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병연ᄒᆡᆼ녹 권지삼

  • 연대: 미상
  • 저자: 홍대용
  • 출처: 을병연ᄒᆡᆼ녹(燕行錄全集 43~48)
  • 출판: 東國大學校出版部
  • 최종수정: 2015-01-01

늙도록 쥬야ᄅᆞᆯ 프ᄂᆞᆫ 일이 업ᄂᆞᆫ 고로

ᄀᆞᆺ난 ᄋᆞᄒᆡ 발 모양으로 그져 잇고

그 ᄉᆞᆯ이 다 우흐로 몰니여

다님 ᄆᆡᆫ 지경이 별노 커 슈즁다리 ᄀᆞᆺ흐니

이ᄂᆞᆫ 비록 즁국 픙쇽^이나 고이ᄒᆞᆫ 졔되러라

십ᄉᆞ일 동틀 ᄯᆡ의 길흘 ᄯᅥ나

흥늉졈의 니ᄅᆞ러

분탕 ᄒᆞᆫ 그ᄅᆞᄉᆞᆯ 사 먹고

녀양역의 니ᄅᆞ니

녀염과 져재 ᄀᆞ장 번셩ᄒᆞ더라

쥬인이 어린 ᄌᆞ식이 이셔

요챠의 언저 우름을 ᄃᆞᆯᄂᆡ니

요챠라 ᄒᆞᄂᆞᆫ 거ᄉᆞᆫ 가죡으로 둥쥬리 모양으로 ᄆᆞᆫᄃᆞ라시ᄆᆡ

넙의 ᄒᆞᆫ 쟈흔 ᄒᆞ고 기ᄅᆡ 두 쟈 남ᄌᆞᆨᄒᆞ고

밧그로ᄂᆞᆫ ᄎᆡᄉᆡᆨ으로 화초ᄅᆞᆯ 그려시니

그 안ᄒᆡ 포단을 둣게이 ᄭᆞ라

ᄋᆞᄒᆡᄅᆞᆯ 올녀 안치고

두 편의 줄을 ᄆᆡ야 들보ᄒᆡ ᄃᆞᆯ고

사ᄅᆞᆷ이 ᄒᆞᆫ 편의 안쟈 손으로 밀^티ᄃᆡ

그ᄂᆡ ᄯᅴ오ᄃᆞᆺ ᄒᆞ니

우던 ᄋᆞᄒᆡ 과연 소ᄅᆡᄅᆞᆯ 긋티더라

됴반 후의 길흘 ᄯᅥ나 니십여 리ᄅᆞᆯ ᄒᆡᆼᄒᆞ야

ᄒᆞᆫ ᄉᆞᄅᆞᆷ이 ᄆᆞᆯ을 ᄐᆞ고 압ᄒᆡ ᄆᆞᆯ ᄒᆞ나흘 셰워시니

안장 우ᄒᆡ 무삼 딤을 언ᄭᅩ

그 우ᄒᆡ 븕은 담을 덥허 길게 느리웟거ᄂᆞᆯ

왕가ᄃᆞ려 무ᄅᆞ니 벼ᄉᆞᆯᄒᆞᄂᆞᆫ 사ᄅᆞᆷ의 니블 딤이라 ᄒᆞ더니

수리ᄅᆞᆯ ᄒᆡᆼᄒᆞ야

ᄒᆞᆫ 푸ᄌᆞ의 쥰마ᄅᆞᆯ 여러흘 ᄆᆡ고

안장이 다 빗나니

무ᄉᆞᆫ 관원의 ᄒᆡᆼᄎᆡᆫ가 시브더라

십삼산 슉소의 니ᄅᆞ니

ᄆᆞᄋᆞᆯ 남편의 적은 외로온 뫼히 이셔

여라믄 봉만이 ᄲᆞ^혀나니

일노 인ᄒᆞ야 이 ᄆᆞᄋᆞᆯ을 십삼산이라 ᄒᆞᄂᆞᆫ가 시부더라

압녹강셔브터 븍경의 니ᄅᆞ매

길히 쳔 니 되ᄂᆞᆫ디라

이곳이 반이 된다 ᄒᆞ더라

쥬인의 ᄋᆞᄃᆞᆯ이 나히 열다셔시오 글을 닑노라 ᄒᆞ거ᄂᆞᆯ

ᄎᆡᆨ을 가져오라 ᄒᆞ니 아니 가져오거ᄂᆞᆯ

내 여러 번 니ᄅᆞᆫᄃᆡ

그 아ᄒᆡ 어미 듯고 나와 ᄭᅮ지져

ᄎᆡᆨ을 ᄀᆞ져오라 ᄒᆞ며 닐오ᄃᆡ

놀기만 됴하ᄒᆞ고

글을 닑으라 ᄒᆞ면 슬희여 ᄒᆞ니

무어ᄉᆡ ᄡᅳ리오

노얘 너ᄅᆞᆯ ᄉᆞ랑ᄒᆞ야 글을 닑히랴 ᄒᆞ니

네 어이 그 ᄯᅳᆺ을 모ᄅᆞᄂᆞᆫ다

그 ᄋᆞᄒᆡ ^ 그졔야 ᄎᆡᆨ을 ᄀᆞ져와시ᄃᆡ

ᄆᆡᆼᄌᆞ 아ᄅᆡ권이어ᄂᆞᆯ

캉의 올녀 안쳐 두어 줄을 닑히고

졔 션ᄉᆡᆼ을 무ᄅᆞ니 노야라 ᄒᆞ거ᄂᆞᆯ

ᄌᆞ시 무ᄅᆞ니 이곳 역승이니

역ᄆᆞ 오십 필 ᄎᆞ지ᄒᆞᄂᆞᆫ 소임이라

내 건낭의 먹 ᄒᆞᆫ 댱을 ᄂᆡ여 쥬어 ᄀᆞᆯ오ᄃᆡ

내 평ᄉᆡᆼ의 글 닑ᄂᆞᆫ ᄋᆞᄒᆡᄅᆞᆯ ᄉᆞ랑ᄒᆞᄂᆞᆫ디라

이거ᄉᆞ로 내 ᄯᅳᆺ을 표ᄒᆞ노라

그 아ᄒᆡᄂᆞᆫ 밧고 말이 업ᄉᆞᄃᆡ

그 어미 보고 안심티 아녀라 ᄒᆞ고

그 ᄋᆞᄃᆞᆯᄃᆞ려 ᄀᆞᆯ오ᄃᆡ

네 글을 닑디 아니ᄒᆞ면

이런 거ᄉᆞᆯ 엇디 어더 가지리오 ᄒᆞ더라

ᄆᆞᄋᆞᆯ 뒤ᄒᆡ ᄉᆡᆼ황 부ᄂᆞᆫ ᄉᆞᄅᆞᆷ이 잇다 ᄒᆞ거ᄂᆞᆯ

하인을 보ᄂᆡ여 블너오라 ᄒᆞ니

부ᄉᆡ ᄯᅩᄒᆞᆫ 와 계부와 ᄒᆞᆫ가지로 안잣ᄂᆞᆫ디라

사ᄅᆞᆷ이 드러오거ᄂᆞᆯ

캉 압ᄒᆡ 교위ᄅᆞᆯ 노화 올녀 안치고

소ᄅᆡ 듯기ᄅᆞᆯ 쳥ᄒᆞ니

픔으로셔 ᄉᆡᆼ황을 ᄂᆡ여

비단집을 벗기고 ᄯᆞᆫ 부리ᄅᆞᆯ 맛초니

통과 부리ᄂᆞᆫ 다 ᄇᆡᆨ통으로 ᄆᆞᆫᄃᆞ랏더라

ᄉᆡᆼ황이라 ᄒᆞᄂᆞᆫ 거ᄉᆞᆫ 샹고 젹 녀와시의 ᄆᆞᆫᄃᆞᆫ 거시니

둥근 통을 ᄆᆞᆫ들고

ᄀᆞ온ᄃᆡ 젹은 ᄃᆡ 열닐곱을 박아시ᄃᆡ

기ᄅᆡ ᄎᆞᄎᆞ 저ᄅᆞ고

밋ᄒᆡ 모진 굼글 ᄯᅮᆲ고 금엽을 브쳐

브리로 김을 드리면

적은 ᄃᆡ통^으로셔 소ᄅᆡ 나ᄃᆡ 쳥아격녈ᄒᆞ니

픙뉴 즁의 졔일 놉고 귀ᄒᆞᆫ 거시라

두어 곡됴ᄅᆞᆯ 드ᄅᆞ니

ᄀᆞ장 상쾌ᄒᆞ고 쳥원ᄒᆞ야

아국 픙뉴의 비티 못ᄒᆞᆯ너라

건냥관을 노ᄅᆡᄅᆞᆯ 블니고 마초라 ᄒᆞᄃᆡ

죵시 합지 아닛ᄂᆞᆫ디라

귀경ᄒᆞᄂᆞᆫ ᄉᆞᄅᆞᆷ 즁의 ᄒᆞ나히 노ᄅᆡᄅᆞᆯ 브ᄅᆞᆫ다 ᄒᆞ거ᄂᆞᆯ

여러히 권ᄒᆞ여 부ᄅᆞ라 ᄒᆞ니

그 ᄉᆞᄅᆞᆷ이 졸ᄒᆞᆫ 인믈이라

ᄯᅥᄂᆞᆫ 소ᄅᆡ로 두어 됴ᄅᆞᆯ 브ᄅᆞᄃᆡ

드럼ᄌᆞᆨ디 아니ᄒᆞ더라

ᄉᆡᆼ황 부ᄂᆞᆫ ᄉᆞᄅᆞᆷ이 노ᄅᆡᄅᆞᆯ 몹시 부ᄅᆞᆫ다 ᄒᆞ고

ᄭᅮ짓고 욕ᄒᆞᄂᆞᆫ 거동이 극히 허랑ᄒᆞᆫ 인믈이라

내 그 ^ 셩을 무ᄅᆞ니

셕 ᄌᆞᄅᆞᆯ ᄡᅥ 뵈거ᄂᆞᆯ

내 ᄀᆞᆯ오ᄃᆡ 이ᄂᆞᆫ 즁의 셩이로다

그 사ᄅᆞᆷ이 마으락이ᄅᆞᆯ 버셔 뵈며 ᄀᆞᆯ오ᄃᆡ

머리ᄅᆞᆯ 보라 ᄒᆞ니

과연 즁이라

ᄃᆡ져 오랑ᄏᆡ 법이 머리ᄅᆞᆯ ᄭᅡᆨ그ᄃᆡ

뒤곡뒤의 ᄒᆞᆫ 모슴을 남겨 ᄯᅡ하 느리쳐

일홈을 변ᄌᆞ라 ᄒᆞ니

속한과 즁을 이 변ᄌᆞ로 분변ᄒᆞᆯ 븐이니

이러므로 첫번의 몰나 봄이라

그 즁인 줄을 안 후ᄂᆞᆫ 그 거동이 더옥 가증ᄒᆞ거ᄂᆞᆯ

내 ᄀᆞᆯ오ᄃᆡ 여긔 즁은 고기ᄅᆞᆯ 먹ᄂᆞ냐

그 즁이 ᄀᆞᆯ오ᄃᆡ

아니 먹ᄂᆞᆫ 즁도 이시ᄃᆡ 나ᄂᆞᆫ 먹노라

그 말을 드ᄅᆞ니 더 ᄀᆞ징ᄒᆞᆫ지라

내 ᄯᅩ ᄀᆞᆯ오ᄃᆡ 여긔 즁은 겨집을 두ᄂᆞ냐

그 즁이 ᄀᆞᆯ오ᄃᆡ 겨집 두ᄂᆞᆫ 니ᄂᆞᆫ 업노라

내 ᄯᅩ ᄀᆞᆯ오ᄃᆡ 여긔도 녀승이 잇ᄂᆞ냐

그 즁이 ᄀᆞᆯ오ᄃᆡ 잇ᄂᆞ니라 ᄒᆞ거ᄂᆞᆯ

내 ᄀᆞᆯ오ᄃᆡ 이왕 녀승이 이시면

이거시 즁의 겨집이 아니고 무어시리오

그 즁이 크게 소ᄅᆡᄒᆞ야 날을 보ᄎᆡᆫ다 ᄒᆞ고

닓더나 내 ᄀᆞᄉᆞᆷ을 밀티니

좌우의 듯ᄂᆞᆫ ᄉᆞᄅᆞᆷ이 다 ᄃᆡ쇼ᄒᆞ더라

듯기ᄅᆞᆯ 파ᄒᆞᄆᆡ 그 즁이 가노라 ᄒᆞ거ᄂᆞᆯ

계뷔 부쳬 ᄒᆞ나와 ᄇᆡᆨ디 ᄒᆞᆫ 권과 담ᄇᆡᄃᆡ ᄒᆞ나흘 주시니

그 즁이 졔 머리ᄅᆞᆯ ᄀᆞᄅᆞ쳐 ^ 니로ᄃᆡ

나ᄂᆞᆫ 즁이라 어이 면피ᄅᆞᆯ 바드리오 ᄒᆞ거ᄂᆞᆯ

내 ᄉᆡᆼ각ᄒᆞᄃᆡ 오히려 즁의 ᄆᆞᄋᆞᆷ이 이시니 긔특ᄒᆞ다 ᄒᆞ야

건냥관을 블너 잘 다ᄅᆡ여 쥬어 보ᄂᆡ라 ᄒᆞ니

건냥관이 다ᄅᆡ여 니로ᄃᆡ

그 즁이 부쳬와 됴희ᄅᆞᆯ ᄀᆞᄅᆞ처 ᄀᆞᆯ오ᄃᆡ

이런 좀거ᄉᆞ로 ᄉᆡᆨᄎᆡᆨ만 ᄒᆞ야 쥬니

이럴 줄을 아라시면

내 당초의 어이 와시리오 ᄒᆞ고

노ᄉᆡᆨ이 이시니

아이브터 적게 넉여 졈퇴ᄒᆞᄂᆞᆫ 말이라

ᄀᆞ장 통분ᄒᆞ거ᄂᆞᆯ

내 ᄀᆞᆯ오ᄃᆡ 네 즁이 아니라 진짓 챵다오라 ᄒᆞ니

그 즁이 대로ᄒᆞ야 즁어리며 ᄯᅥᆯ치고 ^ ᄃᆞᆺ거ᄂᆞᆯ

주ᄂᆞᆫ 거ᄉᆞᆯ 아니 가저가ᄂᆞᆫ가 넉엿더니

밧긔 가 달나 ᄒᆞ야 가저가더라 ᄒᆞ니

더 졀통ᄒᆞ더라

이ᄯᆡ의 귀경ᄒᆞᄂᆞᆫ ᄉᆞᄅᆞᆷ이 집안ᄒᆡ ᄀᆞ득ᄒᆞ엿더니

하인이 와 닐오ᄃᆡ

엇던 졈은 벼ᄉᆞᆯᄒᆞᆫ ᄉᆞ람이 드러와 귀경ᄒᆞᆫ다 ᄒᆞ거ᄂᆞᆯ

쳥ᄒᆞ여 드리라 ᄒᆞᆫᄃᆡ

ᄒᆞᆫ ᄉᆞᄅᆞᆷ이 드러오거ᄂᆞᆯ

보니 몸이 댱대ᄒᆞ고 인믈이 극히 쥰슈ᄒᆞᄃᆡ

눈 모양이 범사ᄅᆞᆷ과 다ᄅᆞ거ᄂᆞᆯ

교위의 올녀 안치고

내 몬저 셩명을 무ᄅᆞ니

그 사ᄅᆞᆷ은 ᄃᆡ답지 아니ᄒᆞ고

겻ᄒᆡ 다ᄅᆞᆫ ᄉᆞᄅᆞᆷ ᄒᆞ나히 ᄯᆞᄅᆞ와 셔시니

가졍인가 시브^더라

가졍이 ᄃᆡ답ᄒᆞᄃᆡ 셩이 우개라 ᄒᆞ거ᄂᆞᆯ

내 ᄀᆞᆯ오ᄃᆡ 크우쳔이냐 ᄒᆞ니

븍경은 오가ᄅᆞᆯ 우가라 ᄒᆞ고

크우쳔은 오 ᄌᆞᄅᆞᆯ 파ᄌᆞᄒᆞ야 니ᄅᆞᄂᆞᆫ 말이라

가졍이 ᄀᆞᆯ오ᄃᆡ 아니라 ᄒᆞ거ᄂᆞᆯ

내 ᄀᆞᆯ오ᄃᆡ 그리면 무ᄉᆞᆫ 우 ᄧᆞ뇨 ᄡᅥ 뵈라 ᄒᆞ니

그 ᄉᆞᄅᆞᆷ이 ᄡᅳ거ᄂᆞᆯ

보니 만쥬 언문이라 알 길히 업더라

나흘 므ᄅᆞ니 열여ᄃᆞᆲ이오

의복이 다 긔이ᄒᆞᆫ 비단이오

입의 무어ᄉᆞᆯ 십거ᄂᆞᆯ

무ᄅᆞ니 가졍이 ᄃᆡ답ᄒᆞᄃᆡ 빙낭이라 ᄒᆞ거ᄂᆞᆯ

내 ᄀᆞᆯ오ᄃᆡ 우가ᄂᆞᆫ 어이 말을 ᄃᆡ답지 아니ᄒᆞᄂᆞ뇨

가졍이 ᄀᆞᆯ오ᄃᆡ ^ 이 ᄉᆞᄅᆞᆷ은 만쥬 ᄉᆞᄅᆞᆷ이라

이 흑뇽강 ᄀᆞ의 이시니

이곳의셔 동븍으로 삼쳔 니 밧기라

그 곳은 한어ᄅᆞᆯ 모ᄅᆞ고

진셔ᄅᆞᆯ ᄯᅩᄒᆞᆫ 슝샹티 아니ᄒᆞ니

다만 만쥬 언문과 만쥬말을 알 ᄯᆞᄅᆞᆷ이라

이 사ᄅᆞᆷ이 나히 어리고

븍경을 첫번 ᄃᆞᆫ녀가ᄂᆞᆫ 고로

말을 못ᄒᆞᆫ다 ᄒᆞ거ᄂᆞᆯ

ᄒᆡᆼ즁 역관 변한긔 만쥬말을 잘 ᄒᆞᄂᆞᆫ디라

즉시 블너 말을 무ᄅᆞ라 ᄒᆞ니

그 가졍은 나히 ᄉᆞ십이 넘고

인물이 극히 호한ᄒᆞ여 뵈더라

무ᄅᆞᄃᆡ 우개 무ᄉᆞᆷ 일노 븍경 갓더뇨

가졍이 ᄀᆞᆯ오ᄃᆡ

우리 큰 노^얘 호부낭즁 벼ᄉᆞᆯ노 븍경의 이시ᄆᆡ

근친ᄒᆞ라 갓더니

시방 황뎨의 명을 밧ᄌᆞ와 븍방의 산영ᄒᆞ라 가노라

무ᄅᆞᄃᆡ 우개 나히 어리니 산영을 엇디 능히 ᄒᆞ리오

가졍이 ᄀᆞᆯ오ᄃᆡ 나히 비록 어리나

용녁이 졀인ᄒᆞ고

활 ᄡᅩ기와 창 ᄡᅳ기ᄅᆞᆯ 신통이 ᄒᆞ여

산영을 여러 번 ᄃᆞᆫ니고

큰 범 둘흘 임의 잡앗ᄂᆞᆫ지라

내 그 용녁이 이시믈 듯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