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栗谷先生諺解 卷之四

  • 연대: 1749
  • 저자: 李珥 撰
  • 출처: 四書栗谷諺解 1~4
  • 출판: 홍문각
  • 최종수정: 2016-01-01

君之視臣이 如犬馬ᄒᆞ면

님금의 신하 보기 犬馬ᄀᆞᆺ티 ᄒᆞ면

則臣視君을 如國人ᄒᆞ고

신하ㅣ 님금 보기ᄅᆞᆯ 國人ᄀᆞᆺ티 ᄒᆞ고

君之視臣이 如土芥ᄒᆞ면

님금의 신하 보기 土芥ᄀᆞᆺ티 ᄒᆞ^면

則臣視君을 如寇讎ㅣ니이다

신하ㅣ 님금 보기ᄅᆞᆯ 寇讐ᄀᆞᆺ티 ᄒᆞᄂᆞ니이다

王曰 禮예 爲舊君有腹ᄒᆞ니

王이 ᄀᆞᄅᆞ샤ᄃᆡ 禮예 녯 님금을 爲ᄒᆞ야 服이 이시니

何如ㅣ면 斯可爲服矣리잇고

엇디ᄒᆞ면 이예 可히 爲ᄒᆞ야 服ᄒᆞ리잇고

曰 諫行言聽ᄒᆞ야

ᄀᆞᄅᆞ샤ᄃᆡ 諫을 行ᄒᆞ며 言을 廳ᄒᆞ야

膏澤이 下於民이오

膏澤이 民의게 下ᄒᆞ고

有故而去ㅣ어든

연고ㅣ 이셔 去ᄒᆞ거든

則君이 使人導之出疆ᄒᆞ며

님금이 人 브려 인도ᄒᆞ야 彊의 내며

又先於其所往이오

ᄯᅩ 그 가ᄂᆞᆫ 바의 先^ᄒᆞ고

去三年不反이라사

去ᄒᆞᆫ 三年 만에 反티 아니ᄒᆞ야사

然後收其田里ᄒᆞ면

그런 後에 그 田里ᄅᆞᆯ 收ᄒᆞ면

此之位三有禮焉이니

이 닐온 세 禮 이쇼미니

如此則爲之服矣리이다

이러ᄒᆞ면 爲ᄒᆞ야 服ᄒᆞ리이다

今也爲臣ᄒᆞ야 諫則不行ᄒᆞ며

이제 臣이 되여 諫ᄒᆞ야도 行티 아니ᄒᆞ며

言則不聽ᄒᆞ야

言ᄒᆞ야도 廳티 아니ᄒᆞ야

膏澤이 不下於民이오

膏澤이 民의게 下티 몯ᄒᆞ고

有故而去ㅣ어든 則君이 搏執之ᄒᆞ며

연고ㅣ 이셔 去ᄒᆞ거든 君이 搏執ᄒᆞ며

又極之於其所往이오

ᄯᅩ 그 往ᄒᆞᄂᆞᆫ 바의 極ᄒᆞ고

去之日에 遂收其田里ᄒᆞ면

去ᄒᆞᆫ 날애 드듸여 그 田里ᄅᆞᆯ 收ᄒᆞ면

此之謂寇讎ㅣ니

이ᄅᆞᆯ 닐온 寇讐ㅣ니

寇讎에 何服之有ㅣ리잇고

寇讐에 므슴 服이 이시리잇고

孟子曰 無罪而殺士ᄒᆞ면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罪 업시 士ᄅᆞᆯ 殺ᄒᆞ면

則大夫可以去ㅣ오

大夫ㅣ 可히 ᄡᅥ 去ᄒᆞᆯ디오

無罪而戮民ᄒᆞ면

罪 업시 民을 戮ᄒᆞ면

則士可以徒ㅣ니라

士ㅣ 可히 ᄡᅥ 徙ᄒᆞᆯ디니라

孟子曰 君仁莫不仁ᄒᆞ며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님금이 仁ᄒᆞ면 仁티 아니리 업스며

君義莫不義니라

님금이 義ᄒᆞ면 義티 아니리 업슬디니라

孟子曰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非禮之禮와 非義之義ᄅᆞᆯ 大人弗爲니라

禮 아닌 禮와 義 아닌 義ᄅᆞᆯ 大人은 ᄒᆞ디 아니ᄒᆞᄂᆞ니라

孟子曰 中也ㅣ 養不中ᄒᆞ며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中이 中티 몯ᄒᆞᆫ 이ᄅᆞᆯ 養ᄒᆞ며

才也ㅣ 養不才라

才ㅣ 才티 몯ᄒᆞᆫ 이ᄅᆞᆯ 養ᄒᆞᄂᆞᆫ디라

故人樂有賢父兄也ㅣ니

故로 人이 어딘 父兄 두기ᄅᆞᆯ 즐기ᄂᆞ니

如中也ㅣ 棄不中ᄒᆞ며

만일 中이 中티 몯ᄒᆞᆫ 이ᄅᆞᆯ ᄇᆞ리며

才也ㅣ 棄不才면

才ㅣ 才티 몯ᄒᆞᆫ ^ 이ᄅᆞᆯ ᄇᆞ리면

則賢不肖之相去ㅣ 其間不能以寸이리라

賢과 不肖의 서르 去호미 그 즈음이 能히 ᄡᅥ 寸도 몯ᄒᆞ리라

孟子曰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人有不爲也 而後可以有爲니라

人이 ᄒᆞ디 아님이 이신 後에 可히 ᄡᅥ ᄒᆞ미 이실디니라

孟子曰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言人之不善ᄒᆞ다가 當如後患何오

人의 善티 아니호ᄆᆞᆯ 니르다가 맛당이 後患의 엇디ᄒᆞ료

孟子曰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仲尼ᄂᆞᆫ 不爲已甚者ㅣ러시다

仲尼ᄂᆞᆫ 已甚ᄒᆞᆫ 者ᄅᆞᆯ ᄒᆞ디 아니터시다

孟子曰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大人者ᄂᆞᆫ 言不必信ᄒᆞ며

大人은 言이 信을 必티 아니ᄒᆞ며

行不必果ㅣ오

行이 果ᄅᆞᆯ 必티 아니코

惟義所在니라

오직 義ㅣ 在ᄒᆞᆫ 바로 ᄒᆞᄂᆞ니라

孟子曰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大人者ᄂᆞᆫ 不失其赤子之心者也ㅣ니라

大人은 그 赤子의 ᄆᆞ음을 일티 아닌 者ㅣ니라

孟子曰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養生者ᄂᆞᆫ 不足以當大事ㅣ오

生을 養ᄒᆞᄂᆞᆫ 者ᄂᆞᆫ 足히 ᄡᅥ 大事의 當티 몯ᄒᆞ고

一作 大事ㅣ 되디 몯ᄒᆞ고

惟送死ㅣ아 可以當大事ㅣ니라

오직 死ᄅᆞᆯ 送ᄒᆞ기야 可히 ᄡᅥ 大事의 當ᄒᆞᆯ디니라

一作 大事ㅣ 될디니라

孟子曰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君子ㅣ 深造之以道ᄂᆞᆫ 欲其自得之也ㅣ니

君子ㅣ 道로 ᄡᅥ 깁피 나아가ᄆᆞᆫ 그 ᄌᆞ연히 得호ᄆᆞᆯ 欲호미니

自得之 則居之安ᄒᆞ고

ᄌᆞ연히 得ᄒᆞ면 居호미 安ᄒᆞ고

居之安 則資之深ᄒᆞ고

居ᄒᆞ기 安ᄒᆞ면 資ᄒᆞ기 深ᄒᆞ고

資之深 則取之左右에 逢其原이니

資ᄒᆞ기 深ᄒᆞ면 左右의 取호매 그 原을 逢ᄒᆞᄂᆞ니

故君子ᄂᆞᆫ 欲其自得之也ㅣ니라

故로 君子ᄂᆞᆫ 그 ᄌᆞ연히 得호ᄆᆞᆯ 欲^ᄒᆞᄂᆞ니라

孟子曰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博學而詳說之ᄂᆞᆫ 將以反說約也ㅣ니라

너비 學ᄒᆞ야 ᄌᆞ셔히 說호ᄆᆞᆫ 쟝ᄎᆞᆺ ᄡᅥ 反ᄒᆞ야 約을 說호려 호미니라

孟子曰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以善服人者ᄂᆞᆫ 未有能服人者也ㅣ오

善으로 ᄡᅥ 人을 腹ᄒᆞᄂᆞᆫ 者ᄂᆞᆫ 能히 人을 服ᄒᆞᆯ 者ㅣ 잇디 아니코

以善養人이라야

善으로 ᄡᅥ 人을 養ᄒᆞ야야

然後能服天下ㅣ니

그런 後에 能히 天下ᄅᆞᆯ 服ᄒᆞᄂᆞ니

天下ㅣ 不心服而王者ㅣ 未之有也ㅣ니라

天下ㅣ 心의 服디 아니코 王ᄒᆞᆯ 者ㅣ 잇디 아니니라

孟子曰 言無實不祥ᄒᆞ니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言이 實로 不祥ᄒᆞᆫ 이 업스니

不祥之實은 蔽賢者ㅣ 當之니라

不祥의 實은 賢을 蔽ᄒᆞᄂᆞᆫ 者ㅣ 當ᄒᆞᆯ디니라

徐子曰 仲尼ㅣ 亟稱於水曰

徐子ㅣ ᄀᆞᆯ오ᄃᆡ 仲尼ㅣ ᄌᆞ로 水ᄅᆞᆯ 稱ᄒᆞ야 ᄀᆞᄅᆞ샤ᄃᆡ

水哉水哉여 ᄒᆞ시니

水ㅣ여 水ㅣ여 ᄒᆞ시니

何取於水也ㅣ시니잇고

엇디 水의 取ᄒᆞ시니잇^고

孟子曰 原泉混混ᄒᆞ야 不舍晝夜ᄒᆞ야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原ᄒᆞᆫ 泉이 混混ᄒᆞ야 晝夜ᄅᆞᆯ 舍티 아니ᄒᆞ야

盈科而後進ᄒᆞ야 放乎四海ᄒᆞᄂᆞ니

科의 盈ᄒᆞᆫ 後에 進ᄒᆞ야 四海예 放ᄒᆞᄂᆞ니

有本者如是라

本이 잇ᄂᆞᆫ 者ㅣ 이 ᄀᆞᆺᄐᆞᆫ디라

是之取爾시니라

이ᄅᆞᆯ 取ᄒᆞ시니라

苟爲無本이면

진실로 本이 업스면

七八月之間애 雨集ᄒᆞ야 溝澮皆盈ᄒᆞ나

七八月 즈음의 雨ㅣ 集ᄒᆞ야 溝ㅣ며 澮ㅣ 다 盈ᄒᆞ나

其涸也ᄅᆞᆯ 可立而待也ㅣ니

그 涸호ᄆᆞᆯ 可히 셔셔 기ᄃᆞ릴디니

故聲聞過情을 君子恥之니라

故로 聲聞이 실의 너므ᄆᆞᆯ 君子ㅣ 븟그려 ᄒᆞᄂᆞ니라

孟子曰 人之所以異於禽獸者ㅣ 幾希ᄒᆞ니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人이 ᄡᅥ 禽獸의 다ᄅᆞᆫ 배 져그니

庶民去之ᄒᆞ고 君子存之니라

庶民은 去ᄒᆞ고 君子ᄂᆞᆫ 存ᄒᆞᄂᆞ니라

舜은 明於庶物ᄒᆞ시며 察於人倫ᄒᆞ시니

舜은 庶物의 明ᄒᆞ시며 人倫^의 察ᄒᆞ시니

由仁義行이라

仁義ᄅᆞᆯ 由ᄒᆞ야 行호미라

非行仁義也ㅣ시니라

仁義ᄅᆞᆯ 行호미 아니시니라

孟子曰 禹ᄂᆞᆫ 惡旨酒 而好善言ᄒᆞ시고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禹ᄂᆞᆫ 旨酒ᄅᆞᆯ 惡코 善言을 好ᄒᆞ시고

湯은 執中ᄒᆞ시며 立賢無方ᄒᆞ시고

湯은 中을 執ᄒᆞ시며 賢을 立^ᄒᆞ샤ᄃᆡ 方 업시 ᄒᆞ시고

文王은 視民如傷ᄒᆞ시며

文王은 民을 視호ᄃᆡ 傷ᄒᆞᆯ ᄃᆞᆺᄒᆞ시며

望道而未之見ᄒᆞ시고

道ᄅᆞᆯ ᄇᆞ라되 보디 몯ᄒᆞᆫ ᄃᆞᆺᄒᆞ시고

武王은 不泄邇ᄒᆞ시며 不忘遠ᄒᆞ시고

武王은 邇ᄅᆞᆯ 泄티 아니ᄒᆞ시며 遠을 忘티 아니ᄒᆞ시고

周公은 思兼三王ᄒᆞ야 以施四事ᄒᆞ샤

周公은 三王을 兼ᄒᆞ야 ᄡᅥ 四事ᄅᆞᆯ 施호ᄆᆞᆯ 思ᄒᆞ샤

其有不合者ㅣ어든 仰而思之ᄒᆞ샤ᄃᆡ 夜以繼日ᄒᆞ야

그 合디 몯호미 잇거든 仰ᄒᆞ야 思ᄒᆞ샤ᄃᆡ 밤으로 ᄡᅥ 낫즐 니으샤

幸而得之어시든 坐以待旦ㅣ러시다

ᄒᆡᆼ혀 得ᄒᆞ야시든 坐ᄒᆞ야 ᄡᅥ 旦ᄅᆞᆯ 기ᄃᆞ리더시다

孟子曰 王者之迹이 熄而詩亡ᄒᆞ니

孟子ㅣ ᄀᆞᄅᆞ샤ᄃᆡ 王者의 迹이 熄호매 詩ㅣ 亡ᄒᆞ니

詩亡 然後春秋ㅣ 作ᄒᆞ니라

詩ㅣ 亡ᄒᆞᆫ 然後에 春秋ㅣ 作ᄒᆞ니라

晉之乘과 楚之檮杌과 魯之春秋ㅣ 一也ㅣ니라

晋의 乘과 楚의 檮杌과 魯^의 春秋ㅣ ᄒᆞᆫ가지니라

其事則齊桓晉文이오

그 事ᄂᆞᆫ 齊桓과 晋文이오

其文則史ㅣ니

그 文은 史ㅣ니

孔子曰 其義則丘竊取之矣라 ᄒᆞ시니라

孔子ㅣ ᄀᆞᄅᆞ샤ᄃᆡ 그 義ᄂᆞᆫ 丘ㅣ 그윽이 取호라 ᄒᆞ시니라

孟子曰 君子之澤이 五世而斬ᄒᆞ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