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병연ᄒᆡᆼ녹 권디일

  • 연대: 미상
  • 저자: 홍대용
  • 출처: 을병연ᄒᆡᆼ녹(燕行錄全集 43~48)
  • 출판: 東國大學校出版部
  • 최종수정: 2015-01-01

여ᄃᆞᆲ 가디 ᄀᆞᄅᆞ치ᄂᆞᆫ 됴목을 베프시니

풍속이 크게 변ᄒᆞ고

졔되 빈번ᄒᆞ야

실노 우^리 동방 풍교의 근본이 되신디라

이런 고로 이고디

다만 강산의 장녀ᄒᆞᆷ과 풍경의 졀승ᄒᆞᆯ ᄲᅳᆫ이 아니라

긔이ᄒᆞᆫ 고젹이 그 즁의 읏듬이니

가히 아니 보디 못ᄒᆞᆯ 거시로ᄃᆡ

년ᄒᆞ야 극한을 므ᄅᆞᆸᄡᅳ고

마상의 구티ᄒᆞ야

몸이 편티 못ᄒᆞᆫ디라

문을 닷고 ᄌᆞᆷᄌᆞᆷ히 누엇더니

ᄉᆞᄒᆡᆼ이 년광뎡의 감ᄉᆞ와 도ᄉᆞᄅᆞᆯ 모화

사ᄃᆡᄅᆞᆯ 파ᄒᆞᆫ 후의

녜브터 풍악을 베프ᄂᆞᆫ디라

오후의 샹ᄉᆡ 사ᄅᆞᆷ 보ᄂᆡ여

ᄒᆞᆫ가지로 놀기ᄅᆞᆯ 쳥ᄒᆞ거ᄂᆞᆯ

강잉ᄒᆞ야 ᄆᆞᆯ을 ᄐᆞ고 가다ᄀᆞ

길가의 ᄋᆡ^련당을 ᄎᆞᄌᆞ 몬져 드러ᄀᆞ니

물 가온ᄃᆡ 뎡ᄌᆞ와 널노 노흔 ᄃᆞ리

녜 보던 모양이 변티 아냣더라

문 밧긔셔 ᄆᆞᆯ을 ᄂᆞ려

ᄃᆞ리ᄅᆞᆯ 건너

뎡ᄌᆞ의 안ᄌᆞ니

못물 어ᄅᆞᆷ의 젹셜이 닙혀 본ᄉᆡᆨ이 업ᄉᆞ나

뎡ᄌᆞᄅᆞᆯ 뉵면으로 지어

가온ᄃᆡ 방을 드리고

방 밧긔 도라가며 마로ᄅᆞᆯ 노코

마로 밧긔 분합과 난간을 졍쇄히 ᄆᆞᆫᄃᆞ라

단쳥이 녕농ᄒᆞ고

뉵면의 풍경을 ᄃᆞ라

ᄇᆞᄅᆞᆷ이 니ᄅᆞ매

소래 ᄌᆡᆼᄌᆡᆼᄒᆞ야 셔로 응ᄒᆞ니

쳐지ᄂᆞᆫ 비록 셩시 ᄀᆞ온ᄃᆡ 이시나

뇨됴ᄒᆞᆫ 풍치와 쇼쇄ᄒᆞᆫ 긔^상이

환궤의 분요ᄒᆞᆫ 의ᄉᆞᄅᆞᆯ 니ᄌᆞᆯ 곳이러라

이ᄯᆡ ᄇᆞᄅᆞᆷ이 심히 챠

오래 머므디 못ᄒᆞᆯ디라

즉시 문을 나 년광뎡을 향ᄒᆞ니

사ᄃᆡᄅᆞᆯ 아딕 파티 못ᄒᆞ엿ᄂᆞᆫ디라

뒷문으로 드러

대쳥 뒤ᄒᆡ ᄒᆞᆫ 누의 올나안ᄌᆞ니

누 일홈은 운영누라 ᄒᆞ엿더라

누 아ᄅᆡ우ᄒᆡ 남녜 잡난ᄒᆞ야

요란ᄒᆞ기 견ᄃᆡ지 못ᄒᆞᆯ ᄃᆞᆺᄒᆞ거ᄂᆞᆯ

누 셔편 난간ᄀᆞ의 자리ᄅᆞᆯ 어더

니윽히 안ᄌᆞᆺ더니

사ᄃᆡᄅᆞᆯ 파ᄒᆞ고

감ᄉᆞᄂᆞᆫ 듕복이 이시므로 몬져 영으로 도라가고

샹ᄉᆡ ᄂᆡ 옴을 듯고

사ᄅᆞᆷ을 보ᄂᆡ여

드러오라 ᄒᆞ거^ᄂᆞᆯ

즉시 드러ᄀᆞ 좌의 안ᄌᆞ니

마로 삼면의 발을 디오고 ᄯᅳᆷ을 둘너시니

비록 엄동이나 치위ᄅᆞᆯ 니ᄌᆞᆯ너라

좌우의 오뉵십 분ᄃᆡᄅᆞᆯ 버려

비단 의상이 눈이 ᄇᆞᄋᆡ고

풍뉴 긔계ᄂᆞᆫ ᄎᆡᄉᆡᆨ이 션명ᄒᆞ야

ᄃᆞᄅᆞᆫ ᄃᆡ 보디 못ᄒᆞ던 거시 이시니

이ᄂᆞᆫ 감ᄉᆞ의 새로 고티고 더 너흔 거시라

삼현ᄒᆞᄂᆞᆫ 공인은 다 관ᄃᆡᄅᆞᆯ 닙고

머리의 그림 그린 복두ᄅᆞᆯ ᄡᅥ시니

이ᄂᆞᆫ 셔울 악공을 모방ᄒᆞ미라

그 호화ᄒᆞᆫ 긔귀며 샤려ᄒᆞᆫ 거동이

일국의 유명ᄒᆞ미 고이티 아니ᄒᆞ더라

날이 져물매

풍뉴ᄅᆞᆯ 채 ^ 보지 못ᄒᆞ야

햐쳐로 도라오니라

십이일 풍한이 심히 어려오ᄃᆡ

ᄂᆡ일은 길흘 뎐진ᄒᆞᆯ 거시오

도라올 젹 일은 예탁디 못ᄒᆞᆯ디라

드ᄃᆡ여 아ᄎᆞᆷ밥을 ᄌᆡ촉ᄒᆞ야 먹고

황진ᄉᆞ 념조ᄂᆞᆫ 외셩셔 사ᄂᆞᆫ 사ᄅᆞᆷ이라

이곳 고젹을 니기 아ᄂᆞᆫ 고로

ᄒᆞᆫ가지로 ᄯᅥ나 동북편으로 댱경문으로 나가니

이 문 밧긔 길히 계유 두어 뵈오

길 동편은 강이오

셔편은 ᄇᆡᆨ쳑 창벽이 강을 님ᄒᆞ야

ᄉᆞ오 리ᄅᆞᆯ ᄭᅡᆨ근 ᄃᆞ시 두루고

셩이 그 우ᄒᆡ 지형을 인ᄒᆞ여 티쳡이 웅장ᄒᆞ니

이 벽 ^ 일홈은 쳥뉴벽이라 ᄒᆞ엿더라

벽을 의지ᄒᆞ야

ᄉᆞ오 리ᄅᆞᆯ ᄒᆡᆼᄒᆞ야

부벽누의 니ᄅᆞ니

평양셩 북편의 모란봉이라 ᄒᆞᄂᆞᆫ 놉흔 봉이 이셔

오ᄅᆞᄆᆡ 셩즁을 구버보ᄂᆞᆫ디라

이러므로 북편의 별노 셩을 ᄊᆞ

모란봉 우흐로브터 강ᄀᆞ흘 둘너 본셩의 년ᄒᆞ고

영명ᄉᆞ라 ᄒᆞᄂᆞᆫ 졀을 그 가온ᄃᆡ 두고

춍셥으로 ᄒᆞ야곰 승군을 거ᄂᆞ려 딕희게 ᄒᆞ미러라

부벽누ᄂᆞᆫ 그 셩 동편의 강을 부림ᄒᆞ야 지은 집이니

졔도ᄂᆞᆫ 심히 교슬ᄒᆞ고

안ᄒᆡ 벽댱을 ᄭᆞ라실 분이로^ᄃᆡ

안계의 광활ᄒᆞ믄 년관뎡과 다ᄅᆞ미 업고

압흐로 능나되라 ᄒᆞᄂᆞᆫ 셤이 물 ᄀᆞ온ᄃᆡ 빗겨시니

슈목이 줄노 버럿고

약간 인개 이셔

이ᄂᆞᆫ 년광뎡의 업ᄂᆞᆫ 거시 만하

셩시ᄅᆞᆯ 먼니 ᄒᆞ고

디경이 심벽ᄒᆞ니

쳥탈ᄒᆞᆫ 긔상과 표연ᄒᆞᆫ 의ᄉᆞᄂᆞᆫ 년광뎡의 더으더라

북편의 됴고만 뎡ᄌᆡ 이시니

일홈은 함벽뎡이라 ᄒᆞ얏고

압흐로 큰 누히 이시니

일홈은 득월뉘라 ᄒᆞ엿더라

남편으로 셩 구ᄇᆡ의 ᄒᆞᆫ 놉은 곳이 ᄉᆞ면이 방졍ᄒᆞ니

일홈은 을밀ᄃᆡ라 ᄒᆞ니

울연ᄒᆞᆫ 솔 수^풀 ᄉᆞ이의 표연이 반공의 ᄲᆞ혀나니

보매 긔이ᄒᆞ더라

졀 뒤ᄒᆡ ᄒᆞᆫ 돌노 ᄧᆞᆫ 우물이 이시니

이ᄂᆞᆫ 일홈이 긔린굴이라

뎐ᄒᆞ야 니ᄅᆞᄃᆡ

고구려 ᄯᆡ의 동명왕이라 ᄒᆞᄂᆞᆫ 님군이

병난을 만나 피ᄒᆞᆯ 곳이 업ᄉᆞ매

뇽마ᄅᆞᆯ ᄐᆞ고 이 굴노 드러가 난을 면ᄒᆞ다 ᄒᆞ니

그 말이 극히 허황ᄒᆞ고

조고만 우물의 깁흔 구멍을 보디 못ᄒᆞ니

후ᄅᆡ의 몌이여 막힌가 시브더라

셔녁문을 나니

만산의 솔이 텬일을 ᄀᆞ리오고

눈이 길흘 덥허 ᄆᆞᆯ을 ᄐᆞ지 못ᄒᆞᆯ디라

이에 ᄆᆞᆯ을 ᄂᆞ려 간신이 ᄒᆡᆼᄒᆞ야

긔^ᄌᆞ묘의 니ᄅᆞ니

분형이 네모나고

ᄉᆞ면의 ᄂᆞᄌᆞᆫ 부쟝을 두르고

압ᄒᆡ 셕인과 셕양을 각 ᄒᆞᆫ ᄡᅡᆼ을 셰우고

당즁ᄒᆞ야 젹은 비ᄅᆞᆯ 셰워시니

긔ᄌᆞ묘라 ᄡᅥᆺ고

그 뒤ᄒᆡ 녯 비ᄅᆞᆯ 셰워시니

이ᄂᆞᆫ 임진왜란 적의 도젹이 ᄭᅢ쳐 상ᄒᆞ엿ᄂᆞᆫ지라

조각을 합ᄒᆞ고

박쳘노 뭇것더라

졔졀 압흐로 ᄃᆡᄅᆞᆯ 무어 길이나 뒤고

ᄃᆡ 아래 뎡ᄌᆞ각을 짓고

그 안ᄒᆡ 상탁을 ᄀᆞᆷ초아시ᄃᆡ

문이 ᄌᆞᆷ기여 드러가 보디 못ᄒᆞᆯ너라

ᄆᆞᆯ을 ᄐᆞ고 셔남편으로 ᄂᆞ려 칠셩문으로 드니

이 문은 왜란 젹의 텬댱 니여숑이

군ᄉᆞᄅᆞᆯ 거ᄂᆞ리고

이 문으로 드러

도젹을 ᄭᅢ친 곳이라

감영 셔편 담 밧그로 ᄒᆡᆼᄒᆞ야 댱ᄃᆡ의 오ᄅᆞ니

댱ᄃᆡ라 ᄒᆞᄂᆞᆫ 거ᄉᆞᆫ

난시ᄅᆞᆯ 당ᄒᆞ야 셩을 딕희ᄆᆡ

대댱이 올나안ᄌᆞ

긔고로 ᄉᆞ면 슈셩ᄒᆞᄂᆞᆫ 군ᄉᆞᄅᆞᆯ 호령ᄒᆞᄂᆞᆫ 곳이니

셩즁의 가장 놉흔 곳을 ᄀᆞᆯᄒᆡ여 ᄃᆡᄅᆞᆯ 무으고

그 우ᄒᆡ 집을 지어시니

오ᄅᆞ면 ᄉᆞ방을 압님ᄒᆞ고

번셩ᄒᆞᆫ 녀염이 아니 뵈ᄂᆞᆫ 곳이 업고

동강 북편의 너ᄅᆞᆫ 들과 졈졈ᄒᆞᆫ 뫼히

다 년광뎡 경치ᄅᆞᆯ 가져시니

ᄯᅩᄒᆞᆫ 보암ᄌᆞᆨᄒᆞᆫ 곳이러라

셔편으로 ᄂᆞ려 슝녕젼의 니ᄅᆞ니

이ᄂᆞᆫ 단국과 동명왕 위판을 봉안ᄒᆞᆫ 묘당이니

단군은 동방의 쳐음으로 나신 님군이라

참봉이 이셔 딕흰다 ᄒᆞ더라

셔흐로 슝인뎐의 니ᄅᆞ니

이ᄂᆞᆫ 긔ᄌᆞ 위판을 봉안ᄒᆞ온 곳이라

화상 세 벌을 거러시니

의관이 젼 ᄃᆡ 보디 못ᄒᆞ던 졔되니

필연 은나라 의관인가 시브더라

셔문 안 무렬ᄉᆞ의 니ᄅᆞ니

이ᄂᆞᆫ 대명 병부상셔 셕셩의 위판을 봉안ᄒᆞ고

졔독 니여숑이며 양원 니여ᄇᆡᆨ 댱셰작 등 모든 댱슈ᄅᆞᆯ ᄇᆡ향ᄒᆞᆫ 곳이라

셕샹셔ᄂᆞᆫ 임진왜란의 아국이 구병을 쳥ᄒᆞᆯ ᄯᆡ^의

군ᄉᆞ 됴발ᄒᆞᆯ 의논을 힘ᄡᅥ 쥬ᄒᆞ야

젼후의 아국을 고호ᄒᆞᆫ 일이 만터니

ᄆᆞᆺᄎᆞᆷᄂᆡ 참소의 걸녀

아국 일노 화ᄅᆞᆯ 면티 못ᄒᆞ니

아국이 그 은혜ᄅᆞᆯ ᄉᆡᆼ각ᄒᆞ야

ᄉᆞ당을 셰워

츈츄로 졔ᄉᆞᄅᆞᆯ 밧들게 ᄒᆞ니라

셕샹셔와 니여ᄇᆡᆨ은 화상이 잇더라

슝녕뎐과 슝인뎐은 왕ᄌᆞ의 ᄉᆞ당이라

감히 쳠ᄇᆡ티 못ᄒᆞ고

이곳은 쳠ᄇᆡᄅᆞᆯ 허ᄒᆞᄂᆞᆫ지라

두 번 졀ᄒᆞ고 나오니라

셔문으로 나가

일이 니ᄅᆞᆯ ᄒᆡᆼᄒᆞ야

튱무ᄉᆞ의 니ᄅᆞ니

이ᄂᆞᆫ 고구려 댱슈 을문덕의 ᄉᆞ당이라

슈 양뎨 ᄯᆡ의 텬하 병녁을 ^ 다ᄒᆞ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