄂᆞᆯ

詩예 닐오ᄃᆡ 그 馳홈을 失티 아니커ᄂᆞᆯ

舍矢如破ㅣ라 ᄒᆞ니

矢ᄅᆞᆯ 舍호ᄃᆡ 破ᄐᆞᆺ ᄒᆞ다 ᄒᆞ니

我不貫與小人乘이로니

내 小人과 더브러 乘홈을 니기디 아녓노니

請辭ᄒᆞ노이다

請컨댄 辭ᄒᆞ노이다

御者도 且羞與射者比ᄒᆞ야

御者도 ᄯᅩ 射者로 더브러 比키ᄅᆞᆯ 븟그려

比而得禽獸ㅣ 雖若丘陵이라도 弗爲也ᄒᆞ니

比ᄒᆞ야 禽獸 어듬이 비록 丘陵 ᄀᆞᆺᄐᆞᆯ디라도 ᄒᆞ디 아니ᄒᆞ니

如枉道而從彼ᄂᆞᆫ 何也오

만일 道ᄅᆞᆯ 枉ᄒᆞ야 뎔ᄅᆞᆯ 조ᄎᆞ믄 엇디오

且子過矣로다

ᄯᅩ 子ㅣ 過ᄒᆞ도다

枉己者ㅣ 未有能直人者也ㅣ니라

已ᄅᆞᆯ 枉ᄒᆞᆫ 者ㅣ 能히 人을 ᄒᆞᆯ 者ㅣ 잇디 아니ᄒᆞ니라

景春曰

景春이 ᄀᆞᆯ오ᄃᆡ

公孫衍 張儀ᄂᆞᆫ 豈不誠大丈夫哉리오

公孫衍과 張儀ᄂᆞᆫ 엇디 딘실로 大丈夫ㅣ 아니리오

一怒而諸侯懼ᄒᆞ고

ᄒᆞᆫ 번 怒ᄒᆞ매 諸侯ㅣ 두리고

安居而天下熄이니이다

편히 이쇼매 天下ㅣ 熄ᄒᆞᄂᆞ니이다

孟子曰 是焉得爲大丈夫乎ㅣ리오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이 엇디 시러곰 大^丈夫ㅣ 되리오

子未學禮乎아

子ㅣ 禮ᄅᆞᆯ 學디 몯ᄒᆞ얏ᄂᆞᆫ다

丈夫之冠也애ᄂᆞᆫ 父命之ᄒᆞ고

丈夫ㅣ 冠ᄒᆞᆯ 제ᄂᆞᆫ 父ㅣ 命ᄒᆞ고

女子之嫁也애ᄂᆞᆫ 母命之ᄒᆞᄂᆞ니

女子의 嫁ᄒᆞᆯ 제ᄂᆞᆫ 母ㅣ命ᄒᆞᄂᆞ니

往送之門ᄒᆞ야 戒之曰

가 門에셔 보내여 戒ᄒᆞ야 ᄀᆞᆯ오ᄃᆡ

往之女家ᄒᆞ야 必敬必戒ᄒᆞ야

네 집의 가 반ᄃᆞ시 敬ᄒᆞ며 반ᄃᆞ시 戒ᄒᆞ야

無違夫子ㅣ라 ᄒᆞ니

夫子ᄅᆞᆯ 違티 말라 ᄒᆞ니

以順爲正者ᄂᆞᆫ 妾婦之道也ㅣ니라

順으로 ᄡᅥ 正을 삼ᄂᆞᆫ 者ᄂᆞᆫ 妻婦의 道ㅣ니라

居天下之廣居ᄒᆞ며

天下의 廣居에 居ᄒᆞ며

立天下之正位ᄒᆞ며

天下의 正位예 立ᄒᆞ며

行天下之大道ᄒᆞ야

天下의 大道ᄅᆞᆯ 行ᄒᆞ야

得志ᄒᆞ얀 與民由之ᄒᆞ고

志ᄅᆞᆯ 得호매ᄂᆞᆫ 民으로 더브러 由ᄒᆞ고

不得志ᄒᆞ얀 獨行其道ᄒᆞ야

志ᄅᆞᆯ 得디 몯호매ᄂᆞᆫ 혼자 그 道ᄅᆞᆯ 行ᄒᆞ^야

富貴不能淫ᄒᆞ며

富貴ㅣ 能히 淫티 몯ᄒᆞ며

貧賤不能移ᄒᆞ며

貧賤이 能히 移티 몯ᄒᆞ며

威武不能屈이 此之謂大丈夫ㅣ니라

威武ㅣ 能히 屈티 몯홈이 이 닐온 大丈夫ㅣ니라

周霄ㅣ 問曰 古之君子ㅣ 仕乎잇가

周宵ㅣ 問ᄒᆞ야 ᄀᆞᆯ오ᄃᆡ 녯 君子ㅣ 仕ᄒᆞ더니잇가

孟子曰 仕ㅣ니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仕ᄒᆞ더니

傳曰 孔子ㅣ 三月無君ᄒᆞ면 則皇皇如也ᄒᆞ시며

傳에 ᄀᆞᆯ오ᄃᆡ 孔子ㅣ 三月을 君이 업스면 皇皇ᄐᆞᆺ ᄒᆞ시며

出疆必載質라 ᄒᆞ며

彊에 날 제 반ᄃᆞ시 質ᄅᆞᆯ 載ᄒᆞ시다 ᄒᆞ며

公明儀曰 古之人이 三月無君則弔ㅣ라 ᄒᆞ니라

公明儀ㅣ ᄀᆞᆯ오ᄃᆡ 녯 人이 三月을 君이 업스면 弔ᄒᆞ더라 ᄒᆞ니라

三月無君則弔ㅣ 不以急乎잇가

三月을 君 업거든 弔홈이 너무 急디 아니ᄒᆞ니잇가

曰 士之失位也ㅣ 猶諸侯之失國家也ㅣ니

ᄀᆞ라샤ᄃᆡ 士의 位ᄅᆞᆯ 일홈이 諸侯의 國家 일홈 ᄀᆞᆺᄐᆞ니

禮曰 諸侯耕助ᄒᆞ야 以供粢盛ᄒᆞ며

禮예 ᄀᆞᆯ오ᄃᆡ 諸侯ㅣ 耕助ᄒᆞ야 ᄡᅥ 粢盛을 供ᄒᆞ며

夫人蠶繅ᄒᆞ야 以爲衣服ᄒᆞᄂᆞ니

夫人이 蠶繅ᄒᆞ야 ᄡᅥ 衣服을 ᄒᆞᄂᆞ니

犧牲不成ᄒᆞ며 粢盛不潔ᄒᆞ며

犧牲이 成티 몯ᄒᆞ며 粢盛이 潔티 몯ᄒᆞ며

衣服不備면 不敢以祭ᄒᆞ며

衣服이 備티 몯ᄒᆞ면 敢히 ᄡᅥ 祭ᄒᆞ디 몯ᄒᆞ며

惟士無田이면 則亦不祭라 ᄒᆞ니

士ㅣ 田 업스면 ᄯᅩᄒᆞᆫ 祭ᄒᆞ디 몯ᄒᆞᆫ다 ᄒᆞ니

牲殺器血衣服不備ᄒᆞ야

牲殺과 器皿과 衣服이 備티 몯ᄒᆞ야

不敢以祭면 則不敢以宴이니

敢히 ᄡᅥ 祭ᄒᆞ디 몯ᄒᆞ면 敢히 ᄡᅥ 宴ᄒᆞ디 몯ᄒᆞᆯ디니

亦不足弔乎아

ᄯᅩᄒᆞᆫ 足히 弔ᄒᆞ얌즉 아니ᄒᆞ랴

出疆必載質ᄂᆞᆫ 何也잇고

彊에 날 제 반ᄃᆞ시 質ᄅᆞᆯ 載홈은 엇디니잇고

曰 士之仕也ㅣ 猶農夫之耕也ㅣ니

ᄀᆞᄅᆞ샤ᄃᆡ 士의 仕홈이 農夫의 耕홈 ᄀᆞᆺᄐᆞ니

農夫ㅣ 豈爲出疆ᄒᆞ야 舍其耒耜哉리오

農夫ㅣ 엇디 彊의 ^ 나기ᄅᆞᆯ 爲ᄒᆞ야 그 耒耜ᄅᆞᆯ 舍ᄒᆞ리오

曰 晉國이 亦仕國也ㅣ로ᄃᆡ

ᄀᆞᆯ오ᄃᆡ 晋나라히 ᄯᅩᄒᆞᆫ 仕ᄒᆞᆯ 나라히로ᄃᆡ

未嘗聞仕如此其急케이다

仕ᄒᆞ리 이ᄀᆞᆺ티 그 急히 홈을 일즉 듯디 몯게이다

仕如此其急也ㅣ로ᄃᆡ

仕ㅣ 이ᄀᆞᆺ티 그 急호ᄃᆡ

君子之難仕ᄂᆞᆫ 何也잇고

君子의 仕ᄅᆞᆯ 어려이 녀기믄 엇디잇고

曰 丈夫生而願爲之有室ᄒᆞ며

ᄀᆞᄅᆞ샤ᄃᆡ 丈夫ㅣ 나매 爲ᄒᆞ야 室 두믈 願ᄒᆞ며

女子生而願爲之有家ᄂᆞᆫ

女子ㅣ 나매 爲ᄒᆞ야 家 두믈 願호믄

父母之心에 人皆有之어니와

父母의 ᄆᆞ음애 人이 다 두엇거니와

不待父母之命 媒妁之言ᄒᆞ야

父母의 命과 媒妁의 말을 ^ 기드리디 아니ᄒᆞ야

鑽穴隙相窺ᄒᆞ며

穴隙을 鑽ᄒᆞ야 서르 여으며

踰牆相從ᄒᆞ면

墻을 너머 서르 조ᄎᆞ면

則父母國人이 皆賤之ᄒᆞ리니

父母ㅣ며 國人이 다 賤히 녀기ᄂᆞ니

古之人이 未嘗不欲仕也ㅣ언마ᄂᆞᆫ

녯 人이 일즉 仕ᄅᆞᆯ 欲디 아니티 아니컨마ᄂᆞᆫ

又惡不由其道ᄒᆞ니

ᄯᅩ 그 道ᄅᆞᆯ 由티 아니호믈 아쳐ᄒᆞ니

不由其道而往者ᄂᆞᆫ 與鑽穴隙之類也ㅣ니라

그 道ᄅᆞᆯ 由티 아니ᄒᆞ야 往ᄒᆞᄂᆞᆫ 者ᄂᆞᆫ 다ᄆᆞᆺ 穴隙을 鑽ᄒᆞᄂᆞᆫ 類ㅣ니라

彭更이 問曰

彭更이 問ᄒᆞ야 ᄀᆞᆯ오ᄃᆡ

後車數十承과 從者數百人으로 以傳食於諸侯ㅣ

뒷 수ᄅᆡ 數十 乘과 從ᄒᆞᆫ 者 數百 人으로 ᄡᅥ 諸侯의 傳食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