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엄경언해 5권

  • 한문제목: 楞嚴經諺解
  • 연대: 1461
  • 출판: 일사문고 영인본, 동국대 영인본

彼ᄂᆞᆫ 乃小乘因緣이라 非圓通所取ㅣ니라

뎌ᄂᆞᆫ 小乘 因緣이라 圓通애 取호ᇙ 디 아니니라

身子ㅣ 智慧第一이라 聲德이 居長ᄒᆞᆯᄉᆡ 故로 稱長子ᄒᆞ니라

身子ㅣ 智慧 第一이라 소리와 德괘 長애 이실ᄊᆡ 이런ᄃᆞ로 長子ㅣ라 니ᄅᆞ니라

二耳識

普賢菩薩이 卽從座起ᄒᆞ샤 頂禮佛足ᄒᆞᅀᆞᆸ고 而白佛言ᄒᆞ샤ᄃᆡ

普賢菩薩이 곧 座로셔 니르샤 부텻 바래 頂禮ᄒᆞᅀᆞᆸ고 부텻긔 ᄉᆞᆯ오샤ᄃᆡ

我ㅣ 已曾與恒沙如來와 爲法王子호니

내 아ᄅᆡ 恒沙 如來와 法王子ㅣ ᄃᆞ외요니

十方如來ㅣ 敎其弟子菩薩根者ᄒᆞ샤ᄃᆡ 修普賢行ᄒᆞ라ᄒᆞ시ᄂᆞ니

十方 如來 그 弟子ㅣ 菩薩根애 칠 ᄀᆞᄅᆞ치샤ᄃᆡ 普賢行ᄋᆞᆯ 닷ᄀᆞ라 ᄒᆞ시ᄂᆞ니

從我ᄒᆞ야 立名ᄒᆞ니ᅌᅵ다

나ᄅᆞᆯ 브터 일후믈 셰니ᅌᅵ다

世尊하 我用心聞ᄒᆞ야 分別衆生ᄋᆡ 所有知見ᄒᆞ야

世尊하 내 心聞을 ᄡᅥ 衆生ᄋᆡ 뒷논 知見을 分別ᄒᆞ야

若於他方恒沙界外예 有一衆生이나 心中에 發明普賢行者ㅣ면

ᄒᆞ다가 他方 恒沙 界 밧긔 ᄒᆞᆫ 衆生이나 心中에 普賢行ᄋᆞᆯ 發明ᄒᆞ리 이시면

我ㅣ 於爾時예 乘六牙象ᄒᆞ야 分身百千ᄒᆞ야 皆至其處ᄒᆞ노니

내 그ᄢᅴ 여슷 엄 가진 象ᄋᆞᆯ 타 모ᄆᆞᆯ 百千에 分ᄒᆞ야 다 그 고대 가노니

縱彼障深ᄒᆞ야 未得見我ᄒᆞ야도

비록 뎨 障이 기퍼 나ᄅᆞᆯ 보디 몯^ᄒᆞ야도

我與其人과 暗中에 摩頂ᄒᆞ야 擁護安慰ᄒᆞ야 令其成就ᄒᆞ노ᅌᅵ다

내 그 사ᄅᆞᆷ과 그ᅀᅳᆨᄒᆞᆫ 中에 뎌ᇰ바기 ᄆᆞᆫ져 擁護ᄒᆞ며 慰勞ᄒᆞ야 [擁ᄋᆞᆫ ᄢᅳ릴씨라] 일우게 ᄒᆞ노ᅌᅵ다

佛問圓通ᄒᆞ실ᄉᆡ 我說本因ᄒᆞᅀᆞᆸ노니

부톄 圓通ᄋᆞᆯ 무르실ᄊᆡ 내 本來ㅅ 因ᄋᆞᆯ ᄉᆞᆲ노니

心聞ᄋᆞᆯ 發明ᄒᆞ야 分別自在ㅣ 斯爲第一이로소ᅌᅵ다

心聞을 發明ᄒᆞ야 分別ᄋᆞᆯ 自在호미 이 第一이로소ᅌᅵ다

行無不徧曰普ㅣ오

ᄒᆡᇰ뎌기 周徧티 아니호미 업스실ᄊᆡ 닐오ᄃᆡ 普ㅣ오

佑上利下曰賢이라

우흘 도ᄋᆞ시며 아래ᄅᆞᆯ 利케 ᄒᆞ실ᄊᆡ 닐오ᄃᆡ 賢이라

以周徧佑利ᄒᆞ실ᄉᆡ 故로 凡具大根ᄒᆞ야 修菩薩行ᄒᆞᄂᆞ니ᄅᆞᆯ 皆名普賢之行이라

周徧ᄒᆞ시며 도ᄋᆞ시^며 利케 ᄒᆞ실ᄊᆡ 이런ᄃᆞ로 믈읫 大根이 ᄀᆞ자 菩薩行 닷ᄂᆞ닐 다 일후미 普賢行이라

心聞은 耳識也ㅣ라

心聞ᄋᆞᆫ 耳識이라

分別衆生ᄋᆡ 知見者ᄂᆞᆫ 擇普賢行ᄒᆞ야 而成就之也ㅣ라

衆生ᄋᆡ 知見을 分別ᄒᆞ샤ᄆᆞᆫ 普賢行ᄋᆞᆯ ᄀᆞᆯᄒᆡ야 일우샤미라

三鼻識

孫陀羅難陀ㅣ 卽從座起ᄒᆞ야 頂禮佛足ᄒᆞᅀᆞᆸ고 而白佛言호ᄃᆡ

孫陀羅難陀ㅣ 곧 座로셔 니러 부텻 바래 頂禮ᄒᆞᅀᆞᆸ고 부텻긔 ᄉᆞᆯ오ᄃᆡ

我ㅣ 初出家ᄒᆞ야 從佛入道ᄒᆞ야 雖具戒律호나

내 처ᅀᅥᆷ 出家ᄒᆞ야 부텨 조ᄍᆞ와 道애 드러 비록 戒律을 ᄀᆞ초 호나

於三摩地예 心常散動ᄒᆞ야 未獲無漏ㅣ어ᄂᆞᆯ

三摩地예 ᄆᆞᅀᆞ미 샤ᇰ녜 흐터 뮈여 無漏를 얻디 몯거늘

世尊이 敎我及俱絺羅ᄒᆞ샤 觀鼻端白ᄒᆞ야시ᄂᆞᆯ

世尊이 날와 俱絺羅ᄅᆞᆯ ᄀᆞᄅᆞ치샤 곳 그텟 ᄒᆡᆫ 거슬 보라 ᄒᆞ야시ᄂᆞᆯ

我初諦觀ᄒᆞ야 經三七日ᄒᆞ야 見鼻中氣호니

내 처ᅀᅥ^믜 子細히 보아 三七日ᄋᆞᆯ 디내야 鼻中엣 氣分을 보니

出入이 如煙ᄒᆞ다가 身心이 內明ᄒᆞ야 圓洞世界ᄒᆞ야 徧成虛淨ᄒᆞ야 猶如瑠璃ᄒᆞ니

나며 드로미 ᄂᆡ ᄀᆞᆮ다가 身心이 안해 ᄇᆞᆯ가 두려이 世界예 ᄉᆞᄆᆞ차 虛ᄒᆞ야 조호미 周徧히 이러 瑠璃 ᄀᆞᆮᄒᆞ니

煙相이 漸銷ᄒᆞ야 鼻息이 成白거ᄂᆞᆯ

ᄂᆡ의 相이 漸漸 스러 고햇 수미 ᄒᆡ에 ᄃᆞ외어늘

心開漏盡ᄒᆞ야 諸出入息이 化爲光明ᄒᆞ야 照十方界ᄒᆞ야 得阿羅漢호니

ᄆᆞᅀᆞ미 여러 漏ㅣ 다아 나며 드논 수미 化ᄒᆞ야 光明이 ᄃᆞ외야 十方界ᄅᆞᆯ 비취여 阿羅漢ᄋᆞᆯ 得호니

世尊이 記我ᄒᆞ샤ᄃᆡ 當得菩提라ᄒᆞ시니

世尊이 나ᄅᆞᆯ 記ᄒᆞ샤ᄃᆡ 반ᄃᆞ기 菩提ᄅᆞᆯ 得ᄒᆞ리라 ᄒᆞ시니

佛問圓通ᄒᆞ실ᄉᆡ 我以銷息ᄒᆞ야 息이 久ᄒᆞ야 發明ᄒᆞ야 明圓滅漏ㅣ 斯爲第一이로소ᅌᅵ다

부톄 圓通ᄋᆞᆯ 무르실ᄊᆡ 내 수믈 스러 수미 오라 發明ᄒᆞ야 明圓ᄒᆞ야 漏滅호미 이 第一이로소ᅌᅵ다

孫陀難陀ᄂᆞᆫ 云艶喜니 佛親弟也ㅣ라

孫陀難陀ᄂᆞᆫ 닐오매 艶喜니 [艶은 고올씨라] 부텻 親ᄒᆞᆫ 아ᇫ이라

前에 數息ᄋᆞᆫ 依根이니 所以攝心이오

알ᄑᆡ 息 혜요ᄆᆞᆫ 根ᄋᆞᆯ 브트니 ᄆᆞᅀᆞᄆᆞᆯ 자보미오

此애 觀白ᄋᆞᆫ 依識이니 所以駐心也ㅣ라

이ᅌᅦ ᄒᆡᆫ 거슬 보ᄆᆞᆫ 識을 브트니 ᄆᆞᅀᆞᄆᆞᆯ 머믈우미라

息이 由風火而起ᄒᆞ야 鼓煩惱濁ᄒᆞᆯᄉᆡ

수미 ᄇᆞᄅᆞᆷ과 블와 브터 나 煩惱濁ᄋᆞᆯ 부츨ᄊᆡ

故로 其狀이 如烟ᄒᆞ니라

이런ᄃᆞ로 그 야ᅌᅵ ᄂᆡ ᄀᆞᆮᄒᆞ니라

昧者ᄂᆞᆫ 不覺거니와 唯諦觀ᄒᆞ야ᅀᅡ 能見ᄒᆞᄂᆞ니라

어드우닌 아디 몯거니와 오직 子細히 보아ᅀᅡ 能히 보ᄂᆞ니라

六交애 見火ㅣ 燒息ᄒᆞ야 能爲黑烟紫熖이라ᄒᆞ시니 皆煩濁所發也ㅣ라

여슷 交애 見火ㅣ 수믈 ᄉᆞ라 能히 거믄 ᄂᆡ와 ᄌᆞ디 브리 ᄃᆞ외ᄂᆞ니라 ᄒᆞ시니 다 煩濁ᄋᆡ 發호미라

淨觀을 發明ᄒᆞ면 則煩濁이 漸銷ᄒᆞᆯᄉᆡ

조ᄒᆞᆫ 보ᄆᆞᆯ 發明ᄒᆞ면 煩濁이 漸漸 슬ᄊᆡ

故로 內明外虛ᄒᆞ야 而烟銷成白ᄒᆞ니

이런ᄃᆞ로 안히 ᄇᆞᆰ고 밧기 虛ᄒᆞ야 ᄂᆡ 스러 ᄒᆡ에 ᄃᆞ외니

及乎漏盡ᄒᆞ야 無復煩惱ᄒᆞ야ᅀᅡ 內瑩發光ᄒᆞᆯᄉᆡ

漏ㅣ 다아 ᄂᆞ외야 煩惱 업수메 미처ᅀᅡ 안히 ᄇᆞᆯ가 光明이 發ᄒᆞᆯᄊᆡ

故로 出入息이 化爲光明也ᄒᆞ니라

이런ᄃᆞ로 나며 드논 수미 ^ 化ᄒᆞ야 光明이 ᄃᆞ외ᄂᆞ니라

銷息ᄋᆞᆫ 卽銷烟成白也ㅣ오

수믈 스로ᄆᆞᆫ 곧 ᄂᆡ 스러 ᄒᆡᆫ 거시 이로미오

滅漏ᄂᆞᆫ 卽心開漏盡也ㅣ니

漏 滅호ᄆᆞᆫ 곧 ᄆᆞᅀᆞ미 여러 漏ㅣ 다ᄋᆞᆯ씨니

皆由鼻識ᄒᆞ야 發明也ᄒᆞ니라

다 鼻識을 브터 發明ᄒᆞ니라

四舌識

富樓那彌多羅尼子ㅣ 卽從座起ᄒᆞ야 頂禮佛足ᄒᆞᅀᆞᆸ고 而白佛言호ᄃᆡ

富樓那彌多羅尼子ㅣ 곧 座로셔 니러 부텻 바래 頂禮ᄒᆞᅀᆞᆸ고 부텻긔 ᄉᆞᆯ오ᄃᆡ

我ᄂᆞᆫ 曠劫來예 辯才無礙ᄒᆞ야 宣說苦空호ᄃᆡ 深達實相ᄒᆞ노니

나ᄂᆞᆫ 오란 劫브터 오매 辯才ㅣ ᄀᆞ료미 업서 苦와 空과ᄅᆞᆯ 펴 닐오ᄃᆡ 實相ᄋᆞᆯ 기피 아노니

如是乃至恒沙如來ㅅ 祕密法門을 我於衆中에 微妙開示ᄒᆞ야 得無所畏호니

이ᄀᆞ티 恒沙 如來ㅅ 祕密ᄒᆞᆫ 法門ᄋᆞᆯ 내 衆中에 微妙히 여러 뵈야 저품 업숨 得호매 니르로니

世尊이 知我ᄋᆡ 有大辯才ᄒᆞ샤 以音聲輪ᄋᆞ로 敎我發揚ᄒᆞ야시ᄂᆞᆯ

世尊이 내ᄋᆡ 큰 辯才 이슈믈 아ᄅᆞ샤 音聲輪으로 나ᄅᆞᆯ 펴 내요ᄆᆞᆯ ᄀᆞᄅᆞ쳐시ᄂᆞᆯ

我ㅣ 於佛前에 助佛轉輪ᄒᆞ야 因師子吼ᄒᆞ야 成阿羅漢호니

내 부텻 알ᄑᆡ 부텨 돕ᄉᆞ와 轉輪ᄒᆞ야 師子^吼ᄅᆞᆯ 因ᄒᆞ야 阿羅漢ᄋᆞᆯ 일우니

世尊이 印我ᄒᆞ샤ᄃᆡ 說法無上이라ᄒᆞ시니

世尊이 나ᄅᆞᆯ 印ᄒᆞ샤ᄃᆡ 說法이 우 업스니라 ᄒᆞ시니

佛問圓通ᄒᆞ실ᄉᆡ 我以法音ᄋᆞ로 降伏魔寃ᄒᆞ야 銷滅諸漏ㅣ 斯爲第一이로소ᅌᅵ다

부톄 圓通ᄋᆞᆯ 무르□ᄊᆡ 내 法音으로 魔寃을 降伏ᄒᆡ와 모ᄃᆞᆫ 漏를 스러 업게 □미 이 第一이로소ᅌᅵ다

說法第一이라 辯才無礙ᄒᆞ야 因以降魔滅漏ᄒᆞ니 皆舌識의 力也ㅣ라

說法第一이라 辯才 ᄀᆞ룜 업서 因ᄒᆞ야 魔ᄅᆞᆯ 降ᄒᆡ와 漏를 滅ᄒᆞ니 다 舌識의 히미라

苦空實相者ᄂᆞᆫ 世閒諸法이 一切無常ᄒᆞ며 一切皆苦ᄒᆞ며 一切皆空호ᄃᆡ

苦와 空괏 實相ᄋᆞᆫ 世閒앳 모ᄃᆞᆫ 法이 一切 덛덛호미 업스며 一切 다 受苦ᄅᆞ외며 一切 다 뷔유ᄃᆡ

而中에 有眞常ᄒᆞᆫ 不苦不空ᄒᆞ니

그 中에 眞常ᄒᆞᆫ 苦 아니며 空 아닌 거시 잇ᄂᆞ니

如涅槃四德이 卽實相也ㅣ라

涅槃 네 德 ᄀᆞᆮᄒᆞ니 곧 實相이라

佛이 以身口意三輪으로 應物無滯ᄒᆞ시니

부톄 身과 口와 意와 三輪으로 物을 應ᄒᆞ샤ᄃᆡ 마ᄀᆞᆫ ᄃᆡ 업스시니

音聲은 卽口輪也ㅣ라

音聲은 곧 口輪이라

五身識

優波離ㅣ 卽從座起ᄒᆞ야 頂禮佛足ᄒᆞᅀᆞᆸ고 而白佛言호ᄃᆡ

優波離 곧 座로셔 니러 부텻 바래 頂禮ᄒᆞᅀᆞᆸ고 부텻긔 ᄉᆞᆯ오ᄃᆡ

我ㅣ 親隨佛ᄒᆞᅀᆞ와 逾城出家ᄒᆞ야

내 親히 부텨 조ᄍᆞ와 城 나마 出家^ᄒᆞ야

親觀如來ㅣ 六年勤苦ᄒᆞᅀᆞ오며

親히 如來ㅣ 六年을 브즈러니 受苦ᄒᆞ샤ᄆᆞᆯ 보ᅀᆞ오며

親見如來ㅣ 降伏諸魔ᄒᆞ시며 制諸外道ᄒᆞᅀᆞ와

親히 如來 여러 魔ᄅᆞᆯ 降伏ᄒᆡ시며 여러 外道ᄅᆞᆯ 이긔샤ᄆᆞᆯ 보ᅀᆞ와

解脫世閒앳 貪欲諸漏ᄒᆞ야 承佛敎戒ᄒᆞᅀᆞ와

世閒앳 貪欲 諸漏를 解脫ᄒᆞ야 부텻 敎戒ᄅᆞᆯ 받ᄌᆞ와

如是乃至三千威儀와 八萬微細性業과 遮業과ᄅᆞᆯ 悉皆淸淨ᄒᆞ야

이ᄀᆞ티 三千 威儀와 八萬 微細ᄒᆞᆫ 性業과 遮業과ᄅᆞᆯ 다 淸淨호매 니르러

身心이 寂滅ᄒᆞ야 成阿羅漢ᄒᆞ야 我是如來ㅅ 衆中綱紀라

身心이 寂滅ᄒᆞ야 阿羅漢ᄋᆞᆯ 일워 내 이 如來ㅅ 衆中엣 綱紀라

綱紀ᄂᆞᆫ 그믌 벼리니 크닐 닐오ᄃᆡ 綱이오 져그닐 닐오ᄃᆡ 紀라

親印我心ᄒᆞ야 持戒修身에 衆推無上ᄒᆞᄂᆞ니

親히 내 ᄆᆞᅀᆞᄆᆞᆯ 印ᄒᆞ야 持戒ᄒᆞ야 몸 닷고매 衆이 우 업수매 미ᄂᆞ니

佛問圓通ᄒᆞ실ᄉᆡ 我以執身ᄒᆞ야 身得自在ᄒᆞ고 次第執心ᄒᆞ야 心得通達ᄒᆞᆫ 然後에ᅀᅡ

부톄 圓通ᄋᆞᆯ 무르실ᄊᆡ 내 모ᄆᆞᆯ 자바 모미 自在호ᄆᆞᆯ 得ᄒᆞ고 次第로 ᄆᆞᅀᆞᄆᆞᆯ 자바 ᄆᆞᅀᆞ미 通達호ᄆᆞᆯ 得ᄒᆞᆫ 後에ᅀᅡ

身心이 一切通利호미 斯爲第一이로소ᅌᅵ다

몸과 ᄆᆞᅀᆞᆷ괘 一切 通利호미 이 第^一이로소ᅌᅵ다

優波離ᄂᆞᆫ 云近執이니 謂親近執侍於佛也ㅣ라

優波離ᄂᆞᆫ 닐오매 近執이니 부텻긔 親近히 일 자바 뫼ᅀᆞ오ᄆᆞᆯ 니ᄅᆞ니라

言親隨親觀ᄒᆞ며 乃至脫欲承敎ㅣ 皆明身識의 欽承也ㅣ라

닐오ᄃᆡ 親히 조ᄍᆞ와 親히 보ᅀᆞ오며 欲ᄋᆞᆯ 버스며 ᄀᆞᄅᆞ치샤ᄆᆞᆯ 받ᄌᆞ오매 니르리 다 身識의 恭敬ᄒᆞ야 받ᄌᆞ오ᄆᆞᆯ ᄇᆞᆯ기니라

行住座臥애 律儀ㅣ 各二百五十이니

行 住 坐 臥애 律儀 各各 二百五十이니

對三聚ᄒᆞ야 成三千ᄒᆞ고

三聚ᄅᆞᆯ 對ᄒᆞ야 三千이 ᄃᆞ외오

三聚^戒ᄂᆞᆫ 세헤 뫼호온 戒니

ᄒᆞ나ᄒᆞᆫ 攝律儀戒니 殺生 아니ᄒᆞ며 도ᄌᆞᆨ 아니ᄒᆞ며 婬亂 아니ᄒᆞ며 두 가짓 말 아니ᄒᆞ며 모딘 말 아니ᄒᆞ며 거즛말 아니ᄒᆞ며 綺語 아니ᄒᆞ며 貪嫉 欺詐 諂曲 嗔恚 邪見을 머리 여흴씨라

둘ᄒᆞᆫ 攝善法戒니 八萬四千 法門이라

세ᄒᆞᆫ 攝衆生戒니 慈悲喜捨로 有情을 利樂게 ᄒᆞᆯ씨라

復以三千□로 配身口七支ᄒᆞ고

ᄯᅩ 三千으로 몸과 입과 七支예 마키고

身에 殺盜婬 세콰 口에 妄言 綺語 兩舌 惡口 네히 모다 七支라

復配四分煩惱ᄒᆞ야

ᄯᅩ 四分煩惱애 마켜

四分煩惱ᄂᆞᆫ 貪과 嗔과 癡와 等分괘니 等分은 三毒分數ㅣ 等ᄒᆞᆯ씨라

成八萬四千ᄒᆞᄂᆞ니라

八萬四千이 ^ ᄃᆞ외ᄂᆞ니라

性業ᄋᆞᆫ 卽殺盜婬等이니 根於性者ㅣ라

性業은 곧 殺와 盜와 婬과 等이니 性에 根本ᄒᆞᆫ 거시라

遮業은 卽支末愆失이니 因過遮止者ㅣ라

遮業은 곧 그텟 허므리니 過ᄅᆞᆯ 因ᄒᆞ야 마가 그치 누르ᄂᆞᆫ 거시라

戒律이 爲衆綱紀라

戒律이 衆의 綱紀라

親印我心ᄋᆞᆫ 言衆所印可也ㅣ라

親히 내 ᄆᆞᅀᆞᄆᆞᆯ 印호ᄆᆞᆫ 衆의 印可호ᄆᆞᆯ 니ᄅᆞ니라

我以執身等者ᄂᆞᆫ 言由持戒故로 身與身識을 無不圓通也ㅣ라

내 모ᄆᆞᆯ 잡다 홈ᄃᆞᆯᄒᆞᆫ 持戒혼 젼ᄎᆞ로 몸과 身識과ᄅᆞᆯ 圓通티 몯ᄒᆞᆫ ᄃᆡ 업수ᄆᆞᆯ 니ᄅᆞ니라

律中得度ᄂᆞᆫ 波離ㅣ 第一이오

律 中에 건너믈 得호ᄆᆞᆫ 波離ㅣ 第一이오

僧中得度ᄂᆞᆫ 憍陳이 最初ㅣ니

僧 中에 건너믈 得호ᄆᆞᆫ 憍陳이 ᄆᆞᆺ 처ᅀᅥ미니

故로 今에 堂앤 置憍陳ᄒᆞ고 壇앤 置波離ᄒᆞᄂᆞ니 各立本也ㅣ라

이런ᄃᆞ로 이제 堂앤 憍陳을 두고 壇앤 波離ᄅᆞᆯ 두ᄂᆞ니 各各 本ᄋᆞᆯ 셰요미라

六意識

大目犍連이 卽從座起ᄒᆞ야 頂禮佛足ᄒᆞᅀᆞᆸ고 而白佛言호ᄃᆡ

大目犍連이 곧 座로셔 니러 부텻 바래 頂禮ᄒᆞᅀᆞᆸ고 부텻긔 ᄉᆞᆯ오ᄃᆡ

我ㅣ 初於路애 乞食ᄒᆞ다가

내 처ᅀᅥᆷ 길헤 밥 비다가

逢遇優樓頻螺와 伽耶와 那提와 三迦葉波ㅣ 宣說如來ㅅ 因緣深義ᄒᆞ고

優樓頻螺와 伽耶와 那提와 三迦葉波ㅣ 如來ㅅ 因緣 기픈 ᄠᅳ들 펴 니ᄅᆞ거늘 맛나고

我ㅣ 頓發心ᄒᆞ야 得大通達호니

내 믄득 發心ᄒᆞ야 큰 通達ᄋᆞᆯ 得호니

如來惠我ᄒᆞ샤 袈裟ㅣ 著身ᄒᆞ고 鬚髮이 自落ᄒᆞ니ᅌᅵ다

如來 나ᄅᆞᆯ 주샤 袈裟ㅣ 모매 著ᄒᆞ고 鬚髮이 절로 ᄠᅥ러디니ᅌᅵ다

我ㅣ 遊十方호ᄃᆡ 得無罣礙ᄒᆞ며 神通發明에 推爲無上ᄒᆞ야 成阿羅漢호니 寧唯世尊이시리ᅌᅵᆺ고

내 十方애 ᄃᆞᆮ뇨ᄃᆡ ᄀᆞ룜 업수믈 得ᄒᆞ며 神通 發明에 미러 우 업수ᄆᆞᆯ 사마 阿羅漢ᄋᆞᆯ 일오니 엇뎨 世尊ᄲᅮ니시리ᅌᅵᆺ고

十方如來ㅣ 歎我神力이 圓明淸淨ᄒᆞ야 自在無畏라ᄒᆞ시ᄂᆞ니

十方 如來ㅣ 내 神力이 圓明淸淨ᄒᆞ야 自在ᄒᆞ야 저품 업스니라 讚歎ᄒᆞ시ᄂᆞ니

佛問圓通ᄒᆞ실ᄉᆡ 我以旋湛ᄒᆞ야 心光을 發宣ᄒᆞ야 如澄濁流ᄒᆞ야 久ᄒᆞ야 成淸瑩호미 斯爲第一이로소ᅌᅵ다

부톄 圓通ᄋᆞᆯ 무르실ᄊᆡ 내 두르ᅘᅧ ᄆᆞᆯ겨 心光을 發宣ᄒᆞ야 흐린 므를 ᄆᆞᆯ굠 ᄀᆞᆮᄒᆞ야 오라 ᄆᆞᆯ고미 ᄃᆞ외요미 ^ 이 第一이로소ᅌᅵ다

因緣深義ᄂᆞᆫ 謂非世閒和合麤相이라 乃發明世出世法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