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엄경언해 9권

  • 한문제목: 楞嚴經諺解
  • 연대: 1461
  • 출판: 규장각 영인본

알ᄑᆡᆺ 아호ᄇᆞᆫ 오직 定力ᄋᆞᆯ ᄇᆞᆯ기시고

獨此애 乃明魔事者ᄂᆞᆫ 定力이 未成ᄒᆞ야션 不能動魔ᄒᆞ다가

오직 이ᅌᅦ 魔事ᄅᆞᆯ ᄇᆞᆯ기샤ᄆᆞᆫ 定力이 이디 몯ᄒᆞ야션 能히 魔ᄅᆞᆯ 뮈우디 몯다가

硏究精極ᄒᆞ야ᅀᅡ 乃漸發魔事也ᄒᆞᄂᆞ니

窮究ᄒᆞ야 精이 至極ᄒᆞ야ᅀᅡ 漸漸 魔事ᄅᆞᆯ 發ᄒᆞᄂᆞ니

故로 下文에 魔事ㅣ 愈甚ᄒᆞ니라

이런ᄃᆞ로 아랫 그레 魔事ㅣ 더욱 甚ᄒᆞ니라

三結勸深防

阿難아 如是十種禪那ㅣ 現境ᄋᆞᆫ 皆是色陰에 用心이 交互ᄒᆞᆯᄉᆡ

阿難아 이 ᄀᆞᆮᄒᆞᆫ 열 가짓 禪那ㅣ 現ᄒᆞᆫ 境은 다 이 色陰에 ᄆᆞᅀᆞᆷ ᄡᅮ미 交互ᄒᆞᆯᄊᆡ

[交互ᄂᆞᆫ 禪那ㅅ ᄆᆞᅀᆞ미 色陰의 堅固ᄒᆞᆫ 妄想과 서르 사홀씨라]

故現斯事ㅣ니

이런ᄃᆞ로 이 이리 現ᄒᆞ니

衆生이 頑迷ᄒᆞ야 不自忖量ᄒᆞ고

衆生이 頑迷ᄒᆞ야 제 혜아리디 아니코

逢此因緣ᄒᆞ야 迷不自識하야 謂言登聖호라 ᄒᆞ야

이 因緣을 맛나 迷ᄒᆞ야 제 아디 몯ᄒᆞ야 聖에 올오라 닐어

大妄語ㅣ 成ᄒᆞ야 隨無間獄ᄒᆞᄂᆞ니

큰 妄語ㅣ 이러 無間獄애 ᄠᅥ러디ᄂᆞ니

汝等이 當依ᄒᆞ야 如來滅後에 於末法中에 宣示斯義ᄒᆞ야

너^희ᄃᆞᆯ히 반ᄃᆞ기 브터 如來 滅ᄒᆞᆫ 後에 末法 中에 이 ᄠᅳ들 펴 뵈여

無令天魔로 得其方便케 ᄒᆞ야

天魔로 方便을 得디 몯게 ᄒᆞ야

保持覆護ᄒᆞ야 成無上道케 ᄒᆞ라

保ᄒᆞ야 가지며 두퍼 간슈ᄒᆞ야 無上道ᄅᆞᆯ 일우게 ᄒᆞ라

二受陰三

初示陰相

阿難아 彼善男子ㅣ 修三摩提ᄒᆞ야

阿難아 뎌 善男子ㅣ 三摩提ᄅᆞᆯ 닷가

奢摩他中에 色陰盡者ᄂᆞᆫ 見諸佛心호ᄃᆡ

奢摩他 中에 色陰 다ᄋᆞ닌 諸佛 ᄆᆞᅀᆞᄆᆞᆯ 보ᄃᆡ

如明鏡中에 顯現其像ᄐᆞᆺᄒᆞ며

ᄇᆞᆯᄀᆞᆫ 거우룻 가온ᄃᆡ 그 像이 번드기 現ᄐᆞᆺᄒᆞ며

若有所得호ᄃᆡ 而未能用호미 猶如魘人이 手足이 宛然ᄒᆞ며

得호미 잇ᄂᆞᆫ ᄃᆞᆺ호ᄃᆡ 能히 ᄡᅳ디 몯호미 ᄀᆞ오눌인 사ᄅᆞ미 手足이 번득ᄒᆞ며

見聞이 不惑호ᄃᆡ 心觸客邪ᄒᆞ야 而不能動ᄐᆞᆺᄒᆞ니

봄과 드롬괘 惑디 아니호ᄃᆡ ᄆᆞᅀᆞ매 客邪ㅣ 觸ᄒᆞ야 能히 뮈디 몯ᄃᆞᆺᄒᆞ니

此則爲受陰區宇ㅣ니라

이ᄂᆞᆫ 일후미 受陰區宇ㅣ라

受ᄂᆞᆫ 以領納前境ᄋᆞ로 爲義니

受ᄂᆞᆫ 알ᄑᆡᆺ 境을 바다드료ᄆᆞ로 ᄠᅳᆮᄒᆞ니

已破色陰ᄒᆞ야 內外ㅣ 虛融故로 見諸佛心호ᄃᆡ

ᄒᆞ마 色陰ᄋᆞᆯ 허러 안팟기 虛히 노ᄀᆞᆫ 젼ᄎᆞ로 諸佛ㅅ ᄆᆞᅀᆞᄆᆞᆯ 보ᄃᆡ

如鏡에 現像ᄐᆞᆺᄒᆞ리라

거우루에 像 現ᄐᆞᆺᄒᆞ리라

諸佛心은 卽我ᄋᆡ 妙覺明心也ㅣ라

諸佛ㅅ ᄆᆞᅀᆞᄆᆞᆫ 곧 내ᄋᆡ 妙覺明心이라

如鏡現象은 謂淸淨虛凝ᄒᆞ야 了非形礙也ㅣ라

거우루에 像 現ᄐᆞᆺ호ᄆᆞᆫ 淸淨ᄒᆞ야 虛히 얼의여 자ᇝ간도 얼굴 ᄀᆞ룜 아닌 ᄃᆞᆯ 니ᄅᆞ시니라

雖具妙體ᄒᆞ나 而未能運用ᄋᆞᆫ 蓋爲受의 所覆ᄒᆞᆯᄉᆡ

비록 妙體 ᄀᆞᄌᆞ나 能히 運用 몯호ᄆᆞᆫ 受의 두퓨미 ᄃᆞ욀ᄊᆡ

故로 如魘寐人이 支體宛具ᄒᆞ며

이런ᄃᆞ로 ᄀᆞ오눌인 사ᄅᆞ미 支體 번드기 ᄀᆞᄌᆞ며

六根이 明了호ᄃᆡ 而不能運動ᄐᆞᆺᄒᆞ니 此受陰之相也ㅣ라

六根이 ᄇᆞᆯ고ᄃᆡ 能히 運動 몯ᄃᆞᆺᄒᆞ^니 이 受陰의 相이라

若魘咎ㅣ 歇ᄒᆞ면 其心이 離身ᄒᆞ야 反觀其面ᄒᆞ야

ᄒᆞ다가 ᄀᆞ오눌인 허므리 歇ᄒᆞ면 그 ᄆᆞᅀᆞ미 모ᄆᆞᆯ 여희여 그 ᄂᆞᄎᆞᆯ 도ᄅᆞᅘᅧ 보아

去住ㅣ 自由ᄒᆞ야 無復留礙ᄒᆞ리니

감과 住왜 自在ᄒᆞ야 ᄂᆞ외 ᄀᆞ룜 업스리니

名이 受陰盡이니

일후미 受陰 다오미니

是人ᄋᆞᆫ 則能超越見濁ᄒᆞ리니

이 사ᄅᆞᄆᆞᆫ 能히 見濁ᄋᆞᆯ 건네ᄠᅱ리니

觀其所由컨댄 虛明妄想ᄋᆞ로 以爲其本이니라

젼ᄎᆞᄅᆞᆯ 보건댄 虛히 ᄇᆞᆯᄀᆞᆫ 妄想ᄋᆞ로 根源 사ᄆᆞ니라

色陰盡者ㅣ 已離形礙ᄒᆞ나

色陰 다ᄋᆞ니 ᄒᆞ마 얼굴 ᄀᆞ료ᄆᆞᆯ 여희나

然이나 爲受의 所魘ᄒᆞ야 而未能用故로 受陰이 銷歇ᄒᆞ면

그러나 受의 ᄀᆞ오눌루미 ᄃᆞ외야 能히 ᄡᅳ디 몯ᄒᆞᄂᆞᆫ 젼ᄎᆞ로 受陰이 스러 歇ᄒᆞ면

卽能離身反觀ᄒᆞ야 去住ㅣ 無礙也ᄒᆞ리라

곧 能히 모ᄆᆞᆯ 여희여 도ᄅᆞᅘᅧ 보아 감과 住왜 ᄀᆞ룜 업스리라

妄起見覺ᄒᆞ야 汩擾湛性이 名見濁이니

妄히 ^ 見覺ᄋᆞᆯ 니ᄅᆞ와다 ᄆᆞᆯᄀᆞᆫ 性을 긔저류미 일후미 見濁이니

卽受陰之體也ㅣ니

곧 受陰의 體니

故로 受陰이 盡ᄒᆞ면 卽超之ᄒᆞ리라

이런ᄃᆞ로 受陰이 다ᄋᆞ면 곧 건네ᄠᅱ리라

因違順之幻境ᄒᆞ야 生損益之妄受ᄒᆞᄂᆞ니

背叛과 順괏 幻境을 因ᄒᆞ야 損과 益괏 妄受ᄅᆞᆯ 내ᄂᆞ니

則受陰이 無體ᄒᆞ야 虛有所明故로 曰ᄒᆞ샤ᄃᆡ

受陰이 體 업서 虛히 ᄇᆞᆯ교미 잇ᄂᆞᆫ 젼ᄎᆞ로 니ᄅᆞ샤ᄃᆡ

虛明妄想ᄋᆞ로 爲本이라 ᄒᆞ시니라

虛히 ᄇᆞᆯᄀᆞᆫ 妄想ᄋᆞ로 根源 삼다 ᄒᆞ시니라

二辯現境十

一抑伏生悲

阿難아 彼善男子ㅣ 當在此中ᄒᆞ야 得大光耀ᄒᆞ야

阿難아 뎌 善男子ㅣ 반ᄃᆞ기 이 中에 이셔 큰 光耀ᄅᆞᆯ 得ᄒᆞ야

其心이 發明ᄒᆞ야 內抑이 過分ᄒᆞ면

그 ᄆᆞᅀᆞ미 發明ᄒᆞ야 안ᄒᆞ로 눌로미 分에 너므면

忽於其處에 發無窮悲ᄒᆞ야 如是乃至觀見蚊蝱ᄒᆞ야도

믄득 그 고대 無窮ᄒᆞᆫ 悲ᄅᆞᆯ 發ᄒᆞ야 이 ᄀᆞ티 蚊蝱 보매 니르러도[蝱ᄋᆞᆫ 드ᇰ위라]

猶如赤子ᄒᆞ야 心生憐愍ᄒᆞ야 不覺流淚ᄒᆞ리니

赤子ᄀᆞ티 ᄒᆞ야[赤子ᄂᆞᆫ ᄀᆞᆺ난아ᄒᆡ라] ᄆᆞᅀᆞ매 어엿비 너교ᄆᆞᆯ 내야 아디 몯호매 누ᇇ믈 흘리리니

此ᄂᆞᆫ 名功用ᄋᆞ로 抑摧過越이니

이ᄂᆞᆫ 일후미 功用ᄋᆞ로 눌러 것고ᄆᆞᆯ 너무 호미니

悟則無咎ᄒᆞ려니와 非爲聖證이라

알면 허믈 업스려니와 聖證이 아^니라

覺了不迷ᄒᆞ면 久自銷歇ᄒᆞ리니

아라 迷티 아니ᄒᆞ면 오라면 제 스러 歇ᄒᆞ리니

若作聖解ᄒᆞ면 則有悲魔ㅣ 入其心腑ᄒᆞ야

ᄒᆞ다가 聖解ᄅᆞᆯ 지ᅀᅳ면 悲魔ㅣ 心腑에 드러

見人則悲ᄒᆞ야 啼泣無限ᄒᆞ리니

사ᄅᆞᆷ곳 보면 슬허 우로ᄆᆞᆯ 그지업시 ᄒᆞ리니

失於正受ᄒᆞᆯᄉᆡ 當從淪墜ᄒᆞ리라

正受ᄅᆞᆯ 일흘ᄊᆡ 반ᄃᆞ기 ᄢᅥ듀믈 브트리라

此中은 受陰定中也ㅣ라

이 中ᄋᆞᆫ 受陰 定中이라

旣破色陰ᄒᆞ야 無復幽黯故로 得大光耀ㅣ라

ᄒᆞ마 色陰ᄋᆞᆯ 허러 ᄂᆞ외 어드움 업슨 젼ᄎᆞ로 큰 光耀ᄅᆞᆯ 得ᄒᆞ리라

知受陰이 爲咎故로 內自抑伏ᄒᆞ야 以破之ᄒᆞ니

受陰이 허믈 ᄃᆞ외요ᄆᆞᆯ 안 젼ᄎᆞ^로 안ᄒᆞ로 제 눌러 降伏ᄒᆡ와 허니

抑伏이 大過ᄒᆞ야 失於慈柔故로 多悲愍ᄒᆞ야

눌러 降伏ᄒᆡ요미 하 너머 慈悲ᄒᆞ야 부드러우메 일흔 젼ᄎᆞ로 슬허 어엿비 너교미 하

以致悲魔ㅣ 附焉ᄒᆞ니라

悲魔ㅣ 브토ᄆᆞᆯ 닐위니라

二感激生勇

阿難아 又彼定中에 諸善男子ㅣ 見色陰이 銷ᄒᆞ고

阿難아 ᄯᅩ 뎌 定中에 모ᄃᆞᆫ 善男子ㅣ 色陰이 슬오

受陰이 明白ᄒᆞᆫᄃᆞᆯ ᄒᆞ야 勝相이 現前ᄒᆞ야 感激過分ᄒᆞ면

受陰이 明白ᄒᆞᆫᄃᆞᆯ 보아 勝相이 現前ᄒᆞ야 感激이 分에 너므면

忽於其中에 生無限勇ᄒᆞ야 其心이 猛利ᄒᆞ야 志齊諸佛ᄒᆞ야

믄득 그 中에 그지업슨 勇猛ᄋᆞᆯ 내야 그 ᄆᆞᅀᆞ미 猛利ᄒᆞ야 ᄠᅳ디 諸佛에 ᄀᆞᄌᆞᆨᄒᆞ야

謂三僧祇ᄅᆞᆯ 一念에 能越이라 ᄒᆞ리니

닐오ᄃᆡ 三僧祇ᄅᆞᆯ 一念에 能히 건너리라 ᄒᆞ리니

此ᄂᆞᆫ 名功用을 陵率過越이니

이ᄂᆞᆫ 일후미 功用ᄋᆞᆯ 陵率이 너무미니[陵은 ᄂᆞᆷ 므더니 너길씨오 率ᄋᆞᆫ 몬져 ᄒᆞᆯ씨라]

悟則無咎ㅣ어니와 非爲聖證이라

알면 허믈 업스려니와 聖證이 아니라

覺了不迷ᄒᆞ면 久自銷歇ᄒᆞ리니

아라 迷티 아니ᄒᆞ면 오라면 제 스러 ^ 歇ᄒᆞ리니

若作聖解ᄒᆞ면 則有狂魔ㅣ 入其心腑ᄒᆞ야

ᄒᆞ다가 聖解ᄅᆞᆯ 지ᅀᅳ면 미친 魔ㅣ 心腑에 드러

見人則誇ᄒᆞ야 我慢이 無比ᄒᆞ야

사ᄅᆞᆷ곳 보면 쟈라ᇰᄒᆞ야 我慢이 ᄀᆞᆮᄒᆞ니 업서

其心乃至上不見佛ᄒᆞ며 下不見人ᄒᆞ리니

그 ᄆᆞᅀᆞ미 우흐로 부텨 보디 아니ᄒᆞ며 아래로 사ᄅᆞᆷ 보디 아니호매 니를리니

失於正受ᄒᆞᆯᄉᆡ 當從淪墜ᄒᆞ리라

正受ᄅᆞᆯ 일흘ᄊᆡ 반ᄃᆞ기 ᄢᅥ듀믈 브트리라

色이 盡ᄒᆞ고 受ㅣ 現ᄋᆞ로 爲定之勝相ᄒᆞ야

色이 다ᄋᆞ고 受ㅣ 現호ᄆᆞ로 定의 勝相ᄋᆞᆯ 사마

因喜成功故로 感激勇動ᄒᆞ야

因ᄒᆞ야 功 일우믈 깃ᄂᆞᆫ 젼ᄎᆞ^로 感激ᄒᆞ야 勇히 動ᄒᆞ야

以爲佛果ᄅᆞᆯ 可齊며 功行ᄋᆞᆯ 易致라 ᄒᆞ야

佛果ᄅᆞᆯ 어루 ᄀᆞᄌᆞᆨᄒᆞ며 功行ᄋᆞᆯ 수이 닐위요려 ᄒᆞ야

陵率之過故로 狂魔ㅣ 附焉ᄒᆞ니

陵率이 너믄 젼ᄎᆞ로 미친 魔ㅣ 브트니

令夫以少爲足ᄒᆞ야 驕狂犯分ᄒᆞ야

이제 져그니로 足ᄋᆞᆯ 사마 驕慢ᄒᆞ며 미쳐 分을 犯ᄒᆞ야

自視無前者ㅣ 皆陵率之過也ㅣ라

제 보ᄃᆡ 앏 업스니 다 陵率이 너무미라

三慧劣迷憶

又彼定中에 諸善男子ㅣ 見色陰이 銷ᄒᆞ고

ᄯᅩ 뎌 定中에 모ᄃᆞᆫ 善男子ㅣ 色陰이 슬오

受陰이 明白ᄒᆞᆫ ᄃᆞᆯᄒᆞ야 前無新證ᄒᆞ고

受陰이 明白ᄒᆞᆫᄃᆞᆯ 보아 알ᄑᆡ 새 證이 업고

歸失故居ᄒᆞ야 智力이 衰微ᄒᆞ야

도라와 녜 사던 ᄃᆡᆯ 일허 智力이 衰微ᄒᆞ야

入中隳地ᄒᆞ야 逈無所見ᄒᆞ면

中隳地예 드러 머러 봄 업스면

心中에 忽然히 生大枯渴ᄒᆞ야 於一切時예 沉憶不散ᄒᆞ야

心中에 忽然히 큰 枯渴ᄋᆞᆯ 내야[枯ᄂᆞᆫ 이울씨오 渴ᄋᆞᆫ 믈 여윌씨라] 一切 時예 기피 ᄉᆞ라ᇰ호미 흗디 아니ᄒᆞ야

將此ᄒᆞ야 以爲勤精進相ᄒᆞ리니

이ᄅᆞᆯ 가져 브즈런ᄒᆞᆫ 精進相ᄋᆞᆯ 사ᄆᆞ리니

此ᄂᆞᆫ 名修心호ᄃᆡ 無慧ᄒᆞ야 自失이니

이ᄂᆞᆫ 일후미 ᄆᆞᅀᆞᆷ 닷고ᄃᆡ 慧 업서 제 그르 호미니

悟則無咎ㅣ어니와 非爲聖證이라

알면 허믈 업스려니와 聖證이 아니라

若作聖解ᄒᆞ면 則有憶魔ㅣ 入其心腑ᄒᆞ야

ᄒᆞ다가 ^ 聖解ᄅᆞᆯ 지ᅀᅳ면 ᄉᆞ라ᇰᄒᆞᄂᆞᆫ 魔ㅣ 心腑에 드러

旦夕에 撮心ᄒᆞ야 懸在一處ᄒᆞ리니

아ᄎᆞᆷ 나조ᄒᆡ ᄆᆞᅀᆞᄆᆞᆯ ᄃᆞᇰᄀᆡ야 ᄒᆞᆫ 고대 ᄃᆞᆯ여 이시리니

失於正受ᄒᆞᆯᄉᆡ 當從淪墜ᄒᆞ리라

正受ᄅᆞᆯ 일흘ᄊᆡ 반ᄃᆞ기 ᄢᅥ듀믈 브트리라

凡修觀行호ᄃᆡᆫ 須定과 慧와ᄅᆞᆯ 等持ᄒᆞ야ᅀᅡ 乃能無失이어늘

믈읫 觀行ᄋᆞᆯ 닷고ᄃᆡᆫ 모로매 定^과 慧와ᄅᆞᆯ ᄀᆞ티 가져ᅀᅡ 能히 글우미 업스리어ᄂᆞᆯ

令此ᄂᆞᆫ 定은 强ᄒᆞ고 智ᄂᆞᆫ 微ᄒᆞ야

이제 이ᄂᆞᆫ 定은 세오 智ᄂᆞᆫ 微ᄒᆞ야

而受陰이 未盡故로 進無新證ᄒᆞ고

受陰이 다ᄋᆞ디 몯ᄒᆞᆫ 젼ᄎᆞ로 나ᅀᅡ가 새 證이 업고

色陰이 已銷故로 退失故居ᄒᆞ야

色陰이 ᄒᆞ마 스론 젼ᄎᆞ로 믈러가 녜 사던 ᄃᆡᆯ 일허

進退之間애 杳無所依ᄒᆞᆯᄉᆡ 名中隳地라

나ᅀᆞ며 므르ᄂᆞᆫ ᄉᆞᅀᅵ예 머러 브투ᇙ ᄃᆡ 업슬ᄊᆡ 일후미 中隳地라

以無依無見故로 枯渴沉憶ᄒᆞ야

브툼 업스며 봄 업슨 젼ᄎᆞ로 枯渴ᄒᆞ야 기피 ᄉᆞ라ᇰᄒᆞ야

而憶魔이 附焉ᄒᆞ니라

ᄉᆞ라ᇰᄒᆞᄂᆞᆫ 魔ㅣ 브트니라

憶心이 妄系故로 如有撮懸也ㅣ라

ᄉᆞ라ᇰᄒᆞᄂᆞᆫ ᄆᆞᅀᆞ미 妄히 ᄆᆡ욘 젼ᄎᆞ로 ᄃᆞᇰᄀᆡ야 ᄃᆞ롬 잇ᄃᆞᆺᄒᆞ니라

四定劣失審

又彼定中에 諸善男子ㅣ 見色陰이 銷ᄒᆞ고

ᄯᅩ 뎌 定中에 모ᄃᆞᆫ 善男子ㅣ 色陰이 슬오

受陰이 明白ᄒᆞᆫᄃᆞᆯ ᄒᆞ야 慧力이 過定ᄒᆞ야

受陰이 明白ᄒᆞᆫᄃᆞᆯ 보아 慧力이 定에 너머

失於猛利ᄒᆞ야 以諸勝性으로 懷於心中ᄒᆞ면

猛利호매 그르 ᄒᆞ야 모ᄃᆞᆫ 勝性으로 心中에 머그면

自心에 已疑是盧舍那ㅣ로라 ᄒᆞ야 得少爲足ᄒᆞ리니

제 ᄆᆞᅀᆞ매 ᄒᆞ마 이 盧舍那ㅣ로라 疑心ᄒᆞ야 져근 것 得고 足ᄋᆞᆯ 사ᄆᆞ리니

此ᄂᆞᆫ 名用心호ᄃᆡ 亡失恒審ᄒᆞ야 溺於知見이니

이ᄂᆞᆫ 일후미 ᄆᆞᅀᆞᄆᆞᆯ ᄡᅮᄃᆡ 恒常 ᄉᆞᆯ표ᄆᆞᆯ 일허 知見에 ᄢᅧ듀미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