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삼가해언해 3권

  • 한문제목: 金剛經三家解諺解
  • 연대: 1482
  • 출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소장본 가람문고 294.332 B872g v.3

各別히 긴 고디 잇ᄂᆞ니

不妨拈出ᄒᆞ니라

자바 내요미 막디 아니ᄒᆞ니라

相即非相이며

相이 곧 相 아니며

生即非生이라 ᄒᆞ시니

生이 곧 生 아니라 ᄒᆞ시니

只說得一半ᄒᆞ시고

오직 ᄒᆞᆫ 半ᄋᆞᆯ 니ᄅᆞ시고

說不及一半이시니

닐오ᄆᆞᆯ ᄒᆞᆫ 半ᄋᆞᆯ 밋디 몯ᄒᆞ시니

一半ᄋᆞᆯ 更須拈出ᄒᆞ야ᅀᅡ 始得다

ᄒᆞᆫ 半ᄋᆞᆯ 다시 모로매 자바 내야ᅀᅡ 올타

不是衆生이며 不是相이라 ᄒᆞ시니

이 衆生 아니며 이 相 아니라 ᄒᆞ시니

春暖黃鶯이 啼柳上이로다

봄 더운 ᄃᆡ 누른 곳고리 버들 우희 우놋다

說盡山雲海月情이어늘

뫼햇 구룸과 바ᄅᆞ랫 ᄃᆞᆳ ᄠᅳ들 다 니ᄅᆞ거늘

依前不會ᄒᆞ야 空惆悵ᄒᆞᄂᆞ다

알ᄑᆞᆯ 브터 아디 몯ᄒᆞ야 쇽졀업시 惆帳ᄒᆞᄂᆞ다

休惆悵ᄒᆞ라

惆帳 말라

萬里無雲天一樣이니라

萬 里예 구루미 업서 하ᄂᆞᆯ히 ᄒᆞᆫ 樣이^니라

惆帳ᄋᆞᆫ ᄠᅳᆮ 일흔 야ᇰᄌᆡ니 애ᄃᆞᆯ시라

纖毫不掛處ㅣ

ᄀᆞᄂᆞᆫ 터럭도 거디 아니ᄒᆞᆫ 고디

萬像頓彰時로다

萬像이 모로기 나ᄐᆞᆫ 저기로다

山頂白雲이 封不開ᄒᆞ니

묏 뎌ᇰ바기예 白雲이 封ᄒᆞ야 여디 아니ᄒᆞ니

海天明月이 正蕭然ᄒᆞ도다

바ᄅᆞᆺ 하ᄂᆞᆯ ᄇᆞᆯᄀᆞᆫ ᄃᆞ리 正히 蕭然ᄒᆞ도다

見已ᄒᆞ고 情自悅호니

보고 ᄠᅳ데 내 깃고니

此情을 說向誰오

이 ᄠᅳ들 누를 向ᄒᆞ야 니ᄅᆞ료

傍有遠郷客作夢이어늘

겨틔 먼 스ᄀᆞ올 소니 ᄭᅮ믈 ᄭᅮ엣거늘

扶起分明說此情호라

자바 니ᄅᆞ왇고 이 ᄠᅳ들 分明히 닐오라

睡初起ᄒᆞ니

ᄌᆞᄆᆞᆯ 처ᅀᅥᆷ 니니

眼昏昏ᄒᆞ야

누니 昏昏ᄒᆞ야

依前不會ᄒᆞ야

알ᄑᆞᆯ 브터 아디 몯ᄒᆞ야

空惆悵ᄒᆞᄂᆞ다

쇽졀업시 惆帳ᄒᆞᄂᆞ다

休惆悵ᄒᆞ라

惆帳 말라

一道寒光이 滿目前이니라

ᄒᆞᆫ 긼 ᄎᆞᆫ 비치 눈 알ᄑᆡ ᄀᆞᄃᆞᆨᄒᆞ니라

須菩提야 如來ᄂᆞᆫ 是眞語者ㅣ며

實語者ㅣ며

如語者ㅣ며

不誑語者ㅣ며

不異語者ㅣ니라

諸法實相ᄋᆞᆯ 說也說盡ᄒᆞ시고

諸法 實相ᄋᆞᆯ 닐어 니ᄅᆞ샤ᄆᆞᆯ 다ᄒᆞ시고

乃云我所說法은

니ᄅᆞ샤ᄃᆡ 내 닐온 밧 法은

眞不僞ᄒᆞ며

眞ᄒᆞ야 거츠디 아니ᄒᆞ며

實不虛ᄒᆞ며

實ᄒᆞ야 虛티 아니ᄒᆞ며

上不違如理ᄒᆞ고

우흐로 如理예 어긔디 아니ᄒᆞ고

下不誑衆生이니

아래로 衆生ᄋᆞᆯ 소기디 아니ᄒᆞ니

佛佛이 皆然ᄒᆞ샤

佛佛이 다 그러ᄒᆞ샤

初無異說ᄒᆞ시니라

자ᇝ간도 다ᄅᆞᆫ 마리 업스시니라

知恩者ㅣ 少ᄒᆞ고

恩ᄋᆞᆯ 알리 적고

負恩者ㅣ 多ᄒᆞ도다

恩ᄋᆞᆯ 지여ᄇᆞ리리 하도다

諄諄之慈ㅣ 靡所不至어시늘

브즐우즐ᄒᆞ신 慈悲 니르디 아니ᄒᆞᆫ ᄃᆡ 업거시ᄂᆞᆯ

隨語生解者ㅣ 衆ᄒᆞ고

마ᄅᆞᆯ 조차 아롬 내리 하고

承言會旨者ㅣ 鮮ᄒᆞ니

말ᄉᆞᆷ 바다 ᄠᅳᆮ 알리 져그니

承言會旨ᄂᆞᆫ 所以知恩이오

말ᄉᆞᆷ 바다 ᄠᅳᆮ 아로ᄆᆞᆫ 恩ᄋᆞᆯ 아논 아치오

隨語生解ᄂᆞᆫ 所以負恩이니라

말ᄉᆞᆷ 조차 아롬 내요ᄆᆞᆫ 恩ᄋᆞᆯ 지여ᄇᆞ리논 아치라

兩箇五百이 是一貫이니

두 五百이 이 ᄒᆞᆫ 貫이니

阿爺ㅣ 元是丈夫漢이니라

아비 본ᄃᆡ 이 丈夫漢이니라

分明對面ᄒᆞ야 向渠言ᄒᆞ나

分明히 ᄂᆞᄎᆞᆯ 對ᄒᆞ야 저를 向ᄒᆞ야 니ᄅᆞ나

向一作報

爭奈好心에 無好報ㅣ로다

컨마ᄅᆞᆫ 됴ᄒᆞᆫ ᄆᆞᅀᆞ매 됴ᄒᆞᆫ 가포미 업도다

眞語者實語者여

眞語와 實語왜여

呵呵呵喏喏喏ㅣ로다

呵呵呵 喏喏喏ㅣ로다

天下애 無二道ᄒᆞ며

天下에 두 道ㅣ 업스며

聖人이 無兩心ᄒᆞ시니

聖人이 두 ᄆᆞᅀᆞᆷ 업스시니

如來眞實說ᄋᆞᆫ 只說這介法이시니라

如來ㅅ 眞實ㅅ 말ᄉᆞᄆᆞᆫ 오직 이 法을 니ᄅᆞ시니라

琴上애 分明彈報知어늘

琴 우희 分明히 ᄩᅡ 알외어늘

一曲無生ᄋᆞᆯ 和者ㅣ 稀ᄒᆞ니

ᄒᆞᆫ 놀앳 無生ᄋᆞᆯ 和ᄒᆞ리 드므니

邈然天地閒애

아ᄃᆞᆨᄒᆞᆫ 하ᄂᆞᆯ콰 ᄯᅡ쾃 ᄉᆞᅀᅵ예

唯師ㅣ 獨知恩ᄒᆞ도다

오직 師ㅣ ᄒᆞ오ᅀᅡ 恩을 아도다

忍俊不禁ᄒᆞ야 笑呵呵ᄒᆞ고

俊을 ᄎᆞᆷ다가 禁止 몯ᄒᆞ야 우ᅀᅮ믈 呵呵ᄒᆞ고

肯心自許ᄒᆞ야 云喏喏ᄒᆞ도다

ᄆᆞᅀᆞ매 즐겨 자내 許ᄒᆞ야 닐오ᄃᆡ 喏喏ᄒᆞ도다

且喜瞿曇이 逢此老ᄒᆞ노니

ᄯᅩ 瞿曇이 이 늘그니 맛나ᄆᆞᆯ 깃노니

白雲千載예 一知音이로다

白雲千載예 ᄒᆞᆫ 知音이로다

連下三聲을 字細看ᄒᆞ라

니ᅀᅥ 세 소리 두ᄆᆞᆯ 字細히 보라

亦與忠老로 作知音이로다

ᄯᅩ 忠老와로 知音을 짓도다

俊은 어딜시라

이^ᅌᅦ 세 소리 니ᅀᅥ 둠과

忠國師ᄋᆡ 세 번 블러ᄂᆞᆯ 세 번 對答홈과 맛닷 마리라

須菩提야 如來所得法이 此法이 無實無虛ᄒᆞ니라

前明所說ᄒᆞ시고

알ᄑᆡᆫ 닐온 바ᄅᆞᆯ ᄇᆞᆯ기시고

此明所得ᄒᆞ시니

이ᅌᅦᆫ 得혼 바ᄅᆞᆯ ᄇᆞᆯ기시니

所說이 亦只是不二法이며

니ᄅᆞ신 배 ᄯᅩ 오직 이 둘 아닌 法이며

所得이 亦只是不二法이니

得혼 배 ᄯᅩ 오직 이 둘 아닌 法이니

無實無虛ㅣ라 ᄒᆞ샤미

實 업스며 虛 업다 ᄒᆞ샤미

是言不二시니라

이 不二ᄅᆞᆯ 니ᄅᆞ시니라

水中醎味며

水中엣 ᄧᆞᆫ 마시며

色裏膠淸이로다

彩色 소뱃 갓블 ᄆᆞᆯᄀᆞ니로다

是有아 是無아

이 이슘가 이 업솜가

是實아 是虛아

이 實ᄒᆞ녀 ^ 이 虛ᄒᆞ녀

硬似鐵ᄒᆞ며

구두미 쇠 ᄀᆞᆮᄒᆞ며

軟如酥ᄒᆞ니

보ᄃᆞ라오미 酥 ᄀᆞᆮᄒᆞ니

看時有ㅣ러니

볼 時節엔 잇더니

覔還無ㅣ로다

어드니 도로 업도다

雖然歩歩애 常相守ᄒᆞ나

비록 步步애 샤ᇰ녜 서르 守ᄒᆞ나

要且無人이 識得渠ㅣ로다 咦

求컨댄 사ᄅᆞ미 저 알리 업도다 咦

酥ᄂᆞᆫ 져즈로 ᄆᆡᆼᄀᆞ론 거시니

ᄉᆈ게셔 나니 져지오

져즈로 ᄆᆡᆼᄀᆞ로니 酥ㅣ라

且強且柔ᄒᆞ니

ᄯᅩ 구드며 ᄯᅩ 부드러우니

易見難曉ㅣ로다

수이 보ᄃᆡ 아로미 어렵도다

雖一切處에 披露分明ᄒᆞ나

비록 一切ㅅ 고대 혜혀 나토미 分明ᄒᆞ나

乃一切處에 摸索不著이로다

一切ㅅ 고대 어두ᄆᆞᆯ 著디 몯ᄒᆞ리로다

更知道十聖三賢이 不知處ㅣ여

十聖과 三賢괘 아디 몯ᄒᆞᄂᆞᆫ 고디여

有時예 閑掛寺門前이로다

잇다감 겨르^ᄅᆞ이 뎘 門 알ᄑᆡ 거렛다 닐온 ᄃᆞᆯ ᄯᅩ 아롤디로다

十聖 三賢ᄋᆞᆫ 法數에 잇ᄂᆞ니라

須菩提야 若菩薩이 心住於法ᄒᆞ야

而行布施ᄒᆞ면

如人이 入暗ᄒᆞ야

卽無所見이어니와

若菩薩이 心不住法ᄒᆞ야

而行布施ᄒᆞ면

如人이 有目거든

日光이 明照ᄒᆞ야

見種種色ᄃᆞᆺᄒᆞ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