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화경언해 1권

  • 한문제목: 法華經諺解
  • 연대: 1463
  • 출판: 동국대 도서관 소장본

ᄯᅩ 보ᄃᆡ 佛子ㅣ ᄆᆞᅀᆞ매 着혼 ᄃᆡ 업서 이 妙慧로 無上道 求ᄒᆞ며

此ᄂᆞᆫ 廣頌菩薩ㅅ 行道ᄒᆞ시논 因緣相貌皃也ᄒᆞ시니라

이ᄂᆞᆫ 菩薩ㅅ 道 行ᄒᆞ시논 因緣相貌ᄅᆞᆯ 너비 頌^ᄒᆞ시니라

天龍恭敬不以爲喜ᄂᆞᆫ 菩薩ㅅ 自重也ㅣ라

天龍이 恭敬ᄒᆞ야도 깃디 아니ᄒᆞ샤ᄆᆞᆫ 菩薩ㅅ ᄌᆞ걔 重히 ᄒᆞ샤미라

處林放光濟地獄苦ᄂᆞᆫ 菩薩ㅅ 大悲也ㅣ라

수프레 겨샤 放光ᄒᆞ샤 地獄苦 濟度ᄒᆞ샤ᄆᆞᆫ 菩薩ㅅ 大悲시니라

癡眷屬은 謂唯恣情欲ᄒᆞ야 不能遷善者ㅣ라

癡眷屬ᄋᆞᆫ 오직 情欲ᄋᆞᆯ ᄀᆞ자ᇰᄒᆞ야 能히 善에 옮디 몯ᄒᆞᄂᆞ닐 니ᄅᆞ시니라

自未嘗睡眠으로 至歡喜無厭히ᄂᆞᆫ 乃六度衆行을 不復次第ᄒᆞ시고 但隨所見ᄒᆞ시니라

未嘗睡眠브터 歡喜無猒에 니르린 六道衆行ᄋᆞᆯ 다시 次第 아니ᄒᆞ시고 오직 보샤ᄆᆞᆯ 조ᄎᆞ시니라

或有說寂滅法等者ᄂᆞᆫ 或以敎說로 求道也ㅣ오

或有說寂滅法ᄃᆞᆯᄒᆞᆫ 시혹 ᄀᆞᄅᆞ쳐 니ᄅᆞ샤ᄆᆞ로 道 求ᄒᆞ샤미오

觀諸法性等者ᄂᆞᆫ 或以覺觀으로 求道也ㅣ오

觀諸法性ᄃᆞᆯᄒᆞᆫ 시혹 覺觀으로 道 求ᄒᆞ샤미오

心無所着等者ᄂᆞᆫ 離敎觀ᄒᆞ시며 忘心跡ᄒᆞ샤 以求道也ㅣ라

心無所着ᄃᆞᆯᄒᆞᆫ 敎觀ᄋᆞᆯ 여희시며 ᄆᆞᅀᆞᇝ 자최ᄅᆞᆯ 니ᄌᆞ샤도 求ᄒᆞ실씨라

雖種種因緣相皃ㅣ 不同ᄒᆞ나 無非實相妙行故로 於光中에 詳現ᄒᆞ시니라

비록 種種 因緣相貌ㅣ ᄀᆞᆮ디 아니ᄒᆞ나 實相 妙行 아니니 업스실^ᄊᆡ 光中에 仔細히 現ᄒᆞ시니라

文殊師利하 又有菩薩이 佛滅度後에 供養舍利ᄒᆞᅀᆞ오며

文殊師利하 ᄯᅩ 菩薩이 부텨 滅度ᄒᆞ신 後에 舍利ᄅᆞᆯ 供養ᄒᆞᅀᆞ오며

又見佛子ㅣ 造諸塔廟無數恒沙ᄒᆞ야 嚴飾國界ᄒᆞ니

ᄯᅩ 보ᄃᆡ 佛子ㅣ 塔廟 無數恒沙ᄅᆞᆯ ᄆᆡᇰᄀᆞ라 [佛骨 겨신 ᄃᆡᆯ 일후믈 塔婆ㅣ니 예셔 ᄠᅳ드로 飜譯호ᄃᆡ 靈廟ㅣ니 廟ᄂᆞᆫ 야ᇰᄌᆡ니 한아ᄇᆡ 야ᇰᄌᆞ 잇ᄂᆞᆫ ᄯᅡ히라] 國界ᄅᆞᆯ 싁싀기 ᄭᅮ미니

寶塔이 高妙ᄒᆞ야 五千由旬이며 縱廣이 正等히 二千由旬이며

보ᄇᆡ 塔이 놉고 微妙ᄒᆞ야 五千 由旬이며 기릐 너븨 ^ 正히 ᄀᆞ티 二千由旬이며

一一塔廟애 各千幢幡이며 珠交露幔이며

塔廟마다 各各 즈믄 懂幡이며 구슬 交露혼 帳이며

交ᄂᆞᆫ 섯ᄆᆡᆯ씨오 露ᄂᆞᆫ 밧긔 날씨라

寶鈴이 和鳴이어든 諸天龍神人及非人이 香華伎樂으로 常以供養ᄒᆞ며

보ᄇᆡ 바ᇰ오리 和히 울어든 諸天龍神人과 非人괘 香華伎樂으로 샤ᇰ녜 供養ᄒᆞ며

文殊師利하 諸佛子等이 爲供舍利ᄒᆞ야 嚴飾塔廟ᄒᆞ니

文殊師利하 諸佛子ᄃᆞᆯ히 舍利 供養ᄒᆞᅀᆞ오ᄆᆞᆯ 爲ᄒᆞ야 塔廟ᄅᆞᆯ 싁싀기 ᄭᅮ미니

國界ㅣ 自然히 殊特妙好ᄒᆞ야 如天樹王이 其華ㅣ 開敷ᄐᆞᆺᄒᆞᅌᅵ다

國界 自然히 ᄠᆞ로 奇特히 微妙히 됴하 하ᄂᆞᆳ 樹王이 [樹ᄂᆞᆫ 즘게라] 고지 프ᄃᆞᆺᄒᆞᅌᅵ다

此ᄂᆞᆫ 頌涅槃之終也ᄒᆞ시니라

이ᄂᆞᆫ 涅槃 내죠ᇰᄋᆞᆯ 頌ᄒᆞ시니라

直曰縱이오 橫曰廣이라

발오ᄆᆞᆯ 닐온 縱이오 빗구믈 닐온 廣이라

四十里ㅣ 爲一由旬이라

四十里 ᄒᆞᆫ 由旬이라

天樹王者ᄂᆞᆫ 忉利天員生樹ㅣ니 寶花開時예 天界ㅣ 自然히 嚴飾妙好ᄒᆞᄂᆞ니 乃佛滅後에 供養舍利ᄒᆞᅀᆞ온 果報也ㅣ니

天樹王ᄋᆞᆫ 仞利天員生樹ㅣ니 보ᄇᆡ 고지 플 쩨 天界 自然히 싁싀기 ᄭᅮ며 微妙히 됻ᄂᆞ니 부텨 滅度ᄒᆞ신 後에 舍利 供養ᄒᆞᅀᆞ온 果報ㅣ니

故로 諸佛子ㅣ 爲供舍利ᄒᆞ야 嚴好ᄅᆞᆯ 如之ᄒᆞ니라

이럴ᄊᆡ 諸佛子ㅣ 舍利 供養ᄒᆞᅀᆞ오ᄆᆞᆯ 爲ᄒᆞ야 싁싀기 됴케 호ᄆᆞᆯ ᄀᆞ티 ᄒᆞ니라

二請答

佛放一光ᄒᆞ시니 我及衆會ㅣ 見此國界의 種種殊妙ᄒᆞ며

부톄 ᄒᆞᆫ 光ᄋᆞᆯ 펴시니 나와 모ᄃᆞᆫ 會ㅣ 國界의 種種 ᄠᆞ로 微妙호ᄆᆞᆯ 보며

諸佛神力과 智慧ㅣ 希有ᄒᆞ샤 放一淨光ᄒᆞ샤 照無量國ᄒᆞ시니 我等이 見此ᄒᆞᅀᆞᆸ고 得未曾有ᄒᆞ노ᅌᅵ다

諸佛 神力과 智慧ㅣ 希有ᄒᆞ샤 ᄒᆞᆫ 조ᄒᆞᆫ 光ᄋᆞᆯ 펴샤 無量國ᄋᆞᆯ 비취시니 우리ᄃᆞᆯ히 이ᄅᆞᆯ 보ᅀᆞᆸ고 未曾有를 得ᄒᆞ노ᅌᅵ다

佛子文殊하 願決衆疑ᄒᆞ쇼셔

佛子文殊하 願호ᄃᆡ 모ᄃᆞᆫ 疑心을 決ᄒᆞ쇼셔

四衆이 欣仰ᄒᆞ야 瞻仁及我ᄒᆞᄂᆞ니

四衆이 즐겨 울워러 仁과 날와 보ᄂᆞ니

仁ᄋᆞᆫ ᄂᆞᆷ 어엿비 너길씨니 仁德 두겨시니ᄅᆞᆯ 仁이라 號ᄒᆞᄂᆞ니라

世尊이 何故로 放斯光明이시니ᅌᅵᆺ고

世尊이 엇던 젼ᄎᆞ로 이 光明을 펴시ᄂᆞ니ᅌᅵᆺ고

佛子ㅣ 時答ᄒᆞ샤 決令喜ᄒᆞ쇼셔

佛^子ㅣ 이제 對答ᄒᆞ샤 疑心을 決ᄒᆞ야 깃게 ᄒᆞ쇼셔

何所饒益으로 演斯光明이시니ᅌᅵᆺ고

엇던 饒益으로 [饒ᄂᆞᆫ 益이오 益은 더을씨라] 이 光明을 펴시ᄂᆞ니ᅌᅵᆺ고

佛坐道場ᄒᆞ샤 所得妙法을 爲欲說此ㅣ시니ᅌᅵᆺ가 爲當授記시니ᅌᅵᆺ가

부톄 道場애 안ᄌᆞ샤 得ᄒᆞ샨 妙法을 이ᄅᆞᆯ 니ᄅᆞ고져 ᄒᆞ시ᄂᆞ니ᅌᅵᆺ가 반ᄃᆞ기 授記ᄒᆞ시리ᅌᅵᆺ가

示諸佛土의 衆寶嚴淨ᄒᆞ시며 及見諸佛ᄒᆞᅀᆞ오미 此ㅣ 非小緣이로소ᅌᅵ다

諸佛土의 한 보ᄇᆡ 싁싀기 조호ᄆᆞᆯ 뵈시며 ᄯᅩ 諸佛을 보ᅀᆞ오미 이 져근 緣이 아니로소ᅌᅵ다

文殊하 當知ᄒᆞ쇼셔 四衆龍神이 瞻察仁者ᄒᆞᄂᆞ니 爲說何等ᄒᆞ시리ᅌᅵᆺ고

文殊하 반ᄃᆞ기 아ᄅᆞ쇼셔 四衆龍神이 仁者ᄅᆞᆯ 보ᅀᆞᆸᄂᆞ니 엇던 말ᄃᆞᆯᄒᆞᆯ 니ᄅᆞ시리ᅌᅵᆺ고

仁은 指文殊也ᄒᆞ시니라

仁ᄋᆞᆫ 文殊ᄅᆞᆯ ᄀᆞᄅᆞ치시니라

二文殊決疑四 一忖答

爾時文殊師利ㅣ 語彌勒菩薩摩訶薩와 及諸大士ᄒᆞ샤ᄃᆡ

그ᄢᅴ 文殊舍利ㅣ 彌勒菩薩摩訶薩와 諸大士ᄭᅴ 니ᄅᆞ샤ᄃᆡ

善男子等아 如我惟忖앤 今佛 世尊이 欲說大法ᄒᆞ시며 雨大法雨ᄒᆞ시며 吹大法螺ᄒᆞ시며 擊大法鼓ᄒᆞ시며 演大法義샷다

善男子ᄃᆞᆯ하 내 혜요맨 今佛 世尊이 큰 法을 니ᄅᆞ시며 큰 法雨ᄅᆞᆯ 비흐시며 큰 法螺ᄅᆞᆯ 부르시며 큰 法鼓ᄅᆞᆯ 티시며 큰 法義ᄅᆞᆯ 펴고져 ᄒᆞ시놋다

諸善男子아 我於過去諸佛에 曾見此瑞ᄒᆞᅀᆞ오니 放斯光巳ᄒᆞ시면 卽說大法ᄒᆞ시더니

善男子ᄃᆞᆯ하 내 過去 諸佛ᄭᅴ 아ᄅᆡ 이 瑞ᄅᆞᆯ 보ᅀᆞ오니 이 光明을 펴시면 즉재 큰 法을 니ᄅᆞ시더니

是故當知ᄒᆞ라 今佛現光도 亦復如是ᄒᆞ샤 欲令衆生으로 咸得聞知一切世間難信之法게호려ᄒᆞ샤 故로 現斯瑞ᄒᆞ시ᄂᆞ니라

이럴ᄊᆡ 반ᄃᆞ기 알라 이젯 부텨 光明 나토샴도 ᄯᅩ 이 ᄀᆞᆮᄒᆞ샤 衆生ᄋᆞ로 一切 世間에셔 信호미 어려운 法을 다 드러 알에 코져 ᄒᆞ샤 그럴ᄊᆡ 이 瑞ᄅᆞᆯ 나토시ᄂᆞ니라

雨ᄂᆞᆫ 以一味의 霑洽이오 螺ᄂᆞᆫ 以一音의 亘徹이오 鼓ᄂᆞᆫ 以号令群衆이오 義ᄂᆞᆫ 以開發隨宜라

비ᄂᆞᆫ ᄒᆞᆫ 마ᄉᆡ 저쥬ᄆᆞᆯ ᄡᅳ고 螺ᄂᆞᆫ ᄒᆞᆫ 소리의 ᄉᆞᄆᆞ초ᄆᆞᆯ ᄡᅳ고 부픈 한 사ᄅᆞᄆᆞᆯ 號令호ᄆᆞᆯ ᄡᅳ고 [號ᄂᆞᆫ 告ᄒᆞᆯ씨오 令은 ᄀᆞᄅᆞ칠씨라] 義ᄂᆞᆫ 여러 내요ᄆᆞᆯ 맛다ᇰ홈 조초ᄆᆞᆯ ᄡᅳ니라

二引證二 初引燈明本始

諸善男子아 如過去無量無邊不可思議阿僧祇劫에 爾時예 有佛ᄒᆞ샤ᄃᆡ 号ㅣ 日月燈明如來應供正遍知明行足善逝世間解無上士調御丈夫天人師佛 世尊이러시니

善男子ᄃᆞᆯ하 過去 無量無邊不可思議阿僧祇劫에 그ᄢᅴ 부톄 겨샤ᄃᆡ 號ㅣ 日月燈明如來應供正遍知明行足善逝世間解 ^ 無想士調御丈夫天人師佛 世尊이러시니

阿僧은 云無數ㅣ오 劫은 云時分이라

阿僧은 닐오매 數 업수미오 劫은 닐오매 時分이라

欲原光瑞의 本始ᄒᆞ샤 而推之於無數不思之劫者ᄂᆞᆫ 此光此法이 固始於無始ᄒᆞ야 超乎數量也ᅟᅵᆯᄊᆡ니라

光瑞의 믿 始作ᄋᆞᆯ 根源호려 ᄒᆞ샤 無數不思劫에 미르샤ᄆᆞᆫ 이 光이 法이 비르솜 업수매 本來 始作ᄒᆞ야 數量애 건내 ᄠᅱᆯᄊᆡ니라

佛号日月燈者ᄂᆞᆫ 日은 昱晝ᄒᆞ고 月은 昱夜ᄒᆞ고

부텻 號ㅣ 日月燈은 日은 나ᄌᆞᆯ ᄇᆞᆯ기고 ᄃᆞᄅᆞᆫ 바ᄆᆞᆯ ᄇᆞᆯ기고

燈은 則照於日月所不照ᄒᆞ야 而通乎晝夜之道ᄒᆞ야

燈은 日月 몯 비취ᄂᆞᆫ ᄃᆡ 비취여 밤낫 道애 通ᄒᆞ야

相續無窮ᄒᆞ니 彼佛妙智眞明이 兼三者之德故로 以爲号ᄒᆞᅀᆞ오니라

서르 니ᅀᅥ 다ᄋᆞᆳ 업스니 뎌 부텻 微妙ᄒᆞᆫ 智 眞實ㅅ ᄇᆞᆯᄀᆞ샤미 세희 德을 兼ᄒᆞ실ᄊᆡ 號ᄒᆞᅀᆞ오니라

十號ᄅᆞᆯ 初言本ᄒᆞ시고 終言跡ᄒᆞ시고 中言德ᄒᆞ시니

十號ᄅᆞᆯ 처ᅀᅥ믠 미틀 니ᄅᆞ시고 내죠ᇰᄋᆞᆫ 자쵤 ^ 니ᄅᆞ시고 가온ᄃᆡᆫ 德을 니ᄅᆞ시니

本은 謂眞性ᄒᆞ시니 一切如也故로 曰如來시고

미튼 眞性을 니ᄅᆞ시니 一切 如ᄒᆞ실ᄊᆡ 닐오샤ᄃᆡ 如來시고

迹은 謂道化ᄒᆞ시니 人天이 尊仰故로 曰世尊이시고

迹은 道理 敎化ᄅᆞᆯ 니ᄅᆞ시니 人天이 尊히 너기ᅀᆞ와 울워ᅀᆞ올ᄊᆡ ᄉᆞᆯ오샤ᄃᆡ 世尊이시고

德은 卽萬德種智事也ㅣ시니 爲良福田故로 應供養이시고

德은 곧 萬德種智ㅅ 이리시니 됴ᄒᆞᆫ 福바티 ᄃᆞ외실ᄊᆡ 供養ᄋᆞᆯ 應ᄒᆞ샤미오

圓具四智故로 能正遍知시고

四智 두려이 ᄀᆞᄌᆞ실ᄊᆡ

四智ᄂᆞᆫ ᄒᆞ나ᄒᆞᆫ 大圓鏡智시니 큰 두려운 거우루에 한 色像 現호미 ᄀᆞᆮᄒᆞ실씨오

둘ᄒᆞᆫ 平等聖智시니 一切法이 다 平等ᄒᆞᆫ ᄃᆞᆯ 보실씨오

세ᄒᆞᆫ 妙觀察智시니 諸法을 이대 보샤 마ᄀᆞᆫ ᄃᆡ 업시 轉ᄒᆞ실씨오

네ᄒᆞᆫ 成所作智시니 本願力의 지ᅀᅳ샬 이ᄅᆞᆯ 일우실씨라

能正遍知시고

能히 正히 다 아ᄅᆞ샤미오

萬行이 眞明ᄒᆞ실ᄊᆡ 曰明行足이시고

萬行이 眞^實로 ᄇᆞᆯᄀᆞ실ᄊᆡ ᄉᆞᆯ오샤ᄃᆡ ᄇᆞᆯᄀᆞᆫ 行이 足ᄒᆞ샤미오

善入塵勞ᄒᆞ샤 窮盡萬法ᄒᆞ실ᄊᆡ 曰善逝世間解시고

塵勞애 이대 드르샤 萬法을 다 아ᄅᆞ실ᄊᆡ ᄉᆞᆯ오샤ᄃᆡ 이대 가샤 世間ᄋᆞᆯ 아ᄅᆞ샤미오

證無等等ᄒᆞ실ᄊᆡ 曰無上士ㅣ시고

等 업스샤ᄃᆡ 等ᄒᆞ샤ᄆᆞᆯ 證ᄒᆞ실ᄊᆡ ᄉᆞᆯ오샤ᄃᆡ 우 업슨 士ㅣ시고

化物을 不暴ᄒᆞ시며 挺然不屈ᄒᆞ실ᄊᆡ 曰調御丈夫ㅣ시고

物 化ᄒᆞ샤ᄆᆞᆯ 모디디 아니ᄒᆞ시며 ᄠᆞ로 나샤 굽디 아니ᄒᆞ실ᄊᆡ ᄉᆞᆯ오샤ᄃᆡ 丈夫 질드리샤미오

三界模範이실ᄊᆡ 曰天人師ㅣ시고

三界옛 模範이실ᄊᆡ [模範은 法이니 남그로 본 ᄆᆡᇰᄀᆞᆯ씨 模ㅣ오 대로 ᄆᆡᇰᄀᆞᆯ씨 範이라] ᄉᆞᆯ오샤ᄃᆡ 天人師ㅣ시고

自他覺滿ᄒᆞ실ᄊᆡ 曰佛이시니

ᄌᆞ갸와 ᄂᆞᆷ과 覺이 ᄎᆞ실ᄊᆡ ᄉᆞᆯ오샤ᄃᆡ 佛이시니

摠而言之컨댄 從如實道ᄒᆞ야 來ᄒᆞ샤 具萬德ᄒᆞ샤 應物ᄒᆞ샤 爲世所尊之號也ㅣ시니라

모도아 ᄉᆞᆲ건댄 實 다ᄒᆞᆫ 道ᄅᆞᆯ 조차 오샤 萬德이 ᄀᆞᄌᆞ샤 物을 應ᄒᆞ샤 世예셔 尊ᄒᆞᅀᆞ오미 ᄃᆞ외신 號ㅣ시니라

演說正法ᄒᆞ샤ᄃᆡ 初善中善後善이러시니 其義ㅣ 深遠ᄒᆞ시며 其語ㅣ 巧妙ᄒᆞ시며 純一無雜ᄒᆞ시며

正法을 펴 니ᄅᆞ샤ᄃᆡ 初善 中善 後善이러시니 그 ᄠᅳ디 깁고 머르시며 그 마리 工巧코 微妙ᄒᆞ^시며 純一ᄒᆞ샤 섯근 것 업스시며

具足淸白梵行之相ᄒᆞ샤 爲求聲聞者ᄒᆞ샤 說應四諦法ᄒᆞ샤 度生老病死ᄒᆞ샤 究竟涅槃케ᄒᆞ시며

淸白ᄒᆞᆫ 조ᄒᆞᆫ 行의 相이 ᄀᆞᄌᆞ샤 聲聞 求ᄒᆞ릴 爲ᄒᆞ샤 四諦法을 應ᄒᆞ야 니ᄅᆞ샤 나며 늘그며 病ᄒᆞ며 주구ᄆᆞᆯ 度脫ᄒᆞ샤 究竟涅槃케 ᄒᆞ시며

ᄆᆞᅀᆞ미 生이 이시면 곧 어루 滅홀 쭈리 이시려니와 ᄆᆞᅀᆞ미 本來 生이 업슬ᄊᆡ 實로 어루 滅홀 쭐 업스니 生 업스며 滅 업수미 일후미 涅槃이라

究는 다ᄃᆞᄅᆞᆯ씨오 竟은 다ᄋᆞᆯ씨니 三世 塵勞 妄念이 本來 生滅 업슬ᄊᆡ 니ᄅᆞ샨 究竟涅槃이라

爲求辟支佛者ᄒᆞ샤 說應十二因緣法ᄒᆞ시며

辟支佛 求ᄒᆞ릴 爲ᄒᆞ샤 十二因緣法을 應ᄒᆞ야 니ᄅᆞ시며

爲諸菩薩ᄒᆞ샤 說應六波羅密ᄒᆞ샤 令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ᄒᆞ야 成一切種智케ᄒᆞ시더라

諸菩薩 爲ᄒᆞ샤 六波羅密ᄋᆞᆯ 應ᄒᆞ야 니ᄅᆞ샤 阿耨多羅三藐三菩提ᄅᆞᆯ 得ᄒᆞ야 一切種智ᄅᆞᆯ 일우게 ᄒᆞ시더라

此ᄂᆞᆫ 敍燈明이 亦於一乘에 隨宜說三也ᄒᆞ시니라

이ᄂᆞᆫ 燈明이 ᄯᅩ 一乘에 맛다ᇰ호ᄆᆞᆯ 조ᄎᆞ샤 三乘 니ᄅᆞ샤ᄆᆞᆯ 펴시니라

初中後者ᄂᆞᆫ 指三乘之法ᄒᆞ시니 皆應機契道ᄒᆞ샤 無不善也ㅣ라

初中後ᄂᆞᆫ 三乘法을 ᄀᆞᄅᆞ치시니 다 機ᄅᆞᆯ 應ᄒᆞ샤 道애 마ᄌᆞ샤 몯 됴ᄒᆞ니 업스실씨^라

藉權顯實故로 其義深遠ᄒᆞ시며

權을 브터 實을 나토시논 젼ᄎᆞ로 그 ᄠᅳ디 깁고 머르시며

方便隨機故로 其語ㅣ 巧妙ᄒᆞ시며

方便으로 機ᄅᆞᆯ 조ᄎᆞ시논 젼ᄎᆞ로 그 마리 工巧코 微妙ᄒᆞ시며

本於一乘故로 純一無雜ᄒᆞ시며

一乘에 根源ᄒᆞ시논 젼ᄎᆞ로 純一ᄒᆞ야 섯근 것 업스시며

明菩薩行故로 具足淸白梵行之相ᄒᆞ시니라

菩薩行ᄋᆞᆯ ᄇᆞᆯ기시논 젼ᄎᆞ로 淸白梵行相이 ᄀᆞᄌᆞ시니라

以一乘으로 應三乘而說故로 云說應四諦等이라

一乘으로 三乘을 應ᄒᆞ샤 니ᄅᆞ시논 젼ᄎᆞ로 說應四諦라 니ᄅᆞ샴ᄃᆞᆯ히라

於二乘엔 言求ᄒᆞ시고 於菩薩앤 不言求者ᄂᆞᆫ 佛이 爲大事出興ᄒᆞ샤

二乘엔 求ㅣ라 니ᄅᆞ시고 菩薩앤 求ㅣ라 아니 니ᄅᆞ샤ᄆᆞᆫ 부톄 큰 일 爲ᄒᆞ샤 니러나샤

本說敎菩薩法故로 不待求ᄒᆞ시고

本來 菩薩 ᄀᆞᄅᆞ치시논 法을 니ᄅᆞ시논 젼ᄎᆞ로 求를 기드리디 아니ᄒᆞ시고

於餘乘엔 非所願說이라 特因樂小者의 求而後에ᅀᅡ 說也ㅣ시니라

녀나ᄆᆞᆫ 乘엔 니ᄅᆞ고져 願ᄒᆞ시논 거시 아니라 오직 져근 法 즐길 싸ᄅᆞᄆᆡ 求호ᄆᆞᆯ 因ᄒᆞ신 後에ᅀᅡ 니ᄅᆞ시ᄂᆞ니라

於聲聞엔 言涅槃ᄒᆞ시고 於辟支菩薩앤 言種智者ᄂᆞᆫ 聲聞은 猒生死苦ᄒᆞ야 取滅諦小果故로 進之於究竟涅槃ᄒᆞ시고

聲聞엔 涅槃 니ᄅᆞ시고 ^ 辟支菩薩앤 種智 니ᄅᆞ샤ᄆᆞᆫ 聲聞은 生死苦ᄅᆞᆯ 아쳐라 滅諦 죠고맛 果ᄅᆞᆯ 가질ᄊᆡ 究竟 涅槃애 나ᅀᅩ시고

辟支ᄂᆞᆫ 利智며 菩薩은 大根故로 成之以一切種智ᄒᆞ시니 一切種智ᄂᆞᆫ 唯佛이ᅀᅡ 能具ᄒᆞ시니라

辟支ᄂᆞᆫ ᄂᆞᆯ카온 智며 菩薩ᄋᆞᆫ 큰 根일ᄊᆡ 一切種智로 일우시니 一切種智ᄂᆞᆫ 오직 부톄ᅀᅡ 能히 ᄀᆞᄌᆞ시니라

次復有佛ᄒᆞ샤ᄃᆡ 亦名日月燈明이시며

버거 ᄯᅩ 부톄 겨샤ᄃᆡ ᄯᅩ 일후미 日月燈明이시며

次復有佛ᄒᆞ샤ᄃᆡ 亦名日月燈明이샤

버거 ᄯᅩ 부톄 겨샤ᄃᆡ ᄯᅩ 일후미 日月燈明이샤

如是二萬佛이 皆同一字ᄒᆞ샤 號ㅣ 日月燈明이시며

이ᄀᆞ티 二萬佛이 다 ᄒᆞᆫ가지로 ᄒᆞᆫ 字ㅣ샤 號ㅣ 日月燈明이시며

又同一姓ᄒᆞ샤 姓이 頗羅墮ㅣ러시니

ᄯᅩ ᄒᆞᆫ가지로 ᄒᆞᆫ 姓이샤 姓이 頗羅墮ㅣ러^시니

彌勤아 當知ᄒᆞ라

彌勒아 반ᄃᆞ기 알라

初佛後佛이 皆同一字ᄒᆞ샤 名이 日月燈明十號ㅣ 貝足ᄒᆞ시고

첫 부텨 後ㅅ 부톄 다 ᄒᆞᆫ가지로 ᄒᆞᆫ 字ㅣ샤 일후미 日月燈明 十號ㅣ ᄀᆞᄌᆞ시고

所可說法은 初中後善이러시니

니ᄅᆞ시논 法은 初 中 後善이러시니

其最後佛이 未出家時예 有八王子ᄒᆞ더니

ᄆᆞᆺ 後ㅅ 부톄 出家 아니ᄒᆞ야 겨신 제 여듧 王子ㅣ 잇더니

一名有意오

一名은 有意오

二名善意오

二名은 善意오

三名無量意오

三名은 無量意오

四名寶意오

四名은 寶意오

五名增意오

五名은 增意오

六名除疑意오

六名은 除疑意오

七名響意오

七名은 響意오

八名法意러니

八名은 法意러니

是八王子ㅣ 威德이 自在ᄒᆞ야 各領四天下ᄒᆞ더니

이 여듧 王子ㅣ 威德이 自在ᄒᆞ야 各各 四天下ᄅᆞᆯ 領ᄒᆞ더니

是諸王子ㅣ 聞父ㅣ 出家ᄒᆞ샤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ᄒᆞᅀᆞᆸ고

이 王子ᄃᆞᆯ히 아바니미 出家ᄒᆞ샤 阿耨多羅三藐三普提ᄅᆞᆯ 得ᄒᆞ시다 듣ᄌᆞᆸ고

悉捨王位ᄒᆞ고 亦隨出家ᄒᆞ야

다 王位 ᄇᆞ리고 ᄯᅩ 조차 出家ᄒᆞ야