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병연ᄒᆡᆼ녹 권지이

  • 연대: 미상
  • 저자: 홍대용
  • 출처: 을병연ᄒᆡᆼ녹(燕行錄全集 43~48)
  • 출판: 東國大學校出版部
  • 최종수정: 2015-01-01

무ᄅᆞ니 저ᄒᆡ 조상 신령을 위ᄒᆞ여 뫼신 거시라 ᄒᆞ더라

캉 압ᄒᆡ 탁ᄌᆞ 두어흘 노하시ᄃᆡ

발이 놉고 넙의 ᄒᆞᆫ ᄲᅧᆷ은 되니

이ᄂᆞᆫ 거문고 ᄐᆞᄂᆞᆫ 상이오

문 안ᄒᆡ 셰슈ᄒᆞᄂᆞᆫ 통이 노혀시니

아국 고족상 모양으로 ᄆᆞᆫᄃᆞ라

그 우ᄒᆡ 적은 젼ᄃᆡ야의 물을 ᄯᅥ 올녀 노코

ᄒᆞᆫ 편의 두 기동을 놉히 셰우고

가온ᄃᆡᄂᆞᆫ 풍모란을 삭여 ᄭᅵ워시니

그 우ᄒᆡ 슈건과 마을악이ᄅᆞᆯ 걸^게 ᄒᆞᆫ 거시라

근ᄂᆡ의 아국 사람들이 약ᄌᆡ의 녹용을 슝샹ᄒᆞ야 먹ᄂᆞᆫ디라

이곳이 몽고 ᄯᅡ히 갓ᄀᆞ온 고로

녹용이 흔히 나ᄃᆡ

ᄉᆞᄒᆡᆼ이 드러오면

일ᄒᆡᆼ이 아니 구ᄒᆞᄂᆞ 니 업ᄉᆞ니

갑시 졈졈 돗고

서로 단골을 맛초아

싀긔ᄒᆞ고 긔이ᄂᆞᆫ 거동이 소견이 고이ᄒᆞ니

녜부터 닐으기ᄅᆞᆯ

역관이 강을 건너면 ᄉᆞ촌을 몰나본다 ᄒᆞ더니

이 거동을 보니 거ᄌᆞᆺ말이 아니오

ᄯᅩ ᄌᆡ상의 브침을 맛다온 역관은 서로 걱졍ᄒᆞ고 원망ᄒᆞ야

길흘 못 ᄃᆞᆫ니게 ᄒᆞ엿다 ᄒᆞ니

드ᄅᆞ매 한심ᄒᆞ더라

쥭을 먹은 후의 ᄒᆡᆼ즁 두어 사람을 ᄃᆞ리고

셩 밋흐로 말매암아 셔흐로 ᄒᆡᆼᄒᆞ야

셔남편 큰 길ᄒᆡ 니ᄅᆞ니

이 셩문이 ᄯᅩᄒᆞᆫ 셰 층이오

문 안밧긔 다 저재로ᄃᆡ

번화ᄒᆞ기ᄂᆞᆫ 어졔 보던 곳만 못ᄒᆞ더라

길가ᄒᆡ ᄒᆞᆫ 새로 지은 젼팡이 이시니

단쳥이 극히 찬난ᄒᆞ거ᄂᆞᆯ

문을 드러 사ᄅᆞᆷ을 브ᄅᆞ니

븍편 문으로 비단 렴ᄌᆞᄅᆞᆯ 들고

두어 사람이 나와 뭇거ᄂᆞᆯ

내 ᄃᆡ답ᄒᆞᄃᆡ 우리ᄂᆞᆫ 됴션 사람이라

그ᄃᆡ 젼팡이 하 됴흐매 귀경코져 ᄒᆞ노라

그 사람^들이 다 웃고 드러오라 ᄒᆞ거ᄂᆞᆯ

문을 드니 그 안이 십여 간이오

온갓 물화ᄅᆞᆯ ᄡᅡ하시ᄃᆡ

시렁이 오륙 층이라

다 ᄉᆞ다리ᄅᆞᆯ 노코 오ᄅᆞᄂᆞ리더라

셔편 ᄇᆞ람벽의 ᄒᆞᆫ 악긔 걸녓거ᄂᆞᆯ

일홈을 무ᄅᆞ니 종이라 ᄒᆞ더라

모양은 아국 가약고 ᄀᆞᆺ고 줄은 열셰히러라

그 소ᄅᆡ 듯기ᄅᆞᆯ 쳥ᄒᆞ니

쥬인이 ᄀᆞᆯ오ᄃᆡ ᄐᆞᄂᆞᆫ 사람이 맛ᄎᆞᆷ 업ᄉᆞ니

스ᄉᆞ로 ᄐᆞ 보라 ᄒᆞ고

ᄂᆞ리워 몬ᄌᆔᄅᆞᆯ ᄯᅥ러 내 압ᄒᆡ 노흐니

줄 소ᄅᆡ ᄯᅩᄒᆞᆫ 가약고와 다ᄅᆞ미 업더라

차ᄅᆞᆯ 권ᄒᆞ거ᄂᆞᆯ 먹기ᄅᆞᆯ 파ᄒᆞ고 도라올ᄉᆡ

길^가ᄒᆡ 매돌 가ᄂᆞᆫ 소ᄅᆡ 나거ᄂᆞᆯ

문을 두ᄃᆞ려 사ᄅᆞᆷ을 브ᄅᆞ니

ᄒᆞᆫ 사람이 문을 열고 드러오라 ᄒᆞ거ᄂᆞᆯ

문을 드니 그 안히 어두어 사람을 겨요 분변ᄒᆞᆯ너니

션 디 오ᄅᆡ매 졈졈 밝은지라

그 안ᄒᆡ 넙은 매돌을 노하시ᄃᆡ

크기 네다ᄉᆞᆺ 간의 ᄀᆞ득히 노히고

둥근 돌 세흘 걸고

노ᄉᆡ와 ᄆᆞᆯ을 메워 돌니니

가ᄂᆞᆫ 거ᄉᆞᆫ 됴ᄒᆡ ᄯᅳᄂᆞᆫ 닥을 믈의 프러 너헛ᄂᆞᆫ디라

안문을 열고 드러와 보라 ᄒᆞ거ᄂᆞᆯ 드러가니

그 안ᄒᆡ 됴ᄒᆡ 가마ᄅᆞᆯ 서너흘 노코

ᄇᆞ야흐로 됴ᄒᆡᄅᆞᆯ ᄯᅳ니

그 모양은 아국 법과 ^ 다ᄅᆞ미 업더라

ᄒᆞᆫ 편의 플모 부억 모양으로 벽댱을 놉히 무으고

그 안ᄒᆡ 숫블을 픠워시니

두 편 벽이 덥기 방바닥 ᄀᆞᆺ흔디라

ᄯᅥ 노흔 됴희ᄅᆞᆯ 브치면 잠시의 마ᄅᆞ니

즉시 ᄯᅥ혀 ᄂᆡ고 다른 거ᄉᆞᆯ 브치더라

그 사람들이 날ᄃᆞ려 무ᄅᆞᄃᆡ

너희 나라 됴ᄒᆡᄂᆞᆫ 무어ᄉᆞ로 ᄆᆞᆫᄃᆞᄂᆞ뇨

내 ᄀᆞᆯ오ᄃᆡ 닥으로 ᄆᆞᆫᄃᆞᄂᆞ니라

여러 사람이 듯고 셔로 말ᄒᆞ고 ᄯᅩ ᄀᆞᆯ오ᄃᆡ

닥으로 ᄆᆞᆫ들면 어이 그리 딜긔리오 ᄒᆞ거ᄂᆞᆯ

내 ᄀᆞᆯ오ᄃᆡ 각각 다ᄅᆞᆫ가 시브다 ᄒᆞ니

다 머리ᄅᆞᆯ 그덕이고 올타 ᄒᆞ더라

햐쳐의 ^ 도라와 밥을 먹고

여러 ᄒᆡᆼ즁 사람을 ᄃᆞ리고

다시 남문 안 큰 길ᄒᆡ 니ᄅᆞ러

븍편 네거리ᄅᆞᆯ 향ᄒᆞ야 가니

이날은 일긔 쳥명ᄒᆞ고

길히 마ᄅᆞ매 왕ᄂᆡᄒᆞᄂᆞᆫ 거매 더옥 만코

저쟈의 물화 버린 것과 단쳥 ᄎᆡᄉᆡᆨ이 ᄇᆡ히 빗나니

말노 이로 젼ᄒᆞᆯ 길히 업ᄉᆞᄃᆡ ᄃᆡ강 긔록ᄒᆞ노라

셩은 팔문을 여럿고

관원은 오부ᄅᆞᆯ 베푸니

규모ᄂᆞᆫ 황셩 졔도ᄅᆞᆯ 모방ᄒᆞ여

변방의 강ᄒᆞᆫ 군ᄉᆞᄅᆞᆯ 거ᄂᆞ리고

쳐지ᄂᆞᆫ 화이의 요츙을 웅거ᄒᆞ여

텬하의 긔이ᄒᆞᆫ 물화ᄅᆞᆯ ᄀᆞᆺ초^앗도다

십 니 고든 길이 살ᄃᆡ ᄀᆞᆺᄐᆞ니

셩문이 서로 ᄇᆞ라고

두 편 놉흔 집이 구ᄅᆞᆷ을 년ᄒᆞ니

난간이 마조 비최ᄂᆞᆫ도다

쾌ᄒᆞᆫ 말과 슈노흔 안장은

호쥰ᄒᆞᆫ 오랑ᄏᆡ ᄎᆡᄅᆞᆯ 젹여

ᄡᅣᆼᄡᅣᆼ이 거리로 단니고

평안ᄒᆞᆫ 술위와 보ᄇᆡ로온 휘댱은

단댱ᄒᆞᆫ 겨집이 발을 것고

ᄒᆡᆼ인을 구경ᄒᆞᄂᆞᆫ도다

분 ᄂᆡ여 긔운을 ᄃᆞ토ᄆᆡ

ᄑᆞᆯ을 ᄲᅩᆷᄂᆡ며 눈을 브ᄅᆞᆸᄯᅳᄃᆡ

ᄒᆞᆫ번 더러온 욕셜을 ᄒᆞ지 아니ᄒᆞ니

픙속의 두터오믈 가히 알 거시오

모히여 물화ᄅᆞᆯ 밧고ᄆᆡ

픔슈ᄅᆞᆯ 평논ᄒᆞ고 갑ᄉᆞᆯ ^ 의논ᄒᆞᄃᆡ

ᄆᆞᆺᄎᆞᆷᄂᆡ 요란이 짓거리믈 듯디 못ᄒᆞ니

규모의 간냑ᄒᆞ믈 가히 볼 거시라

호ᄉᆞᄒᆞᆫ 갓옷ᄉᆡ

교위의 디다여 담ᄇᆡᄅᆞᆯ 먹으며 ᄒᆡᆼ인을 브ᄅᆞᄂᆞᆫ 쟈ᄂᆞᆫ

상고의 흥졍을 젼일이 ᄒᆞ미오

냥박ᄒᆞᆫ 의복의

가삼을 헤티고 ᄯᆞᆷ을 흘녀 치위ᄅᆞᆯ 닛ᄂᆞ 니ᄂᆞᆫ

댱인의 일녁을 힘ᄡᅧ ᄒᆞ미라

쳠하의 납병을 ᄃᆞᆯ고

층층ᄒᆞᆫ 탁ᄌᆞ의 온갓 믈화ᄅᆞᆯ 베픈 곳은

이ᄂᆞᆫ 잡화 푸ᄌᆡ오

온갓 마을악이ᄅᆞᆯ 주줄의 걸고

탁ᄌᆞ 우ᄒᆡ 둥근 ᄉᆞ모집 ᄀᆞᆺ흔 거ᄉᆞᆯ 무슈히 언ᄌᆞᆫ 곳은

이ᄂᆞᆫ ^ 마을악이 푸ᄌᆡ오

온갓 ᄀᆞᆺ옷과 여러 가디 의복이

ᄉᆞ벽의 걸닌 곳은 의복 푸ᄌᆡ오

둥글게 ᄆᆞ라 탁ᄌᆞ의 언져시ᄃᆡ

온갓 비단을 각각 졔 유ᄃᆡ로 ᄡᅡ흔 곳은

이ᄂᆞᆫ 비단 푸ᄌᆡ오

집이 별양 놉고

단쳥을 별양 샤티히 ᄒᆞ야

그 안ᄒᆡ 사람의 일용 즙믈이 업ᄉᆞᆫ 거시 업ᄉᆞᄃᆡ

각각 됴ᄒᆡ로 ᄧᅵᄅᆞᆯ 브쳐 표ᄒᆞ고

밧긔 놉흔 ᄃᆡᄅᆞᆯ 셰우고

ᄃᆡ ᄭᅳᆺᄒᆡ 큰 ᄑᆡᄅᆞᆯ ᄃᆞᆯ고

ᄑᆡ의 맛당 당ᄌᆞᄅᆞᆯ ᄡᅳᆫ 곳은

이ᄂᆞᆫ 젼당 푸ᄌᆡ라

문 압ᄒᆡ 별양 놉흔 ᄑᆡᄅᆞᆯ 셰워 네다ᄉᆞᆺ 길히 되고

탁ᄌᆞ의 무슈ᄒᆞᆫ 화병의 온^갓 약ᄌᆡ 일홈을 ᄡᅳᆫ 곳은

이ᄂᆞᆫ 약ᄌᆡ 푸ᄌᆡ오

나귀 밀티 모양으로 여러흘 ᄭᅨ워 주줄의 ᄃᆞᆯ고

저울 밋ᄒᆡ ᄀᆞ애 ᄀᆞᆺ흔 은 버히ᄂᆞᆫ 연댱을 노흔 곳은

이ᄂᆞᆫ 돈 밧고ᄂᆞᆫ 푸ᄌᆡ오

븍채 ᄀᆞᆺᄐᆞᄃᆡ

ᄭᅳᆺᄎᆞᆯ ᄲᆞ게 ᄒᆞ야 쳠하의 여러흘 건 곳은

이ᄂᆞᆫ 바ᄂᆞᆯ 푸ᄌᆡ오

층층ᄒᆞᆫ 탁ᄌᆞ의 온갓 셔젹을 이 뉴뉴히 ᄡᅣ혀시ᄃᆡ

각각 ᄯᅵᄅᆞᆯ 브쳐 졔목을 표ᄒᆞᆫ 곳은

이ᄂᆞᆫ 셔ᄎᆡᆨ 푸ᄌᆡ오

놉흔 ᄃᆡ의 비단 긔ᄅᆞᆯ ᄃᆞ라 됴흔 문ᄌᆞᄅᆞᆯ ᄡᅳ고

문 압ᄒᆡ ᄎᆔᄒᆞᆫ 사람이 만코

문 안의 온갓 픙뉴ᄅᆞᆯ 잡되이 들네ᄂᆞᆫ ^ 곳이

뇨술과 음식 ᄑᆞᄂᆞᆫ 푸ᄌᆡ오

길ᄒᆡ ᄃᆞᆫ니ᄂᆞᆫ 댱ᄉᆞ들도 다 표ᄒᆞᆫ 거시 이시니

혹 젹은 증을 울니며

혹 쇼고ᄅᆞᆯ 티며

혹 쇼고의 두 귀ᄅᆞᆯ ᄃᆞ라 흔들며

혹 쥭비ᄅᆞᆯ 티니

곳곳이 번화ᄒᆞᆫ 경믈을

눈흐로 밋쳐 보디 못ᄒᆞ며

귀로 밋쳐 듯디 못ᄒᆞᆯ 거시오

개개히 장녀ᄒᆞᆫ 긔상이

글노 이로 긔록지 못ᄒᆞ며

부ᄉᆞ로 이로 그리디 못ᄒᆞᆯ 거시니

실노 텬하의 일홈이 이실 곳이오

셰상의 비길 ᄃᆡ 업ᄉᆞᆫ 귀경이러라

길가ᄒᆡ ᄒᆞᆫ 아문을 디나니

문 안밧긔 술위와 ᄆᆞᆯ이 몌여시니

술위ᄂᆞᆫ 다 박회^ᄅᆞᆯ 뒤흐로 믈녀 몌워시니

이ᄂᆞᆫ 술위 안히 편케 ᄒᆞ미오

ᄆᆞᆯ안장이 슈노흔 ᄃᆞ래와 삼거리의 도금ᄒᆞᆫ 거시 만코

나드ᄂᆞᆫ 인믈이 다 쥰슈ᄒᆞ니

이ᄂᆞᆫ 댱군의 아문이라 ᄒᆞ더라

문 압흐로 십여 보ᄅᆞᆯ 나와

서너 발 둥근 남긔 ᄀᆞ로 ᄡᅢ 여라문을 박아

두 편의 ᄒᆞ나식 누여 노하시ᄃᆡ

다 거문 칠을 ᄒᆞ여시니

이ᄂᆞᆫ 아국 대궐 압ᄒᆡ 홍마목 졔도와 ᄀᆞᆺᄐᆞᆫ가 시브더라

ᄒᆞᆫ 푸ᄌᆞ로 드러가니

여러 역관이 이곳 창 딕흰 관원을 쳥ᄒᆞ여

방믈 밧칠 일을 의논ᄒᆞ니

븍경 드러ᄀᆞ^ᄂᆞᆫ 방물을

녜부터 여긔 더러 밧티게 ᄒᆞ엿더라

이 푸ᄌᆞᄂᆞᆫ 잡화 푸ᄌᆡ라

ᄉᆞ벽의 그림과 현판을 브티고 즙믈이 빗나ᄃ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