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월보
一은 합력(合力)이니 가령 손으로 무어슬 잡으면
힘을 다 손에 화합ᄒᆞᄂᆞᆫ 거시오
二는 금지(禁止)이니
가령 의원이 사ᄅᆞᆷ의 니를 ᄲᅢᆯ ᄯᅢ에 압허셔
소ᄅᆡ 질으랴 ᄒᆞ다가 막ᄂᆞᆫ 거시니라
百四十四 문
유긔톄의 운동ᄒᆞᄂᆞᆫ 방한(防限)은 무어시뇨
답
두 가지 잇스니
一은 ᄲᅧ가 과히 길지 안코
가늘고 힘은 부죡ᄒᆞᆫ 고로 방한이라 ᄒᆞ며
二는 쓰ᄂᆞᆫ 힘이 부죡ᄒᆞᆷ이니
힘줄과 막션의 잇ᄂᆞᆫ 힘이 엇던 ᄯᅢ는 적고 엇던 ᄯᅢ는 만흐니
엇던 ᄯᅢ는 능ᄒᆞᆫ 바ㅣ 도모지 업슬 수 잇거니와
그러나 그 슈의를 막지 못ᄒᆞᄂᆞᆫ 거시니라
二 항 본능〔本能〕
百四十五 문 본능의 언ᄉᆞ는 무어시뇨
답
사ᄅᆞᆷ이 제 본ᄅᆡ 잇ᄂᆞᆫ 셩픔에 잇ᄂᆞᆫ 리치대로 쳘 모로고
졀노 ᄒᆞ게 하ᄂᆞᆫ 거시니라
百四十六 문
특질(特質) 본능은 엇더ᄒᆞᆫ 거시뇨
답
네 가지 잇스니
첫재는 연유(緣由)를 모로ᄂᆞᆫ ᄯᅳᆺ시니
가령 어린 ᄋᆞ희가 젓먹을 ᄯᅢ에 살지기를 ᄉᆡᆼ각지 안ᄂᆞᆫ 것과 ᄀᆞᆺᄒᆞᆫ ᄯᅳᆺ시며
둘재는 슉명(宿命)이니
사ᄅᆞᆷ이 유긔톄에 원인(原因)인 고로
억지로 식이ᄂᆞᆫ 거시오
셋재는 일양(一樣)이니 특질이 각 류 잇ᄂᆞᆫ 대로 되ᄂᆞᆫ 거시라
즘ᄉᆡᆼ은 그 일양대로 ᄒᆞᄂᆞᆫ 고로
사ᄅᆞᆷ이 그 증ᄉᆡᆼ을 능히 이긜 수 잇고 다ᄉᆞ릴 수 잇ᄂᆞ니라
넷재는 ᄇᆡ홈이 업시 나ᄂᆞᆫ 거시니
가령 공즁에 잇ᄂᆞᆫ 새가 태초브터
제 집 ᄆᆞᆫᄃᆞᆯ ᄯᅢ에 ᄇᆡ홈이 업시 온젼히 능ᄒᆞᆯ 수 잇ᄂᆞ니라
百四十七 문
본능과 지각으로 샹ᄃᆡᄒᆞᆷ이 엇더ᄒᆞ뇨
답
지각으로 ᄒᆞᄂᆞᆫ 거슨 연고를 짐작ᄒᆞ야 ᄒᆞᄂᆞᆫ 거시니
ᄒᆡᆼᄒᆞᆷ이 담당ᄒᆞᄂᆞᆫ 거시오
오직 본능은 쳘 모로고 ᄒᆞᄂᆞᆫ 고로 담당치 못ᄒᆞᄂᆞᆫ 거시니라
百四十八문
사ᄅᆞᆷ의 별ᄒᆞᆫ 본능이 무어시뇨
답
두 가지 잇스니
첫재는 말류(抹留)ᄒᆞᆷ이니 ᄌᆞ긔를 먹이ᄂᆞᆫ 거시오
ᄂᆞᆷ의게 해로옴을 밧지 안케 ᄒᆞᄂᆞᆫ 거시며
둘재는 본능 예존(例存)이니 날녀 화합ᄒᆞᄂᆞᆫ 것과 머미가
ᄋᆞ희를 보호ᄒᆞᄂᆞᆫ 거시며 ᄯᅩᄒᆞᆫ 교졔ᄒᆞᆷ이니
사ᄅᆞᆷ이 류대로 샹죵ᄒᆞ면 화합ᄒᆞ고
서로 풍셩ᄒᆞᆫ 거시니라
三 항 ᄇᆡ호ᄂᆞᆫ 운동
百四十九 문
ᄇᆡ호ᄂᆞᆫ 운동ᄒᆞᆷ이 무어시뇨
답
사ᄅᆞᆷ의 셩픔은 본ᄅᆡ 잇ᄂᆞᆫ 거시오
오직 그 픔셩(品性)은 련달 잇ᄂᆞᆫ 대로 나ᄂᆞᆫ 거시니
모든 사ᄅᆞᆷ이 ᄒᆞᆫ 모양으로 나ᄂᆞᆫ 거시 아니오 다름이 잇스며
ᄇᆡ호ᄂᆞᆫ 운동은 곳 관습(慣習)이니
사ᄅᆞᆷ이 무ᄉᆞᆷ 일을 ᄒᆞᆫ 번 ᄒᆞ면 두 번 ᄒᆞ기 쉽고
오래ᄒᆞ면 졀노 되ᄂᆞᆫ ᄯᅳᆺ시니라
百五十 문
관습의 긔원은 엇더케 니러나ᄂᆞ뇨
답
여러 가지 잇스니
혹 사ᄅᆞᆷ이 형편 잇ᄂᆞᆫ 대로 나오ᄂᆞᆫ 관습도 잇고
혹 사ᄅᆞᆷ이 제 임의대로 ᄒᆡᆼᄒᆞᄂᆞᆫ 거시 만히 잇ᄂᆞᆫ 대로
관습이 니러날 거시며
사람이 화합ᄒᆞ야 ᄒᆞᆫ 관습에 샹관되면
풍쇽이라 ᄒᆞᄂᆞ니라
百五十一 문
관습법은 무어시뇨
답
법이 두 가지 잇스니
첫재는 관^습에 련달나ᄂᆞᆫ 대로 교통ᄒᆞᆷ이 업서지고
ᄒᆡᆼᄒᆞᆷ이니 니러나ᄂᆞ니
가령 술 먹ᄂᆞᆫ 사ᄅᆞᆷ이 취ᄒᆞᆫ 관습이 되ᄂᆞᆫ 술을 더 만히 먹어야
ᄆᆞᄋᆞᆷ을 ᄎᆡ오ᄂᆞᆫ 거시며
ᄯᅩ 사ᄅᆞᆷ이 ᄆᆡᆫ 처음에 글ᄌᆞ ᄇᆡ홀 ᄯᅢ에 글ᄌᆞ를 긔록ᄒᆞ기로
ᄉᆡᆼ각 만히 잇다가 ᄇᆡ혼 후에 글ᄌᆞ를 ᄉᆡᆼ각지 안코
ᄯᅳᆺ만 ᄉᆡᆼ각ᄒᆞ야 더 잘 긔록ᄒᆞᄂᆞᆫ 거시며
둘재ᄂᆞᆫ 관습에 픔셩을 세우ᄂᆞᆫ 거시니
관습이 온젼이 된 후에는
새로온 관습을 막을 터이니라
百五十二 문
몽혼〔夢魂〕은 무어시뇨
답
언ᄉᆞ ᄆᆞᆫᄃᆞᆯ기로 ᄯᅳᆺ시 세 가지 잇스니
첫재는 몽혼ᄒᆞᆷ으로 밧ᄂᆞᆫ 사ᄅᆞᆷ의 형편이니
만일 엇던 사ᄅᆞᆷ이 ᄌᆞ긔 쥬의를 ᄲᆡ아스면
ᄌᆞ긔 쥬의는 업서지고
다른 사ᄅᆞᆷ의 식이ᄂᆞᆫ 대로 ᄒᆞᄂᆞᆫ 것과 ᄀᆞᆺᄒᆞ니
가령 사ᄅᆞᆷ이 연필을 들고 이것만 보라고 ᄒᆞ면
보다가 쥬의를 일코 자면셔 ᄂᆞᆷ이 식이ᄂᆞᆫ 대로 ᄒᆞᄂᆞ니라
둘재는 몽ᄒᆡᆼ(夢行)ᄒᆞᆷ이니
사ᄅᆞᆷ이 몽혼을 밧은 후에 ᄂᆞᆷ이 식이ᄂᆞᆫ 대로 ᄒᆡᆼᄒᆞᆯ 거시니
가령 손을 들나 ᄒᆞ면 들 거시오 ᄂᆞ리라 ᄒᆞ면
ᄂᆞ리고 ᄂᆞ리지 못ᄒᆞᆫ다 ᄒᆞ면 ᄂᆞ리지 못ᄒᆞᄂᆞᆫ 거시며
ᄯᅩ 걸어 ᄃᆞᆫ니라 ᄒᆞ면 슌죵ᄒᆞ고 온젼히 밧으면
제 능ᄒᆞᆫ 바ㅣ 도모지 업고
ᄂᆞᆷ ^ 의게 잇ᄂᆞᆫ 관념대로 ᄒᆡᆼᄒᆞᄂᆞᆫ 거시니라
百五十三 문
몽혼의 ᄭᆞᄃᆞᆰ은 무어시뇨
답
그 사ᄅᆞᆷ이 연필을 불 ᄯᅢ에 머리골 ᄒᆡᆼᄒᆞᄂᆞᆫ 거슬 긋치고
졍평〔正平〕ᄒᆞᆷ이 되며 관념ᄒᆞᆫ 운동 되기 쉽고
ᄯᅩᄒᆞᆫ 식이ᄂᆞᆫ 사ᄅᆞᆷ이 말ᄒᆞᆯ ᄯᅢ에 관념이 슈의(隨意) 업시 응답ᄒᆞᄂᆞᆫ 고로
관념ᄒᆞᄂᆞᆫ 운동이 니러 나ᄂᆞ니라
二 관 슈의(隨意)
百五十四 문
슈의의 언ᄉᆞ는 무어시뇨
답
ᄒᆡ셕ᄒᆞᄂᆞᆫ 거시 세 가지 잇스니
一은 구(救)ᄒᆞᄂᆞᆫ 거시오
二는 촌탁(忖度)ᄒᆞᄂᆞᆫ 거시오
三은 슈의로 ᄒᆞᄂᆞᆫ 거시니라
一 항 구(救)ᄒᆞᆷ
百五十五 문
구ᄒᆞᆷ의 언ᄉᆞ는 무어시뇨
답
억지로 샹ᄃᆡᄒᆞᄂᆞᆫ ᄯᅳᆺ시니
가령 물에셔 ᄇᆡ를 탈 ᄯᅢ에 물 흘음으로 ᄇᆡ를 억지로 가게 ᄒᆞᆷ이오
오직 됴흔 음식을 맛보면 다시 보고 십은 거슨
억지로 ᄒᆞᄂᆞᆫ 거시 아니오
오직 음식이 우리를 교통ᄒᆞᄂᆞᆫ 거시니 구ᄒᆞᆷ이라 ᄒᆞᄂᆞ니라
百五十六 문
운동과 동긔가 다름이 무어시뇨
답
유긔톄에 잇ᄂᆞᆫ 능력이 몸을 흔ᄃᆞᆯ랴 ᄒᆞᄂᆞᆫ 고로 운동이라 ᄒᆞ고
동긔는 몸을 흔ᄃᆞᆯ ᄯᅢ에 ᄒᆞᄂᆞᆫ 거시 아니라
오직 곳 원인이니
가령 사ᄅᆞᆷ이 유익을 밧을 줄노 녁이면
ᄒᆡᆼᄒᆞᄂᆞᆫ 거슨 동긔로 ᄒᆡᆼᄒᆞᄂᆞᆫ 거시니라
百五十七 문
동긔의 긔원(起源)이 엇더ᄒᆞ뇨
답 ᄌᆞ긔를 아ᄂᆞᆫ 쟈ㅣ라야 동긔를 나게 ᄒᆞᆯ 수 잇ᄂᆞᆫ 거시니
이거슨 물질〔物質〕이 아니오
오직 관념(觀念)이니 가령 사ᄅᆞᆷ이 됴흔 음식을 엇고져 ᄒᆞᄂᆞᆫ 거슨
먹기로 ᄌᆞ미날 듯ᄒᆞᆫ 거시오
그 먹기로 미리 ᄉᆡᆼ각ᄒᆞᆯ ᄯᅢ에는 ᄌᆞ미잇ᄂᆞᆫ 거시 아니라
오직 이후에 ᄌᆞ미잇기로 ᄉᆡᆼ각ᄒᆞᆷ인 고로
됴흔 일 밧을 줄 녁임으로 동긔가 능히 니러날 수 잇ᄂᆞᆫ 거시며
동긔가 ᄒᆡᆼ실의 원인이 아니오
오직 ᄒᆡᆼᄒᆞᆯ 쟈가 제 임의대로 ᄒᆡᆼᄒᆞᆯ 거시니라
百五十八 문
동긔의 형질이 엇더ᄒᆞ뇨
답
물질력(物質力)은 쳑량ᄒᆞᆯ 수 잇거니와
동긔는 ᄒᆞᆯ 수 업ᄂᆞᆫ 거시라
그러나 형질이 잇섯스니 혹 ᄒᆞᆯ만ᄒᆞᆫ 거시라고도 ᄒᆞ고
혹 ᄒᆞᆯ만ᄒᆞ지 안타고도 ᄒᆞᆯ 수 잇스며
혹 올코 올치 안타고도 ᄒᆞᆯ 수 잇ᄂᆞ니라
사ᄅᆞᆷ이 률법 아래 잇스니
동긔의 형질은 법 잇ᄂᆞᆫ 대로 되ᄂᆞᆫ 거시니라
百五十九 문
동긔와 감동이 서로 무ᄉᆞᆷ 샹관이 잇ᄂᆞ뇨
답
동긔와 감동이 서로 샹관 업스^면 아모 일이라도
ᄒᆡᆼᄒᆞ기로 구ᄒᆞᆷ이 업슬 거시며
감동 잇ᄂᆞᆫ ᄭᆞᄃᆞᆰ으로 우리 동긔가 니러 나ᄂᆞ니라
百六十 문
동긔의 급(級)이 무어시뇨
답
감동과 동긔가 서로 샹관 잇ᄂᆞᆫ 고로
우리는 급을 ᄆᆞᆫᄃᆞᆯ 수 잇ᄂᆞᆫ 거시오
사ᄅᆞᆷ이 감동을 늘 변ᄒᆞᄂᆞᆫ 대로 동긔가 니러나ᄂᆞᆫ 거시니
대개 ᄋᆡ락잇ᄂᆞᆫ 대로 원염(願厭)이 나ᄂᆞ니라
엇던 동긔가 어나 사ᄅᆞᆷ은 ᄒᆞᆫ 모양으로 교통ᄒᆞ고
다른 사ᄅᆞᆷ은 다른 모양으로 교통ᄒᆞᄂᆞ니라
二 항 촌탁(忖度)
百六十一 문
의식(意識)에 ᄒᆡᆼᄒᆞᄂᆞᆫ 거시 엇더ᄒᆞ뇨
답
아모 ᄯᅢ던지 우리 ᄆᆞᄋᆞᆷ을 도라보면
공존(共存)ᄒᆞᆫ 의식을 ᄭᆡᄃᆞ를 수 잇스니
동긔가 여러 가지 잇ᄂᆞᆫ 줄 아ᄂᆞ니라
아모 ᄯᅢ이라도 동긔가 ᄒᆞ나만 ᄆᆞᄋᆞᆷ에 잇지 못ᄒᆞᆫ 고로
아모 일이라도 ᄒᆞ기 젼에
동긔의 교통ᄒᆞᄂᆞᆫ 것 즁에 ᄒᆞ나 ᄐᆡᆨᄒᆞ고 좃ᄂᆞ니라
百六十二 문
취졍(聚精)ᄒᆞᆷ이 무어시뇨
답
아모 ᄯᅢ이던지 여러 가지가 ᄆᆞᄋᆞᆷ 압헤 잇스면
그 즁에 ᄒᆞ나 ᄐᆡᆨᄒᆞ고 힘써 ᄉᆡᆼ각ᄒᆞᄂᆞᆫ ᄯᅳᆺ이니라
百六十三 문
취졍이 여러 가지와 ᄒᆞᆷᄭᅴ ᄒᆞᄂᆞᆫ 거시 엇더ᄒᆞ뇨
답 동긔가 여러 가지 ᄆᆞᄋᆞᆷ 압헤 잇^슬 ᄯᅢ에 몃 ᄐᆡᆨᄒᆞ야
비식ᄒᆞᆫ 것과 샹ᄃᆡᄒᆞᄂᆞᆫ 것과 귀ᄒᆞᆫ 것과 쳔ᄒᆞᆫ 거슬 힘써 짐작ᄒᆞᄂᆞᆫ ᄯᅳᆺ시니
가령 ᄇᆡ곱흔 사ᄅᆞᆷ이 ᄀᆡᆨ쥬집에 밥을 보고 도적질ᄒᆞ랴 ᄒᆞ다가
그런 일을 ᄒᆞ면 형벌 밧을 줄을 알고
량심도 그런 일을 금ᄒᆞ엿스니
이 여러 가지 잇ᄂᆞᆫ 동긔를 도로 ᄉᆡᆼ각ᄒᆞᆯ ᄯᅢ에
도적질ᄒᆞ기로 교통ᄒᆞᄂᆞᆫ 거슨 업서지ᄂᆞ니라
百六十四 문 촌탁의 ᄀᆡᆨ관은 무어시뇨
답 세 가지 잇스니 一은 목뎍(目的)이니
가령 그 ᄇᆡ곱흔 사ᄅᆞᆷ이 그 밥을 도적ᄒᆞ고 형벌 밧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