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엄경언해 6권

  • 한문제목: 楞嚴經諺解
  • 연대: 1461
  • 출판: 규장각 영인본

梵唄詠歌ㅣ 自然敷奏ᄒᆞ더라

梵唄 詠歌ㅣ 自然히 펴 奏ᄒᆞ더라

梵唄ᄂᆞᆫ 예셔 닐오매 조ᄒᆞᆫ 讚歎이니 梵天ㅅ 소리로 三寶ᄅᆞᆯ 讚歎ᄒᆞᆯ씨라

詠歌ᄂᆞᆫ 놀애오 奏ᄂᆞᆫ 푸ᇰ류ᄒᆞᆯ씨라

前에 設圓通之法ᄒᆞ야시ᄂᆞᆯ 此애 顯圓通之瑞ᄒᆞ샤 而應之也ᄒᆞ시니라

알ᄑᆡ 圓通法을 닐어시ᄂᆞᆯ 이ᅌᅦ 圓通祥瑞ᄅᆞᆯ 나토샤 應ᄒᆞ시니라

諸佛이 五體예 同放寶光者ᄂᆞᆫ 表證性이 明極ᄒᆞ시면 則寶覺이 圓融ᄒᆞ샤 全體發現也ᄒᆞ시니라

諸佛이 五體예 ᄒᆞᆫ가지로 ^ 寶光ᄋᆞᆯ 펴샤ᄆᆞᆫ 性 證ᄒᆞ샤미 ᄇᆞᆯ고미 至極ᄒᆞ시면 寶覺이 두려이 노ᄀᆞ샤 全體 發現ᄒᆞ샤ᄆᆞᆯ 表ᄒᆞ시니라

互相灌頂者ᄂᆞᆫ 頂이 爲圓極之相이니 表諸佛證性이 圓極於此ᄒᆞ시니라

서르 頂에 브ᅀᅳ샤ᄆᆞᆫ 頂이 두려이 至極ᄒᆞᆫ 相이니 諸佛이 性 證ᄒᆞ샤미 이ᅌᅦ 두려이 至極ᄒᆞ샤ᄆᆞᆯ 表ᄒᆞ시니라

會中菩薩羅漢ᄋᆞᆫ 卽二十四聖之儔ㅣ시니

會中엣 菩薩와 羅漢ᄋᆞᆫ 곧 二十四聖의 무리시니

佛光이 亦灌其頂者ᄂᆞᆫ 印其修證호미 等無優劣也ᄒᆞ시니라

佛光이 ᄯᅩ 그 頂에 브ᅀᅳ샤ᄆᆞᆫ 그 닷가 證호미 ᄀᆞᆮᄒᆞ야 優劣 업수믈 印ᄒᆞ시니라

林木池沼ㅣ 皆演法音ᄒᆞ며 交光相羅者ᄂᆞᆫ 圓通이 現前ᄒᆞ면 則一切聲이 是佛聲이며 一切色이 是佛色이라 無非悟入之處ㅣ며 無非圓通之理也ㅣ라

수플와 나모와 못괘 다 法音을 펴며 光明이 섯거 서르 버므르샤ᄆᆞᆫ 圓通이 알ᄑᆡ 現ᄒᆞ면 一切ㅅ 소리 이 부텻 소리며 一切ㅅ 色이 이 부텻 色이라 아라 드로ᇙ 곧 아니니 업스며 圓通ㅅ 理 아니니 업스니라

大衆이 普獲金剛三昧者ᄂᆞᆫ 因此ᄒᆞ야 皆能破惑障ᄒᆞ고 悟圓通也ㅣ라

大衆이 너비 金剛三昧ᄅᆞᆯ 어두ᄆᆞᆫ 이ᄅᆞᆯ ^ 因ᄒᆞ야 다 能히 惑障ᄋᆞᆯ 헐오 圓通ᄋᆞᆯ 아로미라

天雨寶華ᄒᆞ며 空現寶色ᄒᆞ며 地隱山河ᄒᆞ며 界含塵刹者ᄂᆞᆫ 表證圓通性ᄒᆞ면 則無作妙行이 自然分披ᄒᆞ며 寶明空覺이 自然發現ᄒᆞ며 有爲習漏ㅣ 當不復生ᄒᆞ며 衆塵이 廓然ᄒᆞ야 無復隔越也ᄒᆞ시니라

하ᄂᆞ리 寶華ᄅᆞᆯ 비흐며 虛空이 寶色ᄋᆞᆯ 現ᄒᆞ며 ᄯᅡ히 山河ᄅᆞᆯ 숨기며 界ㅣ 塵刹ᄋᆞᆯ 머구무믄 圓通性을 證ᄒᆞ면 無作妙行이 自然히 펴디며 寶明空覺이 自然히 發現ᄒᆞ며 有爲習漏ㅣ 반ᄃᆞ기 다시 나디 아니ᄒᆞ며 모ᄃᆞᆫ 塵이 훤ᄒᆞ야 다시 ᄀᆞ리여 머룸 업수믈 表ᄒᆞ시니라

梵唄詠歌ㅣ 自然敷奏者ᄂᆞᆫ 能使法界로 永離衆苦ᄒᆞ야 常得妙樂也ㅣ라

梵唄 詠歌ㅣ 自然히 펴 奏호ᄆᆞᆫ 能히 法界로 永히 한 受苦ᄅᆞᆯ 여희여 샤ᇰ녜 微妙ᄒᆞᆫ 樂ᄋᆞᆯ 得게 ᄒᆞ샤미라

聖人所演圓通法門奧旨妙利ㅣ 詳悉이 若是ᄒᆞ실ᄉᆡ

聖人 펴샨 圓通法門 기픈 ᄠᅳᆮ과 微妙ᄒᆞᆫ 利ㅣ 子細호미 이 ᄀᆞᆮᄒᆞ실ᄊᆡ

故로 衆瑞ㅣ 詳而應之ᄒᆞ시니라

이런ᄃᆞ로 한 祥瑞ㅣ 子細히 應ᄒᆞ시니라

四勅選三 初告勅文殊

於是예 如來ㅣ 告文殊師利法王子ᄒᆞ샤ᄃᆡ

이ᅌᅦ 如來ㅣ 文殊師利法王^子ᄃᆞ려 니ᄅᆞ샤ᄃᆡ

汝ㅣ 今에 觀此二十五無學諸大菩薩와 及阿羅漢ᄒᆞ라

네 이제 이 二十五 無學 諸大菩薩와 阿羅漢ᄋᆞᆯ 보라

各說最初앳 成道方便호ᄃᆡ 皆言修習眞實圓通이라ᄒᆞᄂᆞ니

各各 ᄆᆞᆺ 첫 成道혼 方便을 닐오ᄃᆡ 다 眞實ㅅ 圓通ᄋᆞᆯ 修習호라 ᄒᆞᄂᆞ니

彼等修行ᄋᆞᆫ 實無優劣前後差別커니와

뎌ᄃᆞᆯᄒᆡ 修行ᄋᆞᆫ 實로 優劣 前後 差別이 업거니와

我ㅣ 今에 欲令阿難ᄋᆞ로 開悟ᄒᆞ노니

내 이제 阿難ᄋᆞ로 알에 코져 ᄒᆞ노니

二十五行애 誰當其根ᄒᆞ며

二十五行애 뉘 根에 當ᄒᆞ며

兼我滅後에 此界衆生이 入菩薩乘ᄒᆞ야 求無上道호ᄃᆡᆫ

ᄯᅩ 나 滅度ᄒᆞᆫ 後에 이 界ㅅ 衆生이 菩薩乘에 드러 우 업슨 道ᄅᆞᆯ 求호ᄃᆡᆫ

何方便門으로 得易成就ᄒᆞ리오

어느 方便門ᄋᆞ로 수이 일우믈 得ᄒᆞ료

歸元證性이 雖無差別ᄒᆞ나

根源에 도라가 性을 證호미 비록 差別이 업스나

隨方應機ᄂᆞᆫ 自有難易ᄒᆞᆯᄉᆡ

方ᄋᆞᆯ 조차 機^ᄅᆞᆯ 應ᄒᆞ샤ᄆᆞᆫ 제 어려우며 쉬우미 이실ᄊᆡ

故로 須假大智의 選擇也ㅣ시니라

이런ᄃᆞ로 모로매 大智의 ᄀᆞᆯᄒᆡ요ᄆᆞᆯ 브트시니라

二奉命選擇二 初緝綴

文殊師利法王子ㅣ 奉佛慈旨ᄒᆞᅀᆞ와 卽從座起ᄒᆞ샤 頂禮佛足ᄒᆞᅀᆞᆸ고 承佛威神ᄒᆞ샤 說偈對佛ᄒᆞ샤ᄃᆡ

文殊師利法王子ㅣ 부텻 慈旨ᄅᆞᆯ 받ᄌᆞ와 곧 座로셔 니르샤 부텻 바래 頂禮ᄒᆞᅀᆞᆸ고 부텻 威神ᄋᆞᆯ 받ᄌᆞ오샤 偈ᄅᆞᆯ ᄉᆞᆯ와 부텻긔 對答ᄒᆞ샤ᄃᆡ

二正文二 初總敍四 一標本

覺海性이 澄圓ᄒᆞ며 圓澄ᄒᆞᆫ 覺의 元妙ᄒᆞ니ᅌᅵ다

覺海性이 澄圓ᄒᆞ며 圓澄ᄒᆞᆫ 覺이 本來 微妙ᄒᆞ니ᅌᅵ다

覺湛性海ㅣ 本自澄圓ᄋᆞᆫ 標圓體也ㅣ라

覺ᄋᆡ ᄆᆞᆯᄀᆞᆫ 性海ㅣ 本來 제 澄圓ᄋᆞᆫ 圓ᄒᆞᆫ 體ᄅᆞᆯ 標ᄒᆞ시니라

圓澄之覺이 妙乎萬物ᄋᆞᆫ 標圓用也ㅣ라

圓澄ᄒᆞᆫ 覺이 萬物에 妙호ᄆᆞᆫ 圓ᄒᆞᆫ 用ᄋᆞᆯ 標ᄒᆞ시니라

此ㅣ 人人本來圓通者也ㅣ라

이 사ᄅᆞᆷ마다 本來 圓通ᄒᆞᆫ 거시라

二敍妄

元明이 照ᄒᆞ야 生所ᄒᆞ니 所ㅣ 立ᄒᆞ니 照性이 亡ᄒᆞ니ᅌᅵ다

元明이 비취^여 所ᄅᆞᆯ 내니 所ㅣ 셔니 비취ᄂᆞᆫ 性이 亡ᄒᆞ니ᅌᅵ다

迷妄ᄒᆞ야 有虛空커ᄂᆞᆯ 依空ᄒᆞ야 立世界ᄒᆞ니 想澄ᄒᆞ야 成國土ᄒᆞ고 知覺이 乃衆生이니ᅌᅵ다

迷妄ᄒᆞ야 虛空이 잇거늘 空ᄋᆞᆯ 브터 世界 셔니 想이 澄ᄒᆞ야 國土ㅣ 일오 知覺이 衆生이니ᅌᅵ다

從元妙中ᄒᆞ야 忽起妄明ᄒᆞᆯ시 曰元明이오

本來 微妙ᄒᆞᆫ 中을 브터 믄득 妄ᄒᆞᆫ ᄇᆞᆯ고미 닐 씨 니ᄅᆞ샨 元明이오

妄有所照ᄒᆞᆯ시 曰生所ㅣ니

妄히 照호미 이실 씨 니ᄅᆞ샨 所ᄅᆞᆯ 내요미니

所謂覺이 非所明이어ᄂᆞᆯ 因明ᄒᆞ야 立所也ㅣ라

니ᄅᆞ샨 覺이 ᄇᆞᆯ교ᇙ 고디 아니어늘 ᄇᆞᆯ교ᄆᆞᆯ 因ᄒᆞ야 所ㅣ 셔미라

所明이 旣立ᄒᆞ면 則照性이 隱矣리라

ᄇᆞᆯ교미 ᄒᆞ마 셔면 비취ᄂᆞᆫ 性이 수므리라

亡ᄋᆞᆫ 非無也ㅣ라 入ㄴ而已라

亡ᄋᆞᆫ 업순 디 아니라 ㄴ에 들 ᄯᆞᄅᆞ미라

ㄴ은 ᄠᅳ디 隱字와 ᄒᆞᆫ가지라

性眞이 旣隱커ᄂᆞᆯ 空覺이 遂分ᄒᆞ야 根器二界ㅣ 遂因迷頑妄想ᄒᆞ야 安立ᄒᆞᆯᄉᆡ

性의 眞實이 ᄒᆞ마 숨거늘 空과 覺괘 갈아 根과 器왓 두 界ㅣ 迷惑ᄒᆞᆫ 妄想ᄋᆞᆯ 因ᄒᆞ야 셜ᄊᆡ

故로 妄想이 凝結ᄒᆞ면 則成無情國土ᄒᆞ고

이런ᄃᆞ로 妄想이 얼의면 無情ᄒᆞᆫ 國土ㅣ 일오

妄識이 知覺ᄒᆞ면 則成有情衆生ᄒᆞᄂᆞ니

妄識^이 知覺ᄒᆞ면 有情ᄒᆞᆫ 衆生이 이ᄂᆞ니

則彼澄妙者ㅣ 遂莫得而圓ᄒᆞ며 莫得而通矣리라

뎌 ᄆᆞᆯᄀᆞᆫ 微妙ᄒᆞᆫ 거시 시러 두렵디 몯ᄒᆞ며 시러 通티 몯ᄒᆞ리라

三融通

空이 生大覺中호미 如海一漚發ᄒᆞ니

空이 大覺 中에셔 나미 바ᄅᆞ래 ᄒᆞᆫ 더푸미 發홈 ᄀᆞᆮᄒᆞ니

有漏微塵國이 皆依空ᄒᆞ야 所生이니

漏 잇ᄂᆞᆫ 微塵國이 다 空ᄋᆞᆯ 브터 난 거시니

漚ㅣ 滅ᄒᆞ면 空이 本無ㅣ어니 況復諸三有ㅣᄯᆞ니ᅌᅵᆺ가

더푸미 滅ᄒᆞ면 空이 本來 업거니 ᄒᆞᄆᆞᆯ며 ᄯᅩ 모ᄃᆞᆫ 三有ㅣᄯᆞ니ᅌᅵᆺ가

牒上ᄒᆞ샤 以明迷澄圓ᄒᆞ야 而成根器ᄒᆞ니 融根器ᄒᆞ면 則歸澄圓也ᅟᅵᆫᄃᆞᆯᄒᆞ시니라

우흐ᇙ 牒ᄒᆞ샤 澄圓ᄋᆞᆯ 몰라 根과 器왜 ᄃᆞ외니 根과 器와ᄅᆞᆯ 노기면 澄圓에 도라가ᇙ ᄃᆞᆯ ᄇᆞᆯ기시니라

大覺海中엔 本絶空有커ᄂᆞᆯ

大覺海 中엔 本來 空과 有왜 긋거늘

由迷風이 飄鼓ᄒᆞ야 妄發空漚ᄒᆞ야 而諸有ㅣ 生焉ᄒᆞᄂᆞ니

迷惑ᄒᆞᆫ ᄇᆞᄅᆞ미 부추믈 브터 간대로 空漚ㅣ 나 모ᄃᆞᆫ 有ㅣ 나ᄂᆞ니

迷風이 旣息ᄒᆞ면 則空漚ㅣ 亦滅ᄒᆞ야 所依諸有ᄅᆞᆯ 遂不可得이라

迷惑ᄒᆞᆫ ᄇᆞᄅᆞ미 ᄒᆞ마 그츠면 空漚ㅣ ᄯᅩ 滅ᄒᆞ야 브텃논 모ᄃᆞᆫ 有를 得디 몯호ᇙ디^라

而空과 覺괘 圓融ᄒᆞ야 復歸元妙矣리라

空과 覺괘 두려이 노가 다시 本來ㅅ 微妙애 도라가리라

諸三有ᄂᆞᆫ 指微塵國中엣 三有也ᄒᆞ시니라

모ᄃᆞᆫ 三有ᄂᆞᆫ 微塵國 中엣 三有를 ᄀᆞᄅᆞ치시니라

四料揀

歸元ᄒᆞ면 性이 無二ᄒᆞ나 方便은 有多門ᄒᆞ니

元에 도라가면 性이 둘히 업스나 方便은 여러 門이 잇ᄂᆞ니

聖性엔 無不通이라 順逆이 皆方便이어니와

聖性엔 通티 몯호미 업순디라 順과 逆괘 다 方便이어니와

初心에 入三昧홀뎬 遲速이 不同倫ᄒᆞ니ᅌᅵ다

첫 ᄆᆞᅀᆞ매 三昧예 드로ᇙ뎬 더듸며 ᄲᆞᆯ로미 類 ᄒᆞᆫ가지 아니ᅌᅵ다

二十五聖이 同一圓通ᄒᆞ시니 所謂無二며 所謂多門이라

二十五聖이 ᄒᆞᆫ가짓 ᄒᆞᆫ 圓通이시니 니ᄅᆞ샨 둘 업수미며 니ᄅᆞ샨 여러 門이라

在夫聖性ᄒᆞ샨 逆順이 皆通ᄒᆞ샤 不容料揀이어니와

聖人ㅅ 性에 겨샨 逆과 順괘 다 通ᄒᆞ샤 ᄀᆞᆯᄒᆡ요미 몯ᄒᆞ려니와

其如初心엔 遲速이 異宜ᄒᆞᆯᄉᆡ 故로 須選擇也ㅣ시니라

첫 ᄆᆞᅀᆞ맨 더듸며 ᄲᆞᆯ로미 맛다ᇰ호미 다ᄅᆞᆯᄊᆡ 이런ᄃᆞ로 모로매 ᄀᆞᆯᄒᆡ시니라

二別選五 一揀六塵

色想ᄋᆞᆫ 結成塵ᄒᆞ야 精了ㅣ 不能徹ᄒᆞᄂᆞ니

色想ᄋᆞᆫ 얼의여 드트리 이러 精了ㅣ 能^히 ᄉᆞᄆᆞᆺ디 몯ᄒᆞᄂᆞ니

精了ᄂᆞᆫ 精明ᄒᆞᆫ 了別ᄒᆞᄂᆞᆫ 性이라

如何不明徹ᄒᆞ야 於是예 獲圓通ᄒᆞ리ᅌᅵᆺ고

엇뎨 ᄇᆞᆯ가 ᄉᆞᄆᆞᆺ디 몯ᄒᆞ야 이ᅌᅦ 圓通ᄋᆞᆯ 어드리ᅌᅵᆺ고

音聲ᄋᆞᆫ 雜語言이라 但伊名句味니

音聲은 雜말ᄉᆞ미라 오직 일훔과 句왓 마시니

一이 非含一切어니 云何獲圓通ᄒᆞ리ᅌᅵᆺ고

ᄒᆞ나히 一切ᄅᆞᆯ 머구무미 아니어니 엇뎨 圓通ᄋᆞᆯ 어드리ᅌᅵᆺ고

香ᄋᆞᆫ 以合中ᄋᆞ로 知ᄒᆞ고 離ᄒᆞ면 則元無有ᄒᆞ니

香ᄋᆞᆫ 어운 中으로 알오 여희면 本來 업스니

不恒其所覺이어니 云何獲圓通ᄒᆞ리ᅌᅵᆺ고

그 아로미 덛덛디 아니커니 엇뎨 圓通ᄋᆞᆯ 어드리ᅌᅵᆺ고

味性ᄋᆞᆫ 非本然이라 要以味時예ᅀᅡ 有ᄒᆞᄂᆞ니

味性은 本來 그러티 아니혼디라 모로매 맛보ᇙ 時節에ᅀᅡ 잇ᄂᆞ니

其覺이 不恒一커니 云何獲圓通ᄒᆞ리ᅌᅵᆺ고

그 아로미 덛더디 ᄒᆞᆫ가지 아니어니 엇뎨 圓通ᄋᆞᆯ 어드리ᅌᅵᆺ고

觸ᄋᆞᆫ 以所觸ᄋᆞ로 明ᄒᆞ고 無所ᄒᆞ면 不明觸ᄒᆞᄂᆞ니

觸ᄋᆞᆫ 觸호ᄆᆞ로 ᄇᆞᆰ고 所ㅣ 업스면 觸ᄋᆞᆯ ᄇᆞᆯ기디 몯ᄒᆞᄂᆞ니

合과 離와 性이 非定이어니 云何獲圓通ᄒᆞ리ᅌᅵᆺ고

어우룸과 여희욤과 性이 一定티 아니커니 엇뎨 圓通ᄋᆞᆯ 어드리ᅌᅵᆺ고

法을 稱爲內塵이니 憑塵ᄒᆞ면 必有所ᄒᆞ리니

法을 안햇 塵이라 니ᄅᆞᄂᆞ니 塵을 브트면 반ᄃᆞ기 所ㅣ 이시리니

能所ᄂᆞᆫ 非徧涉이어니 云何獲圓通ᄒᆞ리ᅌᅵᆺ고

能과 所와ᄂᆞᆫ 너비 드디 몯거니 엇^뎨 圓通ᄋᆞᆯ 어드리ᅌᅵᆺ고

憍陳那大迦葉等이 各因六塵ᄒᆞ야 悟圓ᄒᆞ니

憍陳那와 大迦葉 等이 各各 六塵을 因ᄒᆞ야 圓을 아니

而此애 皆揀去者ᄂᆞᆫ 彼ᄂᆞᆫ 所謂聖性엔 無不通이오 此ᄂᆞᆫ 所謂初心은 不同倫이니

이ᅌᅦ 다 ᄀᆞᆯᄒᆡ야 ᄇᆞ리샤ᄆᆞᆫ 뎌ᄂᆞᆫ 니ᄅᆞ샨 聖人ㅅ 性엔 通티 아니호미 업수미오 이ᄂᆞᆫ 니ᄅᆞ샨 첫 ᄆᆞᅀᆞᄆᆞᆫ 類 ᄒᆞᆫ가지 아니니

則凡所不取ㅣ 皆以不宜初心이니

믈읫 取티 아니ᄒᆞ샤미 다 첫 ᄆᆞᅀᆞ매 맛다ᇰ 아니ᄒᆞᆯᄊᆡ니

意取耳根이 獨宜也ㅣ샷다

ᄠᅳ데 耳根이 ᄒᆞ오ᅀᅡ 맛다ᇰ호ᄆᆞᆯ 取ᄒᆞ샷다

今에 揀六塵ᄒᆞ샤ᄃᆡ 以色ᄋᆞᆫ 能起想結塵ᄒᆞ야 使精性ᄋᆞ로 不徹ᄒᆞ며

이제 六塵을 ᄀᆞᆯᄒᆡ샤ᄃᆡ 色ᄋᆞᆫ 能히 想ᄋᆞᆯ 니르와다 드트를 얼의여 精ᄒᆞᆫ 性으로 ᄉᆞᄆᆞᆺ디 몯게 ᄒᆞ며

聲은 唯局名句味ᄒᆞ야 不該不徧ᄒᆞ니라

소리ᄂᆞᆫ 오직 일훔과 句왓 마새 븓들여 ᄀᆞᆺ디 몯ᄒᆞ며 넙디 몯ᄒᆞ니라

味ᄂᆞᆫ 意味也ㅣ라

마ᄉᆞᆫ ᄠᅳᆮ 마시라

伊ᄂᆞᆫ 猶惟也ㅣ라

伊ᄂᆞᆫ 惟와 ᄀᆞᆮᄒᆞ니라

香味觸ᄋᆞᆫ 如文ᄒᆞ니라

香과 味와 觸ᄋᆞᆫ 文 ᄀᆞᆮᄒᆞ니라

法塵은 非相이라 獨意ㅣ 能緣ᄒᆞ야 內潛意根故로 稱內塵이라

法塵ᄋᆞᆫ 相이 아니라 오직 意ㅣ 能히 ^ 緣ᄒᆞ야 안해 意根애 수머실ᄊᆡ 이런ᄃᆞ로 니ᄅᆞ샤ᄃᆡ 內塵이라

二揀六根

見性ᄋᆞᆫ 雖洞然ᄒᆞ나 明前ᄒᆞ고 不明後ᄒᆞ야 四維에 虧一半커니 云何獲圓通ᄒᆞ리ᅌᅵᆺ고

見性은 비록 훤ᄒᆞ나 알ᄑᆞᆯ ᄇᆞᆯ기고 뒤흘 ᄇᆞᆯ기디 몯ᄒᆞ야 四維예 一半이 업거니 엇뎨 圓通ᄋᆞᆯ 어드리ᅌᅵᆺ고

鼻息ᄋᆞᆫ 出入에 通호ᄃᆡ 現前에 無交氣ᄒᆞ니 支離호미 匪涉入이어니 云何獲圓通ᄒᆞ리ᅌᅵᆺ고

鼻息ᄋᆞᆫ 나며 드로매 通호ᄃᆡ 現前에 섯ᄂᆞᆫ 氣分이 업스니 갈아 여희요미 드로미 아니어니 엇뎨 圓通ᄋᆞᆯ 어드리ᅌᅵᆺ고

舌ᄋᆞᆫ 非入無端이라 因味ᄒᆞ야ᅀᅡ 生覺了ᄒᆞᄂᆞ니 味亡ᄒᆞ면 了無有커니 云何獲圓通ᄒᆞ리ᅌᅵᆺ고

舌은 귿 업슨 게 드논 디 아니라 마ᄉᆞᆯ 因ᄒᆞ야ᅀᅡ 아로미 나ᄂᆞ니 마시 업스면 아로미 업거니 엇뎨 圓通ᄋᆞᆯ 어드리ᅌᅵᆺ고

身ᄋᆞᆫ 與所觸과로 同ᄒᆞ야 各非圓覺觀이니 涯量이 不冥會커니 云何獲圓通ᄒᆞ리ᅌᅵᆺ고

身ᄋᆞᆫ 觸홈과로 ᄒᆞᆫ가지라 各各 두려운 覺觀이 아니니 涯量이 어우디 몯거니 [涯ᄂᆞᆫ 믌ᄀᆞᅀᅵ라 모ᄆᆞᆫ 아로미 잇고 塵ᄋᆞᆫ 아로미 업서 各各 分限이 이셔 서르 어우디 몯ᄒᆞᆯᄊᆡ 니ᄅᆞ샤ᄃᆡ 涯量이 어우디 몯다 ᄒᆞ시니라] 엇^뎨 圓通ᄋᆞᆯ 어드리ᅌᅵᆺ고

知根ᄋᆞᆫ 雜亂思ㅣ라 湛了ᄅᆞᆯ 終無見ᄒᆞᄂᆞ니 想念을 不可脫이어니 云何獲圓通ᄒᆞ리ᅌᅵᆺ고

知根ᄋᆞᆫ 雜亂思ㅣ라 湛了ᄅᆞᆯ ᄆᆞᄎᆞ매 보디 몯ᄒᆞᄂᆞ니 想念을 벗디 몯거니 엇뎨 圓通ᄋᆞᆯ 어드리ᅌᅵᆺ고

鼻ᄂᆞᆫ 闕中交ᄒᆞᆯᄉᆡ 故로 云支離라

鼻ᄂᆞᆫ 가온ᄃᆡ 섯구미 업슬ᄊᆡ 이런ᄃᆞ로 니ᄅᆞ샤ᄃᆡ 갈아 여희다 ᄒᆞ시니라

舌이 不因味ᄒᆞ야 而能覺了ᄒᆞ야ᅀᅡ 乃爲無端이리라

舌이 마ᄉᆞᆯ 因티 아니ᄒᆞ야 能히 아라ᅀᅡ 귿 업수미 ᄃᆞ외리라

身ᄋᆞᆫ 與所觸과로 各成涯異ᄒᆞ니 是ㅣ 不冥會也ㅣ라

身ᄋᆞᆫ 觸홈과로 各各 달이 ᄃᆞ외니 이 어우디 몯호미라

三揀六識

識見ᄋᆞᆫ 雜三和ᄒᆞ니 詰本컨댄 稱非相이라

識^見은 세 和애 섯그니 根源을 묻건댄 相 아니라 닐오ᇙ디라

自體ㅣ 先無定커니 云何獲圓通ᄒᆞ리ᅌᅵᆺ고

제 體 몬져 一定호미 업거니 엇뎨 圓通ᄋᆞᆯ 어드리ᅌᅵᆺ고

心聞이 洞十方ᄋᆞᆫ 生于大因力이니 初心이 不能入이어니 云何獲圓通ᄒᆞ리ᅌᅵᆺ고

心聞이 十方애 ᄉᆞᄆᆞ초ᄆᆞᆫ 큰 因力에 나니 첫 ᄆᆞᅀᆞ미 能히 드디 몯ᄒᆞ려니 엇뎨 圓通ᄋᆞᆯ 어드리ᅌᅵᆺ고

鼻想ᄋᆞᆫ 本權機라 只令攝心住ㅣ시니 住ㅣ 成心所住커니 云何獲圓通ᄒᆞ리ᅌᅵᆺ고

鼻想ᄋᆞᆫ 本來 權機라 오직 ᄆᆞᅀᆞᄆᆞᆯ 자바 住케 ᄒᆞ샤미니 住ㅣ ᄆᆞᅀᆞᄆᆡ 住호ᇙ ᄃᆡᆯ 일우거니 엇뎨 圓通ᄋᆞᆯ 어드리ᅌᅵᆺ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