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간이방언해 卷之三권
以熱酒^調下一錢
더운 수레 ᄒᆞᆫ 돈을 프러 머그라
大麻子열ᄡᅵ爛硏
열ᄡᅵᄅᆞᆯ 므르 ᄀᆞ라
以米相和
ᄡᆞ래 섯거
煮粥食之良
쥭 수어 머고미 됴ᄒᆞ니라
生大螺ᄂᆞᆯ 골와ᇰ이一二枚
ᄂᆞᆯ 골와ᇰ이 ᄒᆞᆫ두 나ᄎᆞᆯ
以鹽一匕和殼
소곰 ᄒᆞᆫ 수를 다ᇰ아리예 섯거
生擣碎
ᄂᆞᄅᆞᆯ 디허
置病者臍下一寸三分
벼ᇰᄒᆞᆫ 사ᄅᆞᄆᆡ ᄇᆡᆺ복 아래 ᄒᆞᆫ 치 세 분만 ᄒᆞᆫ ᄃᆡ 브티고
用寬帛緊繫之
너븐 헌거스로 구디 ᄆᆡ야시면
卽大通
즉채 만히 보리라
蜜ᄢᅮᆯ三合入猪膽도ᄐᆡ ᄡᅳᆯ게汁兩枚在內
ᄢᅮᆯ 서 홉을 도ᄐᆡ ᄡᅳᆯ게 두 낫 ᄧᅩᆫ 즙에 녀허
煎如飴
엿ᄀᆞ티 달혀
以井水出
ᄎᆞᆫ므레 녀허
冷候撚
얼의어든 비ᄇᆡ요ᄃᆡ
如指大
쿠미 소ᇇ가락만 ᄒᆞ고
長三寸許
기리 세 치만 케 ᄒᆞ야
納下部^立通
하ᇰ문에 녀흐면 즉재 보리라
大黃四兩
대화ᇱ 불휘 넉 량과
桃仁복셔ᇰ홧 ᄡᅵ 솝 三十枚去皮尖雙仁碎切
복셔ᇰ홧 ᄡᅵ 솝 셜흔 낫 거^플와 귿과 어우러ᇰ ᄡᅵ 앗고 ᄇᆞᅀᅩ니와ᄅᆞᆯ
以水六升煮
믈 엿 되예 달혀
取二升分再服
두 되만 커든 둘헤 ᄂᆞᆫ화 머그라
牽牛子半生半熟擣爲散
견우ᄌᆞᄅᆞᆯ ᄂᆞᆯ 반 니기니 반을 디허 ᄀᆞᆯᄋᆞᆯ ᄆᆡᇰᄀᆞ라
每服二錢煎薑湯ᄉᆡᇰ아ᇰ 글힌 믈調下
두 돈곰 ᄉᆡᇰ아ᇰ 글힌 므레 프러 머고ᄃᆡ
如未通再服
그려도 누디 몯ᄒᆞ거든 다시 머그라
及以熱茶投之
ᄯᅩ 더운 차애 녀허
量虛實
긔운이 허커나 실커나 호ᄆᆞᆯ 혜아려
不計時
ᄢᅵ니 혜디 말오
加減服之
더 머그며 덜 머그라
生薑削如小指長二寸
ᄉᆡᇰ아ᇰᄋᆞᆯ 져근 소ᇇ가락 기리ᄀᆞ티 두 치만 갓가
塗鹽소곰內下部中立通
소곰 ᄇᆞᆯ라 하ᇰ문에 너흐면 즉재 보리라
胡麻油ᄎᆞᆷ기름和粥飮之
ᄎᆞᆷ기르믈 쥭에 프러 머그라
烏梅ᄂᆡ예 그ᅀᅳ린 ᄆᆡ실醬淸漬之
ᄂᆡ예 그ᅀᅳ린 ᄆᆡ시ᄅᆞᆯ ᄆᆞᆯᄀᆞᆫ 쟈ᇰ애 ᄃᆞ마 둣다가
灌下部
그 므를 하ᇰ문에 브ᅀᅳ라
麻子열ᄡᅵ煮取汁常服之
열ᄡᅵᄅᆞᆯ 달혀 즙을 샤ᇰ녜 마시라
葵根아혹 불휘搗
아혹 불휘 디허
取汁生服之
ᄧᅩᆫ 즙을 머그라
膩粉됴ᄒᆞᆫ 분一分
됴ᄒᆞᆫ 분 두 돈 반과
黃丹一錢同硏令勻
화ᇰ단 ᄒᆞᆫ 돈과 ᄒᆞᆫᄃᆡ ᄀᆞ라
每服以粥飮調下一錢
쥭므레 ᄒᆞᆫ 돈곰 프러 머그라
不過三服效
세 번 너무 아니 머거셔 됴ᄒᆞ리라
瓜蔕ᄎᆞᄆᆡᆺ 고고리 五枚搗羅爲末
ᄎᆞᄆᆡᆺ 고고리 다ᄉᆞᆺ 나ᄎᆞᆯ 디허 처
以緜裹內下部中卽通
소오매 ᄡᅡ 하ᇰ문에 녀흐면 즉재 보리라
老人虛人大便秘澁
늘근 사ᄅᆞᆷ과 긔운이 허ᄒᆞᆫ 사ᄅᆞ미 큰ᄆᆞᆯ 몯 보거든
連根葱白불휘 조ᄎᆞᆫ 팟 믿 ᄒᆡᆫ ᄃᆡ 三片
불휘 조ᄎᆞᆫ 팟 믿 ᄒᆡᆫ ᄃᆡ 세 편을
新水煎去葱
ᄀᆞᆺ 기론 므레 달혀 파 앗고
入透明阿膠ᄆᆞᆯᄀᆞᆫ 갓플炒二錢蜜ᄢᅮᆯ二匙溶
ᄀᆞ자ᇰ ᄆᆞᆯᄀᆞᆫ 갓플 봇ᄀᆞ^니 두 돈과 ᄢᅮᆯ 두 술와ᄅᆞᆯ 드려 노겨
開食前溫服
ᄃᆞ시 ᄒᆞ야 밥 아니 머거셔 머그라
乾糞塞膓癥膓脹痛不通
ᄆᆞᄅᆞᆫ ᄯᅩᇰ이 챠ᇰᄌᆞ애 막딜여 얼읜 거시 이셔 ᄇᆡ 탸ᇰ만ᄒᆞ고 알파 ᄆᆞᆯ 몯 보거든
毛桃花가ᄎᆞᆯ 복셩홧 곳 一兩濕者
가ᄎᆞᆯ 복셔ᇰ홧곳 ᄆᆞᄅᆞ디 아니ᄒᆞ니 ᄒᆞᆫ 랴ᇰ과
麵밄ᄀᆞᄅᆞ 三兩和麵
밄ᄀᆞᄅᆞ 석 ^ 랴ᇰᄋᆞᆯ 섯거
作餛飩편시
편시ᄅᆞᆯ ᄆᆡᇰᄀᆞ라
熟煮空腹食之
니기 글혀 밥 아니 머거셔 머그면
至日午後腹中如雷鳴
낫 후만 ᄒᆞ야 ᄇᆡ 안히 글흐면
當下惡物爲效
모딘 거시 나 됴ᄒᆞ니라
大腸有風大便秘結
ᄇᆡ 안해 ᄇᆞᄅᆞᆷ 드러 큰ᄆᆞᄅᆞᆯ 굳ᄇᆞᆯ라 몯 보거든
尊年之人宜服
나 한 사ᄅᆞ미 머고미 맛다ᇰᄒᆞ니
皂角炙去子
조각 구^워 ᄡᅵ 아ᅀᆞ니와
枳殼ᄐᆡᇰᄌᆞᆺ 거플 去穰麩炒各等分
ᄐᆡᇰᄌᆞᆺ 거플 솝 앗고 밄기우레 봇그니와ᄅᆞᆯ ᄀᆞᆮ게 ᄂᆞᆫ화
細末蜜ᄢᅮᆯ丸
ᄀᆞᄂᆞ리 ᄀᆞ라 ᄢᅮ레 ᄆᆞ라 환 지ᅀᅩᄃᆡ
如桐子
머귀 여름만 ᄒᆞ야
大每服七十丸空心食前
닐흔 환곰 밥 아니 머거셔
米飮下
ᄡᆞᆯ 글힌 므레 ᄉᆞᆷᄭᅵ라
灸俠玉泉相去各二寸
옥쳔혈ᄋᆞᆫ ᄇᆡᆺ복 아래 네 치만 ᄒᆞᆫ ᄃᆡ니 두 녁 ᄀᆞᆺ 두 치만 ᄒᆞᆫ ᄃᆡᄅᆞᆯ 나마 초 ᄯᅳ라
名曰腸遺隨年壯一云二寸半
ᄯᅩ 닐오ᄃᆡ ^ ᄇᆡᆺ복 아래 네 치만 ᄒᆞ야 두녁 ᄀᆞᆺ 두 치 반만 ᄒᆞᆫ ᄃᆡᄅᆞᆯ 나 마초 ᄯᅳ라
灸足大都隨年壯
어이밠가락 첫 ᄆᆞᄃᆡ 뒤혜 오목ᄒᆞᆫ 가온ᄃᆡᄅᆞᆯ 나 마초 ᄯᅳ라
大便不通
져근ᄆᆞᆯ 몯 보ᄂᆞᆫ 벼ᇰ
大凡水道不行其本在腎
믈윗 져근ᄆᆞᆯ 보디 몯ᄒᆞᄂᆞᆫ 근원은 신에 잇ᄂᆞ니
腎은 ᄇᆡ 안 오자ᇰ앗 코ᇰᄑᆞ치라
合用牽牛 澤瀉ᄉᆈ귀ᄂᆞᄆᆞᆳ 불휘
견우와 ᄉᆈ귀ᄂᆞᄆᆞᆳ 불휘와 ᄡᅮ미 맛다ᇰᄒᆞ니
其末在肺
그 몯 보ᄂᆞᆫ 그튼 肺예 잇ᄂᆞ니肺ᄂᆞᆫ ᄉᆡᇰ피라
合用葶藶두루믜나ᅀᅵ桑皮ᄲᅩᇰ나못 거플
두루믜나ᅀᅵ와 ᄲᅩᇰ나^못 거플와 ᄡᅮ미 맛다ᇰᄒᆞ니
二者得兼必然中病
이 두 가짓 약을 다 ᄡᅳ면 반ᄃᆞ기 벼ᇰ에 마ᄌᆞ리라
두 가짓 약은 견우 ᄉᆈ귀ᄂᆞᄆᆞᆯ와 두루믜나ᅀᅵ ᄲᅩᇰ나못 거플왜라
其間更以木通이흐름너출滑石佐之
그 ᄉᆞᅀᅵ예 다시 이흐름너출와 활셕과로 조쳐 ᄡᅳ면
又能透達
ᄯᅩ 긔운이 느ᇰ히 토ᇰᄒᆞ리라
雖然大便小便脉絡相貫也
비록 그러나 큰ᄆᆞᆯ 져근ᄆᆞᆯ 보ᄂᆞᆫ ᄆᆡᆨ이 서르 니ᅀᅥ 잇ᄂᆞ니
人有多日小便不通
사ᄅᆞ미 여러 날 몯 보거든
但用和劑方神保圓北亭圓莗
오직 화졔바ᇰ애 신보원이어나 북뎌ᇰ원이어나 머거
大瀉數行小腸自利
ᄀᆞ자ᇰ 즈츼요ᄆᆞᆯ 두^ᅀᅥ 번 ᄒᆞ면 져근ᄆᆞ리 졀로 뵈리라
小便不通
져근ᄆᆞᆯ 몯 보거든
桃木茸복셔ᇰ화 남ᄀᆡᆺ 버슷煮服
복셔ᇰ화 남ᄀᆡᆺ 버스슬 글혀 머그라
石首魚頭石조ᄀᆡ 머리옛 돌爲末
조ᄀᆡ 머리옛 돌ᄒᆞᆯ ᄀᆞᆯᄋᆞᆯ ᄆᆡᇰᄀᆞ라
水服方寸匕日三
므레 프러 ᄒᆞᆫ 술옴 ᄒᆞ야 ᄒᆞᄅᆞ 세 번 머그라
杏仁ᄉᆞᆯ고ᄡᅵ 솝二七枚去皮尖
ᄉᆞᆯ고ᄡᅵ 솝 두닐굽 나ᄎᆞᆯ 거플와 부리와 업게 ᄒᆞ고
炒黃
누르게 봇가
米飮服之差
ᄡᆞᆯ 글힌 므레 프러 머그면 됴ᄒᆞ리라
牛膝幷葉ᄉᆈ무룹 불휘와 닙
ᄉᆈ무릅 불휘와 닙과ᄅᆞᆯ
不以多少酒煮飮之立愈
하나 져그나 수레 달혀 머그면 즉재 됴ᄒᆞ리라
熬鹽소곰熨小腹下
소고ᄆᆞᆯ 봇가 ᄇᆡᆺ기슭을 울ᄒᆞ며
及擣葱白팟 믿 ᄒᆡᆫ ᄃᆡ
팟 믿 ᄒᆡᆫ ᄃᆡᄅᆞᆯ 디허
以酢초^和
초애 섯거
封小腹上
ᄇᆡᆺ기슭 우희 브티라
蓁艽二兩去莖
진굣 불휘 ᄒᆞᆫ 랴ᇰ을 줄ᄀᆡ 브튼 ᄃᆡ 업게 ᄒᆞ니와
冬瓜子도ᇰ화ᄡᅵ擣羅爲散
도ᇰ화ᄡᅵ 두 랴ᇰ과ᄅᆞᆯ 디허 ᄀᆞᄂᆞᆯ에 처
每於食前
밥 아니 머거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